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182B1 - 사물함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사물함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182B1
KR102504182B1 KR1020220106732A KR20220106732A KR102504182B1 KR 102504182 B1 KR102504182 B1 KR 102504182B1 KR 1020220106732 A KR1020220106732 A KR 1020220106732A KR 20220106732 A KR20220106732 A KR 20220106732A KR 102504182 B1 KR102504182 B1 KR 10250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locker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22010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끼임방지연결부가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고정앵글과 결합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사물함의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사물함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앵글과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하는 끼임방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 도어용 경첩{HINGE FOR LOCKER DOOR}
본 발명은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끼임방지연결부가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고정앵글과 결합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개인적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학교,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다양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개방된 전면에 도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사물함은 물품의 수납을 위해 도어를 개폐할 때 사물함과 도어가 절첩되는 부위에 틈새가 발생되고, 틈새로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할 경우, 손가락이 도어의 모서리에 의하여 큰 힘으로 눌려지면서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도어의 개폐구조에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경첩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도어가 개폐될 때 틈새를 제거하여 손끼임을 방지하고 있지만,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가 어려워 조립 작업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도어의 닫힘시 경첩의 일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통행시 옷이 걸리거나 유아나 어린 아이들이 호기심으로 경첩을 만진 상태에서 도어가 개폐될 경우 경첩에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0105호(2017.06.16. 등록, 명칭: 사물함 상판의 마감 손상이 없고 손끼임이 방지되는 사물함)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끼임방지연결부가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고정앵글과 결합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사물함의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사물함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앵글과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하는 끼임방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임방지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겹침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앵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라켓을 힌지 연결하는 틈새형성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틈새형성힌지연결부는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라켓을 힌지 연결하는 제1힌지핀 및 상기 제1힌지핀에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하는 제2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상기 제1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시 회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서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한홈부 및 상기 제한홈부에 걸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임시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끼임방지연결부가 사물함과 도어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힘에서 열림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이웃한 사물함의 도어의 모서리에 접촉시 찍힘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물함에 물품을 보관하거나 인출할 때 도어의 열림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서 끼임방지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서 도어가 열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서 끼임방지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서 도어가 열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고정앵글(10), 결합플레이트(20) 및 끼임방지연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앵글(10)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사물함(3)의 내측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도록 결합되고, 결합플레이트(20)는 사물함(3)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5)의 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끼임방지연결부(30)는 도어(5)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손가락(H)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고정앵글(10)과 결합플레이트(20)를 힌지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끼임방지연결부(30)는 고정앵글(10)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브라켓(31)과, 도어(5)의 수평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플레이트(20)에 구비되는 회동플레이트(32) 및 사물함(3)과 도어(5)의 사이에 손가락(H)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5)의 닫힘시 사물함(3)과 도어(5)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회동플레이트(32)와 지지브라켓(31)을 힌지 연결하는 틈새형성힌지연결부(33)를 포함한다.
이때, 회동플레이트(32)에는 도어(5)의 수직면에 걸림 가능하게 배치되어 결합플레이트(20)의 설치 위치를 도어(5)의 수평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걸림안내부재(34)가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플레이트(20)는 걸림안내부재(34)를 도어(5)의 수직면에 걸림 가능하게 접한 채로 도어(5)에 결합시킬 경우, 도어(5)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도어(5)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 방지될 수 있으므로, 오조립으로 인한 도어(5)의 손상을 방지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틈새형성힌지연결부(33)는 회동플레이트(32)와 지지브라켓(32)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33a)와, 연결플레이트(33a)와 지지브라켓(32)을 힌지 연결하는 제1힌지핀(33b) 및 제1힌지핀(33b)에 이격되는 위치에서 연결플레이트(33a)와 회동플레이트(32)를 힌지 연결하는 제2힌지핀(33c)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회동플레이트(32)에는 제2힌지핀(33c)이 끼워지기 위한 제1끼움홀부(31a)가 형성되고, 고정브라켓(32)에는 제1힌지핀(33b)이 끼워지기 위한 제2끼움홀부(32a)가 형성되며, 연결플레이트(33a)에는 제1끼움홀부(31a)와 제2끼움홀부(32a)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통홀부(33d)가 형성된다.
이때, 제1힌지핀(33b)은 지지브라켓(32)과 연결플레이트(33a)에서 도어(5)의 수평면 단부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의 일측 부위에 삽입되며, 제2힌지핀(33c)은 회동플레이트(32)와 연결플레이트(33a)에서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에 삽입된다.
즉, 사물함(3)과 도어(5)의 사이에 손가락(H)이 끼이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5)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될 경우, 회동플레이트(32)는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된 이후, 도어(5)와 사물함(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1힌지핀(33b)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반대로, 사물함(3)과 도어(5)의 사이에 손가락(H)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5)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될 경우, 회동플레이트(32)는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된 이후, 제1힌지핀(33b)을 중심으로 회동되다가 도어(5)와 손가락(H)이 접촉되는 순간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어(5)와 사물함(3)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의식중에 도어(5)에 커버되는 사물함(3)에 손가락(H)이 위치된 채로 도어(5)를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키더라도 도어(5)와 사물함(3)의 사이에 손가락(H)이 끼여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플레이트(32)는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시 회동제한부(40)에 의해 회동 범위가 제한된다.
여기서, 회동제한부(40)는 회동플레이트(32)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한홈부(41) 및 제한홈부(41)에 걸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연결플레이트(33a)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걸림턱부(42)를 포함한다.
즉, 도어(5)가 열림에서 닫힘 또는 닫힘에 열림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회동플레이트(32)가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제한홈부(41)가 연장걸림턱부(42)에 걸리는 순간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 정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힌지핀(33c)에 의해 회동플레이트(32)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어(5)가 열림에서 닫힘 또는 닫힘에 열림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도어(5)의 테두리 부위가 사물함(3)에 눌려 사물함(3)과 도어(5)가 모두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3)이 연속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어(5)가 닫힘에서 열림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이웃한 사물함(3)에서 닫힘 상태로 배치된 도어(5)의 모서리 부위에 접촉되면 회동플레이트(32)는 도어(5)의 회동 방향을 따라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되다가 제한홈부(41)가 연장걸림턱부(42)에 걸리는 순간 제2힌지핀(33c)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 정지된다.
이로써, 도어(5)를 닫힘에서 열림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도어(5)의 전면이 이웃한 사물함(3)의 도어(5) 모서리 부위에 부딪히는 순간 도어(5)가 열림 방향으로 한번 더 젖혀질 수 있으므로, 도어(5)의 전면이 찍힘으로 인해 손상되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물함(3)에 물품을 보관시키거나 사물함(3)에 보관된 물품을 인출시킬 때 도어(5)의 열림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앵글 20: 결합플레이트
30: 끼임방지연결부 31: 회동플레이트
31a: 제1끼움홀부 32: 지지브라켓
32a: 제2끼움홀부 33: 틈새형성힌지연결부
34: 걸림안내부재 33a: 연결플레이트
33b: 제1힌지핀 33c: 제2힌지픈
33d: 연통홀부 40: 회동제한부
41: 제한홈부 42: 연장걸림턱부

Claims (4)

  1. 사물함의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앵글;
    상기 사물함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앵글과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하는 끼임방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임방지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겹침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앵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사물함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라켓을 힌지 연결하는 틈새형성힌지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틈새형성힌지연결부는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라켓을 힌지 연결하는 제1힌지핀 및 상기 제1힌지핀에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힌지 연결하는 제2힌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상기 제1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시 회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서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한홈부 및 상기 제한홈부에 걸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의 수직면에 걸림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상기 도어의 수평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걸림안내부재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06732A 2022-08-25 2022-08-25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50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32A KR102504182B1 (ko) 2022-08-25 2022-08-25 사물함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32A KR102504182B1 (ko) 2022-08-25 2022-08-25 사물함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82B1 true KR102504182B1 (ko) 2023-02-28

Family

ID=8532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32A KR102504182B1 (ko) 2022-08-25 2022-08-25 사물함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014A (ko) * 2006-10-27 2008-05-0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KR101298230B1 (ko) * 2013-05-28 2013-08-22 유인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014A (ko) * 2006-10-27 2008-05-0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KR101298230B1 (ko) * 2013-05-28 2013-08-22 유인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430A (ko)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US3832756A (en) Dual action hinge for folding doors
KR102033856B1 (ko)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504182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GB2263128A (en) Door and window securing devices
EP0932740A1 (en) Hinge, e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585459B1 (ko)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KR102196433B1 (ko) 끼임 방지 문 및 그 문틀
JP2000145275A (ja) 指詰め防止機構付きドア
KR102357804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20190096252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102337827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360755B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9980062165U (ko) 손가락 끼임 방지 장치
KR102121789B1 (ko)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KR102593129B1 (ko) 자동 닫힘이 가능한 경첩 장치
KR970003123Y1 (ko) 세탁기의 도어 변형 방지 구조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960010728Y1 (ko) 커버도어 개폐장치
KR200269323Y1 (ko) 가구용 힌지
KR0119442Y1 (ko) 씽크대문용 힌지의 판스프링
GB2281346A (en) Friction stay
KR0119841Y1 (ko) 냉장고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