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606B1 - 사물함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사물함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606B1
KR102119606B1 KR1020190140773A KR20190140773A KR102119606B1 KR 102119606 B1 KR102119606 B1 KR 102119606B1 KR 1020190140773 A KR1020190140773 A KR 1020190140773A KR 20190140773 A KR20190140773 A KR 20190140773A KR 102119606 B1 KR102119606 B1 KR 102119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connection
door
locking member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19014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도어의 닫힘시 제2로킹부재가 제1로킹부재의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림으로써,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사물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사물함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로킹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한 쌍이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1힌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연장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축 삽입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작동부는 상기 제1힌지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자유단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제1로킹부재 및 상기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 도어용 경첩{HINGE FOR LOCKER DOOR}
본 발명은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닫힘시 제2로킹부재가 제1로킹부재의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림으로써,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개인적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학교,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다양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개방된 전면에 도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사물함에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경첩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사물함과 도어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면 유격에 의해 사물함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사물이 가구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자극에 의해 도어가 쉽게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릴 경우 사물함의 앞을 통행하는 다른 이용자의 통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열린 도어에 신체가 부딪혀 부상을 당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0163호(2010.10.20 등록, 발명의 명칭: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닫힘시 제2로킹부재가 제1로킹부재의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림으로써,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사물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사물함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로킹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한 쌍이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1힌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연장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축 삽입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작동부는 상기 제1힌지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자유단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제1로킹부재 및 상기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로킹부재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부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 및 상기 끼움결합부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관통홀부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결합부는 연동연결부에 의해 제2힌지연결부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결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시 강제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도어의 닫힘시 제2로킹부재가 제1로킹부재의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재와 걸림홈부가 강제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끼움결합부와 제2힌지연결부에 힌지축부를 조립하기 전에 제2힌지연결부에 끼움결합부를 가거치시킬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열림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서 로킹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열림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에서 로킹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용 경첩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 회동브라켓(20), 힌지연결부(30) 및 로킹작동부(40)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0)은 사물함(3)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0)은 사물함의 개방 부위의 일측 모서리에 배치되어 나사의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0)은 사물함(3)의 수직면에 배치되는 제1고정부(11) 및 제1고정부(11)에 직교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물함(3)의 수평면에 배치되는 제2고정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제1고정부(11)와 제2고정부(12)에는 별도의 나사가 사물함(3)에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홀부(13)가 각각 형성된다.
회동브라켓(20)은 도어(5)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20)은 도어(5) 후면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나사의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때, 회동브라켓(20)에는 별도의 나사가 도어(5)에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홀부(21)가 형성된다.
물론,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연결부(30)는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을 힌지 연결하여 도어(5)의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한다. 이러한 힌지연결부(30)는 고정브라켓(10)에 한 쌍이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1힌지연결부(31)와, 제1힌지연결부(31)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회동브라켓(20)에 연장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32) 및 제1힌지연결부(31)와 제2힌지연결부(32)에 축 삽입되는 힌지축부(33)를 포함한다.
한편, 로킹작동부(40)는 힌지연결부(30)를 통해 도어(3)의 개폐시 회동브라켓(20)을 고정브라켓(10)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시킨다. 이를 위해, 로킹작동부(40)는 제1힌지연결부(31) 중 어느 하나에 자유단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관통홀부(41a)를 구비하는 제1로킹부재(41) 및 관통홀부(41a)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제2힌지연결부(32)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42)를 포함한다.
이때, 제2로킹부재(42)는 제2힌지연결부(32)에 구비되어 힌지축부(33)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42a) 및 끼움결합부(42a)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어 도어(5)의 닫힘시 관통홀부(41a)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삽입부(42b)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전환시 끼움결합부(42a)는 도어(5)의 닫힘 방향으로 제2힌지연결부(32)와 함께 회전되고, 걸림삽입부(42b)는 관통홀부(41a)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관통홀부(41a)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삽입되다가 관통홀부(41a)를 통과하는 순간 복원되어 제1로킹부재(41)에 걸림 지지된다. 반대로, 도어(5)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으로 전환시 끼움결합부(42a)는 도어(5)의 열림 방향으로 제2힌지연결부(32)와 함께 회전되고, 걸림삽입부(42b)는 관통홀부(41a)의 내측면에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인출되다가 관통홀부(41a)에서 이탈되는 순간 복원된다.
이로써, 도어(5)는 닫힘 상태에서 관통홀부(41a)에 삽입된 걸림삽입부(42b)를 관통홀부(41a)에서 인출시키는 힘 이하의 외력에 대해 닫힘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열림 방향으로 임의적인 회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끼움결합부(42a)는 연동연결부(43)에 의해 제2힌지연결부(32)에 연동 가능하게 회전된다. 이러한 연동연결부(43)는 제2힌지연결부(32)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43a) 및 걸림홈부(43a)에 삽입되도록 끼움결합부(42a)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43b)를 포함한다.
즉, 끼움결합부(42a)는 걸림부재(43b)가 걸림홈부(4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힌지연결부(32)가 도어(5)의 회동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걸림부재(43b)와 걸림홈부(43a)의 구속력으로 제2힌지연결부(32)에 연동된다.
아울러, 걸림부재(43b)는 걸림홈부(43a)에 삽입시 강제결합부(44)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강제결합부(44)는 걸림부재(43b)의 둘레면 또는 걸림홈부(43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44a) 및 결합홈부(44a)에 삽입되도록 걸림홈부(43a)의 내측면 또는 걸림부재(43b)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부(44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끼움결합부(42a)와 제2힌지연결부(32)에 힌지축부(33)를 끼우기 전에 제2힌지연결부(32)에 끼움결합부(42a)를 가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브라켓 11: 제1고정부
12: 제2고정부 13: 제1안내홀부
20: 회동브라켓 21: 제2안내홀부
30: 힌지연결부 31: 제1힌지연결부
32: 제2힌지연결부 33: 힌지축부
40: 로킹작동부 41: 제1로킹부재
42: 제2로킹부재 43: 연동연결부
44: 강제결합부

Claims (4)

  1. 사물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사물함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로킹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한 쌍이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1힌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연장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축 삽입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작동부는 상기 제1힌지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자유단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제1로킹부재 및 상기 관통홀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로킹부재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부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 및 상기 끼움결합부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관통홀부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결합부는 연동연결부에 의해 제2힌지연결부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결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시 강제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강제결합부는 상기 걸림부재의 둘레면 또는 상기 걸림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걸림홈부의 내측면 또는 상기 걸림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용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40773A 2019-11-06 2019-11-06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119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73A KR102119606B1 (ko) 2019-11-06 2019-11-06 사물함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73A KR102119606B1 (ko) 2019-11-06 2019-11-06 사물함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606B1 true KR102119606B1 (ko) 2020-06-08

Family

ID=7108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773A KR102119606B1 (ko) 2019-11-06 2019-11-06 사물함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804B1 (ko) * 2021-06-24 2022-02-08 (주)퍼맥스 사물함 도어용 경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36Y1 (ko) * 1980-09-15 1981-09-17 김진성 감합고정구가 형성된 경첩
JP4224750B2 (ja) * 1999-12-28 2009-02-18 株式会社ウッドワン 調整蝶番
KR101951230B1 (ko) * 2018-10-16 2019-02-22 (주)퍼맥스 가구 도어용 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36Y1 (ko) * 1980-09-15 1981-09-17 김진성 감합고정구가 형성된 경첩
JP4224750B2 (ja) * 1999-12-28 2009-02-18 株式会社ウッドワン 調整蝶番
KR101951230B1 (ko) * 2018-10-16 2019-02-22 (주)퍼맥스 가구 도어용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804B1 (ko) * 2021-06-24 2022-02-08 (주)퍼맥스 사물함 도어용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9788A (en) Door lock hinge
KR102119606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04924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결합구조
US6164098A (en) Frameless glass door lock
US5150591A (en) Norden double door lock
KR101957647B1 (ko) 도어용 경첩
KR101951230B1 (ko) 가구 도어용 경첩
KR10212274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0734472B1 (ko) 서랍식 저장실을 갖는 제품에서 손잡이가 숨겨진서랍식도어의 개폐구조
KR102044630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268231B1 (ko)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17965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357804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20209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6173593B1 (en) Concealed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for use with drawers or cabinet doors or the like
JP2002512327A (ja) 回転掛け金錠
KR102037216B1 (ko)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20100076759A (ko) 개폐표시부를 갖는 실린더 자물쇠
EP4239119A3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US5087104A (en) Closure for a three-part control cabinet
US20230235607A1 (en) Door Stopper Device
US403572A (en) Door-hanging
US185466A (en) Improvement in door-checks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