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854B1 - 개폐 부재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 부재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854B1
KR101251854B1 KR1020110127382A KR20110127382A KR101251854B1 KR 101251854 B1 KR101251854 B1 KR 101251854B1 KR 1020110127382 A KR1020110127382 A KR 1020110127382A KR 20110127382 A KR20110127382 A KR 20110127382A KR 101251854 B1 KR101251854 B1 KR 10125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uide plate
guide
open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개폐용 리드, 엔진룸 개폐용 후드 등과 같은 개폐 부재의 개방은 물론 닫힘 시에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차량용 개폐 부재 지지 장치는 개폐 부재에 고정된 제 1 핀; 제 1 종단부가 제 1 핀을 통하여 개폐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가이드 슬릿 및 제 1 가이드 슬릿의 종단과 연결된 상태로 제 1 가이드 슬릿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 2 가이드 슬릿으로 구분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차체에 고정되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 내에 위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회전)을 안내하는 제 2 핀;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 2 가이드 슬릿 내에 배치되어 제 2 핀과의 접촉에 따라 제 2 가이드 슬릿 내로의 제 2 핀의 이동을 제어하는 플레이트 스프링; 및 제 1 핀에 장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 부재 지지 장치{Device for supporting covering member}
본 발명은 차량의 개폐 부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부재의 개폐시 걸림 상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해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가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에는 이 트렁크를 개폐시킬 수 있는 리드가 설치되어 있다.
트렁크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물품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닫혀있는 리드를 개방하고 또한 물품의 적재/하역을 위하여 리드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리드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가 차체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리드를 지지하는 장치는 스테이형(stay type) 지지 장치 및 가스 댐퍼형(gas damper type) 지지 장치로 구분된다. 가스 댐퍼형 지지 장치는 고급 차종에 주로 적용되며, 스테이형 지지 장치는 다양한 차종에 넓게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스테이형 지지 장치는 스테이 바 형과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으로 구분된다. 스테이 바 형 지지 장치는 리드를 들어올린 후, 스테이 바를 고정하고 리드를 닫을 때에는 스테이 바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리드를 들어올리면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가 자동적으로 고정이 되고, 리드를 닫을 때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스테이형 지지 장치 중에서, 리드를 고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에서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운전자들은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지지 장치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지지 장치도 리드를 닫을 때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따라서 리드의 개방은 물론 닫힘 시에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지지 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차량의 엔진룸의 개폐를 위해서는 차체에 후드가 설치되며, 이러한 후드도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지지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 외에, 상용차에 적용되는 플랩 도어 역시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지지 장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폐 부재의 개방은 물론 닫힘 시에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개폐 부재에 고정된 제 1 핀; 제 1 종단부가 제 1 핀을 통하여 개폐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가이드 슬릿 및 제 1 가이드 슬릿의 종단과 연결된 상태로 제 1 가이드 슬릿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 2 가이드 슬릿으로 구분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차체에 고정되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 내에 위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회전)을 안내하는 제 2 핀;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 2 가이드 슬릿 내에 배치되어 제 2 핀과의 접촉에 따라 제 2 가이드 슬릿 내로의 제 2 핀의 이동을 제어하는 플레이트 스프링; 및 제 1 핀에 장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2 가이드 슬릿과 연결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 스프링의 단부가 요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는 개폐 부재의 개폐시 걸림 상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해제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은 차체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i는 개폐 부재의 개폐 과정에서의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핀과 가이드 플레이트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된 "개폐 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개폐 부재, 예를 들어 트렁크를 개폐하는 리드, 엔진 룸을 보호하는 후드(보닛), 상용차에 적용되는 플랩 도어 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이하, 편의상 "개폐 부재 지지 장치"로 칭함)는 차량의 개폐 부재에 고정된 제 1 핀(10); 제 1 핀(10)을 통하여 한 종단부가 차량의 개폐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00);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플레이트 스프링(30); 및 가이드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슬릿(130) 내에 위치한 상태로 차량의 차체에 고정된 제 2 핀(20)을 포함한다.
각 구성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핀(10)
차량의 개폐 부재(도시되지 않음)에는 제 1 핀(10)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핀(10)은 차량의 개폐 부재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나, 차량의 개폐 부재에 장착된 브라켓트(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핀(10)이 브라켓트(40)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브라켓트(40)의 장착 구멍(40-1)에 삽입된 제 1 핀(10)에는 코일 스프링(50)이 감겨져 있다. 코일 스프링(50)의 코일부(50-1)에서 연장된 제 1 종단(51)은 브라켓트(40)에 형성된 고정 구멍(41)에 끼워져 있으며, 제 2 종단(52)은 후술할 가이드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고정 구멍(102)에 끼워져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00)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형 부재인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제 1 종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10)을 갖는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핀(10)은 이 관통 구멍(110) 및 브라켓트(40)의 장착 구멍(40-1)을 통과하여 차량의 개폐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며,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제 1 종단부는 차량의 개폐 부재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핀(10)의 직경이 관통 구멍(110)의 직경보다 작으며,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차량의 개폐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핀(1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관통 구멍(110)의 하부에는 고정 구멍(120)이 위치한다. 이 고정 구멍(120)에는 위에서 설명한 코일 스프링(50)의 코일부(50-1)에서 연장된 제 2 종단(52)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가이드 플레이트(100)와 브라켓트(40)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50)의 탄성력은 가이드 플레이트(100)에 작용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정한 폭의 가이드 슬릿(130)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릿(130)은 고정 구멍(120)의 하부에서부터 제 2 종단부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슬릿(130)은 직선형 제 1 가이드 슬릿(131) 및 제 1 가이드 슬릿(131)의 종단에서 직선형 가이드 슬릿(131)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2 가이드 슬릿(132)으로 구분되며, 제 1 가이드 슬릿(131)과 제 2 가이드 슬릿(132)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평면도로서, 위에서 설명한 제 1 가이드 슬릿(131)과 제 2 가이드 슬릿(13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슬릿(131)은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제 1 종단부를 제외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제 2 가이드 슬릿(132)은 제 2 종단부에만 형성된다.
플레이트 스프링(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슬릿(132)의 내부에 플레이트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 스프링(30)의 한 종단은 제 2 가이드 슬릿(132)을 한정하는 벽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제 2 가이드 슬릿(132)을 가로 질러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가이드 슬릿(132)은 플레이트 스프링(30)에 의하여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제 2 핀(20)
제 2 핀(20)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며, 가이드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30) 내에 위치한다. 제 2 핀(2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 연장부가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표면, 즉 가이드 슬릿(130)과의 인접 영역에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제 2 핀(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 2 핀(20)에 의하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부재 지지 장치의 작동 및 기능을 각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차체와 트렁크 개폐 부재의 부분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개폐 부재 지지 장치(1)가 장착된 개폐 부재(H)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개폐 부재(H)에 고정된 브라켓트(40) 그리고 제 1 핀(10)을 통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제 1 종단부는 차량의 개폐 부재(H)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슬릿(130) 내에 위치한 제 2 핀(20)은 차량의 차체(B)에 고정된다.
도 4a 내지 도 4i는 개폐 부재의 개폐 과정에서의 제 2 핀(20)과 가이드 플레이트(100)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개폐 부재 지지 장치에서는, 제 1 핀(10)은 차량의 개폐 부재(H)에 그리고 제 2 핀(20)은 차체(B)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 부재(H)의 개폐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제 2 핀(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회전)한다. 그러나, 도 4a 내지 도 4i는 편의상 가이드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제 2 핀(20)이 이동하는 상태로 표현되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i에 도시된 화살표는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이동 방향 및 플레이트 스프링(30)의 회전 방향을 지시한다.
도 4a는 개폐 부재(도 2의 H)가 닫힌 상태에서의 가이드 플레이트(100)와 제 2핀(20)의 관계를 도시한다.
개폐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제 2 핀(20)에 의하여 안내되어 하향 이동된 상태이며,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핀(20)은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형성된 제 1 가이드 슬릿(131)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 즉 제 1 핀(10)과 제 2 핀(20)이 서로 인접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개폐 부재를 위로 들어올려 개폐 부재를 열면,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제 2 핀(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향 이동되며, 최종적으로는 제 2 핀(20)은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제 1 가이드 슬릿(131)의 하단부(즉, 제 2 가이드 슬릿(132)과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다(도 4b의 상태).
한편, 제 1 핀(10)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50)의 탄성력이 가이드 플레이트(100)에 작용(도 4a의 화살표 방향)하며, 이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00)는 도 4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실질적으로는 제 1 핀(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핀(20)은 제 1 가이드 슬릿(131)에서 벗어나 플레이트 스프링(30)을 누르면서 제 2 가이드 슬릿(132) 내에 위치한다(도 4c의 상태).
도 4c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 2 핀(20)이 제 2 가이드 슬릿(132)의 최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개폐 부재를 놓은 상태에서도 가이드 플레이트(100)를 통하여 가해지는 개폐 부재의 하중은 제 2 핀(20)이 지지하며, 따라서 개폐 부재는 닫혀지지 않고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개폐 부재를 닫기 위해서, 먼저 개폐 부재를 어느 정도 들어올린다. 개폐 부재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즉 가이드 플레이트(10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제 2 핀(20)은 제 2 가이드 슬릿(132)의 최상단에서 벗어나며(도 4d의 상태), 이후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상향 이동에 따라 제 2 핀(20)은 플레이트 스프링(30)을 누르면서 제 2 가이드 슬릿(132)에서 이탈된다(도 4e의 상태). 플레이트 스프링(30)의 자유단은 제 2 가이드 슬릿(132)과 연결된 요부(133) 내에 수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이송에 방해되지 않는다.
제 2 핀(20)이 제 2 가이드 슬릿(132)에서 제 1 가이드 슬릿(131)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플레이트 스프링(30)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도 4f의 상태).
한편,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핀(20)이 제 1 가이드 슬릿(131)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제 2 핀(20)은 플레이트 스프링(30)의 자유단(즉, 고정단의 반대 종단)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차체에 고정된 제 2 핀(20)에 대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00)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이러한 이동(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핀(20)과 플레이트 스프링(30)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플레이트 스프링(30)의 자유단의 표면은 제 2 핀(20)의 표면과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다. 즉, 예를 들어, 제 2 핀(20)이 원통형 핀인 경우, 플레이트 스프링(30)의 자유단의 표면은 고정단을 향하여 만곡진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플레이트 스프링(30)의 자유단의 모든 면적은 제 2 핀(20)과 접촉한다.
도 4f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 부재를 닫기 위하여 개폐 부재를 눌러 하향 이동시키면, 가이드 플레이트(100) 역시 제 2 핀(20)에 의하여 안내되는 상태로 하향 이동한다. 이때, 제 2 핀(20)은 초기 상태로 복귀된 플레이트 스프링(30)에 의하여 제 2 가이드 슬릿(132) 내로 진입하지 않으며(도 4g의 상태), 이후 가이드 플레이트(100)의 상승에 따라 제 2 핀(20)은 플레이트 스프링(30)을 제 2 가이드 슬릿(132)을 향하여 밀게 되어 제 2 핀(20)의 제 2 가이드 슬릿(132) 내로의 진입은 억제된다(도 4h의 상태).
사용자가 개폐 부재를 계속 누르게 되면, 즉 가이드 플레이트(100)가 계속 상향 이동되어 제 2 핀(20)의 제 1 가이드 슬릿(131) 내로 완전히 진입하면, 플레이트 스프링(30)은 초기 상태로 복귀(도 4i의 상태)하며, 이후 개폐 부재가 완전히 닫힘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100)와 제 2 핀(20)은 도 4a에 도시된 관계로 복귀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3)

  1.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차량용 개폐 부재 지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개폐 부재에 고정된 제 1 핀;
    제 1 종단부가 제 1 핀을 통하여 개폐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가이드 슬릿 및 제 1 가이드 슬릿의 종단과 연결된 상태로 제 1 가이드 슬릿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 2 가이드 슬릿으로 구분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차체에 고정되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 내에 위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회전)을 안내하는 제 2 핀;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 2 가이드 슬릿 내에 한 종단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제 2 핀과의 접촉에 따라 제 2 가이드 슬릿 내로의 제 2 핀의 이동을 제어하는 플레이트 스프링; 및
    제 1 핀에 장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차량용 개폐 부재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2 가이드 슬릿과 연결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 스프링의 단부가 요부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차량용 개폐 부재 지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스프링의 자유단의 표면은 제 2 핀의 표면과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갖고 있어 플레이트 스프링의 자유단의 전체 표면이 제 2 핀의 표면과 접촉하는 스테이 가이드 플레이트형 차량용 개폐 부재 지지 장치.
KR1020110127382A 2011-11-30 2011-11-30 개폐 부재 지지 장치 KR10125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82A KR101251854B1 (ko) 2011-11-30 2011-11-30 개폐 부재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82A KR101251854B1 (ko) 2011-11-30 2011-11-30 개폐 부재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854B1 true KR101251854B1 (ko) 2013-04-10

Family

ID=4844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382A KR101251854B1 (ko) 2011-11-30 2011-11-30 개폐 부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8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417A (ja) * 1991-09-27 1993-04-06 Mazda Motor Corp 開閉体のヒンジ構造
KR970065328A (ko) * 1996-03-27 1997-10-13 김영귀 자동차용 후드 지지 장치
JP2003343154A (ja) 2002-05-24 2003-12-03 Mitsuba Corp 車両用自動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417A (ja) * 1991-09-27 1993-04-06 Mazda Motor Corp 開閉体のヒンジ構造
KR970065328A (ko) * 1996-03-27 1997-10-13 김영귀 자동차용 후드 지지 장치
JP2003343154A (ja) 2002-05-24 2003-12-03 Mitsuba Corp 車両用自動開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680B2 (en) Lid opening device
US8757571B2 (en) Cup holder
EP2081270B1 (en) Power supply unit for slide structure
KR102254464B1 (ko) 잠금구 및 이를 구비하는 팔레트 박스
RU2015140131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KR101251854B1 (ko) 개폐 부재 지지 장치
US20140157674A1 (en) Flap door for vehicle
JP6634630B2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US20210394682A1 (en) Console tray for vehicle having increased capacity
KR10044517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H02122461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イアーのディスク装着装置
JP2006327515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410819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글래스 힌지구조.
JP2016101861A (ja) 箱型車両の外折れ式ドア構造物
JP2007076487A (ja) 車両の開閉装置
JPH11324462A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JP2005198839A (ja) ベッド
JP2622650B2 (ja) 格納式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6755040B2 (ja) パレット用ステー
JPH0513892Y2 (ko)
JP2568449Y2 (ja) 基板搬送装置
JP2005104358A (ja) 容器保持装置
KR100808903B1 (ko) 액츄에이터
JP2537532Y2 (ja) 車両荷箱の天蓋開閉装置
JP2009298180A (ja) 自動車荷室のボード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