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89B1 -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789B1
KR102121789B1 KR1020200013879A KR20200013879A KR102121789B1 KR 102121789 B1 KR102121789 B1 KR 102121789B1 KR 1020200013879 A KR1020200013879 A KR 1020200013879A KR 20200013879 A KR20200013879 A KR 20200013879A KR 102121789 B1 KR102121789 B1 KR 102121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er
gap
frame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숙
Original Assignee
(주)성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기업 filed Critical (주)성원기업
Priority to KR102020001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틈새끼임완화부에 의해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는 사물함 도어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틈새끼임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PINCH PROTECTING DEVICE FOR LOCKER DOOR}
본 발명은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틈새끼임완화부에 의해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개인적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학교,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다양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개방된 전면에 도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사물함은 물품의 수납을 위해 도어를 개폐할 때 사물함과 도어가 절첩되는 부위에 틈새가 발생되고, 틈새로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할 경우, 손가락이 도어의 모서리에 의하여 큰 힘으로 눌려지면서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도어의 개폐구조에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경첩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도어가 개폐될 경우, 틈새를 제거하여 손끼임을 방지하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성형물을 부착함으로서 손끼임을 방지하고 있지만, 경첩의 경우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가 어려워 조립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성형물을 부착할 경우 도어의 개폐시 간섭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으로 형태변형에 의해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0105호(2017.06.16. 등록, 명칭: 사물함 상판의 마감 손상이 없고 손끼임이 방지되는 사물함)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틈새끼임완화부에 의해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는 사물함 도어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틈새끼임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틈새끼임완화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에 밀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밀착지지부 및 상기 밀착지지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임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임시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이 이웃하는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안내하는 탄성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지지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의 단부에 상기 밀착지지부를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걸림끼움결합부 및 상기 제2프레임부의 둘레면에 상기 밀착지지부를 강제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강제끼움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는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틈새끼임완화부에 의해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는 프레임부(10) 및 틈새끼임완화부(2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사물함(3)에 힌지 연결된 도어(5)의 측면과 후면이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는 착탈부(30)를 통해 틈새끼임완화부(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어(5)의 후면에 나사의 체결로 고정 지지되는 제1프레임부(11)와, 제1프레임부(11)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어 도어(5)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프레임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프레임부(1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부(11a)가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나사의 삽입을 안내한다.
그리고, 틈새끼임완화부(20)는 프레임부(10)의 제2프레임부(12)에 구비되고, 도어(5)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사물함(3)과 도어(5)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끼임시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서, 밀착지지부(21) 및 탄성변형부(22)를 포함한다.
이때, 틈새끼임완화부(2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물함(3)으로부터 도어(5)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길이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착지지부(21)는 제2프레임부(12)에 밀착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밀착지지부(21)는 착탈부(30)를 통해 제2프레임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탄성변형부(22)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탄성변형부(22)는 밀착지지부(21)에 연장 형성되고, 도어(5)가 열린 상태에서 사물함(3)과 도어(5)의 틈새로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물함(3)과 도어(5)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임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탄성변형부(22)는 사물함(3)과 도어(5)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임시 도어(5)의 전면과 측면이 이웃하는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안내하는 탄성홈부(22a)가 형성된다.
즉, 탄성변형부(22)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이 사물함(3)과 도어(5)의 틈새에 끼이면 탄성홈부(22a)에 의해 눌려지도록 변형되어 도어(5)의 전면과 측면이 이웃하는 모서리를 커버한다. 이로써, 손가락이 사물함(3)과 도어(5)의 틈새에 끼인 상태에서 도어(5)가 90도 이상으로 열리더라도 도어(5)의 전면과 측면이 이웃하는 모서리의 눌림으로부터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밀착지지부(21)는 착탈부(30)에 의해 제2프레임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부(30)는 제2프레임부(12)의 단부에 밀착지지부(21)를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걸림끼움결합부(31) 및 제2프레임부(12)의 둘레면에 밀착지지부(21)를 강제적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강제끼움결합부(3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걸림끼움결합부(31)는 제2프레임부(1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부(31a) 및 제1걸림턱부(31a)와 도어(5)의 측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밀착지지부(21)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31b)를 포함한다.
아울러, 강제끼움결합부(32)는 제2프레임부(12)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홈부(32a) 및 끼움홈부(32a)에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밀차지지부(21)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부(32b)를 포함한다.
이로써, 밀착지지부(21)는 걸림끼움결합부(31)와 강제끼움결합부(32)를 통해 제2프레임부(12)에 이중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제2프레임부(12)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부
11: 제1프레임부
12: 제2프레임부
20: 틈새끼임완화부
21: 밀착지지부
22: 탄성변형부
30: 착탈부
31: 걸림끼움결합부
32: 강제끼움결합부

Claims (4)

  1. 사물함 도어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열림으로 손가락이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끼임시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틈새끼임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끼임완화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에 밀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밀착지지부 및 상기 밀착지지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임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임시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이 이웃하는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안내하는 탄성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의 단부에 상기 밀착지지부를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걸림끼움결합부; 및
    상기 제2프레임부의 둘레면에 상기 밀착지지부를 강제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강제끼움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KR1020200013879A 2020-02-05 2020-02-05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KR102121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79A KR102121789B1 (ko) 2020-02-05 2020-02-05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79A KR102121789B1 (ko) 2020-02-05 2020-02-05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789B1 true KR102121789B1 (ko) 2020-06-26

Family

ID=7113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879A KR102121789B1 (ko) 2020-02-05 2020-02-05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7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638B2 (ja) * 1996-12-20 2002-01-07 新日軽株式会社 指詰め防止機構を備えた扉装置
KR200371704Y1 (ko) * 2004-06-26 2005-01-03 임식규 도어용 안전부재
KR200382025Y1 (ko) * 2005-01-31 2005-04-15 임식규 도어의 안전부재
KR20150085141A (ko) * 2014-01-13 2015-07-2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테두리보강 도어를 구비한 로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638B2 (ja) * 1996-12-20 2002-01-07 新日軽株式会社 指詰め防止機構を備えた扉装置
KR200371704Y1 (ko) * 2004-06-26 2005-01-03 임식규 도어용 안전부재
KR200382025Y1 (ko) * 2005-01-31 2005-04-15 임식규 도어의 안전부재
KR20150085141A (ko) * 2014-01-13 2015-07-2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테두리보강 도어를 구비한 로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5899B2 (en) Door jamb injury protector
KR102121789B1 (ko)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KR102186223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2045798B1 (ko)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US6560998B2 (en) Door boot with reduced opening force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102585459B1 (ko)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KR102357804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622537B1 (ko) 사물함 손가락 안전장치
KR102504182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20180124511A (ko) 손가락 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
KR102459482B1 (ko)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084708B1 (ko)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20210128581A (ko) 여닫이문의 손끼임 방지 및 기밀구조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637208B1 (ko) 개방형 도어힌지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382839B1 (ko)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JP5086722B2 (ja) 開き戸の指詰め防止構造
KR102410129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KR200490141Y1 (ko) 손가락 끼임완충형 힌지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