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393B1 -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393B1
KR101578393B1 KR1020140052200A KR20140052200A KR101578393B1 KR 101578393 B1 KR101578393 B1 KR 101578393B1 KR 1020140052200 A KR1020140052200 A KR 1020140052200A KR 20140052200 A KR20140052200 A KR 20140052200A KR 101578393 B1 KR101578393 B1 KR 10157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pair
portions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216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4005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39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는, 바닥에 바닥매립체가 매설되고, 상기 바닥매립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며, 두쌍의 돌출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수평부;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板狀)의 부재에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한쌍의 제1체결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쌍의 돌출부와 제1체결돌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은폐부; 양단(兩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의 부재에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한쌍의 제2체결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쌍의 돌출부와 제2체결돌부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양단의 하향 절곡된 양단부분이 제1은폐부의 하향 절곡된 부분 및 실외측 수직부 상단부분 사이에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제2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폐문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안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안내날개의 하향 절곡된 부분이 상기 바닥매립체의 제2은폐부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Automatic sliding door assembly structure having improved airtight and insulation}
본 발명은 자동문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문에 개폐문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기밀구조를 적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켜, 현저한 방음효과는 물론 방풍으로 인한 단열효과를 갖는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하부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문은 개폐문의 개폐동작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문으로, 일반적으로 출입자가 개폐문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했는지를 감지하거나, 등록된 출입카드 정보 또는 생체정보 등 등록된 정보가 입력되거나, 개방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개폐문이 열리고, 문이 개방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문을 말한다. 이와 같은 자동문은 각종 사무용 건물이나 쇼핑용 건물의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공공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자동문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11-121769호, 특허등록 제752096호, 특허등록 제1041161호 등과 같이 수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자동문의 공통적인 구조는, 개폐문의 상단부가 고정 설치된 도어프레임 내에 위치한 개폐구동수단에 행거식으로 매달려 슬라이딩 함에 따라 자동문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모든 자동문은 출입자가 개폐문을 수동으로 여닫지 않고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개폐문의 상단부와 도어프레임 사이 및 개폐문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기 때문에 틈새를 통해 공기 흐름이 발생되면서 방풍 및 방음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소음과 바람 및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외부에서 실내로 그대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바람에 의한 풍압이 작용하여 개폐문이 흔들리면서 덜컹거리고, 심하면 개폐문이 밀려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여 개폐문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설계하고 시공하면서 많은 연구 개발을 하여 특허등록 제1094066호 및 제1233285호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장치"를 개발하여 기존의 자동문이 갖고 있었던 많은 문제를 해결했고, 상기 특허를 현장에 직접 시공하면서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개선점을 찾아내 특허출원 제2014-30088호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를 개발했으며, 꾸준한 현장 시공과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바닥매립체를 매설하여 문이 닫혔을 때 개폐문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기밀구조를 적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켜,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문의 현저한 방음효과는 물론 방풍으로 인한 바람과 먼지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단열효과도 갖는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는, 바닥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문의 측면 실내측 바닥에 바닥매립체가 매설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며, 한쌍의 돌출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수평부;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板狀)의 부재에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체결돌부가 결합되었을 때 하향 절곡된 부분과 실외측 수직부 상단부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개폐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안내날개의 하단부분이 상기 바닥매립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날개의 하단부분 양측에는 모헤야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각 모헤야 체결홈에는 제2모헤야가 장착되어, 제2모헤야의 선단이 상기 은폐부의 하향 절곡된 부분과 실외측 수직부 상단부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개폐문프레임은 실내측 개폐문프레임과 실외측 개폐문프레임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과 실외측 개폐문프레임 사이에는 단열재를 삽입시켜 일체로 제작되며, 실외측 개폐문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제1모헤야가 장착되어 제1모헤야의 선단이 바닥면에 접하면서 개폐문이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실내측 개폐문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안내날개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는 자동문은 바닥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문의 측면 실내측 바닥에 바닥매립체가 매설되어 구성되며,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하부수평부; 상기 양 수직부의 상단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개폐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안내날개의 하단부분이 상기 바닥매립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는 바닥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문의 측면 실내측 바닥에 바닥매립체가 매설되어 구성되며, 상기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하부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부재이며,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되어 실외측 수직부 상단부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개폐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안내날개의 하단부분이 상기 바닥매립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는 바닥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문의 측면 실내측 바닥에 바닥매립체가 매설되어 구성되며,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하부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분끼리를 연결하고, 판상(板狀)의 부재이며,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되어 실외측 수직부 상단부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개폐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안내날개의 하단부분이 상기 바닥매립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는, 하단에 모헤야(또는 가스켓)가 장착된 개폐문이 바닥면 또는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 상을 슬라이딩하거나, 개폐문의 하단에 장착된 안내날개가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 작동하면서 틈새를 막아주기 때문에, 문이 닫혔을 때, 개폐문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방음효과가 향상됨은 물론 방풍으로 인한 바람과 먼지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단열효과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날개가 가요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개폐문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 개폐문을 직각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패닉자동문에 조립했을 때도 안내날개가 쉽게 꺾여져서 바닥매립체의 공간부에서 이탈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조립구조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바닥매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하부 조립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개폐문의 하단에 가스켓(또는 모헤야)를 장착하거나 안내날개가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작동 되게 함으로써 문이 닫혔을 때 개폐문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하여 자동문의 방음효과와, 바람과 먼지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방풍효과 및 단열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에서 개폐문은 4면 전체 또는 최소한 상부와 하부에 개폐문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개폐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부설치박스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행거식으로 매달려 개폐작동 하게 된다. 또한, 고정문(10)은 설치될 수도 있고, 고정문을 설치하지 않고 벽체에 포켓을 설치하여 개폐문(20)이 포켓 내부로 출몰하면서 작동할 수도 있어서, 자동문을 설치하는 현장 실정에 맞게 시공하면 된다. 고정문(10)은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실내측과 실외측 고정문프레임(11, 12)으로 분리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13)를 삽입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실시예는 바닥면 상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문(20)이 개폐 작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문(20)의 측면 실내측 바닥에 바닥매립체(40)가 매설되어 구성된다.
개폐문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40)는 한쌍의 수직부(41)와 하부수평부(42) 및 은폐부(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수직부(41)는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부분이다. 하부수평부(42)는 수직부(41)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며, 한쌍의 돌출부(42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은폐부(43)는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板狀)의 부재인데, 판상의 부재에는 상기 돌출부(421)와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돌부(43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421)와 체결돌부(431)가 결합되었을 때 은폐부(43)의 하향 절곡된 부분과 실외측 수직부(41) 상단부분 사이에 공간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은폐부(43)는 판상의 부재이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도 판상의 부재에 속한다는 의미로 기재한다. 은폐부의 상부면에 요철을 형성할 경우에는 모헤야 또는 가스켓의 선단이 요철면에 닿기 때문에 기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개폐문(20)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개폐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날개(26)가 장착되고, 안내날개(26)의 하단부분이 바닥매립체(40)에 형성된 공간부(45)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게 된다. 안내날개(26)의 재질은 금속을 사용해도 되지만, 가요성을 갖도록 합성수지(플라스틱 포함)로 제작함으로써 개폐문이 완전 개방하고 개폐문을 직각으로 회동(이와 같은 개폐문을 현장에서는 '패닉자동문'이라고 함)시킬 때 안내날개(26)가 쉽게 꺾여져서 바닥매립체의 공간부(45)에서 이탈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바닥매립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41)와, 수직부(41)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하부수평부(42) 및 양 수직부(41)의 상단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는 고정문(10)의 하부에는 바닥매립체를 설치하지 않거나, 개폐문(20)이 벽체에 설치된 포켓을 출몰하도록 시공된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개폐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안내날개(26)가 양 수직부(41)의 상단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5)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모헤야(27)를 설치하는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20)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날개(26)의 하단부분 양측에는 모헤야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모헤야 체결홈에 제2모헤야(27)를 각각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때, 제2모헤야(27)의 선단(先端)은 바닥매립체 은폐부(43)의 하향 절곡된 부분과 실외측 수직부(41) 상단부분에 각각 접하게 되면서 밀폐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닥매립체 은폐부(43)의 하향 절곡된 부분과 실외측 수직부(41) 상단부분이 서로 대향된 부분에 모헤야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모헤야 체결홈에 제2모헤야(27)를 각각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제2모헤야(27)의 선단이 안내날개(26)의 하단부분 양측면에 각각 접하게 되면서 밀폐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개폐문(20)의 개폐문프레임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실내측 개폐문프레임(21)과 실외측 개폐문프레임(22)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실내측과 실외측 개폐문프레임(21, 22) 사이에는 단열재(23)를 삽입시켜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실내측 개폐문프레임(21)의 하단부에 안내날개(26)가 장착되고, 실외측 개폐문프레임(22)의 하단부에는 제1모헤야(25)를 장착하여 제1모헤야(25)의 선단이 바닥면에 접하면서 개폐문이 개폐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바닥매립체가 분리형으로 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매립체(45")를 일체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일체형 바닥매립체(45")는, 수직부(41")가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고, 수직부(41")의 하단부분끼리는 하부수평부(42")로 연결되며, 수직부(41")의 상단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판상(板狀)의 상부수평부(43")로 연결되는데, 상부수평부(43")는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되어 실외측 수직부(41") 상단부분과의 사이에 공간부(45")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개폐문(20)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날개(26)의 하단부분이 바닥매립체(40")에 형성된 공간부(45")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게 된다.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는 은폐부의 일단(一端)만 하향 절곡된 실시예를 설명했으나, 이하에서는 은폐부의 양단(兩端)이 하향 절곡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4실시예는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40) 상에서 개폐문(20)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인데, 개폐문(2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40)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41)와, 수직부(41)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며 한쌍의 돌출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수평부(42) 및 은폐부(43)를 구비한다.
은폐부(43)는 양단(兩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板狀)의 부재에 하부수평부(42)에 형성된 돌출부와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와 체결돌부가 결합되었을 때 양단의 하향 절곡된 부분과 실내측 및 실외측 수직부(41) 상단부분 사이에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공간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 장착되는 안내날개(26)도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이 하향 절곡되어 구성되고, 안내날개(26)의 하향 절곡된 부분이 바닥매립체의 은폐부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내날개의 하향 절곡된 부분의 양측에는 모헤야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각 모헤야 체결홈에는 제2모헤야가 장착되어, 제2모헤야의 선단이 수직부의 상단부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반대로 수직부의 상단부분과 은폐부의 양단에서 하향 절곡된 부분에 모헤야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각 모헤야 체결홈에 제2모헤야를 장착하여, 제2모헤야의 선단이 안내날개의 하단부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일측으로만 제1모헤야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41')와, 수직부(41')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며 두쌍의 돌출부(42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수평부(42')와 제1 및 제2은폐부(43', 4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은폐부(43')는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板狀)의 부재에 두쌍 중 한쌍의 돌출부(421')와 체결되는 한쌍의 제1체결돌부(43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쌍의 돌출부(421')와 제1체결돌부(431')가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제2은폐부(44')는 양단(兩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의 부재에 두쌍 중 다른 한쌍의 돌출부(421')와 체결되는 한쌍의 제2체결돌부(44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쌍의 돌출부(421')와 제2체결돌부(441')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때 제2은폐부(44')의 하향 절곡된 양단부분이 제1은폐부(43')의 하향 절곡된 부분 및 실외측 수직부(41') 상단부분 사이에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날개(26')의 하향 절곡된 양단이 제2은폐부(44')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날개(26')의 하향 절곡된 부분의 양측에는 모헤야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각 모헤야 체결홈에는 제2모헤야(27')를 장착하여 제2모헤야(27')의 선단이 수직부(41')의 상단부분과 제1 및 제2은폐부(43', 44')의 하향 절곡된 부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2모헤야(27')는 반대방향 즉 수직부와 제1 및 제2은폐부의 하향 절곡된 부분에 장착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많은 실시예를 설명한 구성중 제1 및 제2모헤야는 모헤야를 사용하지 않고 가스켓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모헤야나 가스켓 모두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균등수단의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모헤야로 기재한 것은 가스켓도 포함하는 의미라는 점을 밝혀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정문 11 : 실내측 고정문프레임
12 : 실외측 고정문프레임 13 : 단열재
20 : 개폐문 21 : 실내측 개폐문프레임
22 : 실외측 개폐문프레임 23 : 단열재
24 : 체결홈 25 : 제1모헤야
26 : 안내날개 27 : 제2모헤야
40, 40', 40" : 바닥매립체 41, 41', 41" : 수직부
42, 42', 42" : 하부수평부 43 : 은폐부
43' : 제1은폐부 43" : 상부수평부
44' : 제2은폐부 45, 45" : 공간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폐문이 개폐되는 자동문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의 조립구조는 바닥에 바닥매립체가 매설되고, 상기 바닥매립체 상에서 개폐문이 개폐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에 매설된 바닥매립체는,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분끼리를 연결하며, 두쌍의 돌출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수평부;
    일단(一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板狀)의 부재에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한쌍의 제1체결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쌍의 돌출부와 제1체결돌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1은폐부;
    양단(兩端)이 하향 절곡된 판상의 부재에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한쌍의 제2체결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쌍의 돌출부와 제2체결돌부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양단의 하향 절곡된 양단부분이 제1은폐부의 하향 절곡된 부분 및 실외측 수직부 상단부분 사이에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제2은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의 개폐문프레임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폐문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안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안내날개의 하향 절곡된 부분이 상기 바닥매립체의 제2은폐부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개폐문이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날개 양단의 하향 절곡된 부분의 양측에는 모헤야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모헤야 체결홈에는 제2모헤야가 장착되어, 제2모헤야의 선단이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분과 제1 및 제2은폐부의 하향 절곡된 부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1020140052200A 2014-04-30 2014-04-30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10157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00A KR101578393B1 (ko) 2014-04-30 2014-04-30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00A KR101578393B1 (ko) 2014-04-30 2014-04-30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674A Division KR20150125629A (ko) 2015-09-22 2015-09-22 기밀성과 방풍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16A KR20150125216A (ko) 2015-11-09
KR101578393B1 true KR101578393B1 (ko) 2015-12-17

Family

ID=5460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00A KR101578393B1 (ko) 2014-04-30 2014-04-30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95B1 (ko) * 2016-01-05 2017-11-02 주식회사 중일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20180040470A (ko) * 2016-10-12 2018-04-20 김순석 다중로울러를 구비한 창호장치
WO2022197112A1 (ko) * 2021-03-19 2022-09-22 김민철 기밀성 향상 및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한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710B (zh) * 2017-08-10 2019-05-03 海门市品一铝业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固定的门窗中梃连接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04B1 (ko) * 2006-08-30 2007-12-14 김영록 슬라이딩 및 틸트 시스템창호의 단열 및 밀폐구조 섀시
KR101045291B1 (ko) 2009-10-07 2011-06-29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1094066B1 (ko) *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KR101233285B1 (ko) * 2012-09-24 2013-02-22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04B1 (ko) * 2006-08-30 2007-12-14 김영록 슬라이딩 및 틸트 시스템창호의 단열 및 밀폐구조 섀시
KR101045291B1 (ko) 2009-10-07 2011-06-29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1094066B1 (ko) *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KR101233285B1 (ko) * 2012-09-24 2013-02-22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95B1 (ko) * 2016-01-05 2017-11-02 주식회사 중일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20180040470A (ko) * 2016-10-12 2018-04-20 김순석 다중로울러를 구비한 창호장치
KR101932031B1 (ko) 2016-10-12 2018-12-24 김순석 다중로울러를 구비한 창호장치
WO2022197112A1 (ko) * 2021-03-19 2022-09-22 김민철 기밀성 향상 및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한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16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411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
KR101578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JP5992864B2 (ja) 防水ドア構造及びドアの止水板
KR102178628B1 (ko)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20140036441A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100025864A (ko) 고기밀성 미서기 창호문
GB2470058A (en) Loft door access assembly
KR101390690B1 (ko) 창호의 틈새 밀폐구
CN207728274U (zh) 一种磁吸密封的铝合金平开门
KR200473772Y1 (ko) 도어의 틈새 기밀유지장치
KR101758171B1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150125629A (ko) 기밀성과 방풍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CN207538677U (zh) 一种具有防坠功能的推拉窗
KR101728752B1 (ko)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KR100880344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JP3179727B2 (ja) 複合サッシ
KR20160076107A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CN210422404U (zh) 一种三道密封防盗门通风窗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KR102448167B1 (ko) 이탈방지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행거식 출입문
KR200413513Y1 (ko) 새시용 바람막이
KR20130110284A (ko) 창호용 필링 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