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545Y1 -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545Y1
KR200426545Y1 KR2020060017370U KR20060017370U KR200426545Y1 KR 200426545 Y1 KR200426545 Y1 KR 200426545Y1 KR 2020060017370 U KR2020060017370 U KR 2020060017370U KR 20060017370 U KR20060017370 U KR 20060017370U KR 200426545 Y1 KR200426545 Y1 KR 200426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line
coupled
groo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to KR2020060017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5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05B63/00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for different door thick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형 손잡이를 갖는 도어록(Cylindrical Lever Lock)에 관한 것으로, 바디 앗세이 양측에 레버를 따라 회전하는 스플라인을 설치하고, 상기 스플라인 외주 부분에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스플라인 결합시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어 두께를 감안하여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폭을 조정할 때 이들의 흔들림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레버의 처짐이나 스핀들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로테이션스프링을 게재시켜 레버의 원할한 동작과 내구력이 보다 향상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어록, 스플라인, 로테이션스프링, 레버, 스프링 캠, 유격, 스핀들, 도어

Description

도어록{DOOR LOCK}
도 1 : 본 고안 도어록의 일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서 얇은 문에 도어록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서 두꺼운 문에 도어록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 본 고안 도어록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 본 고안 스플라인과 스프링 캠의 결합 전 사시도.
도 6 : 본 고안 내측 부착판의 사시도.
도 7 : 본 고안 외측 부착판의 사시도.
도 8 : 본 고안에서 레버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9 : 본 고안에서 레버를 하부로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0 : 본 고안에서 레버를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1 : 본 고안에서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2 : 본 고안에서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3 : 본 고안에서 플레이트 서포트의 커버 부분 단면도.
도 14 : 본 고안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어록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스핀들 (3)--바디 앗세이
(4)--래치 (5)(6)--레버
(5a)(6a)--결합부 (5b)(5c)(6b)(6c)--요입부
(7)(8)(7a)(8a)--플레이트 서포트 (7b)(8b)--플레이트 서포트 커버
(7c)(8c)--플레이트 서포트 본체 (25)(42)--스토퍼
(9)--키 앗세이 (10)--폴 앗세이
(11)(12)--로테이션스프링 (11a)(11b)--로테이션스프링의 걸림단부
(13)(14)--스플라인 (15)(16)--스프링 캠
(17)(18)--스프링 커버
(17a)(18a)(31)(37)(55)(56)(57)(60)(61)--구멍
(19)(20)--로즈 플레이트 (21)--스프링실
(22)--보스 (23)--호형홈
(23a)(23b)--지지면 (26)--원형홈
(29)(30)(54)--피스 (32)(53)--고정봉
(33)(39)--걸림턱 (34)--돌기
(35)(45)(62)--결합홈 (36)--돌출부
(38)--개방홈 (40)--걸림홈
(41)--절곡편 (43)(44)--축관부
(44a)--나사부 (46)--단턱홈
(47)(48)(49)(50)(48a)(49a)(49b)(50a)(50b)--돌출부
(51)(52)--부착판 (53a)--요입홈
(59)(64)--절곡부 (WD)(SW)--도어
(t1)(t2)--도어 두께
본 고안은 레버형 손잡이를 갖는 도어록(Cylindrical Lever Lock)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디 앗세이 양측에 레버를 따라 회전하는 스플라인을 설치하고, 상기 스플라인 외주에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스플라인 결합시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어 두께를 감안하여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폭을 조정할 때 흔들림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레버의 처짐이나 스핀들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로테이션스프링을 게재시켜 레버의 원할한 동작과 내구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바디 앗세이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와 레치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바디 앗세이 내ㆍ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무게가 가볍고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는 원형 손잡이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중되어 있고 비교적 무겁지만 조작이 편리한 레버형 손잡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원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 형상이 원형이고(또는 원형에 가깝고), 또한 무게가 가벼운 편이므로 유동이 발생하여 손잡이가 밑으로 처지게 되더라도 미감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반면, 레버형 손잡이를 사용할 경우 레버 자중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항상 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장시간 사용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탄성이 약화되고 또 각 접촉부 및 동작부의 마모로 인하여 손잡이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밑으로 처지면서 미감이 떨어지고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어의 개폐 및 잠금과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록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철재도어는 물론 목재도어에도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공하고, 아울러 아웃샤프트에 보강링과 아웃부착판을 설치하여 도어를 개폐할 때 발생되는 비틀림과 인장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구성한 "도어록 기구의 결합구조"가 실용신안 제20-0383139호(2005. 4. 22. 등록)로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바디 앗세이의 양측에 스프링을 이용한 별도의 수평유지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레버의 작용에 따라 잠김과 풀림이 반복되도록 하여 레버의 처짐없이 수평이 유지되게 구성한 "도어록의 손잡이 수평유지 장치"가 실용신안 제1994-0005307호(1994. 8. 10. 공고)로 공고된 바 있으나, 복잡한 구조여서 조립 및 설치가 어렵고 불편함은 물론, 사용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레버형 손잡이를 갖는 도어록(Cylindrical Lever Lock)의 바디 앗세이 양측에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스플라인 결합시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어 두께에 따라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폭을 조정 할 때 흔들림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레버의 처짐이나 스핀들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 내부에 로테이션스프링을 게재시켜 레버의 처짐과 유격을 방지하고, 원할한 동작과 내구력이 보다 향상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구성할 때, 고가의 아연 및 알미늄과 저가의 스틸(철재)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강도를 유지하면서 무게는 줄이고 제조원가는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디 앗세이 양측에 레버를 따라 회전하는 스플라인을 설치하고, 상기 스플라인 외주에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스플라인 결합시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어 두께에 따른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설치폭(장착폭) 조절이 간편하며, 또한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폭을 조정할 때 흔들림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레버의 처짐이나 스핀들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로테이션스프링을 게재시켜 레버의 처짐을 방지하고 원할한 동작과 내구력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고,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구성할 때, 고가의 아연 및 알미늄으로 제조되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와 저가의 스틸(철재)로 제조되는 커버로 분리 구성하여 전체 강도는 유지하면서 무게는 줄이고 제조원가는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또는 바디 앗세이)를 기준으로 실내에 위치하는 부품(또는 기구물)들은 내측부품으로 표현하고, 실외에 위치하는 부품들은 외측부품으로 표현한다.
본 고안은 바디 앗세이 및 이에 결합되는 래치 앗세이와 키 앗세이, 폴 앗세이 등은 종래 기술과 같거나 대동소이하지만, 도어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그 두께에 맞추어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과, 레버의 비틀림 방지 및 내구력이 향상되는 설치 폭 조절수단과, 내ㆍ외측 부품들을 도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레버의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레버의 처짐과 유격을 방지하는 레버 결합구조와, 레버의 원할한 동작과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게재되는 로테이션스프링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재료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구조에도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도어록(Cylindrical Lever Lock)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로, 내ㆍ외측 스핀들(1)(2)을 구비한 바디 앗세이(3)와, 바디 앗세이(3) 일측에 결합되는 래치(4)와, 상기 내ㆍ외측 스핀들(1)(2)에 각각 결합되는 내ㆍ외측 레버(5)(6) 및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와, 도어(목재 또는 철 등의 재질에 상관없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어) 두께에 따라 설치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에 각각 설치되는 설치폭 조절수단과,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를 도어에 고정하는 체결수단과, 키 앗세이(9)와, 폴 앗세이(10) 및 기타 부분품들로 구성된다.
본 고안 도어록은 상기 설치폭 조절수단에 의해 도 2와 같이 비교적 두께(t1)가 얇은 목재도어(WD)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하거나, 도 3과 같이 상기 목재도어(WD)의 두께(t1) 보다 두꺼운(t2) 철재도어(SD)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 4는 내측 설치폭 조절수단과 내측레버(5)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으로 외측 설치폭 조절수단은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 부분에 한 쌍의 고정봉(32)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이와 대칭되는 구성이므로 도면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설치폭 조절수단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와, 로테이션스프링(11)(12)과, 내ㆍ외측 레버(5)(6)가 각각 결합되는 내ㆍ외측 스플라인(13)(14)과, 내ㆍ외측 스프링 캠(15)(16)과, 내ㆍ외측 스프링 커버(17)(18)와, 내ㆍ외측 로즈 플레이트(19)(20)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는 로테이션스프링(11)(12)이 설치되는 개방형 스프링실(21)과, 상기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양측 걸림단부(11a)(11b)가 호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실(21)의 소정구간에 형성되는 호형홈(23)과,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걸림단부(11a)(11b)가 각각 탄지될 수 있게 상기 호형홈(23)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면(23a)(23b)과, 호형홈(23)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5)와, 스플라인(13)(14)의 일측면이 결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바닥에 형성되는 원형홈(26)과, 상기 원형홈(26)과 스프링실(21)을 격리시켜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원할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원형으로 돌출되는 보스(22)와, 스플라인(13)(14)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스프링 캠(15)(16)과, 로테이션스프링(11)(12)과 스플라인(13)(14)과 스프링 캠(15)(16)이 분리되지 않도록 플레이트 스포트(7)(8)에 부착되는 스프링 커버(17)(18)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를 감싸는 로즈 플레이트(19)(20)로 구성된다.
상기 보스(22)는 원형홈(26)과 스프링실(21)을 격리시키므로 레버(5)(6)가 동작 및 복귀시에 로테이션스프링(11)(12)이 스프링실(21) 내에서 변형없이 원형으로 동작되므로 전체 작동이 부드럽고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와, 로테이션스프링(11)과, 스플라인(13)과, 스프링 캠(15)과, 스프링 커버(17)와, 로즈 플레이트(19)의 중앙부에는 도 4와 같이 스핀들(1)(2)이 헐겁게 끼워질 수 있는 구멍들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의 상하 가장자리부에는 도 1과 같이 길이가 긴 피스(29) 또는 길이가 짧은 피스(30)가 끼워지는 한 쌍의 구멍(31)이 상하로 형성되고,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의 뒷면 상하부에는 바디 앗세이(3)에 끼워지는 고정봉(32)이 돌출 구성된다.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턱(33)이 균등 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3)과 대응하는 로즈 플레이트(19)(20) 부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4)가 형성되어 로즈 플레이트(19)(20)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가 억지 결합된다.
상기에서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바깥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단부(11a)(11b)는 로테이션스프링(11)(12)보다 돌출되는 점을 감안하여 호형홈(23)의 반경은 스프링실(21)의 반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스프링 커버(17)(18)가 끼워지는 결합홈(35)에는 복수 개의 원형 돌출부(36)가 돌출 형성되고, 스프링 커버(17)(18)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36)가 끼워지는 구멍(37)들이 형성되며, 조립후 리벳팅 과정을 거쳐 내ㆍ외측 스프링 커버(17)(18)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내ㆍ외측 스프링 커버(17)(18)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7a)(18a)의 내경은 스플라인(13)(1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가 슬라이드 운동할 때 스플라인(13)(14)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원할히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플라인(13)(14)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개방된 개방홈(38)과, 길이방향 일측 끝부분에 걸림턱(39)이 형성된 걸림홈(40)이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홈(38)(40)들과 대응하는 스프링 캠(15)(16)의 내주면에는 절곡편(41)과 스토퍼(42)가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플라인(13)(14)의 걸림홈(40)에는 상기 스프링 캠(15)(16)의 스토퍼(42)가 결합되며, 스플라인(13)(14)의 개방홈(38)에는 상기 절곡편(41)이 결합되 어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가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스토퍼(42)와 걸림턱(39)에 의해 스플라인(13)(14)과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의 분리가 방지된다.
스플라인(13)(14)의 선단부는 내ㆍ외측 스프링 커버(17)(18)에 형성된 구멍(17a)(18a)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스플라인(13)(14)의 후단부에는 스토퍼(4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절곡편(39)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플라인(13)(14)과 스프링 캠(15)(16)의 분리 또는 이탈이 방지된다. 즉, 스플라인 결합이 유지된다.
바디 앗세이(3)의 양측부에는 스핀들(1)(2)이 축지지되는 내ㆍ외측 축관부(43)(44)가 각각 구성되며, 스플라인(13)(14)의 후단부에는 상기 축관부(43)(44)에 결합되는 결합홈(45)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스플라인(13)(14)의 선단면에는 단턱홈(46)이 형성되어 레버(5)(6)의 결합부(5a)(6a)가 결합되며, 단턱홈(46)의 일측에는 레버(5)(6)에 형성된 요입부(5b)(6b)가 결합되는 돌출부(47)(48)가 형성되고, 돌출부(47)(48)의 상부에는 도 5와 같이 레버(5)(6)의 결합부(5a)(6a)에 형성된 한 쌍의 요입부(5c)(6c)가 결합되는 다른 돌출부(48a)가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5)(6)와 스플라인(13)(14)의 견고한 결합이 달성되며,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레버(5)(6)를 회전시키면 스플라인(13)(14)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캠(15)(16)은 도 5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돌출부(49b)(50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도 8과 같이 지지면(23a)(23b)에 탄지되는 로테이션스프링(11)의 양측 걸림단부(11a)(11b)가 상기 돌출부(49a)(50b)의 일측면에 각각 면접촉된다.
그리고, 스핀들(1)에 결합된 레버(5)와 축관부(43) 사이에 스플라인(13)이 각각 밀착 결합되므로, 레버(5)의 견고한 결합과 비틀림 및 처짐이 방지되고,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즉, 로테이션스프링(11)의 걸림단부(11a)(11b)가 스프링 캠(15)의 양측 돌출부(49b)(50b)에 탄지되어 있으므로 레버(5)의 처짐과 유격 및 비틀림이 방지되며, 또한 스핀들(1)과 스플라인(13)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서 수평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지지면(23a)(23b)에 탄지되고 있는 로테이션스프링(11)의 양측 걸림단부(11a)(11b)는 도 8과 같이 돌출부(49b)(50b)의 일측면에 각각 면접촉되므로, 평소에는 로테이션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5)가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도 9와 같이 손으로 레버(5)를 회전시켜 밑으로 이동시키면 스핀들(1)과 스프링 캠(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호형홈(23)에 위치한 로테이션스프링(11)의 일측 걸림단부(11b)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호운동하게되고, 래치(4)가 래치앗세이 안으로 들어가 도어가 열림상태로 되며, 반대편 돌출부(49b)는 도 9와 같이 스토퍼(25)에 접촉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래치(4)의 개방에 따라 도어를 여는 등,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후 레버(5)를 놓게되면, 로테이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도 8과 같이 스핀들(1)과 스프링 캠(1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호형홈(23)에 위치한 로테이션스프 링(11)의 일측 걸림단부(11b) 역시 시계방향으로 호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래치(4)가 돌출되면서 도어닫힘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0과 같이 손으로 레버(5)를 회전시켜 위로 이동시키면 스핀들(1)과 스프링 캠(1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호형홈(23)에 위치한 로테이션스프링(11)의 타측 걸림단부(11a) 역시 시계방향으로 호운동하면서 래치(4)가 몰입되므로 도어가 열림상태로 되며, 도어를 여는 등,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후 레버(5)를 놓게되면, 로테이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스플라인(13)과 스프링 캠(15)과 레버(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호형홈(23)에 위치한 로테이션스프링(11)의 일측 걸림단부(11a)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호운동하면서 도 8과 같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래치(4)가 돌출되면서 도어닫힘 상태로 된다.
본 고안에서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는 스플라인(13)(14)에 결합되어 도어 두께에 따라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두께를 감안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된다.
상기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의 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바디 앗세이(3) 양측에 결합되는 내측 부착판(51)과, 외측 부착판(52) 및 한 쌍의 체결봉(53)과, 길이가 긴 피스(29)(54)와, 길이가 짧은 피스(30)로 구성된다.
내측 부착판(51)의 중앙부에는 도 6과 같이 내측 축관부(43)가 헐겁게 결합되는 구멍(55)이 형성되며, 구멍(55) 상하부(또는 양측부)에는 피스(54)가 헐겁게 끼워지는 구멍(56)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56)의 외곽부분, 이를테면 내측 부착판(51)의 가장자리 상하부분에 나사구멍(57)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 부분 에는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에 결합되어 회전이 억지되는 결합홈(58)이 형성되고, 결합홈(58)부분에는 도어 구멍에 끼워지는 절곡부(59)가 구비된다.
외측 부착판(52)의 중앙부에는 도 7과 같이 외측 축관부(44)의 나사부(44a)에 체결되는 나사구멍(60)이 형성되고, 나사구멍(60)의 상하부에는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의 고정봉(32)이 결합되는 구멍(61)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61)의 외곽부분, 이를테면 외측 부착판(52)의 가장자리 상하부분에는 고정봉(53)에 형성된 요입홈(53a)이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53)에 형성된 결합홈(62)은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피스(29)를 체결할 때 회전이 방지되며, 도 3과 같이 외측 로즈 플레이트(20)에 의해 덮히는 구조이므로 고정봉(53)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외측 부착판(52)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이 억지되는 결합홈(6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63) 부분에는 도어 구멍에 끼워지는 절곡부(64)가 형성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도어(WD)의 두께(t1)가 얇은 경우 도어(목재도어 등)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바디 앗세이(3)와 래치(4)를 끼운 다음 내측 부착판(51)을 끼우고, 또한 외측 부착판(52)을 체결시켜, 내ㆍ외측 부착판(51)(52)이 도어(WD)에 밀착되게 한 다음 외측 부착판(52)의 구멍(61)에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의 고정봉(32)을 관통시켜 바디 앗세이(3) 내부에 위치하도록 끼운 다음 내측 부착판(51)의 구멍(56)으로 피스(54)를 끼워 고정봉(32)에 체결시키면 내ㆍ외측 부착 판(51)(52)이 도어(WD)에 밀착 고정되며,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의 구멍(31)에 길이가 짧은 피스(30)를 끼워 내측 부착판(51)의 나사구멍(57)에 체결하고, 내ㆍ외측 로즈 플레이트(19)(20)을 억지결합하고, 스핀들(1)(2) 부분에 내ㆍ외측 레버(5)(6)를 결합시켜면 도어록의 견고한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도어의 두께(t2)가 두꺼운 도어(철재도어 등)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바디 앗세이(3)와 래치(4)를 끼운 다음 내측 축관(43)에 내측 부착판(51)을 끼우고, 또한 한 쌍의 고정봉(53)이 끼워진 외측 부착판(52)을 외측 축관부(44)에 체결시켜, 내ㆍ외측 부착판(51)(52)을 도어(SD)에 밀착시키고,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의 구멍(31)에 길이가 긴 피스(29)를 끼운 다음 외측 부착판(52)에 결합된 고정봉(53)에 체결하면 내ㆍ외측 부착판(51)(52)과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가 도어(SD)에 밀착 고정되며,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 외면에 내ㆍ외측 로즈 플레이트(19)(20)를 억지 결합하고, 스핀들(1)(2) 부분에 내ㆍ외측 레버(5)(6)를 결합시켜면 도어록이 도어에 견고히 설치된다.
상기에서 외측 부착판(52)의 구멍(61)에 설치폭 조절수단이 내설된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의 고정봉(32)을 관통시켜 바디 앗세이(3) 내부에 위치하도록 끼운 다음 내측 부착판(51)의 구멍(56)으로 피스(54)를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보조적인 체결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어의 두께가 두껍거나 얇더라도,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8)가 스핀들(1)(2)에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어서 도어록의 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레버(5)(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스프링(11)(12)과, 스플라인(13)(14)에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비틀림이 방지되고, 내구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레버(5)(6)의 수평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처짐이나 유격이 방지된다.
일반적으로 아연 및 알미늄은 철재에 비하여 1㎏당 5배 내지 6배 정도로 고가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고가의 아연이나 알미늄으로 제조되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a)(8a)를 본체(7c)(8c)와 커버(7b)(8b)로 분리 구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되, 재료 소모량이 많은 커버(7b)(8b)는 철재로 제조한 다음 도금처리하고, 본체(7c)(8c)는 아연이나 알미늄 또는 아연합금으로 제조하여 상기 커버(7b)(8b)와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조립되게 구성함으로써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a)(8a)의 전체 무게를 줄이고, 강도는 유지하며, 제조원가는 크게 절감할 수 있게된다.
즉,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아연 또는 알미늄 또는 아연 합금으로 제조되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a)(8a)의 본체(7c)(8c)는 로테이션스프링(11)(12)이 설치되는 개방형 스프링실(21)과, 상기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양측 걸림단부(11a)(11b)가 호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실(21)의 소정구간에 형성되는 호형홈(23)과,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걸림단부(11a)(11b)가 각각 탄지될 수 있게 상기 호형홈(23)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면(23a)(23b)과, 호형홈(23)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5)와, 스플라인(13)(14)의 일측면이 결합되어 이탈하지 않도 록 바닥에 형성되는 원형홈(26)과, 상기 원형홈(26)과 스프링실(21)을 격리시켜 로테이션스프링(11)(12)의 원할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원형으로 돌출되는 보스(22)와, 스플라인(13)(14)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스프링 캠(15)(16)과, 커버(7b)(8b)에 형성된 구멍(37)에 결합되어 리벳팅될 수 있게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돌출부(36)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7a)(8a)의 커버(7b)(8b)는 상기 본체(7c)(8c)가 수납될 수 있게 일측으로 개방된 원형이며, 본체(7c)(8c) 측부에는 상기 돌출부(36)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구멍(37)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는 피스(30)가 결합되는 한 쌍의 구멍(31)이 대칭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레버(5)가 관통할 수 있게 구멍(17a)이 형성되고, 원형 테두리부에는 로즈 플레이트(19)의 돌기(34)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33)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8a)의 본체(8c) 뒷면 상하부에는 바디 앗세이(3)에 끼워지는 고정봉(32)이 돌출 구성된다.
도 14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a)와 내측 설치폭 조절수단과 내측레버(5)를 분해 도시한 것으로,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a)가 본체(7c)와 커버(7b)로 분리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원형홈(26)에 스플라인(13)을 결합하고, 스프링실(21)에 로테이션스프링(11) 및 스플라인 결합된 스프링 캠(15)을 탄지되게 결합하고, 본체(7c) 돌출부(36)에 커버(7b)의 구멍(37) 부분을 각각 결합한 다음 커버(7c) 바깥으로 돌출된 돌출부(36) 끝 부분을 리벳팅하면 본체(7c)와 커버(7b)가 견고히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스플라인(13)과, 로테이션스프링(11)과, 스플라인 결합된 스 플라인(13)과 스프링 캠(15)이 위치하게 되며, 내측 플레이트 서포트(7a)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7a)으로 스핀들(1)을 결합하고, 내측레버(5)를 결합하면 된다.
상기의 경우 고가의 아연 및 알미늄으로 제조되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본체와 저가의 스틸(철재)로 제조되는 커버로 분리 구성되므로 전체 강도는 유지되고, 무게는 가벼워지며 제조원가는 크게 절감할 수 있게된다.
미 설명 부호 (65)는 레버 걸림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디 앗세이 양측에 레버를 따라 회전하는 스플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스플라인 외주에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어서 도어 두께를 감안하여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폭을 조정할 때 흔들림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레버의 처짐이나 스핀들의 뒤틀림이 방지되고, 로테이션스프링에 의해 레버의 원할한 동작과 내구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가의 아연 및 알미늄으로 제조되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 본체와 저가의 스틸(철재)로 제조되는 커버로 분리 구성하여 전체 강도를 유지하면서 무게는 줄이고, 제조원가는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원형 보스에 의해 원형홈과 격리되는 스프링실에 로테이션스프링이 설치되므로 레버가 작동 및 복귀시에 로테이션스프링이 원형으로 동작되므로 전체 작동이 부드러워 로테이션스프링의 이상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등의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도어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 바디 앗세이의 양측 축관부에 레버를 따라 회전하는 스플라인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스플라인 외주에 설치폭 조절수단과 체결수단을 갖는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를 스플라인 결합하여서 된 도어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설치폭 조절수단은,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스프링실에 설치되는 로테이션스프링과, 상기 로테이션스프링 양측 걸림단부가 호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실 소정구간에 형성되는 호형홈과, 상기 로테이션스프링의 양측 걸림단부가 각각 탄지되는 지지면과, 상기 호형홈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플라인의 일측면이 결합되는 원형홈과, 상기 원형홈과 스프링실을 격리시키는 보스와, 상기 스플라인에 결합되는 스프링 캠과, 상기 로테이션스프링과 스플라인과 스프링 캠이 분리되지 않도록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에 리벳팅되는 커버와, 상기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에 결합되는 로즈 플레이트로 구성하여서 된 도어록.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체결수단은 바디 앗세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내측 부착판 및 외측 부착판과, 상기 외측 부착판의 상하 결합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봉과, 외측 플레이트 서포트의 뒷면 상하부에 구성되는 한 쌍의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각각 체결되는 피스로 구성하여서 된 도어록.
  4. 청구항 2에 있어서 ; 스플라인은, 외주면에 교대로 형성되는 개방홈 및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 일측 끝부분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스플라인 선단부에 형성되는 단턱홈과, 상기 단턱홈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요입부와, 스플라인 후단부에 형성되는 축관부 결합홈으로 구성하여서 된 도어록.
  5. 청구항 2에 있어서 ; 스프링 캠은, 스플라인의 개방홈에 결합되는 절곡편과, 스플라인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스토퍼가 교대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 한 쌍의 돌출부가 절곡 형성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 내ㆍ외측 플레이트 서포트는 아연 재질의 본체와 스틸 재질의 커버로 구성하되; 본체는 로테이션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실과, 상기 로테이션스프링의 양측 걸림단부가 호운동할 수 있게 스프링실의 소정구간에 형성되는 호형홈과, 로테이션스프링의 걸림단부가 각각 탄지되는 호형홈의 양측 지지면과, 상기 호형홈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스플라인 일측면이 결합되는 원형홈과, 상기 원형홈과 스프링실을 격리시키는 보스와, 상기 스플라인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스프링 캠과,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가 수납되는 커버는, 본체 돌출부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구멍과, 피스가 결합되는 한 쌍의 구멍과, 레버가 관통할 수 있게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멍과, 로즈 플레이트의 돌기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2020060017370U 2006-06-28 2006-06-28 도어록 KR200426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370U KR200426545Y1 (ko) 2006-06-28 2006-06-28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370U KR200426545Y1 (ko) 2006-06-28 2006-06-28 도어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371A Division KR100773020B1 (ko) 2006-06-28 2006-06-28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545Y1 true KR200426545Y1 (ko) 2006-09-19

Family

ID=4177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370U KR200426545Y1 (ko) 2006-06-28 2006-06-28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5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38B1 (ko) 2008-04-30 2010-09-15 주식회사 동광알파 튜브라 도어록
KR101001523B1 (ko) 2008-06-24 2010-12-15 조창수 실린더리칼 레버록
WO2014004600A1 (en) * 2012-06-27 2014-01-03 Schlage Lock Company Llc Lever droop adjuster for a door latch actu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38B1 (ko) 2008-04-30 2010-09-15 주식회사 동광알파 튜브라 도어록
KR101001523B1 (ko) 2008-06-24 2010-12-15 조창수 실린더리칼 레버록
WO2014004600A1 (en) * 2012-06-27 2014-01-03 Schlage Lock Company Llc Lever droop adjuster for a door latch actuator
US9127484B2 (en) 2012-06-27 2015-09-08 Schlage Lock Company Llc Lever droop adjuster for a door latch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0330C (en) Return spring assembly for a lock mechanism
US8360489B2 (en) Cylindrical lever lock
KR200385680Y1 (ko)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US20070163077A1 (en) Universal magnetic door stopper with an air buffering structure
KR200426545Y1 (ko) 도어록
KR100773020B1 (ko) 도어록
CA2453632C (en) Door handle assembly
KR101001523B1 (ko) 실린더리칼 레버록
KR200205937Y1 (ko) 자동 완충경첩
KR100881291B1 (ko) 장착이 용이한 도어록 구조
KR102623990B1 (ko)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KR200437853Y1 (ko) 상자형 도어록의 데드볼트
WO2017048133A1 (en) A window fastener
KR200461722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KR101770042B1 (ko) 폴딩 도어 손잡이
CN109958325A (zh) 室内推拉门锁
KR101496286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US20050179266A1 (en) Interconnected chassis for a lock set
KR101076556B1 (ko) 창호용 핸들 시스템
GB2088467A (en) Rotary dead bolt
WO2009113756A1 (en) Open and close unit for door
KR100812464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JPH0376980A (ja) 左右両開き扉
KR100896349B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JP2022169040A (ja) ヒンジ及びこのヒンジを具備したヒンジセット並びに建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