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556B1 - 창호용 핸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용 핸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556B1
KR101076556B1 KR1020080003024A KR20080003024A KR101076556B1 KR 101076556 B1 KR101076556 B1 KR 101076556B1 KR 1020080003024 A KR1020080003024 A KR 1020080003024A KR 20080003024 A KR20080003024 A KR 20080003024A KR 101076556 B1 KR101076556 B1 KR 10107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andle
coupling
window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208A (ko
Inventor
국영호
서명하
황적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0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5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에 설치된 창짝의 개/폐에 따른 잠금/해제를 위해 창짝 내부에 설치되는 창짝 하드웨어 내에 볼 베어링 및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창짝 하드웨어에 연결볼트를 설치한 후 이에 창호용 핸들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짝에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설치가 간단하고, 핸들뭉치가 연결볼트 및 창호용 핸들에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핸들뭉치를 창짝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볼트 또는 스크류 등 체결부재의 삭제가 가능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박성이 배제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 또는 디자인적 측면이 향상되고,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가공 및 제작과정의 축소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 및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단품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단품의 운송 및 운반 시 제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시 단품만의 교환 및 교체설치가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03024
창호용 핸들 시스템, 창짝 하드웨어, 연결볼트, 핸들뭉치, 창호용 핸들, 핸들락, 락킹홈

Description

창호용 핸들 시스템{Handle System of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에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간단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창짝에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설치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유지 보수 시 각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구성요소만의 변경 및 교체가 편리하며,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창짝에 핸들뭉치가 설치됨으로써 투박성이 배제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가공 및 제작과정의 축소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 및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의 종류는 개/페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 미서기 창, 여닫이 창, 회전 창, 붙박이 창, 겹창, 기타 특수한 창 등이 있다.
여기서, 미서기 창(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은 일반적으로 창짝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외부 창짝이 사용자 측에 근접 되게 위치하고, 내부 창짝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미서기 창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서기 창(100)의 창틀(110)에 창짝(130)이 설치되되, 상기 창짝(130)은 내부 창짝(131)과 외부 창짝(1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창짝(131)과 외부 창짝(136)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내부 창짝(131) 또는 외부 창짝(136)을 개/폐하기 위한 창호용 핸들(132, 137)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132, 137)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 창짝(131)과 외부 창짝(136)이 창틀(110)에 잠금/해제된다.
이렇게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창짝(103)의 전면 일측에 창호용 핸들(170)이 구비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170)은 연결부재(120)에 의해 창짝(103)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재(120)는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21)에 의해 창짝(103)에 설치되는 구조의 창호용 핸들 시스템(100)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창호용 핸들(170)은 창짝(103) 내부에 설치되는 창짝 하드웨어(11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창호용 핸들(170)을 회전시켜 창짝 하드웨어(110)와 창틀(105) 내부에 설치되는 창틀 하드웨어(미도시)의 연결에 따른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창틀(105)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창짝(103)의 개방 또는 폐쇄에 따라 창틀(105)에 창짝(103)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100)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인 창호용 핸들 시스템(100)은 창짝(103) 전면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창짝 하드웨어(110)와 상기 창짝 하드웨어(110)에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170) 및 상기 창호용 핸들(17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뭉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창짝 하드웨어(110)는 그 중심부에 락킹홈(111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락킹돌기(111b)가 다수개 돌출형성되되,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핸들락(111)과 상기 핸들락(111)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핸들락(1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114)을 갖는 하우징(113) 및 상기 락킹돌기(111b)가 결합되는 결합공(115a)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핸들락(111)의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창틀에 설치되는 창틀 하드웨어(110)에 연결되어 창짝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잠금부재(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창호용 핸들(170)은 상기 창짝 하드웨어(110)에 연결되어 그 회전에 의해 창짝 하드웨어(110)와 창틀 하드웨어(미도시)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창호용 핸들(170)의 단부에 락킹부재(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창호용 핸들(170)의 락킹부재(130)와 상기 핸들락(111)의 락킹홈(111a)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창호용 핸들(170)의 회전 시 상기 락킹부재(120) 및 락킹홈(111a)을 갖는 핸들락(111)이 회전되어 잠금부재(115)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핸들뭉치(150)는 상기 창호용 핸들(170)에 일체로 형성되되, 창 짝(103) 전면 일측에 체결부재(121)에 의해 체결된다. 이렇게 상기 체결부재(121)에 의해 창짝(103)에 설치되는 핸들뭉치(150)에 의해 창호용 핸들(170)이 창짝(103)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핸들 시스템(100)의 결합 및 설치과정은, 먼저 창틀(103)의 전면 일측 내부에 창짝 하드웨어(110)를 설치하고, 상기 창짝 하드웨어(110)의 핸들락(111)에 연결부재(120)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부재(120)에 핸들뭉치(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창호용 핸들(17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창호용 핸들(170)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창호용 핸들(17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는 락킹부재(130)를 연결부재(120)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120)를 핸들락(111)의 락킹홈(111a)에 체결한 후 상기 창호용 핸들(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뭉치(150)를 체결부재(121)에 의해 창짝(103)의 전면에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창호용 핸들 시스템(100)의 구동과정은, 먼저 사용자가 체결부재(121)에 의해 창짝(103)에 설치된 핸들뭉치(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창호용 핸들(170)을 파지한 후 회전시키고, 상기 창호용 핸들(170)의 회전에 따라 이에 대응되게 회전되는 락킹부재(130)가 회전되며, 상기 락킹부재(13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20)가 회전되고, 상기 연결부재(120)가 결합되는 락킹홈(111a)을 갖는 핸들락(111)이 회전되고, 상기 핸들락(111)이 회전됨에 따라 핸들락(111)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락킹돌기(111b)가 상기 잠금부재(115)의 결합공(115a)에 결합되면서 잠금부재(115)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창틀(103)에 설치되는 창틀 하드웨어(110) 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창짝(105)이 창틀에서 잠금이 해재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창짝(103)이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창호용 핸들 시스템은 창호용 핸들과 창틀 하드웨어 및 창호용 핸들과 창짝을 연결하기 위하여 창짝의 외부로 상당부분 돌출형성되는 핸들뭉치를 필요로 하고, 상기 핸들뭉치가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창짝에 체결되는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 및 체결작업 시 핸들뭉치를 체결부재에 의해 창짝에 설치하는 별도의 체결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뭉치가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창짝에 설치되고, 이로 인해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미관적 또는 디자인적 측면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창짝 하드웨어와 창호용 핸들 사이에 별도의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창호용 핸들의 회전을 창짝 하드웨어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호용 핸들 시스템 제작 시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를 제작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제작 비용의 상승 및 구조의 복잡화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창짝의 전면 일측에 체결부재로 설치되는 핸들뭉치가 창호용 핸들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창호 전면에서 외측으로 상당부분 돌출형성되는 등 그 크기 및 부피가 상당하고, 이로 인해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이송 및 운반 시 제품이 손상 또는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창호용 핸들의 회전 후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는 핸들락을 회전시 키기 위하여 창짝 하드웨어의 핸들락 하부에 별도의 스프링(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나, 창호용 핸들의 회전 후 핸들락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에는 미흡하여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파지하여 회전시킨 다음 상기 창호용 핸들의 파지를 해제하였을 때 핸들락 및 이에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잦은 파손 및 손상의 우려가 높으며, 이로 인해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창틀에 설치된 창짝의 개/폐에 따른 잠금/해제를 위해 창짝 내부에 설치되는 창짝 하드웨어 내에 볼 베어링 및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창짝 하드웨어에 연결볼트를 설치한 후 이에 창호용 핸들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짝에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설치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유지 보수 시 각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구성요소만의 변경 및 교체가 편리하며, 핸들뭉치가 연결볼트 및 창호용 핸들에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핸들뭉치를 창짝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볼트 또는 스크류 등 체결부재의 삭제가 가능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박성이 배제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 또는 디자인적 측면이 향상되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호용 핸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핸들락의 외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핸들락의 상부에 구비되되, 하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결합편을 갖는 결합부재 및 상기 핸들락의 일측에 구비되되, 핸들락의 회전 시 잠금부재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 및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창짝 하드웨어; 상기 창짝 하드웨어 하우징의 체결공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 결합부와, 상기 나사 결합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되, 락킹홈에 결합되는 락킹편과, 상기 나사 결합부의 상부 외주연 에 형성되는 고정나사 결합부 및 상기 고정나사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볼트;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판형상체형상의 핸들뭉치; 및 상기 연결볼트의 고정나사 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나사체결되기 위한 고정나사 결합홈과, 상기 볼트 체결부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 체결홈 및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편 단부에 볼 베어링이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볼트의 결합판 하부에 고무재질의 패킹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에 설치된 창짝의 개/폐에 따른 잠금/해제를 위해 창짝 내부에 설치되는 창짝 하드웨어 내에 볼 베어링 및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창짝 하드웨어에 연결볼트를 설치한 후 이에 창호용 핸들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짝에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설치가 간단하고, 핸들뭉치가 연결볼트 및 창호용 핸들에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핸들뭉치를 창짝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볼트 또는 스크류 등 체결부재의 삭제가 가능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박성이 배제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 또는 디자인적 측면이 향상되고,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가공 및 제작과정의 축소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 및 편리성을 추구 할 수 있으며,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단품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단품의 운송 및 운반 시 제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시 단품만의 교환 및 교체설치가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창짝 하드웨어에 연결볼트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연결볼트에 창호용 핸들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이 적용된 창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1)은 창짝 하드웨어(10)와 연결볼트(30)와 핸들 뭉치(50) 및 창호용 핸들(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창짝 하드웨어(10)는 유리가 설치되는 창짝(3)의 전면 일측 내 부에 설치되되, 창짝(3)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상기 창짝(3)에 맞닿는 창틀(5)의 창틀 하드웨어(미도시)와 연결되어 창짝(3)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창짝 하드웨어(10)는 창짝(3)의 전면 일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중심부에 대략 사각형상의 락킹홈(11a)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 일측에 락킹돌기(11b)가 다수개 돌출형성되는 핸들락(11)과 상기 핸들락(11)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핸들락(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중심부에 체결공(1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 내주연에 나사홈(14a)이 형성되는 하우징(13) 및 상기 핸들락(11)에 돌출형성되는 락킹돌기(11b)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5a)이 관통형성되되, 핸들락(11)의 회전 시 상, 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고, 창틀(5)에 설치되는 창틀 하드웨어에 연결되어 창짝(3)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판체형상의 잠금부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락(11)의 외주연 상부에 결합홈(11c)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락(11)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여 결합편(17a)이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17)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7)의 결합편(17a)이 상기 결합홈(11c)에 걸림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핸들락(11)의 외주연 상부에 반원형상의 결합홈(11c)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c)에 걸림결합되도록 핸들락(11)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봉상체형상의 결합편(17a)을 갖는 결합부재(1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c)에 걸림결합되는 결합편(17a)의 단부에 볼 베어링(17b)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11c)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결합부재(17)의 걸합편(17a)이 걸림결합되기 용이하다면 상기 결합홈(11c)이 삼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결합홈(11c)이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상기 결합편(17a)의 단부에 볼 베어링(17b)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편(17a)과 상기 결합홈(11c)이 미끄러짐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결합홈(11c)에 결합편(17a)의 결합 또는 해제가 용이하다면 상기 결합홈(11c)과 결합편(17a)의 결합 또는 해제가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핸들락(11)의 일측면에 핸들락(11)의 회전 시 상, 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어 창틀(5)의 창틀 하드웨어(미도시)에 연결되어 잠금 또는 해제되는 잠금부재(17)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 및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19a)을 갖는 스프링부재(19)가 연결구비되되, 상기 스프링(19a)은 고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락(11)의 일측면에 고탄성의 스프링(19a)을 갖는 스프링부재(19)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핸들락(11)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잠금부재(17)가 다시 상방향으로 수직이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잠금부재(17)의 상방향 수직이동에 따라 잠금부재(17)의 결합공(15a)에 락킹돌기(11b)로 결합되는 핸들락(11)이 회전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핸들락(11)의 외주연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부재(17)의 결합편(17a)이 핸들락(11)의 결합홈(11c)에 걸림결합되어 핸들락(11)이 복귀된 최초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볼트(30)는 상기 창짝 하드웨어(10)의 핸들락(11) 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13)에 관통형성되되, 그 내주연에 나사홈(14a)이 형성되는 하우징(13)의 체결공(14)에 관통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볼트(30)는 상기 하우징(13)의 체결공(14)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홈(14a)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한 나사 결합부(31)와 상기 나사 결합부(3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핸들락(11)의 락킹홈(11a)에 결합되어 핸들락(11)을 회전시키기 위한 락킹편(33)과 상기 나사 결합부(31)의 상부에 외주연에 형성되는 고정나사 결합부(35) 및 상기 고정나사 결합부(35)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 체결부(37)와 락킹편(33)은 상호 연결되고, 이로 인해 동시에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 결합부(31) 및 고정나사 결합부(35)는 공회전(Idle)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볼트 체결부(37)의 하부에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트 체결부(37)의 하부에 후술하는 창호용 핸들(70)에 결합된 후 회전 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환형으로 형성되는 패킹부재(38)가 상기 볼트 체결부(37)의 하부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뭉치(50)는 판형상체로서, 상기 연결볼트(30)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관통공(51)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51)의 외주연에 상기 연결볼트(30)의 고정나 사 결합부(35)의 하부면이 안착결합되기 위한 안착홈(53)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핸들뭉치(50)의 관통공(51)에 연결볼트(30)가 관통설치되되, 상기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가 핸들뭉치(50)의 안착홈(53)에 안착됨으로써 고정되며, 연결볼트(30)가 핸들뭉치(50)에 관통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뭉치(50)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51)은 상기 연결볼트(30)의 나사 결합부(31)의 직경과 대응되게 관통형성되고, 상기 핸들뭉치(50)의 안착홈(53)은 상기 고정나사 결합부(35)의 하부면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창호용 핸들(70)은 상기 연결볼트(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37)에 결합설치되되, 사용자가 파지한 후 힘을 부가하여 창짝(3)을 창틀(5)에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창호용 핸들(70)은 창틀(5)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73)와 상기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와 나사체결되기 위한 고정나사 결합홈(75) 및 상기 연결볼트(30)의 볼트 체결부(37)가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73)의 회전에 의해 볼트 체결부(37)를 회전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홈(7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창호용 핸들(70)의 고정나사 결합홈(75)과 볼트 체결홈(71)은 상기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 및 볼트 체결부(37)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창호용 핸들(70)이 연결볼트(3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창호용 핸들(70)의 파지부(73)를 파지한 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볼트 체결홈(71)에 체결된 볼트 체결부(3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에 고정나사 결합홈(75)으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연결볼트(30)의 볼트 체결부(37)에 볼트 체결홈(71)으로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70)은 사용자가 파지부(73)를 파지한 후 힘을 부가하여 파지부(73)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볼트 체결홈(71)에 의해 연결되는 볼트 체결부(37)가 회전되고, 상기 볼트 체결부(37)가 회전될 경우, 상기 볼트 체결부(37)에 연결되는 락킹편(33)이 회전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1)의 결합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창짝(3)의 전면 일측 내부에 본 발명에 의한 창짝 하드웨어(10)를 설치하고, 상기 창짝 하드웨어(10) 핸들락(11)의 락킹홈(11a)에 연결볼트(3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핸들락(11)의 락킹홈(11a)에 연결볼트(30)의 락킹편(33)을 설치한 후 핸들락(11)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13) 체결공(14)의 내주연 나사홈(14a)에 상기 연결볼트(30)의 나사 결합부(31)를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창짝 하드웨어(10)에 연결볼트(30)의 설치 시 창짝 하드웨어(10)와 연결볼트(30) 사이에 핸들뭉치(50)를 설치한다. 즉, 상기 창짝(3)의 내부에 설치된 창짝 하드웨어(10)에 연결볼트(30)를 설치하기 전 상기 핸들뭉치(50)의 관통공(51)에 연결볼트(30)를 관통설치고, 상기 핸들뭉치(50)의 안착홈(53)에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 하부면을 안착시켜 핸들뭉치(50)를 고정시킨 후 연결볼트(30)를 창짝 하드웨어(10)의 핸들락(11)에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뭉치(50)를 연결볼트(30)에 설치한 후 핸들뭉치(50)에 결합된 연결볼트(30)를 창짝 하드웨어(10)에 설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핸들뭉치(50)를 창짝(3)에 설치할 경우, 핸들뭉치(50)를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볼트 또는 스크류 등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필요치 않으며, 창짝(3)의 표면 외측에 위치 및 설치된 핸들뭉치(50)로 인해 미관적 또는 디자인적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창짝(3)에 창짝 하드웨어(10)와 연결볼트(30) 및 핸들뭉치(50)를 설치한 후 상기 연결볼트(30)에 창호용 핸들(7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창짝 하드웨어(10)에 연결된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를 창호용 핸들(70)의 고정나사 결합홈(75)에 나사체결하여 창호용 핸들(7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연결볼트(30)의 볼트 체결부(37)에 창호용 핸들(70)의 볼트 체결홈(71)을 체결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짝 하드웨어(10)와 연결볼트(30)와 핸들뭉치(50) 및 창호용 핸들(70)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손상 및 파손에 따른 각각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창짝(3)의 제작 시 각각의 구성요소를 별도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시킬 수 있어 이송 및 운송이 용이하고, 이송 및 운송 시 각 구성요소의 파손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창틀(5)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창짝(3) 전면 일측의 창호용 핸들(70)을 파지한 후 힘을 부가하여 상기 창호용 핸들(70)의 파지부(73)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73)를 파지한 후 창호용 핸들(70)을 회전시키면 상기 창호용 핸들(70)의 볼트 체결홈(71)에 결합된 연결볼트(30)의 볼트 체결부(37)가 회전되고, 상기 볼트 체결부(37)가 회전되면 볼트 체결부(37)와 대응되게 회전되는 락킹편(33)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편(33)이 회전되면 락킹편(33)이 결합되는 락킹홈(11a)을 갖는 핸들락(11)이 회전되고, 상기 핸들락(11)이 회전되면 핸들락(11)의 외주연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락킹돌기(11b)가 잠금부재(17)의 결합공(15a)에 결합되어 잠금부재(17)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창짝 하드웨어(10)와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창틀(5)에서 창짝(3)이 슬라이딩 개방된다.
이때, 상기 핸들락(11)의 회전에 의하여 그 외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1c)과 상기 걸합홈(11c)에 걸림결합된 결합부재(17) 결합편(17a)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핸들락(1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락(11)을 회전시켜 창틀 하드웨어에 연결된 창짝 하드웨어(10)와의 잠금을 해제한 후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70)의 파지부(73)에서 손을 뗄 경우, 상기 핸들락(1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재(19)의 스프링탄성에 의해 잠금부재(17)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원 및 복귀되고, 상기 잠금부재(17)의 수직방향 이동에 따라 잠금부재(17)의 결합공(15a)에 결 합되는 락킹돌기(11b)가 결합이 해제되면서 핸들락(11)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렇게 상기 핸들락(11)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핸들락(11)의 락킹홈(11a)에 결합된 락킹편(3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락킹편(33)이 회전함에 따라 락킹편(33)에 연결되는 볼트 체결부(37)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볼트 체결부(37)에 볼트 체결홈(71)으로 결합된 창호용 핸들(70)이 회전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17)의 수직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핸들락(11)의 외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1c)에 상기 결합부재(17)의 결합편(17a)이 걸림결합되면서 핸들락(11)의 회전이 정지 및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7)의 결합편(17a) 단부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17b)에 의해 상기 핸들락(11)의 회전 시 핸들락(11)의 외주연이 볼 베어링(17b)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다가 상기 결합홈(11c)에 결합편(17a)이 안착되어 걸림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핸들락(11)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 및 고정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창호용 핸들이 창짝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창짝 하드웨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창짝 하드웨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창짝 하드웨어에 연결볼트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의 연결볼트에 창호용 핸들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핸들 시스템이 적용된 창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창호용 핸들 시스템, 3 : 창짝,
5 : 창틀, 10 : 창짝 하드웨어,
11 : 핸들락, 11a : 락킹홈,
11b : 락킹돌기, 11c : 결합홈,
13 : 하우징, 14 : 체결공,
14a : 나사홈, 15 : 잠금부재,
15a : 결합공, 17 : 결합부재,
17a : 결합편, 17b : 볼 베어링,
19 : 스프링부재, 19a : 스프링,
30 : 연결볼트, 31 : 나사 결합부,
33 : 락킹편, 35 : 고정나사 결합부,
37 : 볼트 체결부, 38 : 패킹부재
50 : 핸들뭉치, 51 : 관통공,
53 : 안착홈, 70 : 창호용 핸들,
71 : 볼트 체결홈, 73 : 파지부,
75 : 고정나사 결합홈.

Claims (3)

  1. 창호용 핸들 시스템(1)에 있어서,
    핸들락(11)의 외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1c)과, 상기 핸들락(11)의 상부에 구비되되, 하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결합편(17a)을 갖는 결합부재(17) 및 상기 핸들락(11)의 일측에 구비되되, 핸들락(11)의 회전 시 잠금부재(17)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 및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19a)을 갖는 스프링부재(19)를 포함하는 창짝 하드웨어(10);
    상기 창짝 하드웨어(10) 하우징(13)의 체결공(14)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 결합부(31)와, 상기 나사 결합부(3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되, 락킹홈(11a)에 결합되는 락킹편(33)과, 상기 나사 결합부(31)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고정나사 결합부(35) 및 상기 고정나사 결합부(35)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37)를 포함하는 연결볼트(30);
    상기 연결볼트(30)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관통공(51)과, 상기 관통공(51)의 외주연에 안착홈(53)이 형성되는 판형상체형상의 핸들뭉치(50); 및
    상기 연결볼트(30)의 고정나사 결합부(3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나사체결되기 위한 고정나사 결합홈(75)과, 상기 볼트 체결부(37)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 체결홈(71) 및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73)를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7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7)의 결합편(17a) 단부에 볼 베어링(17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30)의 결합판 하부에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시스템.
KR1020080003024A 2008-01-10 2008-01-10 창호용 핸들 시스템 KR10107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24A KR101076556B1 (ko) 2008-01-10 2008-01-10 창호용 핸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24A KR101076556B1 (ko) 2008-01-10 2008-01-10 창호용 핸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08A KR20090077208A (ko) 2009-07-15
KR101076556B1 true KR101076556B1 (ko) 2011-10-24

Family

ID=4133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024A KR101076556B1 (ko) 2008-01-10 2008-01-10 창호용 핸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67Y1 (ko) * 2008-05-07 2010-08-30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용 핸들의 투톤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692A (ja) 2005-04-22 2006-11-02 Tostem Corp ハンドル装置及び建具
KR100755495B1 (ko) 2006-10-24 2007-09-04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692A (ja) 2005-04-22 2006-11-02 Tostem Corp ハンドル装置及び建具
KR100755495B1 (ko) 2006-10-24 2007-09-04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08A (ko)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5036C (en) Recessed lock actuating device for sliding doors
US8678451B2 (en) Gate latch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US20060261608A1 (en) Low profile push/pull door latch assembly
US20100263416A1 (en) Door Lock with Transmission Mechanism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US9303430B2 (en) Integrated door operator hardware with recessed handle
US9039051B2 (en) Push/pull operating device for driving a latch device
JP2016035186A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US20150330108A1 (en) Latch mechanism
US4382620A (en) Panic handle for doors
IL188023A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US8397548B1 (en) Reversible mortise lock for a storm door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076556B1 (ko) 창호용 핸들 시스템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US8876178B1 (en) Sliding door handle with pivot pins
CN102913056B (zh) 私密闩锁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WO2006120742A1 (ja) スライド・スイング式ドア及びドア用支持装置
KR101672995B1 (ko) 창호 잠금장치
US3423118A (en) Door latch mechanism
CN206801216U (zh) 一种能够左开门和右开门的门把手结构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