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014A -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014A
KR20080038014A KR1020070104017A KR20070104017A KR20080038014A KR 20080038014 A KR20080038014 A KR 20080038014A KR 1020070104017 A KR1020070104017 A KR 1020070104017A KR 20070104017 A KR20070104017 A KR 20070104017A KR 20080038014 A KR20080038014 A KR 2008003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element
door
hinge
door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391B1 (ko
Inventor
다케후미 아다치
유키 다키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03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도어와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때에, 도어를 경동(傾動)시키는 일 없이, 상기 손가락 등이 그 이상 압박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도어 프레임(F)에 부착되는 제 1 힌지요소(1)와, 제 1 힌지요소(1)에 제 1 축(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힌지요소(2)와, 제 2 힌지요소(2)에 제 2 축(5)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도어(D)에 부착되는 제 3 힌지요소(3)와, 제 2 힌지요소(2)에서의 제 3 힌지요소(3)의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유지수단(6)을 구비한다. 유지수단(6)의 유지력은,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와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도어(D)에 작용하였을 때에 제 3 힌지요소(3)의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HINGE DEVICE AND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힌지장치 및 이 힌지장치와 도어와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어와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었을 때에, 도어를 경동(傾動)시켜서 도어와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한 도어장치가 있다. 이것은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 프레임측 부착편과 도어측 부착편 중, 도어 프레임측 부착편에 도어 프레임에 대한 복수의 부착구멍을 다단(多段)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최상단의 부착구멍 이외를 가로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하고, 최상단의 부착구멍에 끼워져서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금속나사를 중심으로 손가락이 끼었을 때 도어를 경동시키도록 한 것이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상기한 도어장치에서는 도어의 경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도어 프레임 의 내주부의 상부에 중공의 밀봉부재로 폐색된 틈새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 또, 손가락이 끼었을 때에 도어의 경동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새는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는 틈새이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를 형성하더라도 끼인 손가락에 도어의 하중이 상측에서 작용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6-2403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때에, 도어를 경동시키는 일 없이, 상기 손가락 등이 그 이상 압박되지 않도록 하는 점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힌지장치를 이하의 (1)∼(5)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제 1 힌지요소와,
(2) 상기 제 1 힌지요소에 대해서 제 1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힌지요소와,
(3) 상기 제 2 힌지요소에 대해서 제 1 축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는 제 2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중 타 측에 부착되는 제 3 힌지요소와,
(4) 상기 제 2 힌지요소에서의 제 3 힌지요소의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며,
(5) 상기 유지수단의 유지력은,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도어에 작용하였을 때에 제 2 힌지요소에서의 제 3 힌지요소의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하고 있다.
통상은 유지수단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와 제 3 힌지요소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는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유지수단에 의한 제 2 힌지요소와 제 3 힌지요소와의 유지가 해제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가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제 1 힌지요소와 제 2 힌지요소와의 사이의 간격을 그 이상 좁히지 않고도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을 도어 프레임의 내면에서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끼인 손가락 등이 그 이상 압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지수단을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수부와,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부를 탄성변형에 의해서 받아들이고 완전히 받아들인 위치에서 이것에 걸어 맞춰지는 암부로 구성하여 두면, 통상은 암부와 수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와 제 3 힌지요소를 일체화시켜 둘 수 있다. 또,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암부와 수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가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가락 등이 끼인 것이 해소된 경우에는 암부에 다시 수부를 걸어 맞춤으로써 간단하게 통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수단을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을 가진 흡착부와,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에 의해서 흡착부에 흡착되는 피흡착부로 구성하여 두면, 통상은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부의 피흡착부로의 흡착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와 제 3 힌지요소를 일체화시켜 둘 수 있다. 또,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흡착이 해제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가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가락 등이 끼인 것이 해소된 경우에는 피흡착부에 흡착부를 다시 흡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통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수단을 제 2 힌지요소에서의 제 3 힌지요소의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탄지하는 탄성체로 구성하여 두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와 제 3 힌지요소를 일체화시켜 둘 수 있다. 또,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탄성에 저항하여 제 3 힌지요소가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한 도어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은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도어의 개폐동작이 규칙적으로 행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된 도어를 완전히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측 단면과 도어 프레임의 내면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때에는 이 손가락 등을 그 이상 압박하지 않도록 도어의 회동을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때에 도어의 회동중심을 제 2 축으로 전환함으로써, 도어가 제 2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도어의 단면이 도어 프레임의 내면에서 떨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손가락 등이 그 이상 압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중 하나에 관한 힌지장치(H) 및 도어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상기 힌지장치(H)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도 2는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3은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D)를 개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4는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5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힌지장치(H)의 요부를, 도 6은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힌지장치(H)의 요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중 다른 하나에 관한 힌지장치(H) 및 도어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상기 힌지장치(H)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도 8은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9는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D)를 개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10은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중 또 다른 하나에 관한 힌지장치(H) 및 도어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1은 상기 힌지장치(H)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도 12는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13은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D)를 개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도 14는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장치(H)는 각종의 도어(D)를 도어 프레임(F)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기구는 상기 힌지장치(H)와 도어(D)와 도어 프레임(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장치(H)는
① 제 1 힌지요소(1)와,
② 제 2 힌지요소(2)와,
③ 제 3 힌지요소(3)와,
④ 제 1 축(4)과,
⑤ 제 2 축(5)과,
⑥ 유지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장치(H)는, 전형적으로는 도어(D)의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일측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의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도어(D)에 의해서 폐색되는 개구(Fa)의 내측을 향하는 내면(Fb)과의 사이에 개재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도어(D)가 상기 도어 프레임(F)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하면, 도어(D)의 일측 단면(Da)은 도어 프레임(F)의 내면(Fb)에 대해서 약간의 틈새를 두고서 대향하게 된다. 상기 힌지장치(H)는, 통상은 후술하는 제 1 축(4)을 중심으로 도어(D)의 개폐동작이 규칙적으로 행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된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측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의 내 면(Fb)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에는 이 손가락(z) 등을 강하게 압박하지 않도록 도어(D)의 회동을 후술하는 제 2 축(5)를 중심으로 한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장치(H)는 도어(D)의 크기 등에 따라서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1개소 내지 복수 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D) 및 상기 도어 프레임(F)과 함께 도어기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은 후술하는 제 1 축(4)을 중심으로 도어(D)의 개폐동작이 규칙적으로 행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된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측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의 내면(Fb)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에는 이 손가락(z) 등을 그 이상 압박하지 않도록 도어(D)의 회동이 후술하는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전환된다.
제 1 힌지요소(1)는 도어(D) 및 도어 프레임(F) 중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힌지요소(1)가 도어 프레임(F)의 내면(Fb)에 나사고정에 의해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힌지요소(2)는 상기 제 1 힌지요소(1)에 대해서 제 1 축(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축(4)이 연직방향을 따르는 축으로 되어 있다.
제 3 힌지요소(3)는 상기 제 2 힌지요소(2)에 대해서 제 1 축(4)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축(5)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도어(D) 및 도어 프레임(F) 중 타측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는 상기 제 3 힌지요소(3)가 도어(D)의 일측 단면(Da)에 나사고정에 의해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축(5)도 연직방향을 따르는 축으로 되어 있으며, 또 제 1 축(4)과 제 2 축(5)은 도어(D)의 전후방향(x){도어(D)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구비되어 있다. 제 1 축(4)에 대해서 제 2 축(5)은 도어(D)의 폐쇄측(y){도어 프레임(F)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유지수단(6)은 제 2 힌지요소(2)에서의 제 3 힌지요소(3)의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지수단(6)은 일정한 유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은 도어(D)의 회동이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가 일체화된 상태로 제 1 축(4)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행해지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지수단(6)의 유지력은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구체적으로는 상기 일측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구체적으로는 상기 내면(Fb)}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도어(D)에 작용하였을 때에 제 2 힌지요소(2)에서의 제 3 힌지요소(3)의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통상은 유지수단(6)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D)는 제 1 축(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2 및 도 3, 도 8 및 도 9, 도 12 및 도 13). 개방된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 우에 있어서, 도어(D)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유지수단(6)에 의한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와의 유지가 해제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3)가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제 1 힌지요소(1)와 제 2 힌지요소(2)와의 사이의 간격을 그 이상 좁히지 않고도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을 도어 프레임(F)의 내면(Fb)에서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끼인 손가락(z) 등이 그 이상 압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수단(6)을 제 2 힌지요소(2)에 구비된 수부(60)와, 제 3 힌지요소(3)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부(60)를 탄성변형에 의해서 받아들이고 또한 완전히 받아들여진 위치에서 이것과 걸어 맞춰지는 암부(61)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은 암부(61)와 수부(60)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를 일체화시켜 둘 수 있다. 또, 개방된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D)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암부(61)와 수부(60)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3)가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가락(z) 등이 끼인 것이 해소된 경우에는 암부(61)에 다시 수부(60)를 걸어 맞춤으로써 간단하게 통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 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힌지요소(1)는 도어 프레임(F)의 내면(Fb)에 일면이 접하도록 이 내면(Fb)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10)와, 이 플레이트부(10)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에 원통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부(11)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부(10)에는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되는 나사의 관통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부(11)에는 제 1 축(4)이 끼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부(11)는 내경이 큰 상부(11a)와 내경이 작은 하부(11b)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11a)와 하부(11b)와의 사이에는 상측을 향한 단차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4)의 중간에는 플랜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축(4)은 상기 플랜지(40)가 단차면(11c)에 상측에서 걸리도록 함으로써 파이프부(11)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힌지요소(2)는 상하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상의 플레이트부(20)와, 이 플레이트부(20)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의 상부측에 원통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이 플레이트부(20)에 연속하는 돌편을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시킨 제 1 파이프부(21)와, 이 플레이트부(20)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타단부의 중간을 제외한 상하부측에 원통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이 플레이트부(20)에 연속하는 돌편을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시킨 제 2 파이프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힌지요소(2)의 제 1 파이프부(21)에 상기 제 1 힌지요소(1)에 지지된 제 1 축(4)의 상부가 하측에서 끼워진다. 제 1 파이프부(21)의 하부는 상기 제 1 힌지요소(1)의 파이프부(11)의 상부(11a) 내측에 끼워지고, 제 1 파이프부(21)의 연접 부(21a)는 상기 파이프부(11)의 노치(11d)에 끼워진다. 제 2 힌지요소(2)의 일면측의 상하에는 각각 이 일면에서 돌출되는 수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부(60)는 머리부(60a)와 목부(60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형성된 턱부(60c)가 암부(61)의 입구(61a)측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힌지요소(2)에 있어서의 상하의 수부(60,60) 사이에는 볼트(34)의 관통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3 힌지요소(3)는 상하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상의 플레이트부(30)와, 이 플레이트부(30)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의 중간에 원통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부(31)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부(30)의 상하단측에는 이 플레이트부(30)를 도어(D)의 단면(Da)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의 관통구멍(3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파이프부(31)는 제 2 힌지요소(2)에 있어서의 상하의 제 2 파이프부(22,22) 사이에 끼워지는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이프부(31)를 제 2 힌지요소(2)에 있어서의 상하의 제 2 파이프부(22,22)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이들 파이프부(22,22,31)에 제 2 축(5)을 끼우고,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파이프부(22)의 하단에 제 2 축(5)의 탈락방지용 덮개(도시생략)를 끼워 붙임으로써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가 조립된다.
제 3 힌지요소(3)의 플레이트부(30)의 상하부에는 각각 관통구멍(30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관통구멍(30b)을 이용하여 암부(61)가 부착되어 있다. 암부(61)는 수부(60)를 받아들이는 입구(61a)의 외주에 플랜지(6lb)를 구비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암부(61)는 상기 플랜지(6lb)가 관통구멍(30b)을 에워싸는 제 3 힌지요소(3)의 일면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기 관통구멍(30b)에 끼워져 있다. 암 부(61)는 수부(60)의 머리부(60a)에서 목부(60b)까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짐과 아울러, 좌우벽에 각각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분할홈에 의해서 형성된 탄성편(61c)을 상하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편(61c)의 자유단(61d)은 입구(61a)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 자유단(61d)의 내측에는 걸어맞춤 돌출부(61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60)를 암부(61)의 탄성편(61c,61c)을 상하측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암부(61) 내로 삽입하면, 이 수부(60)의 목부(60b)까지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탄성편(61c,61c)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수부(60)의 턱부(60c)에 걸어맞춤 돌출부(61e)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가 그 일면끼리가 대략 평행하게 또한 근접하게 대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일체화된다(도 5). 개방된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D)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수부(60)가 탄성편(61c,61c)을 상하측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암부(61) 내에서 빠지게 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3)가 부착된 도어(D)가 제 2 축(5)을 중심으로 폐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부착상태에서는 상기 암부(61)가 도어(D)의 단면(Da)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호 32로 나타내는 것은 통상시에 제 2 힌지요소(2)의 일면과 제 3 힌지요소(3)의 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가리기 위한 가리개용 리브이고, 또 부호 61f로 나타내는 것은 암부(61)의 외측에 제 2 힌지요소(2)의 타면측에서 끼워져서 탄성편(61c)을 보강하는 U자상의 금속클립이다. 암부(61)에 있어서의 탄성편(61c)의 탄성변형특성은 이 암부(61)를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제 1 힌지요소(1), 제 2 힌지요소(2) 및 제 3 힌지요소(3)의 주요부는, 전형적으로는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힌지요소(3)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멍(33)을 통해서 제 3 힌지요소(3)의 타면측에서 끼운 볼트(34)가 제 2 힌지요소(2)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멍(20a)을 통해서 제 2 힌지요소(2)의 타면에 고정된 너트(23)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상기 볼트(34)의 머리부(34a)와 제 3 힌지요소(3)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머리부(34a)에 대한 시트면(35)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부(60)와 암부(6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제 3 힌지요소(3)가 제 2 축(5)을 중심으로 회동하였을 때,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시트면(35)에 상기 머리부(34a)의 하면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도 6).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제 3 힌지요소(3) 및 도어(D)의 회동이 무제한으로 계속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손가락(z) 등의 끼임이 해소된 이후의 통상상태로의 복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수단(6)을 제 3 힌지요소(3)에 구비되는 자석을 가진 흡착부(62)와, 제 2 힌지요소(2)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에 의해서 흡착부(62)에 흡착되는 피흡착부(63)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은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부(62)의 피흡착 부(63)로의 흡착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를 일체화시켜 둘 수 있다. 또, 개방된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D)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흡착이 해제됨으로써 제 3 힌지요소(3)가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가락(z) 등이 끼인 것이 해소된 경우에는 피흡착부(63)에 흡착부(62)를 다시 흡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통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힌지요소(1)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 1 힌지요소(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도 7 내지 도 10에 사용하고 그 세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힌지요소(2)는 수부(60), 볼트(34)의 관통구멍(20a) 및 너트(23)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 2 힌지요소(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도 7 내지 도 10에 사용하고 그 세부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힌지요소(2)는 강자성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힌지요소(2)의 일면측의 대략 중앙부가 피흡착부(63)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제 3 힌지요소(3)는 암부(61), 볼트(34) 및 가리개용 리브(32)가 없고, 한편 흡착부(62)를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 3 힌지요소(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도 7 내지 도 10에 사용하고 그 세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흡착부(62)는 4개의 상하방향으로 긴 수직면을 가진 입체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이들 수직면 중 1개의 수직면의 주연부에 플랜지(62b)를 형성한 케이스(62a) 내에 자석을 수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자석의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자석에는 단면(62d)을 상기 케이스(62a)의 플랜지(62b)가 형성된 수직면에 노출시킨 요크(62c)가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힌지요소(3)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36)에, 이 관통구멍(36)을 에워싸는 제 3 힌지요소(3)의 일면에 상기 플랜지(62b)가 걸리는 위치까지 상기 케이스(62a)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 3 힌지요소(3)에 흡착부(62)가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이 상기 요크(62c)를 통해서 피흡착부(63)에 흡착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62a)가 도어(D)의 단면(Da)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납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수단(6)을 제 2 힌지요소(2)에서의 제 3 힌지요소(3)의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탄지하는 탄성체(64)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64)의 탄성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를 일체화시켜 둘 수 있다. 또, 개방된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D)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탄성에 저항하여 제 3 힌지요소(3)가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제 2 힌지요소(2)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힌지요소(1)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 1 힌지요소(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도 11 내지 도 14에 사용하고 그 세부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 2 힌지요소(2)는 좌우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절곡(折曲)되되, 도어(D)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도 12)에 있어서, 절곡위치(24a)에서 일단부 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힌지요소(1)의 일면에서 점차 떨어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부(24)와, 이 플레이트부(24)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타단부에 원통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이 플레이트부(24)에 연속하는 돌편을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시킨 제 1 파이프부(25)와, 이 플레이트부(24)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에 원통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이 플레이트부(24)에 연속하는 돌편을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시킨 제 2 파이프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힌지요소(2)의 제 1 파이프부(25)에 제 1 힌지요소(1)에 지지된 제 1 축(4)의 상부가 하측에서 끼워진다.
또, 제 3 힌지요소(3)는 상하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상의 수직 플레이트부(37a)와, 이 수직 플레이트부(37a)의 상단에 연속해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플레이트부(37b)와, 이 수직 플레이트부(37a)의 하단에 연속해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플레이트부(37c)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부(37b)의 돌출단에는 이것에 연속해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플랜지(37d)가, 또 하부 플레이트 부(37c)의 돌출단에는 이것에 연속해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플랜지(37e)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D)의 단면(Da)에 형성된 부착구멍(Db)의 저부(Dc)에 수직 플레이트부(37a)가 접하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Db)의 주연부{즉, 도어(D)의 단면(Da)}에 상부 플랜지(37d)와 하부 플랜지(37e)가 접하는 위치까지 상기 부착구멍(Db)에 제 3 힌지요소(3)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부 플랜지(37d)와 하부 플랜지(37e)를 각각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도어(D)의 단면(Da)에 제 3 힌지요소(3)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에서 부호 37f로 나타낸 것은 상기 나사의 관통구멍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부(37b)와 하부 플레이트부(37c)와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제 2 축(5)이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제 2 축(5)의 하부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64a)이 장착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a)의 상측에 있어서 제 2 힌지요소(2)의 제 2 파이프(26)가 제 2 축(5)에 끼워짐으로써, 제 2 힌지요소(2)와 제 3 힌지요소(3)가 조립된다. 제 2 축(5)의 상단에는 상부 플레이트부(37b)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리는 머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4a)의 상단(64b)이 제 2 힌지요소(2)의 절곡 위치(24a) 근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편부(27)에 걸리고, 또한 하단(64c)이 수직 플레이트부(37a)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에 걸린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4a)에 의해서, 통상은 제 2 힌지요소(2)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힌지요소(1)와 대향하지 않는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절곡위치(24a) 근방에, 상기 제 3 힌지요소(3)에 있어서의 수직 플레이 트부(37a)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이 수직 플레이트부(37a)의 내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돌출되는 중간돌편(37g)의 돌출단(37h)이 항시 맞닿도록 되어 있다(도 12, 도 13).
개방된 도어(D)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D)의 회동조립측의 단면(Da)과 도어 프레임(F)과의 사이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D)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4a)의 탄성에 저항하여 중간돌편(37g)의 돌출단(37h)이 제 2 힌지요소(2)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 2 축(5)을 중심으로 제 3 힌지요소(3) 및 도어(D)가 회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축(5)에 끼워지는 제 2 힌지요소(2)의 제 2 파이프(26)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64a)의 권취부가 통형상 커버(64d)에 의해서 피복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힌지장치(H)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2는 상기 힌지장치(H)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3은 상기 힌지장치(H)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4는 상기 힌지장치(H)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5는 상기 힌지장치(H)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상기 힌지장치(H)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다른 구성예에 관한 힌지장치(H)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8은 상기 힌지장치(H)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9는 상기 힌지장치(H)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10은 상기 힌지장치(H)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11은 또 다른 구성예에 관한 힌지장치(H)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12는 상기 힌지장치(H)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 구성도
도 13은 상기 힌지장치(H)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 구성도
도 14는 상기 힌지장치(H)에 손가락(z) 등이 끼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 힌지장치 D - 도어
Da - 단면 F - 도어 프레임
Z - 손가락 1 - 제 1 힌지요소
2 - 제 2 힌지요소 3 - 제 3 힌지요소
4 - 제 1 축 5 - 제 2 축
6 - 유지수단

Claims (6)

  1.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제 1 힌지요소와,
    상기 제 1 힌지요소에 대해서 제 1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힌지요소와,
    상기 제 2 힌지요소에 대해서 제 1 축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는 제 2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중 타측에 부착되는 제 3 힌지요소와,
    상기 제 2 힌지요소에서의 제 3 힌지요소의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지수단의 유지력은,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동조립측의 단면과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었을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폐쇄방향으로의 힘이 도어에 작용하였을 때에 제 2 힌지요소에서의 제 3 힌지요소의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을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수부와,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부를 탄성변형에 의해서 받아들이고 완전히 받아들인 위치에서 이것에 걸어 맞춰지는 암부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을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을 가진 흡착부와, 제 2 힌지요소 및 제 3 힌지요소 중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에 의해서 흡착부에 흡착되는 피흡착부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을 제 2 힌지요소에서의 제 3 힌지요소의 제 2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양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탄지하는 탄성체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기구.
KR1020070104017A 2006-10-27 2007-10-16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KR100943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2671 2006-10-27
JP2006292671A JP2008106575A (ja) 2006-10-27 2006-10-27 ヒンジ装置及び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014A true KR20080038014A (ko) 2008-05-02
KR100943391B1 KR100943391B1 (ko) 2010-02-18

Family

ID=3944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017A KR100943391B1 (ko) 2006-10-27 2007-10-16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06575A (ko)
KR (1) KR100943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82B1 (ko) * 2022-08-25 2023-02-2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 도어용 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2692B (zh) * 2007-08-06 2014-08-06 迈克尔·克里斯多佛·斯图尔特 铰链
KR100907605B1 (ko) * 2008-09-19 2009-07-14 이덕현 도어용 안전경첩
JP4533948B2 (ja) * 2008-09-30 2010-09-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指詰防止具およびこれを装着した折戸
JP5271845B2 (ja) * 2009-08-11 2013-08-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扉装置
JP5590675B2 (ja) * 2010-11-12 2014-09-17 株式会社川口技研 掛止装置
KR101085556B1 (ko) * 2010-11-16 2011-11-24 노승현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JP5754806B2 (ja) * 2011-08-11 2015-07-29 株式会社川口技研 掛止装置
CN107780744A (zh) * 2016-08-31 2018-03-09 赵芬 能调节角度定位及自闭铰链
GB2560722A (en) * 2017-03-21 2018-09-26 A L M Products Ltd A hinge assembly
KR101943370B1 (ko) * 2017-11-27 2019-01-29 백진기 개방된 출입문에 설치되는 문틀 없는 비천공 자석식 중문 고정장치
JP7261116B2 (ja) * 2019-08-07 2023-04-19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開閉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8069U (ko) 1977-04-07 1978-11-01
JPH0632657U (ja) * 1992-10-01 1994-04-28 株式会社新協和 ドア取付け用蝶番
KR0129811Y1 (ko) * 1996-02-29 1998-12-15 윤성길 자유경첩
JPH10184175A (ja) 1996-12-20 1998-07-14 Union Corp 自動半開き蝶番
KR19990039981U (ko) * 1998-04-23 1999-11-25 인진식 주방가구용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82B1 (ko) * 2022-08-25 2023-02-2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 도어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391B1 (ko) 2010-02-18
JP2008106575A (ja)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91B1 (ko)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KR100482170B1 (ko)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EP2759664B1 (en) Lock device
WO2009008655A2 (en)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CA2568819A1 (en) Automobile door hinge device
KR101254436B1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KR200205937Y1 (ko) 자동 완충경첩
JP396339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KR100773020B1 (ko) 도어록
KR200426545Y1 (ko) 도어록
KR20090050557A (ko) 도어 스토퍼
JP5121883B2 (ja) 扉用振れ止め装置
JP4833041B2 (ja) ヒンジ装置及び扉機構
JP3722755B2 (ja) ビーズ通し装置
KR100395542B1 (ko) 수납장 도어의 힌지 조립체
JP2935703B1 (ja) パチンコ玉還元機における縦蓋のロック装置
JP3119781U (ja) ストッパ付きドア
KR0120961Y1 (ko)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의 캘리퍼 연결구조
KR200142757Y1 (ko)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CN108990929B (zh) 钓鱼用渔线轮
KR100812464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JP2005188261A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KR101251854B1 (ko) 개폐 부재 지지 장치
EP3075931B1 (en) Hin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