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054U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054U
KR19990019054U KR2019970032381U KR19970032381U KR19990019054U KR 19990019054 U KR19990019054 U KR 19990019054U KR 2019970032381 U KR2019970032381 U KR 2019970032381U KR 19970032381 U KR19970032381 U KR 19970032381U KR 19990019054 U KR19990019054 U KR 199900190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hinge
locking portion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진식
Original Assignee
인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진식 filed Critical 인진식
Priority to KR2019970032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054U/ko
Publication of KR19990019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54U/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가 일부 닫혀진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히 닫히게 됨과 아울러 닫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아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소정 넓이를 갖는 제 1 판체(10) 및 제 2 판체(20)가 각각에 형성된 힌지관(12, 22)에 관통하여 축설되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도어를 개폐되게 하는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힌지관(22)의 중단부에 평판상의 걸림부(24)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24)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판체(10)에 장방형의 홈(14)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24)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판체(20)에 구부러진 단부(42)가 상기 걸림부(24)에 면접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판체(40)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제 1 판체에는 판상의 걸림부를 형성하고, 제 2 판체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탄성 판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2 판체에 고정되는 가동체를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지게 함과 아울러 닫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첩
본 고안은 여닫이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가 일부 닫혀진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히 닫히게 됨과 아울러 닫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소정 넓이를 갖는 한 쌍의 판체를 힌지축으로하여 절첩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판체중 어느 하나의 판체는 고정체에 나사 조임 하여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판체는 가동체에 나사 조임 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체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고정체에 닫혀지거나 또는 상기 고정체로부터 멀어져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첩은 건물의 도어 및 전자/전기 제품의 도어 그리고 가구의 도어 등에 사용되는데, 여닫이문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경첩은 힌지관을 구비하는 한 쌍의 판체를 힌지축으로 상호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절첩되게하여 도어 또는 커버가 여닫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도어를 어느 정도 닫아 두어도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완전히 닫혀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첩은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게 됨과 아울러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음에 의해 자동체에 나사조임되어진 판체가 고정체에 나사조임되어진 판체에 면접되거나 또는 멀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도어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가 손을 놓는 순간 그 자리에서 동작을 멈추게 되거나 관성에 의해 일부 닫히다가 멈추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도어를 완전히 닫기 위해 다시 한 번 도어를 당기게 되거나 밀게 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가 일부 닫혀진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히 닫히게 됨과 아울러 닫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정 넓이를 갖는 제 1 판체 및 제 2 판체가 각각에 형성된 힌지관에 관통하여 축설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도어를 개폐되게 하는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힌지관의 중단부에 평판상의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판체에 장방형의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판체에 구부러진 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면접되어 탄성력으로 부여하는 탄성 판체를 형성하여서 되는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의 A-A 선 단면 예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평단면도로써, 열린 상태의 예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평단면도로서, 닫힌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평단면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판체12, 22 : 힌지관
14 : 홈20 : 제 2 판체
24 : 걸림부30 : 힌지축
40 : 탄성 판체42 : 단부
50 : 고정체52 : 가동체
54 : 리벳56 : 나사
58 : 나사 구멍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첩은 장방형의 홈(14)을 갖는 제 1 판체(10)와, 탄성 판체(40)를 갖는 제 2 판체(20) 및 상기 제 1 판체(10)의 힌지관(22)에 형성되는 걸림부(24) 및 상기 제 1 및 제 2 판체(10, 20)의 힌지관(12, 22)에 축설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판체(10, 20)를 절첩되게 하는 힌지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판체(10)는 소정의 넓이를 지니는 판체로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 구멍(58)이 형성되어 고정체(50)에 면접되어 나사(56)로 조임 되어 결합되고, 일 측면의 중앙부에는 평판상의 걸림부(24)가 구비되는 힌지관(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4)의 일 측면으로는 장방형의 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판체(20)는 상기 제 1 판체(10)와 동일한 면적을 지니는 판체로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 구멍(58)이 형성되는 가동체(52)에 면접되어 나사(56)로 조임되어 결합되며, 일 측면의 상하부에는 힌지관(12)이 중단부에는 단부(42)가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탄성 판체(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판체(40)는 상기 탄성력을 지니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판체(10, 20)의 보다 두께가 작게 하여 박판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상기 제 2 판체(2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단부만이 상기 제 2 판체(20)에 일체로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판체(40)는 도 4 도시와 같이 상기 제 2 판체(20)의 일 측면에 일단부가 면접되어 리셋(54)으로 고정되는데, 나사 또는 스폿트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30)은 양분된 한 쌍으로 상기 제 1 판체(10) 및 제 2 판체(20)의 힌지관(12, 22)에 수직으로 축설되어 상기 제 1 판체(10) 및 제 2 판체(20)를 절첩되게 한다. 따라서 제 2 판체(20)가 가동체(52)를 고정체(50)에서 절첩되게하여 상기 가동체(52)가 열리고 닫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3a에서와 같이 가동체(52)가 고정체(5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었을 시에는 상기 탄성 판체(40)의 단부(42)가 상기 걸림부(24)에 면접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단부(42)가 상기 걸림부(24)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가동체(52)를 지탱하고 있는 상기 제 2 판체(2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어 가동체(52)가 도 3b 도시와 같이 고정체(50)에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동체(52)를 어느 정도의 위치까지만 당기거나 밀어두면 상기 탄성 판체(40)가 상기 걸림부(24)를 타고 넘으면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어 상기 가동체(52)가 완전히 고정체(50)에 밀폐되게 닫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 판체(40)의 단부(42)가 상기 걸림부(24)의 일 측면에 면접되어 상기 가동체(52)의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 판체에는 판상의 걸림부를 형성하고, 제 2 판체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탄성 판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2 판체에 고정되는 가동체를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지게 함과 아울러 닫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 넓이를 갖는 제 1 판체(10) 및 제 2 판체(20)가 각각에 형성된 힌지관(12, 22)에 관통하여 축설되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절첩되면섬 도어를 개폐되게 하는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힌지관(22)의 중단부에 평판상의 걸림부(24)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24)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판체(10)에 장방형의 홈(14)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24)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판체(20)에 구부러진 단부(42)가 상기 걸림부(24)에 면접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판체(40)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판체(40)는 상기 제 1 및 제 2 판체(10, 20)보다 두께가 작은 박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판체(20)에 일 측면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19970032381U 1997-11-17 1997-11-17 경첩 KR199900190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81U KR19990019054U (ko) 1997-11-17 1997-11-17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81U KR19990019054U (ko) 1997-11-17 1997-11-17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54U true KR19990019054U (ko) 1999-06-05

Family

ID=6969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381U KR19990019054U (ko) 1997-11-17 1997-11-17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0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30B1 (ko) * 2018-10-16 2019-02-22 (주)퍼맥스 가구 도어용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30B1 (ko) * 2018-10-16 2019-02-22 (주)퍼맥스 가구 도어용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2630C (en) Detent hinge
CA2402496A1 (en) Bistable hinge with reduced stress regions
MX9803865A (es) Cierre con estructura de bisagra biestable de multiples ejes.
KR950005679A (ko) 리드(lid)의 개폐한도 규정용 스토퍼구조
US20050204632A1 (en) Door system opening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KR19990019054U (ko) 경첩
EP1121886A1 (en) Perfected door for shower cubicle
KR200304482Y1 (ko) 경첩
KR0142059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MXPA02006148A (es) Broche articulado para parte superior en gablete de envase de carton, envase con tal broche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H0417486Y2 (ko)
WO2023065440A1 (zh) 一种可折转的板材组合结构
KR19980019849U (ko) 조립식 경첩
KR0119841Y1 (ko) 냉장고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
JP2530301Y2 (ja) 化粧キャビネットの前扉取付装置
KR200287924Y1 (ko) 경첩
KR970047645A (ko) 양측개폐형 냉장고의 하부힌지
KR890002113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0136884B1 (ko) 전자 통신장비의 착탈식 도어 개폐장치
KR200156792Y1 (ko) 유압식 플로어 힌지
KR970075208A (ko)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JPS6113657Y2 (ko)
KR0121431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KR900007069Y1 (ko) 냉장고문의 열림각도 제지 장치
KR970043894A (ko) 차량의 그로브박스의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