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864B1 -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864B1
KR100891864B1 KR1020080015837A KR20080015837A KR100891864B1 KR 100891864 B1 KR100891864 B1 KR 100891864B1 KR 1020080015837 A KR1020080015837 A KR 1020080015837A KR 20080015837 A KR20080015837 A KR 20080015837A KR 100891864 B1 KR100891864 B1 KR 10089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ting member
rotation
coil spring
tor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587A (ko
Inventor
아키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08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회동체를 그 왕동개시위치와 복동개시위치에서 각각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한다.
(해결수단) 회동체(2)의 자세를 그 왕동개시위치(복동종료위치)(a)와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b)에서 각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한 회동제어장치(M)이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동체(2)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고정체(1) 측에 지지된 제 1 회전부재(3)와, 제 1 회전부재(3)의 측방에서 고정체(1)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회전부재(4)를 가지고 있다. 제 1 회전부재(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 2 회전부재(4)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동체(2)가 상기 왕동개시위치(a)와 상기 복동개시위치(b)의 중간회동위치(c)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코일부(52)를 가장 탄성 변형시키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ROTATION CONTROL DEVICE OF ROTOR}
본 발명은 회동체의 자세를 그 왕동(往動)개시위치(=복동종료위치)와 복동(復動)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에서 각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양 위치의 중간회동위치를 넘었을 때에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회동체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회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덮개에 가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반전됨으로써, 이 스프링에 의해서 덮개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각각 눌러 유지하도록 한 덮개개폐장치가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덮개개폐장치에서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인 중간회동위치에서 스프링(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양단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는 이것보다 넓어지게 되도록 덮개 측과 박스 측에 스프링이 가설되어 있다. 상기 중간회동위치에서는 스프링의 양단과 덮개의 회동중심이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덮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도 개방하는 방향으로 도 작용하지 않게 된다(이른바 데드 포인트).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공평 5-4446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회동제어장치 내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탄성력이 비교적 작은 소형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회동체를 그 왕동개시위치와 복동개시위치에서 각각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 위치의 중간회동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를 이하의 ①∼④의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① 회동체의 자세를 그 왕동개시위치(복동종료위치)와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에서 각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한 회동제어장치로서,
②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단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동체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고정체 측에 지지된 제 1 회전부재와,
③ 제 1 회전부재의 측방에서 고정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타단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회전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④ 제 1 회전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 2 회전부재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동체가 상기 왕동개시위치와 상기 복동개시위치의 중간회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를 가장 탄성 변형시키도록 하고 있다.
회동체가 왕동개시위치에서 왕동종료위치를 향해서 회동(왕동(往動))하거나 또는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에서 복동종료위치(왕동개시위치)를 향해서 회동(복동(復動))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제 2 회전부재(4)도 이것에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단 측의 회전지지개소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타단 측의 회전지지개소와의 사이의 간격을,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단순히 고정체 측에 고정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서 중간회동위치에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회동체가 왕동개시위치 또는 복동개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동체를 왕동 또는 복동시켰을 때에 회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어, 왕동개시위치 및 복동개시위치에 있는 회동체는 중간회동위치를 향해서 일층 회동하기 어렵게 되고, 또 회동체를 왕동 또는 복동 조작시킬 경우에는 강제적인 회동이 시작되는 중간회동위치를 조작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단 또는 타단을, 그 코일부에 끼워져서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축과 제 1 회전부재 또는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회전지지부를 구비한 스프링 홀더를 통해서 제 1 회전부재 또는 제 2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기울기 등을 규제하여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소형으로 구성하면서 제 1 회전부재나 제 2 회전부재에 간섭하지 않도록 양자에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 중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형성된 슬라이드 접촉부에 탄성력에 의해서 항시 눌려 붙여지는 슬라이드 피접촉부를 구비한 누름접촉부재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 접촉부 및 슬라이드 피접촉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가 타방에 형성된 오목부에, 회동체가 왕동개시위치 및 복동개시위치 중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있을 때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끼워지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왕동개시위치 또는 복동개시위치에 회동체가 있는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왕동개시위치에 있는 회동체를 중간회동위치를 향해서 왕동시키려고 한 경우 또는 복동개시위치에 있는 회동체를 중간회동위치를 향해서 복동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회동력에 더하여 상기 오목부에서 돌출부를 빼내는 회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왕동개시위치 또는 복동개시위치에 회동체를 요동되는 일 없이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왕동종료위치를 향해서 회동체를 왕동시킬 경우 또는 복동종료위치를 향해서 회동체를 복동시킬 경우에는, 왕동종료위치 또는 복동종료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 돌출부를 상기 오목부로 끌어들이도록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왕동종료위치 또는 복동종료위치로 확실하게 회동체를 왕동 또는 복동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누름접촉부재를 제 1 회전부재 또는 제 2 회전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이동조정 가능하도록 고정체 측에 조립하여 두면, 누름접촉부재의 고정체 측에 대한 조립위치를 바꿈으로써, 예를 들면, 왕동개시위치 및 복동개시위치에 있어서의 제 2 회전부재의 위치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 2 회전부재의 위치가 바뀌면, 제 1 회전부재에 있어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단의 회전지지개소와 제 2 회전부재에 있어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타단의 회전지지개소의 위치관계도 바뀌게 되므로,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가 가장 탄성 변형되는 회동체의 중간회동위치를 바꿀 수 있다.
또, 이 경우, 누름접촉부재에 고정체 측에 형성된 피조립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제 1 회전부재 또는 제 2 회전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2개소 이상 형성하여 두면, 어느 하나의 조립부를 피조립부에 조립함으로써 누름접촉부재의 고정체 측에 대한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회동제어장치에서는, 회동체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제 1 회전부재와 이것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회전부재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양단의 간격을 그 중간회동위치에서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비틀 림 코일 스프링을 탄성력이 비교적 작은 소형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하는 경우에서도 왕동개시위치 또는 복동개시위치에서 중간회동위치를 향해서 회동체가 회동될 때에 이 회동체에 이 회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강한 저항을 부여할 수 있어, 회동체를 그 왕동개시위치와 복동개시위치에서 각각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회동체의 동작에 이른바 강약을 부여할 수 있고, 또 회동체가 상기 양 위치의 중간회동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도 2 및 도 7은 회동체(2)로서의 리드(20)가 왕동개시위치(복동종료위치)(a)에 있는 상태를 고정체(1)의 일방의 측벽(12) 측에서 본 측면도(도 1)를, 또 고정체(1)의 타방의 측벽(12) 측에서 본 측면도(도 2)를, 또 고정체(1)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도 7)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리드(20)가 중간회동위치(c)에 있는 상태를, 도 4는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b)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회동제어장치(M)를 구성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과 제 2 회전부재(4)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 6은 상기 제 2 회전부재(4)의 슬라이드 접촉부(402)에 누름접촉되는 누름접촉부재(14)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상기 왕동개시위치(a)에 있을 때의 슬라이드 접촉부(402)와 누름접촉부재(14) 의 조립상태를,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리드(20)가 약간 회동되었을 때의 슬라이드 접촉부(402)와 누름접촉부재(14)의 조립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회동제어장치(M)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제어장치(M)는, 고정체(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회동체(2)의 자세를 그 왕동개시위치(복동종료위치)(a)(도 1의 위치)와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b)(도 4의 위치)에서 각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양 위치(a,b)의 중간회동위치(c)(도 3의 위치)를 회동(왕동)에 의해서 넘었을 때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왕동종료위치(b)까지 회동체(2)를 강제적으로 왕동시키고, 또 상기 중간회동위치(c)를 회동(복동)에 의해서 넘었을 때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복동종료위치(a)까지 회동체(2)를 강제적으로 복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제어장치(M)는 각종 물품이나 집기 등에 구비되는 회동체(2), 예를 들면 도어형상, 덮개형상, 암형상의 것 등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각 도면에서는 상기 회동체(2)를, 박스형상을 이루는 고정체(1)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10)를 왕동개시위치(a)에서 폐색하고 또한 복동개시위치(b)에서 완전히 개방하는 리드(20)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기 고정체(1)가 자동차의 실내 장비품으로서의 소품상자로서 기능하고, 리드(20)의 전면이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패널면에 연속하는 의장면이 되도록 고정체(1)의 후부를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 내에 내장되게 부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리드(20)는 왕동개시위치(a)에서 그 전면(21)이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체(1)의 개방부(10)를 폐색하고, 이 왕동개시위치(a)에서 상측으로 회동한 왕동종료위치(복동개시위치)(b)에서는 리드(20)의 회동축(R)의 위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던 리드(20)의 상부를 고정체(1)의 상벽(11)의 외면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상기 리드(20)는 왕동개시위치(a)에 있어서 그 좌우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는 축받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축받이부(22)에 형성된 축구멍(221)을 통해서 회동축(R)을 고정체(1)의 측벽(12)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상기 회동축(R)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리드(20){회동체(2)}를 고정체(1)에 조립하고 있다(도 6).
상기 회동제어장치(M)는 이하의 ①∼③의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① 제 1 회전부재(3)
② 제 2 회전부재(4)
③ 비틀림 코일 스프링(5)
제 1 회전부재(3)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회동체(2)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고정체(1) 측에 지지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리드(20)의 축받이부(22)에는 왕동개시위치(a)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채꼴형상 판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채꼴형상 판부(30)가 제 1 회전부재(3)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부채꼴형상 판부(30)는 원호형상 가장자리부(31)가 후방을 향하도록 하고, 이 원호형상 가장자리부(31)의 반대측이 축받이부(22)에 일체로 연접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부채꼴형상 판부(30)의 원호형상 가장자리부(31)는 래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채꼴형상 판부(30)는 리드(20)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회동축(R)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회전부재(4)는 제 1 회전부재(3)의 측방에서 고정체(1)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2 회전부재(4)는 제 1 회전부재(3)의 후방에 배치되며, 원반형상부(40)와 이 원반형상부(40)에 일체로 연접된 부채꼴형상 판부(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 2 회전부재(4)의 부채꼴형상 판부(41)의 원호형상 가장자리부(411)도 래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회전부재(4)의 부채꼴형상 판부(41)의 원호형상 가장자리부(411)와 제 1 회전부재(3)의 부채꼴형상 판부(30)의 원호형상 가장자리부(31)가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리드(20){회동체(2)}의 회동에 수반하는 제 1 회전부재(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 2 회전부재(4)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2 회전부재(4)의 원반형상부(40)의 중심에 관통형상으로 형성된 축구멍(401)에 고정체(1)의 측벽에서 돌출되는 축돌기부(13)를 끼우고, 이 축돌기부(13)의 돌출단부에 와셔형상 판체(131)를 통해서 고정나사(132)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상기 축돌기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 2 회전부재(4)를 고정체(1)에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제 2 회전부재(4)의 원반형상부(40)에 있어서의 고정체(1)의 측벽(12)을 향하는 측에 슬라이드 접촉부(402)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원반형상부(40)와 측벽(12)과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402)에 항시 눌려 붙여지는 슬라이드 피접촉부(141)를 구비한 누름접촉부재(14)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402)는 돌출부(403)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드(20){회동체(2)}가 상기 왕동개시위치(a)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403)가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에 형성된 오목부(142)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403)는 원반형상부(40)에 있어서의 축구멍(401)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03)의 돌출단부가 슬라이드 접촉부(402)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누름접촉부재(14)는 상기 축돌기부(13)가 내측을 통과하는 링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누름접촉부재(14)에 있어서의 상기 원반형상부(40)를 향하는 측에 환형상을 이루는 슬라이드 피접촉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피접촉부(141)는 높이를 달리하는 2개의 캠면(141a,141b)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양 캠면(141a,141b)의 사이에는 측벽(12) 측에 위치한 낮은 캠면(141b) 측에서 높은 캠면(141a) 측을 향해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141c)이 형성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접촉부재(14)와 고정체(1)의 측벽(12)과의 사이에는 상기 축돌기부(13)의 외측에 감겨지는 상태로 압축 코일 스프링(15)이 개재되어 있으며, 이 압축 코일 스프링(15)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피접촉부(141)가 슬라이드 접촉부(402)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캠면(141a,141b) 중 어느 일방이 돌출부(403)의 돌출단부에 항시 눌려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리드(20)가 왕동개시위치(a)에 있을 때, 돌출부(403)의 슬라이드 접촉부(402)가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의 오목부(142)가 되는 낮은 캠면(141b)에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서 눌려 붙여져 있다(도 8).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리드(20)를 회동(왕동)시키면, 이것에 수반하여 제 2 회전부재(4)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돌출부(403)가 상기 경사면(141c)을 따라서 누르면서 타고 올라감으로써 누름접촉부재(14)가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체(1)의 측벽(12)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후 돌출부(403)는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의 높은 캠면(141a) 상에 올라타게 된다(도 9).
이것에 의해서, 상기 왕동개시위치(a)에 회동체(2)가 있는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왕동개시위치(a)에 있는 회동체(2)를 중간회동위치(c)를 향해서 왕동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회동력에 더하여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의 오목부(142)에서 돌출부(403)를 빼내는 회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왕동개시위치(a)에 회동체(2)를 요동되는 일 없이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복동종료위치(a)를 향해서 회동체(2)를 복동시킬 경우에는 복동종료위치(a)에 이르기 직전에 있어서 돌출부(403)를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의 오목부(142)로 끌어들이도록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복동종료위치(a)로 확실하게 회동체(2)를 복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드(20)를 폐쇄조작할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을 변화시키는 일이 없고, 리드(20)를 개방조작할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을 그 조작의 최초의 단계에서 크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누름접촉부재(14)는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축인 상기 축돌기부(13)를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이동조정 가능하도록 고정체(1) 측에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드 접촉부(402)가 되는 돌출부(403)는 상기 회전축{축돌기부(13)}을 중심으로 한 직경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또한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의 오목부(142)도 직경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또 왕동개시위치(a)에서 돌출부(403)는 오목부(142)에 틈새없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누름접촉부재(14)의 고정체(1) 측에 대한 조립위치를 바꾸면, 슬라이드 피접촉부(141)의 오목부(142)의 위치도 바뀌고, 이것에 의해서 왕동개시위치(a)에 있어서의 제 2 회전부재(4)의 위치도 상기 회전축{축돌기부(13)}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 2 회전부재(4)의 위치가 바뀌면, 제 1 회전부재(3)에 있어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의 회전지지개소(501)와 제 2 회전부재(4)에 있어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의 회전지지개소(511)의 위치관계도 바뀌게 되므로,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코일부(52)가 가장 탄성 변형되는 회동체(2)의 중 간회동위치(c)를 바꿀 수 있다.
누름접촉부재(14)에는 고정체(1) 측에 형성된 피조립부(16)에 조립되는 조립부(143)가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2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고정체(1)의 측벽(12)에는 축돌기부(13)를 내측에 수납하는 슬리브부(17)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슬리브부(17)의 외측에 있어서 직경방향 양측에 이 슬리브부(17)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6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누름접촉부재(14)의 내측에 있어서 그 직경방향 양측 위치에는 각각 상기 리브(161)를 끼워넣고 또한 빼낼 수 있는 절결홈(143a)이 누름접촉부재(14)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3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절결홈(143a)에 리브(161)를 끼워넣음으로써 누름접촉부재(14)의 고정체(1) 측에 대한 조립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리브(161)가 상기 피조립부(16)로서 기능하고, 절결홈(143a)이 상기 조립부(143)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은 회동체(2)가 왕동개시위치(a)와 복동개시위치(b)의 중간회동위치(c)에 있는 상태에서 그 코일부(52)가 가장 탄성 변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은 제 1 회전부재(3)의 부채꼴형상 판부(30)에 형성된 지지구멍(32)에 끼워져서 이 제 1 회전부재(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 단(51)은 그 코일부(52)에 끼워져서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축(60)과 제 2 회전부재(4)에 대한 회전지지부(61)를 구비한 스프링 홀더(6)를 통해서 제 2 회전부재(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6)는 제 2 회전부재(4)의 부채꼴형상 판부(41)에 형성된 축구멍(412)에 끼워지는 축부(62)를 일단의 이면측에 구비하며, 이 축부(62)를 상기 회전지지부(61)로 함과 아울러, 그 타단의 표면측에 상기 지지축(60)을 구비한 좁고 긴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은 스프링 홀더(6)의 일단의 표면측에 형성된 지지구멍(63)에 끼워져 있으며, 이 타단(51)은 스프링 홀더(6)를 통해서 상기 축부(62)의 위치에서 제 2 회전부재(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6)에 의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코일부(52)의 기울기 등을 규제하여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을 소형으로 구성하면서 제 1 회전부재(3)나 제 2 회전부재(4)에 간섭하지 않도록 양자에 조립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2)가 왕동개시위치(a)에 있을 때(도 1),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측의 회전지지개소(501)와 스프링 홀더(6)의 축부(62){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의 회전지지개소(511)}가 모두 제 1 회전부재(3)의 회전중심과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x)의 일방측에, 즉 가상의 직선(x)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므로, 양 회전지지개소(501,511) 사이의 간격은 회동체(2)가 중간회동위치(c)에 있을 때보다 넓고,
회동체(2)가 복동개시위치(b)에 있을 때(도 4),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 단(50) 측의 회전지지개소(501)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의 회전지지개소(511)가 모두 제 1 회전부재(3)의 회전중심과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x)의 타방측, 즉 가상의 직선(x)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므로, 양 회전지지개소(501,511) 사이의 간격은 회동체(2)가 중간회동위치(c)에 있을 때보다 넓고,
회동체(2)가 중간회동위치(c)에 있을 때(도 3),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측의 회전지지개소(501)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의 회전지지개소(511)가 모두 제 1 회전부재(3)의 회전중심과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x) 상에 거의 위치하므로, 양 회전지지개소(501,511) 사이의 간격은 가장 좁게 되도록 되어 있다.
회동체(2)가 왕동개시위치(a)에서 왕동종료위치(b)를 향해서 회동하거나 또는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b)에서 복동종료위치(왕동개시위치)(a)를 향해서 회동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제 1 회전부재(3)가 회전하고, 제 2 회전부재(4)도 이것에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측의 회전지지개소(501)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의 회전지지개소(511)와의 사이의 간격을,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을 단순히 고정체(1) 측에 고정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서 중간회동위치(c)에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간격을 크게 좁힐 수 있다).
이 결과, 회동체(2)가 왕동개시위치(a) 또는 복동개시위치(b)에 있는 상태에서 회동체(2)를 왕동 또는 복동시켰을 때에 회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력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어, 왕동개시위치(a) 및 복동개시위치(b)에 있는 회동체(2)는 중간회동위치(c)를 향해서 일층 회동하기 어렵게 되고, 또 회동체(2)를 왕동 또는 복동 조작시킬 경우에는 강제적인 회동이 시작되는 중간회동위치(c)를 조작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고정체(1)의 좌측 측벽(12)과 리드(2O){회동체(2)}의 좌측 축받이부(22)를 상기한 회동제어장치(M)를 통해서 연계시킴과 아울러, 고정체(1)의 우측 측벽(12)과 리드(20)의 우측 축받이부(22)를 상기한 회동제어장치(M)를 통해서 연계시키고 있다.
도 10은 제 2 회전부재(4)의 부채꼴형상 판부(41)의 원호형상 가장자리부(411)를 래크로 하고, 이것에 맞물리는 피니온(70)을 외단에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고정체(1)의 측벽(12)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자(71)로 이루어지는 댐퍼장치(7)에 의해서,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 즉 제 1 회전부재(3) 또는 리드(20)의 회동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고정자(71) 내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회전자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회전자에 피니온(70)을 통해서 접속된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회동제어장치(M)의 적용예의 측면도
도 2는 회동제어장치(M)의 적용예의 측면도
도 3은 회동제어장치(M)의 적용예의 측면도
도 4는 회동제어장치(M)의 적용예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회동제어장치(M)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회동제어장치(M)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기 회동제어장치(M)의 배면측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리드(20)가 약간 회동되었을 때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다른 구성예의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회동제어장치 1 - 고정체
2 - 회동체 3 - 제 1 회전부재
4 - 제 2 회전부재 5 - 비틀림 코일 스프링
50 - 일단{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
51 - 타단{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
52 - 코일부{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코일부}

Claims (5)

  1. 회동체(2)의 자세를 그 왕동개시위치(복동종료위치)(a)와 복동개시위치(왕동종료위치)(b)에서 각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한 회동제어장치(M)로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동체(2)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고정체(1) 측에 지지된 제 1 회전부재(3)와,
    제 1 회전부재(3)의 측방에서 고정체(1)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타단(51)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회전부재(4)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회전부재(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 2 회전부재(4)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동체(2)가 상기 왕동개시위치(a)와 상기 복동개시위치(b)의 중간회동위치(c)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코일부(52)를 가장 탄성 변형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일단(50) 또는 타단(51)이, 그 코일부(52)에 끼워져서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축(60)과 제 1 회전부재(3) 또는 제 2 회전부재(4)에 대한 회전지지부(61)를 구비한 스프링 홀더(6)를 통해서 제 1 회전부재(3) 또는 제 2 회전부재(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재(3) 및 제 2 회전부재(4) 중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형성된 슬라이드 접촉부(402)에 탄성력에 의해서 항시 눌려 붙여지는 슬라이드 피접촉부(141)를 구비한 누름접촉부재(14)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 접촉부(402) 및 슬라이드 피접촉부(141)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403)가 타방에 형성된 오목부(142)에, 회동체(2)가 왕동개시위치(a) 및 복동개시위치(b) 중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있을 때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름접촉부재(14)가 제 1 회전부재(3) 또는 제 2 회전부재(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이동조정 가능하도록 고정체 측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접촉부재(14)에는 고정체(1) 측에 형성된 피조립부(16)에 조립되는 조립부(143)가 제 1 회전부재(3) 또는 제 2 회전부재(4)의 회 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2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KR1020080015837A 2007-03-13 2008-02-21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KR100891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63585 2007-03-13
JP2007063585A JP4820316B2 (ja) 2007-03-13 2007-03-13 回動体の回動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587A KR20080084587A (ko) 2008-09-19
KR100891864B1 true KR100891864B1 (ko) 2009-04-08

Family

ID=3975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37A KR100891864B1 (ko) 2007-03-13 2008-02-21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07505B2 (ko)
JP (1) JP4820316B2 (ko)
KR (1) KR100891864B1 (ko)
CN (1) CN101663452B (ko)
TW (1) TW200844319A (ko)
WO (1) WO2008111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4151B2 (ja) * 2008-09-30 2013-08-07 株式会社ニフコ 移動体の作動機構
JP5029918B2 (ja) * 2008-12-26 2012-09-19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容器
JP5965166B2 (ja) *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
JP5936591B2 (ja) * 2013-10-31 2016-06-2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とその組付方法
US9321403B1 (en) * 2015-02-23 2016-04-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verhead console incorporating an interchangeable drop down storage bin
US10066431B2 (en) * 2016-03-30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lows spring damper
US10718145B2 (en) * 2016-12-14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iscous damper with integral sp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434A (ja) 2002-04-09 2003-10-21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KR100482170B1 (ko) 2002-07-31 2005-04-1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KR100665793B1 (ko) 2004-08-18 2007-01-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감속기구 및 상기 가감속기구를 구비한 차량용 소품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9241U (ko) * 1978-01-13 1979-08-01
JPS5630402U (ko) * 1979-08-09 1981-03-24
JPS6028809B2 (ja) * 1979-08-21 1985-07-06 日本原子力研究所 イブプロフエン徐放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S61212098A (ja) * 1985-03-16 1986-09-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の扉開閉装置
JPH0544461Y2 (ko) * 1985-07-29 1993-11-11
JPH0544461U (ja) 1991-11-22 1993-06-15 利彰 松本 オイルクリーナー レンチ
JP3290551B2 (ja) * 1994-12-02 2002-06-10 株式会社ニフコ 蓋体開閉支持機構およびカップホルダ
JP4362669B2 (ja) 1999-12-16 2009-11-11 株式会社ニフコ 蓋体のヒンジ構造
JP2002012084A (ja) * 2000-07-03 2002-01-15 Nifco Inc 蓋体開閉支持機構
JP3833925B2 (ja) *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TW589434B (en) * 2002-11-13 2004-06-01 Salice Arturo Spa Hinge
US6926332B2 (en) * 2003-12-20 2005-08-09 Lear Corporation Articulating storage compartment
JP4619037B2 (ja) 2004-02-20 2011-01-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機構
TWI262242B (en) * 2004-05-11 2006-09-21 Nifco Inc Cap opening/closing mechanism
JP4579777B2 (ja) 2005-06-22 2010-11-10 株式会社ニフコ 反転ばね装置、又は反転ばね装置を用いた小物入れ
JP4672486B2 (ja) * 2005-08-25 2011-04-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のリッド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434A (ja) 2002-04-09 2003-10-21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KR100482170B1 (ko) 2002-07-31 2005-04-1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KR100665793B1 (ko) 2004-08-18 2007-01-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감속기구 및 상기 가감속기구를 구비한 차량용 소품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7505B2 (en) 2012-11-13
WO2008111565A1 (ja) 2008-09-18
CN101663452B (zh) 2012-11-21
US20100101046A1 (en) 2010-04-29
CN101663452A (zh) 2010-03-03
JP2008223344A (ja) 2008-09-25
KR20080084587A (ko) 2008-09-19
TW200844319A (en) 2008-11-16
JP4820316B2 (ja)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864B1 (ko) 회동체의 회동제어장치
US5996132A (en) Compound torque hinge
JP4308254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JP2004533583A5 (ko)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KR20020062270A (ko)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KR19980070776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JP2009113585A (ja) ワイパアーム及び車両用ワイパ
KR100431073B1 (ko) 도어 힌지
WO2016129540A1 (ja) 流体ダンパ装置、駆動装置、およびダンパ付き機器
KR0151508B1 (ko) 회전댐퍼
CN110972496B (zh) 遥控器及其操作杆收容结构
JPH0719277A (ja) 有限角回転ダンピング装置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KR10076985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장치
JP2007085469A (ja) ヒンジ機構
KR200353076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272856Y1 (ko) 도어 힌지
KR20050055034A (ko) 힌지 장치
JP3100131U (ja) ヒンジ
KR10053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중 힌지구조
KR200367712Y1 (ko) 회전 가능한 뚜껑을 가진 콤팩트 케이스
CN2689660Y (zh) 移动电话铰链
KR20080005650A (ko) 휴대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 클릭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