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216B1 -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 Google Patents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216B1
KR102037216B1 KR1020160059296A KR20160059296A KR102037216B1 KR 102037216 B1 KR102037216 B1 KR 102037216B1 KR 1020160059296 A KR1020160059296 A KR 1020160059296A KR 20160059296 A KR20160059296 A KR 20160059296A KR 102037216 B1 KR102037216 B1 KR 10203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members
hinge
mirr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992A (ko
Inventor
오성식
Original Assignee
오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식 filed Critical 오성식
Publication of KR2017004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을 지지하는 한쌍의 회전부재를 각각 45°각도로 열면 여닫이문이 각각 45°각도로 열리도록 하여 그 열려있는 여닫이문을 이용자가 등을 진 상태에서 전면에 배치한 전면거울을 바라보면 이용자의 뒷모습이 전면거울에 반사되어
이용자가 자신의 뒷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부재에 힌지로 지지된 여닫이문을 개폐하면서 수납장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신발, 옷 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2)이 있는 수납부(13)와
상기 수납부(13)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치한 여닫이문(14)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3) 전방에 위치되어 힌지축(9)에 의해 상기 수납부(13)에 지지되는 2개소의 회전부재(8,8')와;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는 여닫이문(14)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를 수납장으로부터 각각 45°각도로 열었을 때 45°각도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여닫이문(14)은 전면에 거울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에 일측이 힌지(7)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7)를 중심축으로 회동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an account book mirror}
본 발명은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을 지지하는 한쌍의 회전부재를 각각 45°각도로 열면 여닫이문이 각각 45°각도로 열리도록 하여 그 열려있는 여닫이문을 이용자가 등을 진 상태에서 전면에 배치한 전면거울을 바라보면 이용자의 뒷모습이 전면거울에 반사되어
이용자가 자신의 뒷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부재에 힌지로 지지된 여닫이문을 개폐하면서 수납장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이나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은 보관을 위한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수납장 문을 열고 닫으면서 신발이나 의류를 보관하는 정도의 기능에 머물러 있거나 문 표면에 거울을 부착하여 자신이 앞 모습을 볼 수 있는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앞 모습 못지 않게 뒷 모습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거울구조로는 뒷 모습을 보고자 할 경우 몸을 틀어야 하며 이 경우에도 뒷 모습 전부를 온전히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문 표면에 거울이 설치된 수납장에 있어 뒷 모습을 보고자 할 경우 수납장 문의 배치구도를 조절함으로써 거울의 반사각을 이용하여 앞 모습과 더불어 뒷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다면 수납장의 보관기능과 더불어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뒷 모습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오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20-0411583호 '기능형 거울'을 살펴보면, 기능형 거울은 사각형틀(1)과 뒷면사각틀(4) 사이에 연결대(3)를 결합후 볼트(6)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서 도(1)과 같은 구조물을 형성하고 앞면거울(2)을 사각형틀(1)에 부착하고 뒷면거울(5)은 뒷면사각틀(4)에 부착시키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각을 정한 후 고정용 볼트(7)로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이용자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것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점은 없으나 뒷면거울 뒷면이 수납장일 경우 뒷면거울 전체가 수납장으로부터 열려야하나 뒷모습을 바라보기 위해 45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그 45°에서 정지하는 구조가 필연적이다.
45°이상 열리지 않아 수납장 역할을 할 수 없다.
물론, 그 이상 열리게 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뒷면거울을 이용하기가 번거롭다.
다음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428918호의 욕실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31)와 각 도어(32,33)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각 도어(32,33)를 상기 본체(31)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개방하여 상기 각 전면거울(34,35)을 상호 대면시키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1회동암(36) 및 이 제1회동암(36)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회동암(36)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2회동암(37)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으로 표현하면,
첨부한 도면 7)의 가)는 도어가 본체에 닫혀있는 상태이며, 나)는 하나의 도어를 순차적으로 열리는 상태를 색체를 주어 나타낸 상태이고, 다)는 본체로부터 도어 전체가 열리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열린 후 그 지점에서 45도를 유지하기가 힘들다.
혹, 상기 다)와 같이 열린상태에서 양 도어가 서로 45도 각도로 마주보더라도 이용자가 45도 각도로 열려있는 도어를 등을지고 앞거울을 바라보더라도 양 도어가 서로 멀리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앞뒷모습(반사 받지 못함)을 바라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 20-0411583,10-1428918,)의 기술적인 구성을 결합하더라도 후술로 이어진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효과 또한 발생하지 못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닫이문을 지지한 한쌍의 회전부재를 각각 45°각도로 열면 여닫이문이 각각 45°각도로 열리도록 하여 그 열려있는 여닫이문을 이용자가 등을 진 상태에서 전면에 배치한 전면거울을 바라보면 이용자의 뒷모습이 전면거울에 반사되도록 하고
회전부재에 힌지로 지지된 여닫이문을 열면 수납장에 수용시킨 내용물을 꺼낼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과제이다.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신발, 옷 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2)이 있는 수납부(13)와
상기 수납부(13)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방향으로 측면이 서로 맞닿는 상태로 위치된 설치한 한쌍의 여닫이문(14)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에 각각 회전부재(8,8')를 위치하되 상기 회전부재(8.8')는
상기 수납부(13) 전방 상측과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8,8')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부재(8,8')가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재(8,8')를 힌지축(9)에 의해 상기 수납부(13) 전방 상측과 하단에 연결시키고,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은 상기 회전부재(8,8') 일측 끝단에 힌지(7)로 연결시켜 이용자가 자신의 뒷모습을 바라보고자 수납장으로부터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을 각각 45°각도로 열었을 때 상기 회전부재(8,8')와 함께 힌지축(9)을 중심으로 하여 45°각도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이용자가 수납장(13)에 있는 내용물을 수납하거나 꺼낼 경우 손잡이(A)를 잡고서 앞으로 당기면 상기 회전부재(8,8') 일측과 힌지(7)로 연결된 상기 여닫이문(14)이 상기 힌지(7)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여닫이문(14)전체가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닫이문을 지지한 한쌍의 회전부재를 각각 45°각도로 열면 여닫이문이 각각 45°각도로 열리므로 이용자가 열려있는 여닫이문으로부터 등을 진 상태에서 전면에 배치한 전면거울을 바라보면 이용자의 뒷모습이 전면거울에 반사되도록 하고
회전부재에 힌지로 지지된 여닫이문을 열면 수납장에 수용한 내용물을 꺼낼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였다.
이에 대한 효과는 여닫이문을 별도의 회전부재에 설치함으로서 이용자가 뒷모습을 바라보지 않을 경우 여닫이문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납장으로부터 여닫을 수 있고,
그러다가 이용자가 뒷모습을 바라보고자 할 경우 회전부재를 회동시켜 뒷모습을 바라보면 될 것이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으로서 여닫이문과 회전부재가 수납부에 닫혀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2개소의 회전부재가 한쌍의 여닫이문을 수용한상태에서 수납부로부터 각각 45°각도로 열림 상태의 사시도,
제 4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여닫이문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5도의 가),나)는 본원의 실시예로서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뒷모습을 바라보기 위해 한쌍의 여닫이문을 열어둔 상태에서 한쌍의 여닫이문 정면에 위치한 전면거울을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설명도이다.
제 7도의 종래의 등록번호 10-1428918호의 욕실장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에 의해 구성을 재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 3도는 2개소의 회전부재(8,8')가 한쌍의 여닫이문(14)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납부(13)로부터 각각 45°각도로 열린 상태이다. 이때는 여닫이문(14)이 서로 45°각도로 마주본 상태로서 이용자가 자신의 뒷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
그리고 제 4도를 살펴보면 회전부재(8,8')에 수용되어 있는 여닫이문이 열려있는 상태이다. 이때는 수납공간에 수용시킨 내용물을 꺼내거나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를 보아, 힌지축(9)을 감속모터(70)에 의해 회동시키면 힌지축(9)에 고정된 회전부재(8,8')가 회전하여 자동으로 한쌍의 여닫이문(14)이 45°각도로 서로 마주보게 본다(도 3참조).
여기서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는 하나의 감속모터(70)에 의해 서로 45°각도로 마주보도록 동력이 구동된다.
다음은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발, 옷 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2)이 있는 수납부(13)와
상기 수납부(13)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치한 여닫이문(14)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3) 전방에 위치되어 힌지축(9)에 의해 상기 수납부(13)에 지지되는 2개소의 회전부재(8,8')는 힌지(7)를 통해 여닫이문(14)에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은 여닫이문(14)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를 수납장으로부터 각각 45°각도로 열었을 때 여닫이문(14) 또한 각각 45°각도로 열려 사잇각이 90°가 되도록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여닫이문(14)은 전면에 거울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2개소의 회전부재(8,8')에 일측이 힌지(7)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7)를 중심축으로 별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용자가 도 5와 같이 자신의 뒷모습을 바라보기 위해 미도시한 버튼을 누르면 앞에서 일부 설명한 바와 같이, 감속모터(70)가 회전하여 2개소의 회전부재(8.8')가 힌지축(9)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45°각도로 수납부(13)로부터 열리듯이 회전하게 된다(도 4참조).
여기서 45°각도 이상 열리거나 그 이하(예를 들어 30°)열리게되면 거울이 반사각이 이루어지지않아 뒷모습을 원활하게 바라볼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2개소의 회전부재(8,8')가 45°각도가 되면 멈추도록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미도시)에 상기 회전부재(8.8')가 간섭을 받는다.
여기서 여러가지 스위치를 말할 수 있는데 본원은 회전부재(8,8')가 45°각도로 회전하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간섭돌기(미도시)를 수납공간 내측에 마련한다.
그리고 감속모터(70)에 전원을 차단하는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간섭돌기 주변에 설치하여 회전부재(8,8')가 상기 간섭돌기에 간섭과 동시에 스위치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치 또한 간섭받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회전부재(8,8')는 45°각도에서 정지된다.
그 후 또 다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전원이 감속모터(7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감속모터가 역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인해 회전부재(8,8')가 다시 원위치되는 것이다.
다음은 수동으로 여닫이문을 열거나 닫아 수납공간에 물건을 꺼내거나 수용하거나 꺼내고자 한다.
제 1도의 상태에서 이용자가 손잡이(A)를 잡고서 앞으로 당기면
회동부재(8,8') 일측에 힌지(7)로 여닫이문(14) 일측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7)가 중심축이 되어 도 4와 같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문(14)을 이용하면 수납공간(12)에서 물건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다.
다음은 감속모터(70)의 역할을 다시한번 살펴본다.
힌지축(9)은 감속모터(70)의 회전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9)은 2개소의 회전부재(8,8')에 헛돌지 않도록 고정시켜 감속모터(70)가 회전하면 2개소의 회전부재(8,8')가 각각 45°각도로 서로 마주본다.
상기 감속모터(70)는 모터가 기어박스 내에 설치된 기어를 회전시켜 속도를 감속시킨 것으로서 크고 작은 기어가 서로 기어물림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4도와 같이 여닫이문(14)을 열더라도 기어박스 내의 기어와 기어물림된 힌지축(9)이 쉽게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손잡이(A)를 잡고서 당기면 여닫이문(14) 이 힌지(7)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회전부재(8,8')에 지지된 여닫이문(14)을 상기 회전부재(8,8')로부터 열(여닫이문 열림을 말함) 경우 회전부재(8,8')가 상기 회전부재(8,8')를 지지하는 힌지축(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스톱퍼(60)가 상기 회전부재(8,8')를 잠금하고
상기 회전부재(8,8')를 회전시키기 위해 감속모터(70)에 전원을 공급하면 동시에 스톱퍼(60)가 잠금을 해제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스톱퍼란, 수납부(13)에 미도시한 별도의 몸체가 고정되고 몸체는 전원을 인가하면 금속이 돌출되어 회전부재(8,8')를 압박하거나 걸림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전원을 차단하면 돌출된 금속이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기기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첨부한 도 6을 바라보면서 설명하면,
도 6의 가)는 전자석에 회전부재(8.8')가 자력에 의해 끌어당긴 상태이고,
나)는 자력으로부터 회전부재(8)가 해제된 상태에서 감속모터(70)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따라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수납부(13)상측에 고정시킨 전자석(61)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61)과 밀착되는 회전부재(8,8')가 자력에 의해 밀착 고정되고
전자석(61)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그 고정을 해제하는 기술이다.
상기 회전부재(8,8')의 재질이 비철금속일 경우 상기 전자석이 끌어당기는 금속을 회전부재에 갖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기에 수납공간으로 이용하면서도 거울을 통해 이용자의 뒷모습을 볼수 있도록 하는 효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7 ; 힌지 8,8' ; 회전부재
9 ; 힌지축 12 ; 수납공간
13 ; 수납부 14 ; 여닫이문
70 ; 감속모터

Claims (1)

  1. 신발, 옷 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2)이 있는 수납부(13)와
    상기 수납부(13)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방향으로 측면이 서로 맞닿는 상태로 위치된 설치한 한쌍의 여닫이문(14)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에 각각 회전부재(8,8')를 위치하되 상기 회전부재(8.8')는
    상기 수납부(13) 전방 상측과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8,8')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부재(8,8')가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재(8,8')를 힌지축(9)에 의해 상기 수납부(13) 전방 상측과 하단에 연결시키고,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은 상기 회전부재(8,8') 일측 끝단에 힌지(7)로 연결시켜 이용자가 자신의 뒷모습을 바라보고자 수납장으로부터 상기 한쌍의 여닫이문(14)을 각각 45°각도로 열었을 때 상기 회전부재(8,8')와 함께 힌지축(9)을 중심으로 하여 45°각도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이용자가 수납장(13)에 있는 내용물을 수납하거나 꺼낼 경우 손잡이(A)를 잡고서 앞으로 당기면 상기 회전부재(8,8') 일측과 힌지(7)로 연결된 상기 여닫이문(14)이 상기 힌지(7)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여닫이문(14)전체가 별도로 개방되도록 기어박스 내의 기어와 기어물림된 힌지축(9)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20160059296A 2015-10-14 2016-05-16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2037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308 2015-10-14
KR20150143308 2015-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992A KR20170043992A (ko) 2017-04-24
KR102037216B1 true KR102037216B1 (ko) 2019-11-26

Family

ID=5870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296A KR102037216B1 (ko) 2015-10-14 2016-05-16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2481B (zh) * 2017-11-16 2019-11-12 泰兴市东城水处理工程有限公司 自助图书馆的安全门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993B2 (ja) * 1996-10-08 2000-08-14 株式会社キトー 台車案内用レールの取付装置
JP2003000455A (ja) * 2001-06-22 2003-01-07 Rp Topla Ltd 鏡面付き収納部を有する鏡装置
JP2003061798A (ja) 2001-08-24 2003-03-04 Hideo Shimizu 直角鏡
KR200383244Y1 (ko) 2005-02-14 2005-05-03 심춘섭 화장대 전용거울
KR200411583Y1 (ko) 2005-11-07 2006-03-15 김영일 기능형 거울
KR101400993B1 (ko) 2012-10-12 2014-05-29 이동훈 광선반 장치
KR101428918B1 (ko) 2013-04-03 2014-08-08 김일오 욕실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881A (ko) * 1993-03-31 1994-10-19 박병기 양측개방가능한 도어장치
JP3315563B2 (ja) * 1995-07-19 2002-08-19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座席用バニティミラー
KR20010048607A (ko) * 1999-11-27 2001-06-15 도기찬 양측 오픈 도어
JP3075993U (ja) * 2000-08-30 2001-03-16 旭合成株式会社 回動式鏡又は三面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993B2 (ja) * 1996-10-08 2000-08-14 株式会社キトー 台車案内用レールの取付装置
JP2003000455A (ja) * 2001-06-22 2003-01-07 Rp Topla Ltd 鏡面付き収納部を有する鏡装置
JP2003061798A (ja) 2001-08-24 2003-03-04 Hideo Shimizu 直角鏡
KR200383244Y1 (ko) 2005-02-14 2005-05-03 심춘섭 화장대 전용거울
KR200411583Y1 (ko) 2005-11-07 2006-03-15 김영일 기능형 거울
KR101400993B1 (ko) 2012-10-12 2014-05-29 이동훈 광선반 장치
KR101428918B1 (ko) 2013-04-03 2014-08-08 김일오 욕실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992A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6478B1 (en) Lid device opened at both sides and center console box
US8573715B1 (en) Dual hinged dispenser cabinet
WO2014141101A1 (fr) Mécanisme de synchronisation à double pivot pour l'ouverture et la fermeture de deux battants
KR102037216B1 (ko)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1714317B1 (ko)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1957647B1 (ko) 도어용 경첩
KR101835998B1 (ko) 힌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2119606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5463636B2 (ja) キャビネットおよび洗面化粧台
KR101590262B1 (ko)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KR20160136010A (ko)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1428918B1 (ko) 욕실장
KR101951230B1 (ko) 가구 도어용 경첩
KR102670006B1 (ko)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US20110025175A1 (en) Lock for a vending machine, cabinet, or the like
JP2001241222A (ja) 折戸の把手構造
EP1935286B1 (en) Door with flexible opening
JPH0941767A (ja) 用心錠
KR20180090649A (ko) 욕실 수납장
KR20160135999A (ko)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FR2629856A1 (ko)
JP3592868B2 (ja) 扉開閉装置
CA3146630C (en) Side-open left-right-door arbitrary-open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JPH03191187A (ja) ラッチ装置
JPS6017508Y2 (ja) 折畳み扉の蝶番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