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93B1 - 광선반 장치 - Google Patents

광선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93B1
KR101400993B1 KR1020120113253A KR20120113253A KR101400993B1 KR 101400993 B1 KR101400993 B1 KR 101400993B1 KR 1020120113253 A KR1020120113253 A KR 1020120113253A KR 20120113253 A KR20120113253 A KR 20120113253A KR 101400993 B1 KR101400993 B1 KR 10140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lf
frame
light shelf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753A (ko
Inventor
이동훈
이주윤
Original Assignee
이동훈
(주)시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주)시테코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2011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9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82Speci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는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광선반과,상기 광선반을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선반 장치{Light Shelf Apparatus}
본 발명은 광선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광선반의 반사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광선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 환경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광을 실내에 도입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거주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심리적,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도입하기 위해 건물에서 필요한 곳에 창호를 설치하여 자연광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창호를 통하여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 창호와 가까운 곳의 주광 조도는 지나치게 높아지는 반면, 창호와 먼 곳의 주광 조도는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인공 조명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창호를 통해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광선반(Light Shelf)이다.
광선반은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을 천장으로 반사시켜 실내조명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반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광선반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실내형 광선반과 실외형 광선반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실외형 광선반의 경우 외부에 설치되므로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실내형 광선반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광선반은 건물의 창호 등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외의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양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광선반의 반사체 부분을 거울과 같이 경면(鏡面)으로 구성할 경우 실내 조명효과는 증가하지만, 광선반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천장에 음영이 크게 나타나며 시간이 경과하여 태양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천장에 반사된 음영의 형태도 변하게 되며, 음영에 의한 눈부심이 발생된다.
또한 실내형 광선반의 경우 광선반이 실내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087106호(1985.06.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부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광선반의 반사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광선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선반 장치에 의해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선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선반 장치를 블라인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광선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선반 장치는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광선반과, 상기 광선반을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프레임이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선반을 상기 벽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선반이 상기 벽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의 일측면에는 경면(鏡面)이 구비되고, 상기 슬릿의 타측에는 확산면(擴散面)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면은 태양광을 난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슬릿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의하면 외부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광선반의 반사면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선반 장치를 접어 사용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광선반 장치를 접었을 때 블라인드로 사용할 수 있어, 광선반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선반의 단면도.
도 3은 광선반에서 확산면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광선반에서 경면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선반 장치에 사용되는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선반 장치에서 광선반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구비되는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10)는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슬릿(120)을 구비하는 광선반(100)과, 광선반(100)을 벽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200)를 구비한다.
광선반(100)은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을 천장으로 반사시켜 실내조명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체를 구비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슬릿(120)이 자연광을 천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광선반(100)을 벽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200)를 구비한다. 회전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광선반(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선반(100)을 접을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선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선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선반(100)은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슬릿(120)을 구비한다.
프레임(110) 및 슬릿(120)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고강도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슬릿(120)은 날개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프레임(11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릿(120)의 양단에는 회전축(120a)이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양측으로는 슬릿(120)의 회전축(120a)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110a: 도 7 참조)이 구비된다.
따라서 슬릿(120)은 프레임(11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으며, 슬릿(120)이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슬릿(120)은 프레임(110)에 형성된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정도가 달라진다.
한편 슬릿(120)의 일측면에는 경면(121: 鏡面)이 구비되고, 상기 슬릿의 타측에는 확산면(122: 擴散面)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슬릿(120)의 일측면에는 경면(121)이 구비되고, 슬릿(120)의 타측에는 확산면(122)이 구비됨으로써 외부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광선반(100)의 반사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슬릿(120)의 일측면에 경면(121)을 형성하기 위해 슬릿(121)의 일측면을 반사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슬릿(121)의 일측면에 거울 등을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릿(120)의 타측에는 확산면(122)을 형성하기 위해 슬릿(121)의 일측면에 태양광을 난반사시키는 재질을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슬릿(120)의 타측면을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슬릿(120)의 타측면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도 3은 광선반에서 확산면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광선반에서 경면을 사용하여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태양직사광이 강한 맑은 날에는 태양광 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고, 조명효과에 대한 변화를 줄이기 위해 확산면(122)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태양광이 확산면(122)에 반사되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태양직사광이 약한 흐린 날에는 되도록 많은 빛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경면(121)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태양광이 경면(121)에 반사되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는 이와 같이 사용자가 경면(121)과 확산면(122)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외의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광선반(100)을 벽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200)를 구비한다. 회전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광선반(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선반(100)을 접을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선반 장치에 사용되는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회전부재(200)는 프레임(110)이 벽면(20)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210)와, 프레임(110)이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힌지(210)는 벽면(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프레임(110)은 벽면(2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220)는 프레임(110)이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220)는 프레임(110)이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힌지(210)를 감싸는 부싱(bushing: 미도시)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힌지(21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된 힌지(21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프레임(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프레임(110)이 지지턱(220)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프레임(110)이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이 창호(30)에 대해 90°의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에 설치된 슬릿(120)은 태양광을 반사시켜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광선반(100)의 반사체 역할을 하게 된다.
또는 프레임(110)이 창호(30)에 대해 평행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프레임(110)에 설치된 슬릿(120)은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들어오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10)는 회전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광선반(100)을 접어 사용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선반 장치에서 광선반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재(200)를 이용하여 광선반(100)을 회전시켜 접어 창호(30)에 밀착시키게 되면 광선반(100)을 블라인드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슬릿(120)의 경면(121)이 실외측으로 향하도록 하면, 반사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줄일 수 있어 여름철 냉방기에 냉방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광선반 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프레임(110)은 복수개의 슬릿(120)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링크(130)는 복수개의 슬릿(120)이 회전하는 중심축임 회전축(120a)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링크(130)가 움직이게 되면 복수개의 슬릿(120)은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하게 된다.
한편 링크(13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슬릿(120)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에 복수개의 슬릿(120)을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링크(13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슬릿(1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의 깊은 곳까지 태양광을 반사시켜 보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구비되는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는 광선반(100)을 벽면(20)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태양의 고도는 계절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하루 중에 시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루 중에서도 정오 부근에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으며 태양광의 세기는 가장 세다. 태양의 고도가 높으면서 태양광의 세기가 가장 셀 경우, 광선반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범위가 좁아 천장에 음영이 크게 나타나며 실내 공간으로 자연광이 고르게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선반 장치가 광선반(1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이와 같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광선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태양의 고도가 높은 경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양은 적기 때문에 광선반(100)의 위치를 내려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범위가 넓어지도록 한다.
태양의 고도가 낮은 경우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양이 많기 때문에 광선반(100)의 위치를 올려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범위가 좁아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선반(1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는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힌지(210)가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고정판(31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310)이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310)이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고정판(310)에 고정된 광선반(100)도 상승하게 되고, 고정판(310)이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 고정판(310)에 고정된 광선반(100)도 하강하게 되므로 쉽게 광선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수동으로 광선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태양 고도를 추적하는 추적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태양 고도에 따라 광선반(100)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는 광선반(100)이 벽면(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의 고도는 계절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하루 중에 시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의 고도가 높을 경우 창호(30)와 먼쪽의 실내 공간으로 태양광을 보내기 위해서는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가 큰 것이 유리하다. 이와 반대로 태양의 고도가 낮을 경우에는 태양광이 직접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가 작은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광선반(100)이 벽면(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400)는 일단이 벽면(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은 광선반(100)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홈(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암(410: arm)과, 상기 암(410)이 프레임(110)에 형성된 홈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부재(420)을 구비한다.
따라서 암(410)의 타단이 힌지(210)와 가까운 쪽의 홈(112)에 고정되면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가 커지게 되고, 암(410)의 타단이 힌지(210)와 먼 쪽의 홈(112)에 고정되면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암(410)의 타단이 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홈(112)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면 광선반(100)과 창호(30)가 이루는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수동으로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태양 고도를 추적하는 추적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태양 고도에 따라 광선반(100)이 창호(30)와 이루는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의하면 외부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광선반의 반사면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기상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선반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광선반 장치 20: 벽면
30: 창호 100: 광선반
110: 프레임 120: 슬릿
200: 회전부재 300: 이동장치
400: 지지부재

Claims (7)

  1.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광선반과,
    상기 광선반을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광선반을 상기 벽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프레임이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힌지가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의 일측면에는 경면(鏡面)이 구비되고, 상기 슬릿의 타측에는 확산면(擴散面)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반이 상기 벽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면은 태양광을 난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슬릿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반 장치.
KR1020120113253A 2012-10-12 2012-10-12 광선반 장치 KR10140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53A KR101400993B1 (ko) 2012-10-12 2012-10-12 광선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53A KR101400993B1 (ko) 2012-10-12 2012-10-12 광선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53A KR20140047753A (ko) 2014-04-23
KR101400993B1 true KR101400993B1 (ko) 2014-05-29

Family

ID=506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253A KR101400993B1 (ko) 2012-10-12 2012-10-12 광선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904A (ko) * 2015-04-13 2016-10-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내측용 차양 구조체
KR20170043992A (ko) * 2015-10-14 2017-04-24 오성식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1881840B1 (ko) * 2017-09-27 2018-07-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선반 기능을 갖는 어닝
KR20190006772A (ko) 2017-07-11 2019-01-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KR20190014674A (ko) 2017-08-03 2019-02-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롤링타입 광선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60561A (ko) 2021-10-27 2023-05-08 주식회사 바이솔라 가변형 광선반 조명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898A (ko) 2021-11-08 2023-05-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냉난방 기능이 통합된 광선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406U (ja) * 1983-11-18 1985-06-15 望月 卓一 太陽光線反射装置
JP2000170467A (ja) * 1998-12-03 2000-06-20 Sanyo Electric Co Ltd 採光装置
JP2000204735A (ja) 1999-01-11 2000-07-25 Ys Kenchiku Consultant:Kk 日射遮蔽装置
KR101145810B1 (ko) * 2009-04-17 2012-05-16 박헌균 자연 채광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406U (ja) * 1983-11-18 1985-06-15 望月 卓一 太陽光線反射装置
JP2000170467A (ja) * 1998-12-03 2000-06-20 Sanyo Electric Co Ltd 採光装置
JP2000204735A (ja) 1999-01-11 2000-07-25 Ys Kenchiku Consultant:Kk 日射遮蔽装置
KR101145810B1 (ko) * 2009-04-17 2012-05-16 박헌균 자연 채광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904A (ko) * 2015-04-13 2016-10-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내측용 차양 구조체
KR101702749B1 (ko) * 2015-04-13 2017-02-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내측용 차양 구조체
KR20170043992A (ko) * 2015-10-14 2017-04-24 오성식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102037216B1 (ko) 2015-10-14 2019-11-26 오성식 이용자의 앞 뒷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거울이 부착된 수납장용 여닫이문
KR20190006772A (ko) 2017-07-11 2019-01-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KR20190014674A (ko) 2017-08-03 2019-02-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롤링타입 광선반 및 그 제어방법
KR101881840B1 (ko) * 2017-09-27 2018-07-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선반 기능을 갖는 어닝
KR20230060561A (ko) 2021-10-27 2023-05-08 주식회사 바이솔라 가변형 광선반 조명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53A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993B1 (ko) 광선반 장치
Edmonds et al. Daylighting in the tropics
US20120011782A1 (en) Fenestration system with solar cells
RU26174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направления света
CA2705436C (en) Blind slat
JP2009266794A (ja) 太陽光照明器
CA2810128C (en) Adjustable light shelf
US10125938B2 (en) Skylight with two parabolic reflector segments facing two horizon directions inside a truncated pyramid dome mounted on a collimating curb with a dual-pane diffuser at the bottom
WO2017131012A1 (ja) 採光ブラインド、採光装置、照明システム
Mohapatra et al. Positioning of light shelves to enhance daylight illuminance in office rooms
Beck et al. Making better use of natural light with a light-redirecting double-glazing system
CN111576630B (zh) 一种遮阳、反光、导风一体化建筑构造
US9416542B2 (en) Passive skylight dome configured to increase light to increase collection at low sun elevation angles and to reduce light at high sun elevation angles
JP2006222011A (ja) 建築物
US20180135304A1 (en) Passive Skylight Dome Configured to Increase Light Collection At Low Sun Elevation Angles and To Reduce Light at High Sun elevation Angles
JP4447303B2 (ja) 太陽光採光装置及び採光条件の設定プログラム
JP2013014909A (ja) ブラインド
JP2001060407A (ja) 昼光利用システム
CN201972572U (zh) 可实现遮阳反光功能的外窗
WO2006033090A1 (en) Multi-aperture light pipe
Thuot et al. A novel louver system for increasing daylight usage in buildings
CN102493745A (zh) 覆窗式调光器
JP2005166456A (ja) 照明効果を高める採光方法および採光器具
KR100592426B1 (ko) 독립형 자연채광장치
JP2013518397A (ja) 太陽電池付きの採光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