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459B1 -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 Google Patents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459B1
KR102585459B1 KR1020230023321A KR20230023321A KR102585459B1 KR 102585459 B1 KR102585459 B1 KR 102585459B1 KR 1020230023321 A KR1020230023321 A KR 1020230023321A KR 20230023321 A KR20230023321 A KR 20230023321A KR 102585459 B1 KR102585459 B1 KR 102585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hinge
main body
caught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광표
Original Assignee
(주)청송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송퍼니처 filed Critical (주)청송퍼니처
Priority to KR102023002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을 전환시 제2도어패널과 본체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끼임방지연결부가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은 사물함 개방 부위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사물함에 힌지 연결되는 제1도어패널과, 상기 제1도어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물함 개방 부위의 나머지를 커버하는 제2도어패널 및 상기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도어패널과 상기 사물함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도어패널과 상기 제2도어패널을 연결하는 끼임방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LOCKER WITH BUILT IN DOUBLE DOOR TO PREVENT FINGER PINCHING}
본 발명은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을 전환시 제2도어패널과 본체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끼임방지연결부가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개인적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학교,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다양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개방된 전면에 도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사물함은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경우, 손가락이 도어에 눌려지면서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4306호(2018.11.26. 등록, 명칭: 손가락 손상 방지 사물함)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을 전환시 제2도어패널과 본체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끼임방지연결부가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은 물품이 출입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개방 부위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1도어패널과, 상기 제1도어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 개방 부위의 나머지를 커버하는 제2도어패널 및 상기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도어패널과 상기 본체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도어패널과 상기 제2도어패널을 연결하는 끼임방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임방지연결부는 상기 제1도어패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제1끼움결합부와, 상기 제2도어패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제2끼움결합부 및 상기 제1도어패널이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패널이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도어패널과 상기 사물함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결합부와 상기 제2끼움결합부를 힌지 연결하는 틈새형성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틈새형성힌지연결부는 상기 제1도어패널의 상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끼움결합부에 구비되며, 힌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고정힌지부와, 상기 고정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포개지도록 상기 제2끼움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축부가 형성되는 회동힌지부 및 상기 힌지축부가 상기 힌지홈부에서 설정된 범위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설정회전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회전안내부는 상기 힌지홈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한홈부 및 상기 제한홈부에 걸림 가능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부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도어패널은 회전방지안내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패널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전 방지되고, 상기 회전방지안내부는 상기 고정힌지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부 및 상기 제1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회동힌지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은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을 전환시 제2도어패널과 본체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끼임방지연결부가 제1도어패널과 제2도어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서 끼임방지연결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서 끼임방지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서 끼임방지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에서 끼임방지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은 본체(3), 제1도어패널(10), 제2도어패널(20) 및 끼임방지연결부(30)를 포함한다.
본체(3)는 물품이 출입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3)는 개방부위를 통하여 물품이 진입되면 진입된 물품을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도어패널(10)은 본체(3) 개방 부위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본체(3)에 힌지 연결되고, 제2도어패널(20)은 제1도어패널(10)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본체(3) 개방 부위의 나머지를 커버한다.
이러한 제1도어패널(10)과 제2도어패널(20)은 끼임방지연결부(30)를 통해 상호 연결된 채로 본체(3)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제1도어패널(10)과 제2도어패널(2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끼임방지연결부(30)는 제1도어패널(10)이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제2도어패널(20)과 본체(3)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제1도어패널(10)과 제2도어패널(2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끼임방지연결부(30)는 제1도어패널(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제1끼움결합부(31)와, 제2도어패널(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제2끼움결합부(32) 및 제1도어패널(10)이 닫힘 상태에서 제2도어패널(20)이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도어패널(20)과 본체(3)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제1끼움결합부(31)와 제2끼움결합부(32)를 힌지 연결하는 틈새형성힌지연결부(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틈새형성힌지연결부(33)는 제1도어패널(10)의 상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34)와, 설치공간부(34)에 배치되도록 제1끼움결합부(31)에 구비되며, 힌지홈부(35a)가 함몰 형성되는 고정힌지부(35)와, 고정힌지부(35)에 회동 가능하게 포개지도록 제2끼움결합부(32)에 구비되며, 힌지홈부(35a)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축부(36a)가 형성되는 회동힌지부(36) 및 힌지축부(36a)가 상기 힌지홈부(35a)에서 설정된 범위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설정회전안내부(37)를 포함한다.
즉, 제1도어패널(10)을 열림에서 닫힘을 전환하면 제2도어패널(20)도 제1도어패널(20)과 함께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데, 이때 본체(3)과 제2도어패널(20)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은 경우 제2도어패널(20)은 제1도어패널(10)과 함께 본체(3)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여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제1도어패널(10)과 제2도어패널(20)을 열림에서 닫힘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본체(3)과 제2도어패널(20)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경우에는 회동힌지부(36)가 설정회전안내부(37)에 의해 고정힌지부(35)에서 설정 범위로 회전되어 제2도어패널(20)과 본체(3)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제2도어패널(20)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본체(3)과 제2도어패널(20)의 사이에 끼인 손가락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때, 설정회전안내부(37)는 힌지홈부(35a)에 연장 형성되는 제한홈부(37a) 및 제한홈부(37a)에 걸림 가능하게 회전되도록 힌지축부(36a)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회전부재(37b)를 포함한다.
즉, 제1도어패널(10)과 제2도어패널(20)이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면 걸림회전부재(37b)는 제한홈부(37a)의 내측면 일측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고, 본체(3)과 제2도어패널(20)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힌지축부(36a)에 의해 제2도어패널(20)이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회전부재(37b)는 제한홈부(37a)의 내측면 타측에 걸림 가능하게 회전된다.
이에 따라, 본체(3)과 제2도어패널(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걸림회전부재(37b)가 제한홈부(37a)의 내측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되는 각도만큼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도어패널(20)은 회전방지안내부(40)에 의해 제1도어패널(10)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전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지안내부(40)는 고정힌지부(35)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부(41) 및 제1걸림턱부(41)에 걸리도록 회동힌지부(36)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42)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2도어패널(20)을 열림 방향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걸림턱부(42)가 제1걸림턱부(41)에 걸려 제1도어패널(10)도 함께 닫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본체(3)과 제2도어패널(20)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1도어패널(10)과 제2도어패널(20)이 함께 연동하여 본체(3)의 개방 부위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 본체 10: 제1도어패널
20: 제2도어패널 30: 끼임방지연결부
31: 제1끼움결합부 32: 제2끼움결합부
33: 틈새형성힌지연결부 34: 설치공간부
35: 고정힌지부 36: 회동힌지부
37: 설정회전안내부 40: 회전방지안내부
41: 제1걸림턱부 42: 제2걸림턱부

Claims (5)

  1. 물품이 출입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개방 부위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1도어패널;
    상기 제1도어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 개방 부위의 나머지를 커버하는 제2도어패널; 및
    상기 제1도어패널이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도어패널과 상기 본체의 사이로 손가락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도어패널과 상기 제2도어패널을 연결하는 끼임방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임방지연결부는 상기 제1도어패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제1끼움결합부와, 상기 제2도어패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제2끼움결합부 및 상기 제1도어패널이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패널이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도어패널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결합부와 상기 제2끼움결합부를 힌지 연결하는 틈새형성힌지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틈새형성힌지연결부는 상기 제1도어패널의 상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끼움결합부에 구비되며, 힌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고정힌지부와, 상기 고정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포개지도록 상기 제2끼움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축부가 형성되는 회동힌지부 및 상기 힌지축부가 상기 힌지홈부에서 설정된 범위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설정회전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회전안내부는 상기 힌지홈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한홈부 및 상기 제한홈부에 걸림 가능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부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패널은 회전방지안내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패널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전 방지되며,
    상기 회전방지안내부는 상기 고정힌지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부 및 상기 제1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회동힌지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과 상기 제2도어패널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패널을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상기 제1도어패널이 상기 제2도어패널과 함께 닫힘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23321A 2023-02-22 2023-02-22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KR102585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321A KR102585459B1 (ko) 2023-02-22 2023-02-22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321A KR102585459B1 (ko) 2023-02-22 2023-02-22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459B1 true KR102585459B1 (ko) 2023-10-06

Family

ID=8829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321A KR102585459B1 (ko) 2023-02-22 2023-02-22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520A (ko) *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구조
KR20120001202U (ko) * 2010-08-12 2012-02-22 홍양일 폴딩 도어용 경첩
JP2014091983A (ja) * 2012-11-05 2014-05-19 Okamura Corp 扉ヒンジ装置及び扉装置
KR20210080661A (ko) * 2019-12-20 2021-07-01 윤승수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20220005708A (ko) * 2020-07-07 2022-01-14 이대성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520A (ko) *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구조
KR20120001202U (ko) * 2010-08-12 2012-02-22 홍양일 폴딩 도어용 경첩
JP2014091983A (ja) * 2012-11-05 2014-05-19 Okamura Corp 扉ヒンジ装置及び扉装置
KR20210080661A (ko) * 2019-12-20 2021-07-01 윤승수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20220005708A (ko) * 2020-07-07 2022-01-14 이대성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760A (en) Biaxial hinge assembly
US20080120807A1 (en) Hin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585459B1 (ko)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US6243919B1 (en) Hinge, e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CN102037205A (zh) 具有手指防夹机构的全玻璃门结构设置
KR102287496B1 (ko)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JP2003154051A5 (ko)
KR101951230B1 (ko) 가구 도어용 경첩
KR200470342Y1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CA3088916C (en) Door with finger pinch prevention function
RU2694909C2 (ru) Прибо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ежду створкой и неподвижной рамой окна, двери или т.п., а также окно, дверь или т.п. с таким прибором
KR102504182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119606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12274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US7401841B2 (en) Device for displacing a rear hatch of a motor vehicle rear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losing a rear hatch of a motor vehicle
KR102121789B1 (ko)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WO2004060720A2 (en) Trunk compartment latch cover
GB2282847A (en) Hinge for a hatch cover
KR102360755B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044630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337827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6895701B1 (ja) ヒンジカバー
KR102382840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창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