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055A -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055A
KR20140133055A KR1020130052592A KR20130052592A KR20140133055A KR 20140133055 A KR20140133055 A KR 20140133055A KR 1020130052592 A KR1020130052592 A KR 1020130052592A KR 20130052592 A KR20130052592 A KR 20130052592A KR 20140133055 A KR20140133055 A KR 20140133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s
window frame
windshield
air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499B1 (ko
Inventor
윤명필
Original Assignee
윤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필 filed Critical 윤명필
Priority to KR102013005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4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의 기밀 구조 개선을 통해 우천시 빗물이나 외부의 이물질, 외기 등을 적절히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틀의 레일 사이에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하면서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풍지판을 구현함으로써, 방풍 기능은 물론 방음 기능 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창틀의 레일 사이에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한 완충작용과 창문 개폐작동과 연계되어 젖힘 및 복원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풍지판을 구현함으로써, 방풍 및 방음 기능 뿐만 아니라 창문 개폐시 부드럽게 열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Windbrake device for safe window}
본 발명은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의 기밀 구조 개선을 통해 우천시 빗물이나 외부의 이물질, 외기 등을 적절히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등 대부분의 건물에는 시야 확보 및 환기 등을 목적으로 창문이 설치된다.
보통 창문은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창틀 프레임의 레일 위에 창문이 얹혀져 이동하기 때문에 창문의 상단과 하단에는 항상 틈새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틈새는 실내 공간에 대한 열손실을 크게 발생시켜 냉난방 비용의 손실을 가져오고, 소음으로 인한 피해 또한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 또는 바람이 창문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 시공시 레일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솔, 바람 등을 막을 수 있는 풍지판 등을 설치하여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확보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비 또는 바람이 창문의 하부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건물의 창문을 시공할 때, 창틀 프레임의 레일 바닥면에 풍지판을 설치하여 창문의 하부 틈새로 유입되는 외기를 막아주고 있다.
이러한 풍지판은 한국등록특허 10-9742559호, 한국등록실용 20-0385548호, 한국등록실용 20-0423740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보통 안전창에 적용되는 풍지판(1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110)의 레일(120)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어, 창문(130)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외풍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풍지판들은 마모에 따른 내구성 문제, 접촉 소음 등의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기에는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는 등 방열, 방풍 및 방음 효과가 미미하여 소비자가 생각했던 만큼의 기대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즉, 기존의 풍지판은 스폰지, 모헤아, 연질 고무판 등을 사용하여 바람막이 풍지판 역할을 하였으나, 방풍 뿐만 아니라 스폰지나 연질 고무판은 시일이 지남에 따라 복원력도 떨어져 바람작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9742559호 한국등록실용 20-0385548호 한국등록실용 20-042374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창틀의 레일 사이에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하면서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풍지판을 구현함으로써, 방풍 기능은 물론 방음 기능 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틀의 레일 사이에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한 완충작용과 창문 개폐작동과 연계되어 젖힘 및 복원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풍지판을 구현함으로써, 방풍 및 방음 기능 뿐만 아니라 창문 개폐시 부드럽게 열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는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바깥 둘레를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상하부 바닥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에 있는 롤러의 구름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안전창 구조에서,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창문과 밀착되는 기밀체와, 상기 지지체와 기밀체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체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형 풍지판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와 기밀체는 상하 유동가능한 동시에 걸림가능하게 서로 결속되는 걸림구와 걸림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체는 고무 재질의 상부 기밀체과 금속 재질의 하부 기밀체를 일체식으로 적층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는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바깥 둘레를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상하부 바닥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에 있는 롤러의 구름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안전창 구조에서,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창문과 밀착가능하고 일측의 돌출부을 통해 창문과 간섭되면서 젖힘가능한 기밀체와, 상기 지지체와 기밀체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체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메뚜기 완충형 풍지판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체는 창문과 접하는 고무 재질의 상부 기밀체와 한쪽에 돌출부를 가짐과 더불어 반대쪽에 지지체의 힌지 암부재에 끼워지는 힌지 수부재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하부 기밀체를 일체식으로 적층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는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바깥 둘레를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의 상하부 바닥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에 있는 롤러의 구름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안전창 구조에서,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면서 창문과 접촉하는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풍지판 몸체와, 창틀 프레임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풍지판 몸체의 외부를 감싸주는 풍지판 베이스의 조합 형태로 구성되는 풍지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풍지판 몸체와 풍지판 베이스는 서로 접하는 바닥쪽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걸림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있는 슬라이드 돌기부와 슬라이드 홈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풍지판 몸체와 풍지판 베이스는 서로 접하는 바닥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걸림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있는 쐐기형 돌기부와 슬라이드 홈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지판 몸체의 리브는 똑바로 세워져 있는 수직형 또는 상단부가 한쪽으로 휘어져 있는 상단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창틀의 레일 사이 바닥에 스프링 완충작용을 이용하여 창문과의 밀착효과를 높여주는 풍지판을 적용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을 최대한 잡아줄 수 있는 등 기밀을 100%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창문의 개폐작동과 연계되면서 젖힘 및 복원이 가능한 풍지판을 적용함으로써, 기밀 확보는 물론 창문을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풍지판의 외부를 감싸줄 수 있는 "ㄷ"자 형태의 지지틀을 조합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기밀, 수밀, 방풍 등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등 풍지판으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지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안전창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안전창 풍지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지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안전창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창은 창의 사각틀을 조성하는 창틀 프레임(11)과, 상기 창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10a,10b)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문(10a,10b)은 사각틀 구조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측 면적을 마감하는 유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창문(10a,10b)은 사각 형상의 창틀 프레임(11)에 의해 상하 및 좌우가 지지되고,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롤러(12)를 이용하여 창틀 프레임(11)에 있는 내측과 외측의 각 레일(13a,13b)을 따라가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창문(10a,10b)은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창문(10a)과 우측 창문(10b)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좌측 창문(10a)과 우측 창문(10b)은 서로 선택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교차함으로써, 안전창을 열어주거나 닫아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10a,10b)의 하단부에는 창틀 프레임(11)에 있는 레일(13a,13b)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브러시(31)가 구비되며, 또 외측 창문(10a)의 바깥쪽으로는 개폐가능한 방충망(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내외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창문(10a,10b) 사이의 위아래 공간부분, 즉 위아래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이곳을 통해 침입하는 외기나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완충형 풍지판(17)을 제공한다.
이러한 완충형 풍지판(17)은 창문(10a,10b) 간의 위아래 틈새를 효율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완충형 풍지판(17)에 의해 창문 어셈블리(10a,10b)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 등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형 풍지판(17)은 창문(10a,10b)에 있는 롤러(12)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측에 고정되는 지지체(14)와 창문(10a,10b)측으로 밀착되는 기밀체(16), 그리고 상기 기밀체(1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형 풍지판(17)은 좌측 창문(10a)과 우측 창문(10b)이 서로 연접되는 위치(안전창 닫힘 상태에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곳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소음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14)는 사각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피스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윗쪽의 절개부를 가지면서 지지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사각 하우징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걸림구(18)가 일체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구(18)는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2열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기밀체(16)의 걸림편(19)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기밀체(16)는 창문(10a,10b)과 접하면서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해주는 부분으로서, 지지체(14)의 상부에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그 저면에 수직 형성되는 걸림편(19)을 이용하여 지지체(14)측의 걸림구(18)에 상하 유동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면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걸림편(19) 역시 기밀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면서 지지체(14)측의 걸림구(18)에 하나씩 배속되는 2열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19)의 경우 하단부에 수평 연장되는 플랜지 부분을 갖추고 있으며, 이때의 플랜지 부분이 걸림구(18) 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걸려지게 되므로서, 지지체(14)측으로부터 기밀체(16)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기밀체(16)의 걸림편(19)은 지지체(14)에 있는 걸림구(18)의 길이방향 개방부위를 통해 측면방향으로 밀어서 끼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밀체(16)는 창문(10a,10b)측에 밀착되는 고무 재질의 상부 기밀체(16a)과 걸림편(19)을 가지면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기밀체(16b)를 일체식으로 상하 적층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기밀체(16a)의 경우 양편에서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날개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의 날개 부분을 통해 지지체(14)에 있는 걸림구(18)의 측면과 접하면서 상하 유동시 지지체(14)측과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5)은 윗쪽의 기밀체(16)와 아래쪽의 지지체(14) 사이에 조성되는 내측 공간부에 위치되면서 기밀체(16)의 저면과 지지체(14)의 상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5)은 지지체(14)의 양쪽 걸림구(18)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고정편(32)에 의해 그 하단부가 걸려지게 되므로서, 안정적으로 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스프링(15)은 탄성을 통해 기밀체(16)를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밀체(16)는 항상 윗쪽으로 올려지면서 창문(10a,10b)측과 긴밀한 접촉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형 풍지판(17)의 기밀체(16)가 창문(10a,10b)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므로서,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창문(10a,10b) 사이의 틈새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창문(10a,10b)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 유동과 소음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완충 작용은 물론 젖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창문(10a,10b)의 개폐시 부드럽게 열리는 기능을 발휘하는 메뚜기 완충형 풍지판(21)을 보여준다.
상기 메뚜기 완충형 풍지판(21) 역시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체(14)와 창문(10a,10b)측에 밀착되는 기밀체(16), 그리고 상기 기밀체(1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14)는 사각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피스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의 폭방향 양편에는 상부가 개방된 요홈부를 가지는 힌지 암부재(22)와 상단 걸림턱 부분을 가지는 수직의 이탈방지편(33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힌지 암부재(22)에는 후술하는 기밀체(16)의 힌지 수부재(23)가 끼워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편(33a)은 기밀체(16)에 있는 이탈방지편(33b)과 상하방향으로 걸려지면서 기밀체(16)의 완전 탈거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기밀체(16)는 창문(10a,10b)과 접하면서 실질적으로 기밀작용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창문(10a,10b)과 접하는 고무 재질 등의 상부 기밀체(16a)와 힌지 수부재(23)를 이용하여 지지체(14)측과 일측 결합되는 금속 재질 등의 하부 기밀체(16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기밀체(16a)와 하부 기밀체(16b)는 쐐기형 돌기 등을 이용하여 상하 적층됨과 더불어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체(16)의 하부 기밀체(16b)에는 폭방향 양편에 힌지 수부재(23)와 이탈방지편(33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힌지 수부재(23)를 통해 지지체(14)의 힌지 암부재(22)에 결합되므로서, 상기 기밀체(16)는 힌지 암수부배(23,22)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유동가능하게 젖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기밀체(16)의 하부 기밀체(16b)에는 폭방향 한쪽에 돌출부(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출부(20)는 창문(10a,10b)의 상단 또는 하단의 높이보다 좀더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창문(10a,10b)의 개폐시 창문(10a,10b)측과 간섭되면서 눌려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창문(10a,10b)을 열게 되면 기밀체(16)의 돌출부(20)가 눌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기밀체(16) 전체가 한쪽으로 젖혀지면서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렇게 젖혀진 상태에서 기밀체(16)의 윗면, 즉 상부 기밀체(16a)의 상면이 창문(10a,10b)측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창문(10a,10b)이 부드럽게 열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 스프링(15)이 마련되고, 이때의 스프링(15)은 지지체(14)와 기밀체(16) 사이에 위치되면서 지지체 상면과 기밀체 저면 사이에 그 양단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밀체(16)는 스프링(15)이 제공하는 탄력을 받아 항상 창문(10a,10b)측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완충 작용을 하는 메뚜기 완충형 풍지판은 창문을 열고 닫을 때, 풍지판 상부의 고무판(상부 기밀체)이 창문이 닫혀 있을시에는 창문측에 밀착되어 우수한 기밀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창문 개폐시 풍지판 상부의 원형 형태의 돌출부를 눌러주어 고무판이 창문측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창문이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바람을 확실하게 막아주는 조합형태의 풍지판 장치를 보여준다.
보통 기존의 풍지판은 사이 사이에 칼집처럼 공간을 주어 그 사이 사이로 바람과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와 풍지판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단지 형식적으로 오랜 관행처럼 설치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를 "ㄷ"자 형식으로 한번 더 감싸주고, 내부에 칼집을 주지 않는 일자형으로 기밀, 수밀, 방풍을 완벽히 차단하는 신개념의 풍지판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풍지판 장치는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창문(10a,10b)측과 접촉하는 풍지판 몸체(15)와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풍지판 베이스(26)을 상하로 결합한 조합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풍지판 몸체(15)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24)가 구비되며, 이때의 리브(24)가 실질적으로 창문(10a,10b)과 접하면서 기밀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풍지판 베이스(26)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풍지판 몸체(15)를 내측으로 수용함과 더불어 풍지판 몸체(25)의 외부를 감싸주게 되며,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피스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는 서로 접하는 바닥쪽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걸림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데,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이 풍지판 몸체(25)의 저면에 "T"자형 단면의 슬라이드 돌기부(28)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풍지판 베이스(26)의 상면에는 "T"자형 단면의 슬라이드 홈부(29)가 형성되고, 이때의 슬라이드 돌기부(28)와 슬라이드 홈부(29)가 서로 결합되므로서,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는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은 일체식의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는 풍지판 몸체 폭방향 양쪽 하단부와 풍지판 베이스 폭방향 양쪽의 벽체 내벽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홈과 돌기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의 결합과 관련한 다른 예로서, 도 5b와 같이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는 서로 접하는 바닥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걸림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있는 쐐기형 돌기부(30)와 슬라이드 홈부(29)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풍지판 몸체(25)와 창문(10a,10b) 간의 밀착성 향상을 위하여 풍지판 몸체(25)에 있는 리브(24)의 경우 수직으로 똑바로 세워져 있는 형태, 또는 도 5c와 같이 상단부가 한쪽으로 휘어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한 완충작용을 수행하면서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풍지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방풍 기능과 방음 기능 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또 창문 개폐와 연계되어 젖힘 및 복원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창문 개폐시 부드럽게 열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10a,10b : 창문 11 : 창틀 프레임
12a,12b : 롤러 13a,13b : 레일
14 : 지지체 15 : 스프링
16 : 기밀체 17 : 완충형 풍지판
18 : 걸림구 19 : 걸림편
20 : 돌출부 21 : 메뚜기 완충형 풍지판
22 : 힌지 암부재 23 : 힌지 수부재
24 : 리브 25 : 풍지판 몸체
26 : 풍지판 베이스 27 : 풍지판 어셈블리
28 : 슬라이드 돌기부 29 : 슬라이드 홈부
30 : 쐐기형 돌기부 31 : 브러시
32 : 스프링 고정편 33a,33b : 이탈방지편

Claims (9)

  1.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10a,10b)와, 상기 창문(10a,10b)의 바깥 둘레를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11)과, 상기 창문(10a,10b)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의 상하부 바닥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10a,10b)에 있는 롤러(12a,12b)의 구름을 안내하는 레일(13a,13b)을 포함하는 안전창 구조에서,
    상기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체(14)와, 상기 지지체(14)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스프링(15)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창문(10a,10b)과 밀착되는 기밀체(16)와, 상기 지지체(14)와 기밀체(16)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체(16)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으로 구성되는 완충형 풍지판(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4)와 기밀체(16)는 상하 유동가능한 동시에 걸림가능하게 서로 결속되는 걸림구(18)와 걸림편(19)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16)는 고무 재질의 상부 기밀체(16a)과 금속 재질의 하부 기밀체(16b)를 일체식으로 적층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4.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10a,10b)와, 상기 창문(10a,10b)의 바깥 둘레를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11)과, 상기 창문(10a,10b)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의 상하부 바닥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10a,10b)에 있는 롤러(12a,12b)의 구름을 안내하는 레일(13a,13b)을 포함하는 안전창 구조에서,
    상기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체(14)와, 상기 지지체(14)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스프링(15)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창문(10a,10b)과 밀착가능하고 일측의 돌출부(20)을 통해 창문(10a,10b)과 간섭되면서 젖힘가능한 기밀체(16)와, 상기 지지체(14)와 기밀체(16)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체(16)에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으로 구성되는 메뚜기 완충형 풍지판(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체(16)는 창문(10a,10b)과 접하는 고무 재질의 상부 기밀체(16a)와 한쪽에 돌출부(20)를 가짐과 더불어 반대쪽에 지지체(14)의 힌지 암부재(22)에 끼워지는 힌지 수부재(23)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하부 기밀체(16b)를 일체식으로 적층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6.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안전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창문(10a,10b)와, 상기 창문(10a,10b)의 바깥 둘레를 지지하는 창틀 프레임(11)과, 상기 창문(10a,10b)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창틀 프레임(11)의 상하부 바닥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10a,10b)에 있는 롤러(12a,12b)의 구름을 안내하는 레일(13a,13b)을 포함하는 안전창 구조에서,
    상기 레일(13a,13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면서 창문(10a,10b)과 접촉하는 다수의 리브(24)를 가지는 풍지판 몸체(25)와, 창틀 프레임(11)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풍지판 몸체(25)의 외부를 감싸주는 풍지판 베이스(26)의 조합 형태로 구성되는 풍지판 어셈블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는 서로 접하는 바닥쪽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걸림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있는 슬라이드 돌기부(28)와 슬라이드 홈부(29)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 몸체(25)와 풍지판 베이스(26)는 서로 접하는 바닥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걸림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있는 쐐기형 돌기부(30)와 슬라이드 홈부(29)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 몸체(25)의 리브(24)는 똑바로 세워져 있는 수직형 또는 상단부가 한쪽으로 휘어져 있는 상단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20130052592A 2013-05-09 2013-05-09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1538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92A KR101538499B1 (ko) 2013-05-09 2013-05-09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92A KR101538499B1 (ko) 2013-05-09 2013-05-09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55A true KR20140133055A (ko) 2014-11-19
KR101538499B1 KR101538499B1 (ko) 2015-07-23

Family

ID=5245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592A KR101538499B1 (ko) 2013-05-09 2013-05-09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4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77B1 (ko) *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CN110656862A (zh) * 2019-09-12 2020-01-07 合肥四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具有高强度的耐冲击式门窗结构
CN112392350A (zh) * 2019-08-14 2021-02-23 四川鑫丰茂门窗制造有限公司 一种抗风性好的阳光房用窗体
WO2022015054A1 (ko) * 2020-07-15 2022-01-20 스템코(주) 가변형 롤러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6483B2 (ja) * 2004-02-19 2008-03-05 Ykk Ap株式会社 サッシ窓
KR101390690B1 (ko) * 2011-09-26 2014-05-27 주철우 창호의 틈새 밀폐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77B1 (ko) *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CN112392350A (zh) * 2019-08-14 2021-02-23 四川鑫丰茂门窗制造有限公司 一种抗风性好的阳光房用窗体
CN110656862A (zh) * 2019-09-12 2020-01-07 合肥四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具有高强度的耐冲击式门窗结构
WO2022015054A1 (ko) * 2020-07-15 2022-01-20 스템코(주) 가변형 롤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499B1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20120005975A1 (en) Easy-to-construct window apparatus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2055623B1 (ko)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101441430B1 (ko)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999086B1 (ko) 레일 내장형 미닫이 창호
KR10152015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0470050Y1 (ko) 샷시문용 방풍구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0473772Y1 (ko) 도어의 틈새 기밀유지장치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2346373B1 (ko)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101597518B1 (ko) 안전창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20160054225A (ko) 문틀의 측벽용 모헤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1606751B1 (ko) 풍지 겸용 추락방지 구조를 구비한 미서기창호
KR20140133059A (ko) 계단식 안전창
KR20130059583A (ko) 경사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창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