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230B1 - 가구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가구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230B1
KR101951230B1 KR1020180123333A KR20180123333A KR101951230B1 KR 101951230 B1 KR101951230 B1 KR 101951230B1 KR 1020180123333 A KR1020180123333 A KR 1020180123333A KR 20180123333 A KR20180123333 A KR 20180123333A KR 101951230 B1 KR101951230 B1 KR 10195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nnection
hinge
connection por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8012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개폐안내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로킹안내부가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구속시킴으로써,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 도어용 경첩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구 도어용 경첩은 가구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구의 수납공간부를 커버하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안내하는 개폐안내부 및 상기 개폐안내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회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안내하는 로킹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 도어용 경첩{HINGE FOR LOCKER DOOR}
본 발명은 가구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안내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로킹안내부가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구속시킴으로써,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개인적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학교,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다양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개방된 전면에 도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사물함에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경첩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사물함과 도어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면 유격에 의해 사물함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사물이 가구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자극에 의해 도어가 쉽게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릴 경우 사물함의 앞을 통행하는 행인의 통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열린 도어에 신체가 부딪혀 부상을 당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0163호(2010.10.20 등록, 발명의 명칭: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개폐안내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로킹안내부가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구속시킴으로써,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은 가구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구의 수납공간부를 커버하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안내하는 개폐안내부 및 상기 개폐안내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회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안내하는 로킹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안내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한 쌍이 상호 이격하게 연장되는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제1힌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연장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2힌지연결부가 상기 제1힌지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축 삽입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안내부는 상기 제1힌지연결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1힌지연결부에 자유단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는 탄성로킹부재 및 상기 탄성로킹부재에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분리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힌지축부가 축 삽입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연동결합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결합안내부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은 개폐안내부를 통해 도어의 개폐시 로킹안내부가 회동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열림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에서 닫힘유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열림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에서 로킹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도어용 경첩은 고정브라켓(10), 회동브라켓(20), 개폐안내부(30) 및 로킹안내부(40)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0)은 가구(3)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0)은 개폐안내부(30)에 의해 회동브라켓(20)과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가구(3)에 형성된 수납공간부(3a)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배치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0)은 나사에 의해 가구(3)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나사홀부(11)가 형성된다.
회동브라켓(20)은 가구(3)의 수납공간부(3a)를 커버하는 도어(5)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20)은 개폐안내부(30)에 의해 고정브라켓(10)과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어(5)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때, 회동브라켓(10)은 나사에 의해 도어(5)의 후면에 고정되어 도어(5)를 지지하도록 나사홀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안내부(30)는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을 힌지 연결하여 도어(5)를 개폐 가능하게 안내한다. 즉, 개폐안내부(30)는 도어(5)의 회동 방향에 따라 가구(3)의 수납공간부(3a)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회동브라켓(20)을 고정브라켓(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개폐안내부(30)는 제1힌지연결부(31), 제2힌지연결부(32) 및 힌지축부(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힌지연결부(31)는 고정브라켓(10)에 한 쌍이 이격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힌지연결부(31)는 고정브라켓(10)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수납공간부(3a)를 형성하는 가구(3)의 테두리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31a)와, 접촉부(31a)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힌지축부(33)가 끼워지는 제1끼움결합부(31b)를 포함한다.
제2힌지연결부(32)는 도어(5)의 닫힘시 제1힌지연결부(31)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회동브라켓(20)에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힌지연결부(32)는 회동브라켓(20)에 연장되어 도어(5)의 닫힘시 접촉부(31a)의 사이에 개재되는 개재부(32a)와, 개재부(32a)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힌지축부(33)가 끼워지는 제2끼움결합부(32b)를 포함한다.
그리고, 힌지축부(33)는 제2힌지연결부(32)가 제1힌지연결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힌지연결부(31)와 제2힌지연결부(32)에 축 삽입된다. 즉, 힌지축부(33)는 제1힌지연결부(31)에 구비된 제1끼움결합부(31b)와 제2힌지연결부(32)에 구비된 제2끼움결합부(32b)에 삽입된다.
한편, 로킹안내부(40)는 개폐안내부(30)를 통해 도어(5)의 닫힘시 회동브라켓(20)이 고정브라켓(10)에 탄성적으로 이탈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로킹안내부(40)는 탄성로킹부재(41) 및 걸림부재(42)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로킹부재(41)는 제1힌지연결부(3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힌지연결부(31)의 제1끼움결합부(31b)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로킹부재(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거나 도어(5)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될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걸림부재(42)는 탄성로킹부재(41)에 걸림 지지되도록 제2힌지연결부(32)의 제2끼움결합부(32b)에 구비된다. 즉, 걸림부재(42)는 도어(5)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시 탄성로킹부재(41)의 사이에서 이탈되고, 도어(5)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시 탄성로킹부재(41)의 사이에 끼워진다.
한편, 걸림부재(42)는 분리결합부(50)에 의해 제2힌지연결부(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결합부(50)는 힌지축부(33)가 축 삽입되도록 걸림부재(4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1) 및 지지부재(51)가 제2힌지연결부(52)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연동결합안내부(52)를 포함한다.
이때, 연동결합안내부(52)는 제2힌지연결부(32)에 구비되는 삽입홀부(52a) 및 삽입홀부(52a)에 삽입되도록 지지부재(51)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부(52b)를 포함한다. 이로써, 걸림부재(42)는 파손 또는 손상시 다른 걸림부재(42)로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 가구 5: 도어
10: 고정브라켓 20: 회동브라켓
30: 개폐안내부 31: 제1힌지연결부
32: 제2힌지연결부 33: 힌지축부
40: 로킹안내부 41: 탄성로킹부재
42: 로킹부재 50: 분리결합부
51: 지지부재 52: 연동결합안내부

Claims (5)

  1. 가구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구의 수납공간부를 커버하는 도어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안내하는 개폐안내부 및 상기 개폐안내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회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안내하는 로킹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안내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한 쌍이 상호 이격하게 연장되는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제1힌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연장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2힌지연결부가 상기 제1힌지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힌지연결부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축 삽입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안내부는 상기 제1힌지연결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1힌지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로킹부재 및 상기 탄성로킹부재에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로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재는 분리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힌지축부가 축 삽입되도록 상기 로킹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연동결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용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결합안내부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에 구비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용 경첩.
KR1020180123333A 2018-10-16 2018-10-16 가구 도어용 경첩 KR10195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33A KR101951230B1 (ko) 2018-10-16 2018-10-16 가구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33A KR101951230B1 (ko) 2018-10-16 2018-10-16 가구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230B1 true KR101951230B1 (ko) 2019-02-22

Family

ID=6558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33A KR101951230B1 (ko) 2018-10-16 2018-10-16 가구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06B1 (ko) * 2019-11-06 2020-06-0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 도어용 경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054U (ko) * 1997-11-17 1999-06-05 인진식 경첩
KR20180009171A (ko) * 2016-07-18 2018-01-26 김두철 가구용 경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054U (ko) * 1997-11-17 1999-06-05 인진식 경첩
KR20180009171A (ko) * 2016-07-18 2018-01-26 김두철 가구용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06B1 (ko) * 2019-11-06 2020-06-0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 도어용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04754A1 (en) Washing machine door
KR102002259B1 (ko) 가구용 홀딩 도어 장치
KR101951230B1 (ko) 가구 도어용 경첩
KR102069705B1 (ko) 도어용 경첩
CN107923202B (zh) 合叶及合叶用托架
KR101957647B1 (ko) 도어용 경첩
KR10212274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3358505B2 (ja) 戸開閉装置
KR102119606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268231B1 (ko)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KR102044630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357804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2001286320A (ja) スタンド機能付き収納ケース
KR102585459B1 (ko)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JPH03228986A (ja) ヒンジ
KR102377871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20190118234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US20240167307A1 (en) Hinge and cabinet incorporating the same
KR200181919Y1 (ko) 김치냉장고
JP3071189B1 (ja) 開き扉の支持構造
JP3733472B2 (ja) 家具等における開き扉の蝶番
KR20180107672A (ko) 외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안전도어
JP4024962B2 (ja) 筐体側ヒンジ用金具及び扉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