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431Y1 -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431Y1
KR0121431Y1 KR2019950009257U KR19950009257U KR0121431Y1 KR 0121431 Y1 KR0121431 Y1 KR 0121431Y1 KR 2019950009257 U KR2019950009257 U KR 2019950009257U KR 19950009257 U KR19950009257 U KR 19950009257U KR 0121431 Y1 KR0121431 Y1 KR 0121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astic
arc
opene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702U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2019950009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431Y1/ko
Publication of KR960037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2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made of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수강으로 된 일정두께의 탄성편중앙부에 호형의 탄력발생부나 주름형 탄력발성부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연결편을 형성하여 수개의 체결공을 뚫어 구성하므로서, 문틀과 문짝이 평행으로 위치하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문짝을 제3도와 제4도에서와 같이 열었을때 탄력발생부인 호형부나 주름형부가 신장되면서 문이 열리게 되므로 호형부나 주름형부에서 탄력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발생된 탄력에 의하여 문짝이 자동으로 유연하게 닫히게 되는데 문짝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축지점이 없이 호형부나 주름부 전체가 가변회전하게 되므로 문짝은 무리없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예의 설치상태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탄성편 2:호형부
2a:주름부 3,3a:연결편
4:체결공 5:문틀
6:문짝
본 고안은 판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축지점이 가변하면서 문짝이 자동으로 닫히게 구성한 자동경첩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경첩은 핀으로 연결시킨 연결편을 문틀과 문짝에 고정시켜 문짝을 열거나 닫게 되는데 이는 핀을 중심으로 여닫히게 되므로 설치된 경첩의 핀 중심이 정확히 맞이 않을 경우에는 문짝이 잘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문짝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기 위하여 연결편을 연결하고 있는 중심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것이 있었으나, 이도 역시 핀을 중심으로 문짝이 열리거나 닫히게 되므로 문틀과 문짝의 연결된 중심에 정확히 맞도록 경첩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작상에 복잡성이 있어 양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특수강으로 된 일정두께의 탄성편중앙부에 호형의 탄력발생부나 주름형 탄력발성부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연결편을 형성하여 수개의 체결공의 뚫어 구성하므로서, 문틀과 문짝이 평행으로 위치하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문짝을 제3도와 제4도에서와 같이 열었을 때 탄력발생부인 호형부나 주름형부가 신장되면서 문이 열리게 되므로 호형부나 주름형부에서 탄력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발생된 탄력에 의하여 문짝이 자동으로 유연하게 닫히게 되는데 문짝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축지점이 없이 호형부나 주름부 전체가 가변회전하게 되므로 문짝은 무리없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강으로된 일정두께의 탄성편(1)중앙부를 탄력발생부가되게 호형부(2)나 주름부(2a)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연결편(3)(3a)을 형성하여 수개의 체결공(4)을 뚫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문틀(5)과 문짝(6)에 설치케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나사못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강으로 된 일정두께의 탄성편(1)중앙부를 탄력발생부가되게 호형부(2)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연결편(3)(3a)을 형성하여 평행으로 설치되는 문틀(5)과 문짝(6)에 연결편(3)(3a)에 뚫은 체결공(4)을 통하여 나사못(7)으로 체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설치된 문짝(6)을 열었다 놓게 되면 호형부(2)에서 문짝(6)을 열을때 발생된 탄발력에 의하여 문짝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데, 이때 문짝(6)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도 탄력발생부인 호형부(2)에서 축지점이 없이 호형부 전체가 가변회전하게 되므로 문짝은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닫히게 된다.
또한, 탄력발생부를 주름형(2a)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더욱 가변회전이 심하게 이루어져서 문짝이 닫히는데 무리를 주지 않을 뿐아니라 탄력이 서서히 작용하게 되므로 문짝은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닫히게 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율이 적고 양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특수강으로 된 일정두께의 탄성편(1)중앙부를 탄력발생부가 되게 호형부(2)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연결편(3)(3a)을 형성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문틀(5)과 문짝(6)에 설치할 수 있게 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1)중앙부를 탄력발생부가되게 주름형부(2a)를 형성하여서 된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KR2019950009257U 1995-05-01 1995-05-01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KR0121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257U KR0121431Y1 (ko) 1995-05-01 1995-05-01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257U KR0121431Y1 (ko) 1995-05-01 1995-05-01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702U KR960037702U (ko) 1996-12-18
KR0121431Y1 true KR0121431Y1 (ko) 1998-09-15

Family

ID=1941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257U KR0121431Y1 (ko) 1995-05-01 1995-05-01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4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702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240A (en) Appliance door hinge
US5027474A (en) Concealed self-closing hinge with leaf spring
US5355557A (en) Concealed self-closing hinge with integral hinge pin means
GB1472457A (en) Hing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US3931663A (en) Springless self-latching hinge having a resilient hinge member
KR0121431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ES281991U (es) Herraje que forma bisagra para batiente de puerta o contraventana de habitacion
JP3285290B2 (ja) ドア支持構造
WO1998045560A1 (en) Door hinge device of snap-in type
KR100198494B1 (ko) 여닫이 문짝 설치용 경첩
US5477590A (en) Single articulation door hinge
JP3082909B2 (ja) 折戸用二軸蝶番
RU2083790C1 (ru) Шарнирная петля для створки двери
GB2175044A (en) Letter plates
KR970006746A (ko) 도어체커가 일체로 구비된 도어힌지
KR940004174A (ko) 도어 클로우저(door closer) 연결 링크 장치(link motion)
JPH0142377Y2 (ko)
KR100572637B1 (ko)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JP2002227510A (ja) ドア支持構造
RU20434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створок в крайних положениях
KR970021612A (ko) 도어용 피벗힌지
KR200343226Y1 (ko) 기능성 도어용 경첩
KR970001823A (ko) 출입문 자동 폐쇄장치
JP3082901B2 (ja) 折戸用二軸蝶番
KR880000533Y1 (ko)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