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170B1 -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170B1
KR100482170B1 KR10-2003-0017793A KR20030017793A KR100482170B1 KR 100482170 B1 KR100482170 B1 KR 100482170B1 KR 20030017793 A KR20030017793 A KR 20030017793A KR 100482170 B1 KR100482170 B1 KR 10048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spring member
spring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443A (ko
Inventor
다카히코이나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1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Abstract

(과제) 댐퍼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덮개체의 회동속도차를 완화하기 쉽게 하여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덮개체(2)를 상자형 본체(1)의 개구부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27)을 통해서 걸어맞추고, 로크수단(27)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탄지수단인 스프링 유닛(4)의 탄지력에 동반하여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하는 덮개체 개폐기구에 있어서, 탄지수단은, 덮개체(2)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도중위치에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는 제 1 스프링재(40)와, 덮개체(2)를 폐쇄위치에서 도중위치 근방까지 탄지이동시키는 제 2 스프링재(41)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VEHICULAR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덮개체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수납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수납장치(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336335호)는, 덮개체(42)가 상자형 본체(41)의 상측 개구부에 대해서 도 9(a)의 폐쇄위치와 도 9(b)의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된다. 이 덮개체 개폐기구에서는, 덮개체(42)의 양측면에 돌출형성되며 한쪽 편에 2개, 합계 4개의 핀(44a,44b)과, 본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핀(44a,44b)과 끼워맞춰지는 가이드홈(46)과, 덮개체(42)를 2방향으로 반전탄지할 수 있는 토션 스프링(43)과, 본체 양측에 돌출형성된 축부(4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핀(44a)의 돌출단과 끼워맞춰지는 여유홈(45a)이 형성되어있는 회동판(45)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홈(46)은, 그 일단측, 즉 덮개체(42)가 도 9(a)의 폐쇄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대응하는 단측에 분기홈(46a)을 가지고 있다. 토션 스프링(43)은, 일단측이 본체(41)측의 걸림부(47)에 래치되고 타단측이 핀(44a)에 래치되어 있다. 이상의 덮개체 개폐기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덮개체(42)는, 도 9(a)의 폐쇄위치에서 핀(44b)이 가이드홈(46)의 상단에 위치하고 핀(44a)이 분기홈(46a)에 위치하며, 토션 스프링(43)에 의해서 폐쇄방향으로 탄지되어 이 탄지상태로 유지된다.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는, 덮개체(42)를 토션 스프링(4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조작한다. 그러면, 덮개체(42)는, 핀(44b)을 중심으로 소정각 회동하고, 핀(44a)이 분기홈(46a)에서 가이드홈(46)으로 되돌아온 후, 양핀(44a,44b)이 함께 도 9(b)와 같이 가이드홈(46)의 하단측으로 이동한다. 토션 스프링(43)은, 핀(44a)이 분기홈(46a)에서 가이드홈(46)으로 들어오면, 반전하면서 덮개체(42)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킨다.
도 10의 수납장치는, 덮개체(52)가 본체(51)의 상측 개구부에 대해서 도 10(a)의 폐쇄위치와 도 10(b)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되는 점에서 도 9와 동일하며, 덮개체 개폐기구가 다르다. 이 덮개체 개폐기구에서는, 덮개체(52)의 양측에 형성된 핀(54a,54b)과, 본체 양측(55)에 형성되며 핀(54a,54b)과 끼워맞춰지는 가이드홈(56)과, 덮개체(52)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53)과, 덮개체(52)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수단과, 본체측부에 조립된 댐퍼수단(58)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홈(5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분기홈(56a)을 가지고 있다. 코일 스프링(53)은, 일단이 본체(51)측의 걸림부(57)에 래치되고 타단이 핀(54a)에 래치되어, 걸림부(57)와 핀(54a)과의 사이에 인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댐퍼수단(58)은 회전축(58a)을 가지는 로터리식이다. 회전축(58a)에는 암(59)의 일단이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암(59)의 타단은 핀(54b)과 링크결합되어 있다. 이상의 덮개체 개폐기구의 작동에서는 도 9에 대해서 다음의 점이 변경된다. 덮개체(52)는, 도 10(a)의 폐쇄위치에서, 코일 스프링(53)에 의한 개방위치방향으로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로크수단에 의해서 걸어맞춤 되어 있다.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는 그 로크수단을 해제조작한다. 그러면, 덮개체(52)는, 핀(54a)이 도 10(b)와 같이 핀(54b)을 지점으로 하여 분기홈(56a)으로부터 발출되어 가이드홈(56)으로 되돌아온 후, 코일 스프링(53)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된다. 세부적으로는, 덮개체(52)가 도면 중의 구간(a) 동안에는 핀(54b)이 움직이지 않고 핀(54a)만이 움직여서 이 핀(5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계속해서, 댐퍼수단(58)의 암(59)의 회동에 동반하여 제동된 속도로 이동하고, 핀(54a)이 종단에 도달하면 본체(51)의 개구부를 전개 즉 개방위치로 전환한다.
상기 도 9의 덮개체 개폐기구는, 토션 스프링(43)이 덮개체(42)의 개폐위치에 의해서 그 작동방향을 전환하여, 덮개체(42)가 개폐도중에서 폐쇄위치측으로 가까워졌을 때 이 덮개체(42)를 덮개체 폐쇄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고, 개폐도중에서 개방위치측으로 가까워지면 덮개체(42)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킨다. 작동적으로는, 덮개체(42)가 폐쇄위치에서 토션 스프링(43)에 의해서 폐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체(42)를 폐쇄위치로 거는 로크수단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토션 스프링(43)의 작동전환에 동반되는 위화감이나 잡음발생의 우려 등이 있다. 또한 도 9(a)의 상태에서, 덮개체(42)를 토션 스프링(4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위치방향으로 압압조작하여, 토션 스프링(42)의 탄지방향을 반전시켜야만 한다.
이것에 반해, 상기 도 10의 덮개체 개폐기구는, 덮개체(52)가 로크수단의 해제조작만으로 코일 스프링(53)의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역으로,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의 전환에서는 덮개체(52)가 코일 스프링(5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즉 코일 스프링(53)에 탄지력을 쌓으면서(스프링차지) 회동 조작된다. 작동적으로는, 코일 스프링(53)이 덮개체 폐쇄위치에서 최대의 스프링차지가 되기 때문에, 걸림력이 큰 로크수단을 필요로 하거나, 덮개체(52)가 걸림해제되어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하는 초기단계에서 가장 급속으로 회동하거나, 개방위치에 이르는 동안의 회동속도차가 커진다. 댐퍼수단(58)은, 그 제동작용에 의해서 상기 회동속도차를 완화하는 것이지만, 조립 공수나 경비증가, 나아가서는 중량증가의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각 덮개체 개폐기구는 일장일단이 있어, 전환조작성 및 전환작동을 아직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그 목적은, 덮개체가 폐쇄위치의 로크수단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개방위치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탄지이동되는 타입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댐퍼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덮개체의 회동속도차를 완화하기 쉽도록 하여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탄지수단에 설정되는 최대의 스프링차지를 적게 하여 로크수단의 간소화 등도 도모하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의 예로 특정하면, 덮개체(2)를, 상자형 본체(1)의 개구부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27)을 통해서 걸어맞추고, 상기 로크수단(27)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탄지수단인 스프링 유닛(4)의 탄지력에 동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하는 덮개체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덮개체(2)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도중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는 제 1 스프링재(40)와, 상기 덮개체(2)를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중위치 근방까지 탄지이동시키는 제 2 스프링재(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덮개체측의 제 1 핀(24a) 및 제 2 핀(24b)을, 상자형 본체측의 가이드홈(17)에 끼워맞춰고, 이 가이드홈을 따른 이동을 통해서, 상기 덮개체(2)를, 상기 본체(1)의 개구부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27)을 통해서 걸어맞추고, 상기 로크수단(27)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탄지수단인 스프링 유닛(4)의 탄지력에 동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하는 덮개체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덮개체(2)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도중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는 제 1 스프링재(40)와, 상기 덮개체(2)를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중위치 근방까지 탄지이동시키는 제 2 스프링재(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각 발명은, 덮개체(2)가 제 1, 제 2핀(24a,24b)과 가이드홈(17)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이동되는지의 여부의 점에서 상이하지만, 요부인 덮개체 개폐기구는 동일하다. 즉, 각 발명의 덮개체 개폐기구는, 덮개체(2)가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27)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제 2 스프링재(41)에 의해서 도중위치까지 회동되고, 그 이후는 제 1 스프링재(40)에 의해서 개방위치까지 회동된다. 폐쇄할 때는, 덮개체(2)가 제 1 스프링재(4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제 1 스프링재를 스프링차지하면서) 도중위치 부근까지 회동조작되고, 이후는 제 2 스프링재(4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제 2 스프링재를 스프링차지하면서) 폐쇄위치까지 회동조작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서는, 덮개체(2)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까지 회동하는데 요구되는 탄지력 또는 스프링차지력을, 제 1 스프링재(40)의 탄지력(스프링차지력)과, 제 2 스프링재(41)의 탄지력(스프링차지력)으로 나눔으로써, 종래의 단일 스프링재로 구성한 것에 반해 덮개체(2)가 걸어맞춤해제되어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되는 초기단계에서의 급속회동을 억제하거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에 이르는 사이의 회동속도의 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로크수단(27)이 덮개체측에 걸어맞춤돌기(28a)를 가지며, 이 걸어맞춤돌기(28a)를 본체측의 걸림부(16a)에 걸리도록 한 경우에는, 덮개체(2)를 폐쇄위치방향으로 회동조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최초에는 제 1 스프링재(4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도중위치에서 제 2 스프링재(4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하도록 회동저항이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회동저항이 바뀔 때를 감지하여, 예를 들면, 걸어맞춤돌기(28a)가 걸림부(16a)에 격돌되지 않도록 덮개체(2)의 회동조작력을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덮개체(2)는, 회동전환이 제 1핀, 제 2핀-축과 동일-(24a,24b)과 끼워맞춰져 있는 가이드홈(17)(형태예와 같이 원호홈 및 이 원호홈의 일부에서 연장되된 분기홈(17a)으로 구성되어 있다)의 궤적을 따라서 이루어지는 타입으로, 도 9나 도 10의 종래예와 동일한 덮개체(2)의 움직임을 실현한다. 이 경우, 제 2 핀(24b)은, 예를 들면, 덮개체(2)가 도 8의 폐쇄위치에서 폐쇄방향으로 다시 눌리면 분기홈(17a)에서 가이드홈(17)으로 들어간다. 그 때는, 제 1 핀(24a)이 상대적인 위치관계에서 부하를 받지만, 이 부하는 제 2 핀(24b)이 가이드홈(17)에 완전히 들어 갔을 때 해방된다. 탄지수단인 스프링 유닛(4)과의 관계에서는, 덮개체(2)가 제 2 스프링재(41)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도중위치(예를 들면, 도 7의 실선위치)까지 탄지이동되고, 이후는 제 1 스프링재(40)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연속해서 탄지이동된다.
이상의 각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청구항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측면(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덮개체(2)에 형성된 암(23)과 작동연결되어 있는 링크(3)를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재(40)의 작동단(43a)을 상기 링크(3)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34)에 걸어맞추고, 상기 제 2 스프링재(41)의 작동단(44a)을 상기 암(23)의 대응부에 맞닿음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링크(3)는, 기단측이 측면(13)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이 암(23)의 대응부와 요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덮개체(2)를 가이드홈(17)의 궤적을 따라서 안정된 움직임이 되도록 지지하도록 하며, 탄지수단인 스프링 유닛(4)의 작동을 암(23){덮개체(2)}에 대해서 링크(3)를 통해서, 또는 직접 작동연결하기 쉽게 한다.
(청구항 3, 청구항 6) 상기 제 1 스프링재(40) 및 제 2 스프링재(41)가 연속하여 연결부(42)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재(40) 및 제 2 스프링재(41)의 단부측에 상기 작동단(43a,44a)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 1 스프링재(40)와 제 2 스프링재(4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의 저감과 더불어, 부품관리 및 취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7) 본 청구항은, 형태예의 수납장치예를 특정함으로써 이상의 덮개체 개폐기구의 작동 또는 이점을 명백하게 한 것이다. 「약 90도 회동」이란, 덮개체(2)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개방위치와, 상하 또는 상하 비스듬히 배치되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전환된다는 의미이다. 단, 상기 덮개체 개폐기구를 적용하는 수납장치로서는, 종래예와 같이, 덮개체가 상하로 배치되는 개방위치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전환되는 타입이라도 지장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납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수납장치의 개략 외관도로서, (a)는 정면측에서 본 도면, (b)는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수납장치의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분해도이다. 도 3은 수납장치의 측면도로서, (a)는 덮개체의 폐쇄위치, (b)는 덮개체의 개방위치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자형 본체 및 탄지수단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본체의 정면도, (b)는 본체의 측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탄지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덮개체{심재(芯材)측}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이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덮개체 개폐기구의 모식작동도로서, 각 도의 (a)는 링크를 생략한 측면도, 각 도의 (b)는 가이드홈과 핀의 관계도이다. 이하, 전체의 개요, 구성부재, 조립, 작동순으로 상술한다.
(전체의 개요) 형태예의 수납장치는, 상자형 본체(1)가 정면 또는 전면측에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가 덮개체(2)에 의해서 개폐된다. 용도는, 차실내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차폭 대략 중간위치에 형성된 오목소)에 장비되는 것으로 하여 개발된 것이다. 단, 설치개소로서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이외라도 좋고, 또 센터 콘솔 등의 일부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자형 본체(1)는, 덮개체(2)에 대응한 개구부 및 후술하는 링크(3) 등의 배치개소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내부 및 외관적으로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변형된다. 본체(1)의 개구부는, 덮개체(2)의 회동전환작동에 의해서 개폐된다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다면,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상자형 본체의 상측에 설정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따라서, 덮개체(2)는, 본체(1)의 개구부에 대해서 본 형태와 같이 폐쇄위치에서 대략 상하방향, 개방위치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뿐 아니라, 도 9등과 같이 폐쇄위치에서 대략 수평방향, 개방위치에서 대략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라도 좋다. 즉, 덮개체(2)로서는, 본체(1)의 개구부에 대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되는 것이 대상이 된다. 그리고, 덮개체 개폐기구는, 본체(1)의 개구부에 대해서 덮개체(2)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것으로, 덮개체(2)의 암(23), 링크(3), 탄지수단으로서의 스프링 유닛(4), 로크수단(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질적으로는 본체(1)와 덮개체(2) 및 링크(3)가 모두 수지 성형품이다.
(본체와 스프링 유닛) 우선, 본체(1)와 스프링 유닛(4)의 관계를 설명한다. 상자형 본체(1)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내부가 배면(10), 저면(11), 전측을 결여시킨 상면(12), 양측면(13)으로 구획되며, 앞쪽에 개구부를 갖는 용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면(12)은, 앞측이 상기한 설치개소와의 관계에 의해서 크게 결여되어, 위에서 보면 저면(11)의 대부분이 보인다. 양측면(13)에는,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전측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턱형상의 횡플랜지부(14), 내외로 관통된 가이드홈(17),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용 대축부(18) 및 소축부(19)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11)에는, 양측의 횡플랜지부(14)의 아랫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하측플랜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0a는 배면(10)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돌기로서, 본체(1)를 설치개소의 오목소 내에 조립할 때에 이용된다. 부호 14a는 횡플랜지부(14)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부착용 클립으로, 본체(1)를 상기 오목소에 간단하게 부착가능하게 한다.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14)에는, 상하관통 그리고 전후로 연장되는 장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5)은, 덮개체(2)의 암(23)을 위에서 측면(13)의 외측에 요동가능하게 끼워서 통과시키는 크기로 되어 있다. 하측플랜지부(16)는, 폭의 중간부가 패여 있다. 이 패임부에는 전후로 관통된 걸림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7)은, 본체(1)의 배면측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는 내외를 관통시킨 원호홈으로 형성되며, 이 원호홈의 일부에서 연장된 분기홈(17a)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홈(원호홈)(17)은 본홈으로, 덮개체(2)의 개략적인 회동궤적을 확정한다. 분기홈(17a)은 가이드홈(17)(원호홈)의 하단의 약간 앞쪽에 위치하며, 가이드홈(17)에 의한 덮개체(2)의 회동궤적을 미세조정 또는 변위가능하게 한다. 대축부(18)는, 외경통(外徑筒)(18a) 및 이 외경통(18a)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내경통(內徑筒)(18b)으로 이루어진다. 내경통(18b)은, 외경이 링크용 추축이며 내측구멍이 태핑용이다. 외경통(18a) 및 소축부(19)에는 스프링 유닛(4)의 대응부가 지지된다. 또한, 가이드홈(17)의 가장자리부 및 그 둘레부, 대축부(18)와 소축부(19)의 사이에는 리브(13a)가 돌출형성되어, 링크(3)가 상기 리브(13a)와 선접촉하여 요동변위하기 쉬워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대축부(18) 및 소축부(19)에는 스프링 유닛(4)이 조립된다. 이 스프링 유닛(4)은, 도 2 및 도 4(d)와 같이 제 1 스프링재(40)와 제 2 스프링재(41) 양자를 선재로 된 연결부(42)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코일스프링 상태로 된 제 1 스프링재(40)는, 감김부의 지름이 대축부(18)에 대응하고 있음과 아울러, 감김부에서 인출된 직선부(43)의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린 작동단(43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 상태로 된 제 스프링재(41)는, 감김부의 지름이 소축부(19)에 대응하고 있음과 아울러, 감김부에서 인출된 직선부(44)의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린 작동단(44a)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스프링 유닛(4)은, 제 1 스프링재(40)가 대축부(18)의 외경에 끼워맞춤되며, 제 2 스프링재(41)가 소축부(19)의 외경에 끼워맞춤되어 배치된 상태로 지지된다. 지지상태에서는, 양 작동단(43a,44a)이 같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덮개체와 링크) 덮개체(2)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본체(1)의 전측 개구부를 막는 크기로 설정되며, 하측의 덮개체 본체(이하, 심재라 약칭한다)(20)와, 심재(20)에 장착되어 있는 장식용 커버(21)로 이루어지며, 앞쪽의 폭 중간부(22)에 부착된 로크수단(27)을 가지고 있다. 심재(20)에는, 전후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부착구멍(20a) 및 걸어맞춤구멍(20b), 상기 중간부(22)에 대응한 로크용 배치부(22a) 및 여유홈(22b), 양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암(23), 중앙에 위치하며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규제리브(25a)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1)는, 심재(20)에 대해서 걸어맞춤구멍(20b)과의 걸어맞춤 및 부착구멍(20a)을 통한 나사고정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양 암(23)은, 대향 내면에 제 1 핀(24a) 및 제 2 핀(24b)을 돌출형성하고 있다. 제 1핀, 제 2핀(24a,24b)은 거의 같은 치수이며, 상기 가이드홈(17) 및 분기홈(17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각 암(23)의 외측에는 링크(3)와 접속되는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수단(27)은, 도 5(c)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22){로크용 배치부(22a)}에 대해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빠짐방지 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이스(28)와, 이 베이스(28)를 상기 도면의 하측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29)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28)에는, 배면측에 돌출된 걸어맞춤돌기(28a)와 표면측에 돌출된 조작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돌기(28a)는, 선단이 돌조(단면을 경사지게 한 돌조)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6a)의 구멍에 대해서 걸림 및 걸림해제된다. 조작부(28b)는, 도 2 등과 같이 중간부(22)에 수납되는 조작레버이다. 그리고, 이상의 로크수단(27)은, 통상, 걸어맞춤돌기(28a)가 코일 스프링(29)에 의해서 탄지이동된 베이스(28)를 통해서 걸림위치{걸림부(16a)의 구멍에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다. 이 걸어맞춤은, 조작부(28b)의 압압조작, 즉 베이스(28)를 코일 스프링(2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움직이게 하면, 걸어맞춤 해제위치(걸림부(16a)의 구멍에서 발출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로크구조는 간이하지만, 로크수단으로서는 이것 이외라도 좋다. 일례로서는, 일본국 특허출원 2001-12455호에 기재된 푸시푸시 걸림기구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 본체(1)측에는 걸림부(16a)를 대신해서 상기 푸시푸시 걸림기구가 배치된다. 덮개체측 로크용 배치부(22a)에는 걸어맞춤돌기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돌기는, 덮개체(2)의 폐쇄방향으로의 회동이나 압압력에 의해서 푸시푸시 걸림기구에 걸어맞춰져 덮개체(2)를 폐쇄위치로 유지하고, 이 폐쇄위치에서 덮개체 폐쇄방향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링크(3)는, 도 2와 같이 2개 사용되며, 각 암(23)과 대응하는 대축부(18)와의 사이에 개재된다. 본 예에서는, 각 링크(3)를 공통화할 수 있도록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즉, 링크(3)는, 개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을 이루며, 대축부(18)에 대응하는 기부(30)를 판부(31)의 일단측에 형성하고 있다. 기부(30)에는, 대축부(18)의 내경통(18b)를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통형상부(32)와, 나사머리를 받아들이는 패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판부(31)에는, 양측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구멍(34)과, 상기 오목부(26)와 끼워맞춰지는 볼록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 이상의 덮개체(2)는, 본체(1)에 대해서, 각 암(23)이 본체(1)의 대응하는 장공(15)에 끼워져 통과되어 양 측면(13)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때, 제 1,제 2핀(24a,24b)이 측면(13)의 가이드홈(17)에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끼워맞춤된다. 이어서, 스프링 유닛(4)이 상술한 요령에 의해서 조립된 후, 덮개체(2)의 암(23)과 대축부(18)의 사이가 링크(3)에 의해서 연결된다. 링크(3)는, 스프링 유닛(4)을 위에서 덮듯이 하여 볼록부(35)를 오목부(26)에 끼워맞춘다. 링크(3)는, 이 끼워맞춤을 유지하면서 기부(30)의 통형상부(32) 내에 내경통(18b)이 삽입되도록 대축부(18)에 배치되는 동시에, 스프링 유닛(4)을 구성하고 있는 제 1 스프링재(40)의 작동단(43a)을 대응하는 일측의 걸어맞춤구멍(34)에 래치시킨다. 그 후, 링크(3)는, 도 1과 같이 고정나사(35)를 패임부(33)에서 내경통(18b)에 나사넣기함으로써 부착된다. 이 부착에 의해서 수납장치로서 완성된다. 조립상태에서는, 링크(3)가 내경통(18b)을 회동지점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고, 암(23){덮개체(2)}이 링크(3)와 대략 연동하여 요동된다. 그리고, 스프링 유닛(4)은, 예를 들면, 제 1 스프링재(40)가 작동단(43a) 및 링크(3) 및 암(23)을 통해서 덮개체(2)에 작용한다. 작동단(43a,44a)의 탄지력 또는 스프링차지력로서는, 제 1 스프링재(40)가 덮개체(2)를 링크(3)를 통해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도중위치에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고, 제 2 스프링재(41)가 암(23)을 통해서 덮개체(2)를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중위치 근방까지 탄지이동시키도록, 각 직선부(43,44)의 인출각도, 링크(3) 및 암(23)과 각 작동단(43a,44a)의 위치관계 등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다.
(작동) 이어서, 이상의 수납장치에 있어서, 덮개체(2)의 개폐동작을 도 6 내지 도 8에 의해서 개설한다. 우선, 도 6은 덮개체(2)가 개방위치, 즉 본체(1)의 앞쪽 개구부를 전개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2핀(24b)이 가이드홈(17)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제 1핀(24a)이 제 2핀(24b)과 분기홈(17a)의 도중에 있고, 상기한 규제리브(25a)가 본체 상면(12)의 전단에서 위치규제하고, 또한 작동단(43a)이 최소의 탄지력이 되며, 작동단(44a)이 암(23)에서 떨어져 있다. 또한, 덮개체(2)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본체(1)의 수용공간에는 앞쪽 개구부로부터 물품을 출납할 수 있다.
덮개체(2)를 폐쇄위치로 할 때는, 덮개체(2)의 전측을 작동단(43a)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방향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덮개체(2)는, 가이드홈(17)과 제 1, 제 2핀(24a,24b)의 안내작동에 동반하여 도 7의 실선위치까지 회동된다. 이 회동과정에서는, 링크(3)가 대축부(18){내경통(18b)}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이동되고, 또 작동단(43a)이 이 링크(3)를 통해서 탄지력 또는 스프링차지력을 축적한다. 도 7의 실선위치에서는, 제 1핀(24a)이 가이드홈(17)의 하단까지 이동되고, 제 2핀(24b)이 분기홈(17a)의 입구근처로 이동되어 있다. 덮개체(2)를 더욱 압압하면, 덮개체(2)는, 제 1핀(24a)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도면의 실선위치에서 가상선위치로 기운다. 이 때, 암(23)이 작동단(44a)에 맞닿는다. 덮개체(2)가 이 작동단(44a)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가상선위치에서 최종 폐쇄위치로 회동되는 과정에서는, 제 2핀(24b)이 가이드홈(17)으로부터 분기홈(17a)에 진입하고, 또 상기 작동단(44a)이 암(23)을 통해서 탄지력 또는 스프링차지력을 축적한다. 최종단계에서는, 상기한 로크수단(27)이 걸림부(16a)에 걸어맞춰져 도 8의 폐쇄위치로 유지된다. 이 걸어맞춤작동은, 도 5와 도 4의 (c)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상기한 걸어맞춤돌기(28a)가 걸림부(16a)의 구멍 가장자리에 닿고, 이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2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움직여서 걸림부(16a)의 구멍을 통과하고, 이 통과와 동시에 코일 스프링(29)의 탄지력에 의해서 본래의 걸어맞춤위치로 되돌아온다.
덮개체(2)를 다시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는, 상기한 로크수단(27)의 조작부(28b)를 코일 스프링(29)에 저항하여 비걸림위치까지 압압한다. 그러면, 덮개체(2)는, 암(23)을 통해서 상기 작동단(44a)의 탄지력에 의해서 도 7의 상태까지 탄지이동되며(이 과정에서는 도 8(b)와 같이 제 2핀(24b)이 분기홈(17a)에서 가이드홈(17)으로 되돌아온다), 연속해서 링크(3) 및 암(23)을 통해서 작동단(43a)의 탄지력에 의해서 본체(1)의 앞쪽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도 6의 개방위치로 탄지이동된다.
따라서, 이상의 덮개체 개폐기구에서는, 종래와 같이 단일 스프링재로 구성한 것에 비해, 덮개체(2)가 걸어맞춤해제되어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되는 초기단계에서의 급속회동을 억제하거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에 이르는 사이의 회동속도의 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종래의 제동용 댐퍼를 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덮개체(2)를 폐쇄위치방향으로 회동조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최초에는 제 1 스프링재(40){작동단(43a)}의 탄지력(스프링차지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도중위치에서는 제 2 스프링재(41){작동단(44a)}의 탄지력(스프링차지력)에 저항하여 회동하도록 회동저항이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회동저항이 바뀔 때를 감지하고, 예를 들면, 걸어맞춤돌기(28a)가 걸림부(16a)에 격돌되지 않도록 덮개체(2)의 회동조작력을 조정하기 쉽도록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체 개폐기구에서는, 종래와 같이 단일 스프링재로 구성한 것에 비해, 덮개체가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되는 초기단계에서의 급속회동을 억제하거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에 이르는 사이의 회동속도의 차를 적게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종래의 제동용 댐퍼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납장치에서는,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자동적으로 회동전환하는 타입에 있어서, 경비삭감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양호한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2는 상기 수납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주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분해도
도 3은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체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수납장치의 본체 및 탄지수단을 나타내는 세부 구성도
도 5는 상기 수납장치의 덮개체를 나타내는 세부 구성도
도 6은 상기 수납장치에 있어서의 덮개체 개폐기구의 작동도
도 7은 상기 수납장치에 있어서의 덮개체 개폐기구의 작동도
도 8은 상기 수납장치에 있어서의 덮개체 개폐기구의 작동도
도 9는 종래 수납장치 및 덮개체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모식 구성도
도 10은 다른 종래 수납장치 및 덮개체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모식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형 본체(13:측벽, 15:장공, 16a:걸림부)
2 - 덮개체(20:심재, 21:커버, 23:암, 27:로크수단)
3 - 링크(30:기부, 31:판부, 32:통형상부, 34:걸어맞춤구멍)
4 - 스프링 유닛(탄지수단) 17 - 가이드홈(17a:분기홈)
24a - 제 1 핀 24b - 제 2 핀
40 - 제 1 스프링재 41 - 제 2 스프링재43a,44a - 작동단

Claims (7)

  1. 덮개체를, 상자형 본체의 개구부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을 통해서 걸어맞추고, 상기 로크수단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동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하는 덮개체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덮개체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도중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는 제 1 스프링재와,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중위치 근방까지 탄지이동시키는 제 2 스프링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암과 작동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재의 작동단을 상기 링크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추고, 상기 제 2 스프링재의 작동단을 상기 암의 대응부에 맞닿음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재 및 제 2 스프링재는 연결부 양측으로 대칭되게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며, 상기 제 1 스프링재 및 제 2 스프링재의 단부측에 작동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4. 덮개체측의 제 1 핀 및 제 2 핀을, 상자형 본체측의 가이드홈에 끼워맞추고 이 가이드홈을 따른 이동을 통해서, 상기 덮개체를,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을 통해서 걸어맞추고, 상기 로크수단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동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하는 덮개체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덮개체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도중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이동시키는 제 1 스프링재와,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중위치 근방까지 탄지이동시키는 제 2 스프링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암과 작동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가지며, 상기 제 1 스프링재의 작동단을 상기 링크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추고, 상기 제 2 스프링재의 작동단을 상기 암의 대응부에 맞닿음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재 및 제 2 스프링재는 연결부 양측으로 대칭되게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며, 상기 제 1 스프링재 및 제 2 스프링재의 단부측에 작동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체 개폐기구.
  7. 상자형 본체가 개구부를 대략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는 차량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가지며, 상기 덮개체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덮개체 개폐기구에 의해서 대략 90도 회동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KR10-2003-0017793A 2002-07-31 2003-03-21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KR100482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3141 2002-07-31
JP2002223141A JP3935020B2 (ja) 2002-07-31 2002-07-31 リッド開閉機構及び車両用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443A KR20040012443A (ko) 2004-02-11
KR100482170B1 true KR100482170B1 (ko) 2005-04-14

Family

ID=3118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793A KR100482170B1 (ko) 2002-07-31 2003-03-21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25225B2 (ko)
JP (1) JP3935020B2 (ko)
KR (1) KR100482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864B1 (ko) 2007-03-13 2009-04-0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9046B2 (ja) * 2003-07-30 2008-02-20 豊田合成株式会社 収容装置の開閉機構
KR100562576B1 (ko) * 2003-12-18 2006-03-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방형 트레이
DE102004004983B4 (de) * 2004-01-30 2007-02-08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Komponent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die um eine Klappachse klappbar ist und Befestigungselement
JP2005247232A (ja) * 2004-03-08 2005-09-15 Nifco Inc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JP2005296398A (ja) * 2004-04-13 2005-10-27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4280199B2 (ja) * 2004-05-14 2009-06-17 株式会社ニフコ 2部材駆動装置および乗り物用遮蔽体
JP4615269B2 (ja) * 2004-08-18 2011-01-19 株式会社ニフコ 加減速機構及びこの加減速機構を備えた車両用小物入れ
KR100588889B1 (ko) * 2004-08-25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이 구조
US7137659B2 (en) * 2004-09-22 2006-11-21 Lear Corporation Console latch assembly
JP2006182149A (ja) * 2004-12-27 2006-07-13 Inoac Corp 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100418808C (zh) * 2004-12-29 2008-09-17 丰田合成株式会社 储藏装置
JP4672486B2 (ja) * 2005-08-25 2011-04-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のリッド開閉機構
JP4271680B2 (ja) * 2005-10-14 2009-06-0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4169039B2 (ja) * 2006-04-17 2008-10-22 船井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内蔵型テレビジョン、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内蔵型電子機器
US7390045B2 (en) * 2006-06-15 2008-06-24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attaching an article holding assembly to a mounting member in a vehicle
KR101301745B1 (ko) * 2006-06-26 2013-08-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조커버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암레스트
JP4837533B2 (ja) * 2006-11-29 2011-12-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
KR100825402B1 (ko) * 2007-01-26 2008-04-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내입형 개폐장치
JP4969295B2 (ja) * 2007-04-05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蓋体開閉装置
US7731254B2 (en) * 2008-01-09 2010-06-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tor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ssembly with a flush door
DE102008006102B4 (de) * 2008-01-25 2018-11-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hälter zum Einbau in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JP5134457B2 (ja) * 2008-07-01 2013-01-3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収納ボックス
US20100148531A1 (en) * 2008-09-12 2010-06-17 Evans Gregg S Automotive glove box hinge mechanism
DE102009034428B4 (de) * 2009-07-23 2011-03-31 Temtec Fahrzeugtechnik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Verschluss
US20110084511A1 (en) * 2009-10-13 2011-04-14 Evans Gregg S Automotive forward storage bin disappearing tray
JP5554583B2 (ja) * 2010-02-12 2014-07-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FR2976876B1 (fr) * 2011-06-23 2013-11-29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rang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e verrouillage empechant une ouverture involontaire du dispositif
JP5673490B2 (ja) * 2011-10-31 2015-02-18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2014189137A (ja) * 2013-03-27 2014-10-06 Nippon Plast Co Ltd 引き出し装置
JP5936591B2 (ja) * 2013-10-31 2016-06-2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とその組付方法
US9321403B1 (en) * 2015-02-23 2016-04-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verhead console incorporating an interchangeable drop down storage bin
WO2020131712A1 (en) * 2018-12-18 2020-06-25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11817064B (zh) * 2020-08-07 2021-11-09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翻盖装置及插座
TWM611943U (zh) * 2021-02-05 2021-05-11 台灣立訊精密有限公司 轉動機構及其收納裝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326A (en) * 1911-07-10 1912-07-09 Gorham Mfg Company Pocket-receptacle.
US1629747A (en) * 1926-07-02 1927-05-24 Nicholas A Stathes Automatic closure
US2867842A (en) * 1954-06-01 1959-01-13 Admiral Corp Hinge structure for containers
JPS54109241U (ko) * 1978-01-13 1979-08-01
JPS606650U (ja) * 1983-06-22 1985-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設けられる小物収納ボツクス
US4487330A (en) * 1984-01-05 1984-12-11 Square D Company Trim clamp assembly
US4679700A (en) * 1986-10-10 1987-07-14 Tharrington G Robert Self-closing container top
JP2594955Y2 (ja) * 1993-03-15 1999-05-2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の小物収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864B1 (ko) 2007-03-13 2009-04-0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25225B2 (en) 2006-04-11
JP3935020B2 (ja) 2007-06-20
JP2004060385A (ja) 2004-02-26
KR20040012443A (ko) 2004-02-11
US20040020935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170B1 (ko)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JP4754927B2 (ja) プッシュラッチ
JP4376420B2 (ja) 物品支持装置
US5944240A (en) Cup holder
US6003925A (en) Overhead console with drop-down door
US6883680B2 (en) Lid opening device
US4782978A (en) Remotely releasable fuel filler door with controlled opening
JP5429556B2 (ja) 車両用収納装置
EP2537434A1 (en) Compact container with built-in hing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act container with built-in hinge unit
US6000572A (en) Console box
CN113710865B (zh) 用于家具的铰接门的打开和关闭的铰接件
JP3954940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3833575B2 (ja) 開閉蓋
JP3597424B2 (ja) ドア開閉機構
JP200614289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KR10096905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0539005Y2 (ko)
JP3004649B1 (ja) ストッパ―機構付きステ―装置
JP3472150B2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4425077B2 (ja) カップホルダ
KR100520777B1 (ko) 차량의 후드 힌지
KR10034685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장치
JPH08210009A (ja) スライド式ヒンジ
JPS6317118Y2 (ko)
KR100369005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록킹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