KR101849098B1 - 차량용 도어체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98B1
KR101849098B1 KR1020160025407A KR20160025407A KR101849098B1 KR 101849098 B1 KR101849098 B1 KR 101849098B1 KR 1020160025407 A KR1020160025407 A KR 1020160025407A KR 20160025407 A KR20160025407 A KR 20160025407A KR 101849098 B1 KR101849098 B1 KR 10184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contact
slider
checker ar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093A (ko
Inventor
이주학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9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마찰 접촉식으로 비교적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개폐 작동감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도어체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더가 체커암에 마찰 접촉되어 도어 개폐시 작동감을 발생시키는 마찰 접촉식의 차량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접촉부에 대응되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는 체커암;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걸림홈 부위에서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외면이 상기 걸림홈에 면 접촉되고, 상기 걸림홈 이외의 구간에서는 점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체커암 외면에 접촉되는 차량용 도어체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체커 {DOOR CHECK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 개폐식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시 절도감을 부여하는 차량용 도어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힌지 개폐식 도어(swing door)에는 도어 개폐시 절도감 등을 부여하기 위한 도어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체커는 도어의 개폐시 절도감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개폐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중량물인 도어의 개폐시 회동속도를 조절하고, 회동범위를 소정범위로 제한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도어체커는 일단이 차체에 슈(shoe)를 통해 힌지 결합된 체커암(checker arm)과, 도어에 내설되어 체커암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본체부로 이뤄져 있다. 이때,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해 체커암의 외면에는 소정정도의 굴곡이 형성되며, 이러한 굴곡면이 본체부에 구비된 탄성수단과 상호 작용하여 도어 개폐시 절도감(또는 체커력)이 발생되게 된다. 절도감은 체커암의 굴곡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데, 차종이나 도어의 위치 등에 따라 통상 2 내지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초기의 도어체커는 체커암 자체를 판 스프링(leaf spring) 등의 탄성체로 구성하여, 체커암의 탄성 변형을 통해 2 내지 3단의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사용된 바 있으나(일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18294호), 반복 사용시 체커암의 내구성 저하나 체커력 약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에 내설된 본체부에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체커암은 내구성 확보를 위해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사용되는 도어체커는 체커암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수단의 종류나, 절도감을 부여하는 방식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탄성수단으로는 고무(rubber) 또는 압축스프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체커암과의 접촉 방식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타입, 롤러 타입 및 볼(ball)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드 타입은 고무, 플라스틱 등의 탄성체로 이뤄진 슬라이더를 체커암 외면에 접촉시켜, 접촉면에 따른 마찰력 및 체커암 외면의 굴곡을 통해 체커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482호는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도어체커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 도어체커는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나 제작 과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저가로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롤러나 볼 타입에 비해 전반적으로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체커암의 굴곡에 대응한 마찰력 변화가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느껴지지 못하게 된다. 즉, 마찰력이 피크값을 기록한 이후에도 마찰력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절도감이나 개폐 조작감의 부여가 다소 밋밋하며, 사용자는 도어가 일명 끈끈하게 개폐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은 비교적 저가의 차량, 중량이나 개폐의 빈도가 낮아 도어체커의 필요성이 적은 도어(예컨대, 리어 도어 등)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한편, 롤러 타입은 마찰 접촉식의 슬라이더 대신에 체커암 외면을 구름 운동 가능한 롤러를 사용해 체커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통상적으로 롤러 타입은 체커암 상하면에 각각 접촉 구름되는 한 쌍의 롤러와 각 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주요 구성으로 하며, 이러한 롤러, 압축스프링 등이 하우징 등에 내설되어 본체부를 이루게 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591호에서는 이러한 롤러 타입의 도어체커를 개시하고 있다.
롤러 타입은 슬라이드 타입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비교적 부드러운 개폐 작동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절도감이나 개폐 작동감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롤러 타입의 경우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 및 제작이 상대적으로 까다롭기 때문에, 슬라이드 타입에 비해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동감 측면에서, 도어가 반(半) 개방 상태로 정지되면, 롤러가 체커암 굴곡면을 따라 소정정도 구름 운동되어 도어가 관성에 의해 다소 요동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그리스(grease)로 인한 오염이나, 이물질 유입시 롤러가 적절히 구름 운동되지 못해 생기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볼 타입은 롤러 대신에 스틸 볼(steel ball, 강구)을 구비하고, 스틸 볼이 체커암 외면을 구름 운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472호 (2011.08.09)에서는 이러한 볼 타입의 도어체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볼 타입의 경우 스틸 볼의 사용으로 인해, 조립 및 제작이 까다롭고 제품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슬라이드 타입이나 롤러 타입에 비해 통용되고 있지는 않으며, 비교적 고급 차량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도어체커는 슬라이드 타입 또는 롤러 타입이 채용되고 있는데, 슬라이드 타입의 경우 제품 단가를 위해 개폐 조작감과 같은 제품 성능을 희생하는 측면이 있으며, 롤러 타입의 경우 상대적으로 조작감은 우수하나 제품 단가가 비싸고, 일부 측면(반 개방 상태에서의 도어 유동, 이물질 유입에 따른 오작동 등)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18294호 (1997.05.26)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482호 (2005.04.18)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591호 (2006.05.24)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472호 (2011.08.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찰 접촉식으로 체커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타입으로서 비교적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개폐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체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더가 체커암에 마찰 접촉되어 도어 개폐시 작동감을 발생시키는 마찰 접촉식의 차량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접촉부에 대응되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는 체커암;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걸림홈 부위에서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외면이 상기 걸림홈에 면 접촉되고, 상기 걸림홈 이외의 구간에서는 점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체커암 외면에 접촉되는 차량용 도어체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슬라이더의 접촉부 및 이에 대응되는 체커암의 걸림홈이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마찰 접촉식임에도 불구하고 보다 우수한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롤러 타입 등에 비해 비교적 저가로 제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도어의 회동 궤적에 따른 체커암의 휘어진 형상이나 본체부의 이동 궤적에 무관하게 접촉부가 일정한 형태로 체커암에 접촉될 수 있어, 전체 작동구간에서 고른 작동감을 얻을 수 있으며, 마찰력이나 절도감의 세밀한 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걸림홈 이외의 구간에서는 접촉부가 체커암 외면에 점 또는 원형의 접촉면으로 접촉되어 마찰력을 줄이고 도어의 부드러운 개폐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걸림홈 부위에서는 접촉부가 걸림홈에 안착되어 면 접촉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체커에서 하우징 커버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체커암 및 체커암 내부의 심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선 접촉)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롤러 타입 도어체커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를 비교한 작동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의 측면도이며, 도 1의 (b)는 상기의 차량용 도어체커(100)를 상부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는 차량의 힌지 개폐식 도어 또는 스윙 도어(swing door)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 동작을 안내하거나 절도감(작동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10) 및 체커암(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어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어 개폐시 도어의 회동 궤적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이동은 체커암(12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는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체커암(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면, 본체부(110)는 체커암(120) 좌측단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면, 본체부(110)는 체커암(120) 우측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본체부(110)가 체커암(120) 좌측단으로 이동된 상태(즉, 도어 닫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체커암(120)은 본체부(11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체커암(120)은 본체부(110) 내측으로 출납 가능하도록 본체부(110)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는 체커암(12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체커암(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커암(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정도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어의 회동 궤적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어의 회동 궤적, 차량용 도어체커(100)의 장착 위치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체커암(120)은 하나 이상의 걸림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121)은 본체부(110)의 내부 구성부품들과 간섭되어 도어 개폐시 절도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걸림홈(121)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홈(121)은 체커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홈(121)은 체커암(120)의 상, 하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체커암(120)의 길이방향 제 1 지점에 상하 한 쌍의 걸림홈(121)이 마련되고(1단 걸림), 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 2 지점에 상하 한 쌍의 걸림홈(121)이 마련되어(2단 걸림), 총 4개의 걸림홈(121)이 체커암(120)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걸림홈(12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총 3단 걸림이 가능하도록 걸림홈(121)은 체커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3세트가 이격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체커암(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만 걸림홈(121)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체커암(120)의 일단은 슈(130) 및 힌지핀(131)에 의해 차체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커암(120)은 도어 개폐에 따라 일단의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자유단으로 형성된 체커암(120)의 타단에는 도어의 최대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본체부(110)의 이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최대 회동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도어가 개방되어 본체부(110)가 체커암(120) 우측단으로 이동되면, 스토퍼(140)가 본체부(110)에 접촉되어 본체부(110)의 이동이 규제되며, 이로 인해 도어의 최대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스토퍼(140)는 쿠션부재(142) 및 스토퍼 플레이트(1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141)는 강재 등의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충돌로 인해 스토퍼(140)가 이탈되지 않도록 체커암(12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142)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본체부(110)를 향하는 스토퍼 플레이트(14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142)는 도어가 최대 각도로 회동시 본체부(110)와 스토퍼 플레이트(141)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부(110)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142)는 본체부(110)를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완충돌기(142a)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완충돌기(142a)는 대략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쿠션부재(14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완충돌기(142a)는 쿠션부재(142)의 일면에 전면적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완충돌기(142a)는 본체부(110)의 충돌시 완충 및 소음 저감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체커(100)에서 하우징 커버(112)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하우징 커버(112, 도 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 및 하우징 커버(112)는 내부에 슬라이더(150), 탄성부재(160) 등이 장착 배치될 수 있는 장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 하부에 볼트(B)가 체결되어 도어 일측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12)는 내부의 슬라이더(150), 탄성부재(160) 등을 감쌀 수 있는 커버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1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베이스 플레이트(111)를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 커버(112)를 향하는 일면(즉, 내측의 장착 공간을 향하는 일면)을 주면으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편(111a)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편(111a)은 하우징 커버(112)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모서리 부위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편(111a)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걸림편(111a)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모서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중앙에는 체커암(120)의 출입을 위한 출납홀(11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출납홀(111b)은 후술할 하우징 커버(112)의 출납홀(111b)과 대응되며, 체커암(120)은 상기의 출납홀(111b)을 통해 본체부(110) 내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본체부(11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 하부에는 각각 볼트체결홀(111c)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볼트체결홀(111c)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B)가 체결되어 본체부(110)를 도어 일측에 장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1d)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11d)는 하우징 커버(112) 또는 내측의 장착공간을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1d)는 후술할 슬라이더(150)와 베이스 플레이트(111) 간 접촉면적을 줄여 슬라이더(150)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돌출부(111d)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111d)는 출납홀(111b)을 중심으로 상부측에 배치되어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111d)와, 출납홀(111b) 하부측에 배치되어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는 하우징 커버(112)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 커버(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접하는 모서리 부위에 플랜지(112a)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112a)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걸림편(111a)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일면에 출납홀(12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체커암(120)의 출입을 위한 것으로,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출납홀(111b)에 대응된다.
또한, 하우징 커버(112)는 내측 상면(112c) 및 내측 하면(112d)에 각각 지지돌기(112e)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지지돌기(112e)는 내측 상면(112c) 또는 내측 하면(112d)에서 내측의 장착공간을 향해 소정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탄성부재(160)는 단부가 이와 같은 지지돌기(112e)에 안착되어 좌우 또는 전후 방향 유동이 소정정도 규제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하우징 커버(112) 내측의 장착공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150)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150)는 체커암(120) 외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도어의 회동 속도를 규제하거나 절도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슬라이더(150)를 탄성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체커암(120)을 향해 슬라이더(150)를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150) 및 탄성부재(16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슬라이더(150) 및 탄성부재(160)는 체커암(120)을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도 2에 예시된 바와 달리 체커암(120) 상측 또는 하측에 하나의 슬라이더(150) 및 탄성부재(160)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고 할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슬라이더(150)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측의 슬라이더(150)는 체커암(120) 상측에 배치되어 체커암(120) 상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하측의 슬라이더(150)는 체커암(120) 하측에 배치되어 체커암(120)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각 슬라이더(150)는 체커암(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는 접촉부(151)와, 체커암(120)의 일측면(즉,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접촉되어 체커암(120)의 좌우 유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리브(1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하의 접촉부(151)와 좌우의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을 에워싸며 소정의 출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각 슬라이더(150)는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탄성 지지된 상태로 체커암(120) 외면의 굴곡이나 걸림홈(121)에 의해 상하로 소정정도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150)의 상하 이동은 슬라이더(150)의 측면 등이 하우징 커버(112) 내측면 등에 접촉되어 안내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더(15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슬라이더(150)를 하부에서 올려다본 모습, 도 5의 (b)는 슬라이더(150)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50)는 체커암(120)을 향하는 일면(150a)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151)는 대략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부분 구형은 구(球)의 일부분을 잘라낸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접촉부(151)는 최대 돌출 지점이 체커암(120) 외면(즉,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51)는 체커암(120) 외면에 점 접촉되거나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체커암(120)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접촉부(151)는 종래의 마찰 접촉식 슬라이더(선 접촉)에 비해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체커암(120)의 굴곡이나 체커암(120)에 대한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접촉부(151)가 체커암(120)에 일정하게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이 감소됨으로 인해 마찰로 인한 마모가 줄어들고 내구성도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한편, 슬라이더(150)는 접촉부(151)가 구비된 반대면(150b)에 탄성부재(160)의 체결을 위한 체결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리브는 상기의 반대면(150b)에 원형 고리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60)의 단부에 체결되어 탄성부재(16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리브는 전술한 하우징 커버(112)의 지지돌기(112e)와 대응되는 것으로, 탄성부재(160)는 각 단부가 체결리브 또는 지지돌기(112e)에 체결되어 측방향으로의 유동이 소정정도 규제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50)는 모서리 부위에서 접촉부(151)의 돌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엣지리브(153)를 구비할 수 있다. 엣지리브(153)는 슬라이더(150)의 측면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어 슬라이더(150)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4개의 엣지리브(153)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엣지리브(153)의 외측면(153a)은 하우징 커버(112)의 내측면을 향해 배치되어 슬라이더(1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하우징 커버(112)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엣지리브(153)는 슬라이더(150)의 상하 이동을 소정정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엣지리브(153)의 외측면(153a)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리브(153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리브(153b)가 슬라이더(1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하우징 커버(112)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 커버(112)와 슬라이더(150) 간의 접촉면적을 줄여 슬라이더(150)의 상하 이동이 보다 부드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더(150)는 접촉부(151)가 형성된 일면(150a)의 모서리 부위에서 접촉부(15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리브(15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의 측면(즉,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접촉되어 체커암(120)의 유동을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엣지리브(153)보다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부(151)의 최대 돌출 지점보다도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측의 슬라이더(150)는 체커암(120)의 상하, 좌우를 에워싸는 출납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의 한쪽 측면만을 접촉 지지하도록 각 슬라이더(150)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의 슬라이더(150)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의 좌측면만을 접촉 지지하고, 하측의 슬라이더(150)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 우측면만을 접촉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이와 같은 경우, 각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 측면의 상하방향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가이드 리브(152)가 체커암(120) 한쪽 측면만을 지지하도록 함은 이음새로 인해 가이드 리브(152)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상, 하측의 슬라이더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리브를 형성하게 되면, 체커암 측면부에 상, 하측의 가이드 리브 간 이음새가 생기게 되므로, 반복적인 체커암의 외력에 의해 상기 이음새가 벌어지고 가이드 리브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 한쪽 측면만을 지지하도록 하고, 이음새가 생기지 않도록 상하로 충분히 연장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152)는 체커암(120) 측면을 향해 배치된 일면(152a)에 접촉돌기(152b)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돌기(152b)는 상기 일면(152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체커암(120) 측면을 향해 소정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152)는 접촉돌기(152b) 부위에서 두께(t1)가 최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돌기(152b)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t2)가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돌기(152b)는 가이드 리브(152)와 체커암(120)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가이드 리브(152)가 체커암(120)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체커암(120)의 이동(본체부(11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은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체커암(120)이 접촉되는 접촉돌기(152b) 부위의 두께(t1)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체커암(120) 측면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으로 인한 가이드 리브(152)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체커암(120) 및 체커암(120) 내부의 심재(122)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체커암(120)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의 (b)는 몰딩 부위를 생략한 체커암(120) 내부의 심재(122)를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체커암(120)은 외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체커암(120)의 상, 하면에 각각 2개씩의 걸림홈(121)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걸림홈(121)은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접촉부(151)에 대응되도록 체커암(120) 외면이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일반적인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에서 체커암의 굴곡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곡률로 오목하게 인입된 곡면으로 형성된 것과 구분된다.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걸림홈(121)은 본체부(11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150)의 접촉부(151)와 결합됨으로써 개폐 작동감 또는 절도감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접촉부(151)가 체커암(120)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각 걸림홈(121)에 접촉부(151)가 탄성적으로 안착 체결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의 회동이 잠시 느려지는 것과 같은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는 이와 같은 접촉부(151) 및 걸림홈(121)이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의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에 비해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체커암(120)은 금속 재질의 심재(122)에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체커암(120) 내부에 마련되는 심재(122)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심재(1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재질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22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심재(122)의 상, 하면에는 다수의 미세 돌기 또는 홈(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홀(122a) 및 미세 돌기 또는 홈(122b)은 심재(122)와 몰딩된 수지 간에 부착력을 증대시켜 체커암(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차량용 도어체커(100)는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접촉부(151)를 구비하고, 슬라이더(150)가 체커암(120)에 점 접촉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가지고 접촉됨으로써, 종래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에 비해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일반적인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의 경우, 슬라이더가 체커암에 선 접촉됨으로 인해 본체부의 이동 궤적에 따른 마찰력 변화가 발생될 수 있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는 본체부(110)의 이동 궤적이나 방향에 무관하게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선 접촉)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의 경우, 본체부(10)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체커암(20) 외면에 선 접촉(L1) 형태로 접촉되며, 절도감을 위한 걸림홈(21)은 체커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곡률로 오목하게 인입된 곡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종래의 슬라이더는 체커암(20)에 접촉되는 접촉 부위가 체커암(20) 폭(W) 방향으로 연장되게 되며, 슬라이더가 체커암(120)의 폭(W) 방향으로 선 접촉(L1)된 상태에서 체커암(120)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슬라이더의 마찰력이나 절도감의 세기 등은 체커암(120)과 슬라이더 간의 선 접촉(L1)이 체커암(120) 길이방향에 직교한다는 가정하에 설정되고 있다.
그러나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체커암(120)은 도어의 회동 궤적에 따라 소정정도 휘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의 (b) 참조). 따라서 본체부(110)의 이동에 따라 실제 선 접촉(L2)의 방향은 체커암(1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지 않을 수 있으며, 걸림홈(121)의 굴곡이나 체커암(120)의 휘어진 정도 등에 따라 초기 설계안과 상이하게 선 접촉(L2)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종래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에서 마찰력의 정도나 절도감의 세밀한 조절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선 접촉(L1, L2)의 방향에 따라 마찰력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설계 의도와는 다르게 큰 부하가 걸리거나 고르지 못한 작동감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의 경우, 마찰 접촉식을 따르면서도 슬라이더(150)와 체커암(120) 간이 점 접촉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점 접촉 또는 원형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경우, 본체부(110)의 이동 궤적이나 체커암(120)의 휘어진 정도 등에 관계없이 체커암(120)과 슬라이더(150)가 항상 일정한 형태(즉, 점 또는 원형의 접촉면)로 접촉되기 때문에, 마찰력의 정도나 절도감의 세밀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접촉면적이 가변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 의도가 그대로 반영된 고른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a)는 종래 롤러 타입 도어체커의 작동선도이며, 도 8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의 작동선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는 체커암(120)과 슬라이더(150) 간의 접촉면적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8의 (a)를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롤러 타입 도어체커의 경우, 작동력 최대점(P1, 롤러가 걸림홈에 위치되어 절도감이 발생되는 지점) 이후 약 2kgf의 응력이 존재하며 도어가 개방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의 경우, 도 8의 (b)와 같이 작동력 최대점(P2) 이후 약 1kgf의 응력만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대점(P2) 이후 낮은 응력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최대점(P2) 이외의 구간에서 도어에 작용되는 규제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절도감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최대점(P2) 이후의 낮은 응력은 종래의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끈끈한 도어 개폐'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즉, 종래 마찰 접촉식 도어체커의 경우, 슬라이더가 체커암에 마찰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걸림홈 이외의 구간에서도 상대적으로 큰 응력이 발생되어, 롤러가 구름 운동되는 롤러 타입 도어체커 등에 비해 도어의 개폐가 부드럽지 않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체커(100)의 경우, 도 8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롤러 타입' 도어체커에 비하여도 최대점(P2) 이외의 구간에서 낮은 응력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부드러운 작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종래의 '끈끈한 도어 개폐'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는 걸림홈(121) 이외의 구간에서는 슬라이더(150)와 체커암(120)이 점 접촉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는데 반해, 걸림홈(121) 부위에서는 슬라이더(150)의 접촉부(151)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121)에 안착 접촉되어 접촉면적이 급격히 증가될 수 있다. 즉, 도어 개폐에 따라 접촉부(151)가 걸림홈(121)에 안착되게 되면, 접촉부(151)는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외면이 넓은 면적에서 걸림홈(121)에 면 접촉될 수 있으며, 걸림홈(121) 이외의 구간에서는 접촉부(151)가 점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여 접촉면적이 급격히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걸림홈(121) 부위와 이외의 구간에서 보다 큰 마찰력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명확한 절도감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촉부(151)가 걸림홈(121)에 '안착'되는 구성은 본체부(110)의 이동시 발생되는 떨림이나 소음을 저감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즉, 체커암과 슬라이더가 선 접촉되는 종래 일반적인 도어체커의 경우, 슬라이더를 좌우로 잡아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슬라이더가 체커암의 걸림홈으로 인입시 슬라이더 및 본체부의 좌우 요동으로 인해 떨림이나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이는 체커암에 롤러가 선 접촉되는 종래 일반적인 롤러 타입 도어체커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100)의 경우,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접촉부(151)가 걸림홈(121)에 안착되게 되면, 그 구조적 형상에 의해 접촉부(151)나 슬라이더(150)의 전방향 요동이 소정정도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좌우 요동이나 그로 인한 소음,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도어체커 110: 본체부
120: 체커암 130: 슈
140: 스토퍼 150: 슬라이더
160: 탄성부재

Claims (5)

  1. 슬라이더가 체커암에 마찰 접촉되어 도어 개폐시 작동감을 발생시키는 마찰 접촉식의 차량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부(151)를 구비하는 슬라이더(150); 및
    상기 접촉부(151)에 대응되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걸림홈(121)을 구비하는 체커암(120);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151)는,
    상기 걸림홈(121) 부위에서 상기 걸림홈(121)에 안착되어 상기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외면이 상기 걸림홈(121)에 면 접촉되고,
    상기 걸림홈(121) 이외의 구간에서는 최대 돌출 지점이 점 또는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체커암(120) 외면에 접촉 슬라이딩되며,
    상기 슬라이더(150)는, 모서리 부위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15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엣지리브(153)를 구비하되,
    상기 엣지리브(153)는, 외측면(153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리브(153b)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150)는, 일측 모서리 부위에서 상기 접촉부(151)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커암(120)의 한쪽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가이드 리브(152)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리브(152)는, 상기 체커암(120) 측면을 향해 배치된 일면(152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돌기(152b)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돌기(152b) 부위의 두께(t1)가 가장자리 부위의 두께(t2)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체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0)는, 상기 체커암(120)을 중심으로 상하에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홈(121)은, 상기 체커암(120)의 상하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커암(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정도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체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0)를 상기 체커암(120)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60); 및
    상기 슬라이더(150) 및 상기 탄성부재(160)를 수용하는 하우징 커버(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150)는, 상기 접촉부(151)가 돌출 형성된 일면(150a)의 반대면(150b)에 상기 탄성부재(160)의 체결을 위한 체결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112)는, 상기 체결리브와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상기 탄성부재(160)의 체결을 위한 지지돌기(112e)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체커.
  4. 삭제
  5. 삭제
KR1020160025407A 2016-03-03 2016-03-03 차량용 도어체커 KR10184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07A KR101849098B1 (ko) 2016-03-03 2016-03-03 차량용 도어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07A KR101849098B1 (ko) 2016-03-03 2016-03-03 차량용 도어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093A KR20170103093A (ko) 2017-09-13
KR101849098B1 true KR101849098B1 (ko) 2018-04-16

Family

ID=5996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407A KR101849098B1 (ko) 2016-03-03 2016-03-03 차량용 도어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3607A (zh) * 2023-03-23 2023-05-26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门限位器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365A (ja) * 1999-01-06 2000-07-18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CN1486870A (zh) * 2002-08-21 2004-04-07 ���л�����ҵ��ʽ���� 用于汽车的门控制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365A (ja) * 1999-01-06 2000-07-18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CN1486870A (zh) * 2002-08-21 2004-04-07 ���л�����ҵ��ʽ���� 用于汽车的门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093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317B2 (en) Hinge with damping device
US20040251696A1 (en) Automobile door checker
JP2003118369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US20120024857A1 (en) Roller shutter type storage container
US10487556B2 (en) Hinge assembly for trunk lid
JP2008506299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用のスライダー組立体及びスライド型携帯電話
JP5468277B2 (ja) 収納ボックス
JP6629444B2 (ja) 車両ドアチェッカー
US20100295222A1 (en)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US9957738B2 (en) Fixing device for vehicle doors
KR101849098B1 (ko) 차량용 도어체커
CN111219111A (zh) 车辆用车门限位器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TW202108043A (zh) 滑軌閉鎖緩衝機構
KR101653316B1 (ko) 냉장고
KR10200207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US11395546B2 (en) Slide device
US11809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with integrated support
KR102002067B1 (ko) 차량용 도어체커
CN108825028B (zh) 一种推拉门滑动轮组合件
KR10087910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2020117922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ク装置
KR100680380B1 (ko) 도어 체커
KR100389439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180131243A (ko) 도어 체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