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637B1 -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 Google Patents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637B1
KR100572637B1 KR1020020019562A KR20020019562A KR100572637B1 KR 100572637 B1 KR100572637 B1 KR 100572637B1 KR 1020020019562 A KR1020020019562 A KR 1020020019562A KR 20020019562 A KR20020019562 A KR 20020019562A KR 100572637 B1 KR100572637 B1 KR 10057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hinge
frame
hinge membe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772A (ko
Inventor
최묵선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강성태
최원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태, 최원겸 filed Critical 강성태
Priority to KR102002001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6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틀에 적용되는 힌지부재를 개선하여 화염 전파 차단, 방풍, 방음, 방범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증대하기 위하여;
힌지부재를 방화문,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간격을 둔 위치에 중심축선을 가지게 형성한 방화문틀 힌지축과, 지지판의 일측에 방화문의 날개부 가장자리를 기준선으로 하여 방화문,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위치에 회전중심점을 가지게 형성한 방화문 힌지홀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방화문, 방화문틀, 힌지부재, 방화문틀 힌지축, 방화문 힌지홀

Description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HINGE MEMBER FOR FIREPROOF DO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가 방화문에 적용됨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가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의 날개부 시이트 삭제경우에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문에 피봇힌지부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방화문,틀부재 22:날개부
24:방화문 26:방화문틀
28:힌지부재 30:방화문틀 힌지축
32:방화문 힌지홀 34:지지대
36:가장자리 기준선 38:중심축선
42:장착부 44:지지판
46:회전중심점 48:커버하우징
50:날개부 시이트
본 발명은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틀에 대한 방화문의 기밀한 개폐 작용을 도모하기 힌지부재의 형상과 장착위치를 개선한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에 걸쳐 날개부를 형성하고 있는 방화문에 피봇힌지부가 설치됨을 종래의 방화문인 실용신안93-16535를 도4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방화문(2)은 가장자리 측면 둘레에 걸쳐 탄성편(4)을 갖는 완충부재(6)를 부착하고 있으며, 전면의 상,하부에서 날개부(8)를 가로질러 돌출되는 피봇힌지부(10)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피봇힌지부(10)는 방화문(2)의 날개부(8)가 위치하는 방화문틀(12)의 날개시이트부(14) 둘레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중심센터(16)가 형성되게 외측으로 일정 각도 꺽여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방화문을 개폐할때 방화문(2)의 날개부(8)가 방화문틀(12)의 날개시이트부(14) 면에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있으나, 이때 정밀 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등으로 피봇힌지부(10)측의 날개부(8) 가장자리가 방화문틀(12)의 날개시이트(14)와 간섭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피봇힌지부(10)측의 날개부(8)는 회전 중심센터(16)를 기준으로 하는 회전반경 범위내에서 원호를 그리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날개부(8)중 피봇힌지부(10)측의 날개부(8)의 간섭이 발생하면 현장에서는 방화문틀(12)과 방화문(2)의 날개부(8)사이에 갭(G)을 형성하게 강제적으로 틈을 형성하여 방음, 방풍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방화문의 주요 기능인 화염의 차단이나 공기의 차단을 극복하지 못하므로서 인명손실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과 방화문과의 개폐시 가장자리 날개부에 의한 간섭을 해소하면서 밀폐와 방음 효과가 힌지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게 개선한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장자리에 걸쳐 날개부를 형성한 방화문과, 이 방화문의 닫힘시 위치하게 단을 형성한 방화문틀과, 상기 방화문을 방화문틀에 거치하여 회전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방화문,틀부재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방화문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상에 방화문의 날개부 가장자리 기준선과 병렬로 위치하게 방화문,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 중심축선을 가지게 형성한 방화문틀 힌지축과,
상기 방화문에 다수의 볼트로 장착되는 장착부와, 이 장착부의 일측이 일정 각도로 굽어지거나 꺽여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방화문의 전면과 병렬되게 일정 길이로 형성한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일측에 방화문의 날개부 가장자리 기준선과 병렬로 위치하게 방화문,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전방의 중심축선상 어느 위치에 회전중심점을 가지게 뚫어 형성한 방화문 힌지홀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힌지부재는 방화문 힌지축과, 방화문 힌지홀을 커버하게 외관을 깔끔하게 마감하여 지지판에 볼트로 볼팅되는 커버하우징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힌지부재는 방화문틀의 날개부 시이트의 형성 유무에 관계없이 방화문 날개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면에 형성되는 중심축선이나 회전중심점의 형성을 설계에 따라 이격정도를 조정하여 정밀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가 방화문에 적용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가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의 날개부 시이트 삭 제경우에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화문,틀부재(20)는 가장자리에 걸쳐 날개부(22)를 형성한 방화문(24)과, 이 방화문(24)의 닫힘시 위치하게 단을 형성한 방화문틀(26)과, 상기 방화문(24)을 방화문틀(26)에 거치하여 회전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힌지부재(28)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28)는 크게 방화문틀 힌지축(30), 방화문 힌지홀(3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방화문틀 힌지축(30)은 방화문틀(26)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지지대(34)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지지대(34)상에 방화문(24)의 날개부(22) 가장자리 기준선(36)과 병렬로 위치하게 방화문,틀(24)(26)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 중심축선(38)을 가지게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방화문 힌지홀(32)은 방화문(24)에 다수 볼트(40)로 장착되는 장착부(42)를 일정 넓이와 길이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장착부(42)의 일측이 일정 각도로 굽어지거나 꺽여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방화문(24)의 전면과 병렬되게 일정 길이로 지지판(44)을 형성하고 있고, 지지판(44)의 일측에 방화문(24)의 날개부(22) 가장자리 기준선(36)과 병렬로 위치하게 방화문,틀(24)(26)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전방의 중심축선(38)상 어느 위치에 회전중심점(46)을 가지게 뚫어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힌지부재(28)는 방화문 힌지축(30)과, 방화문 힌지홀(32)을 커버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마감처리 하기 위하여 지지판(44)에 커버하우징(48)을 마련하고 있으며, 볼트(40)로 볼팅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28)는 방화문틀(26)의 날개부 시이트(50)의 형성 유무에 관계없이 방화문 날개부(22)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면에 형성되는 중심축선(38)이나 회전중심점(46)을 형성 위치등의 조정이나 변경은 설계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즉, 방화문틀(26)에 형성되던 날개부시이트(50)를 삭제하여도 상기 힌지부재(28)에 형성되는 중심축선(38)이나 회전중심점(46)을 날개부(22)의 가장자리 기준선(36)과 일치하게 형성하면서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 설치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날개부시이트(50)의 형성 유무에 관계없이 힌지부재(28)를 적용 설치시 동일 기능을 하게 되어 있다. (도3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방화문(24)에 볼트(40)등으로 체결된 장착부(42)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44)에 방화문(24)의 날개부(22) 가장자리 기준선(36)과 병렬되게 방화문,틀(24)(26)의 전방에 장착부(42)로 고정된 지지판(44)에 회전중심점(46)을 가지게 뚫은 방화문 힌지홀(32)을 이용, 방화문틀(26)에 지지대(34)로 부착되어 날개부(22)의 가장자리 기준선(36)과 병렬되게 방화문,틀(24)(26)의 전방에 일정 위치에 회전중심점(46)을 가지게 되는 중심축선(38)상에 형성되는 방화문틀 힌지축(30)에 조립하므로서 방화문(24)의 열고 닫음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방화문(24)을 열더라도 날개부(22)가 날개부시이트(50)나 날개부시이트(5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도 방화문틀(26)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에 있다가 현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회전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방화문틀(26) 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화문틀(26)의 날개부시이트(50)나 방화문시이트(52)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정숙하면서 기밀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방화문,틀부재(20)를 건축현장에 적용하여 시공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상품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화문,틀(24)(26)에 적용되는 힌지부재(28)에 커버부재(48)를 일방향에서 삽입하여 볼트등으로 체결 고정하여 노출되지 않게 하여 외관을 향상하게 되므로서 상품성 향상에 일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화문,틀에 적용되는 힌지부재의 힌지홀과, 힌지축을 중심축선과 회전중심점에 형성하므로서 방화문의 정밀한 회전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힌지부재의 힌지홀과, 힌지축에 따른 중심축선과 회전중심점의 형성을 방화문,틀부재의 제작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한 힌지부재를 채용하므로서 방화문과 방화문틀과의 기밀함이 유지되어 화염 전파의 차단성이 증대되고, 방풍, 방음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힌지부재에 커버부재를 조립하므로서 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방화문 날개부의 가장자리선 회전반경과 방화문틀의 전면이나 날개부시이트의 모서리등과 간섭이 해소되어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방화재 산업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장자리에 걸쳐 날개부를 형성한 방화문과, 이 방화문의 닫힘시 위치하게 단을 형성한 방화문틀과, 상기 방화문을 방화문틀에 거치하여 회전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방화문,틀부재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28)는 방화문틀(26)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일정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지지대(34)와, 이 지지대(34)상에 방화문(24)의 날개부(22) 가장자리 기준선(36)과 병렬로 위치하게 방화문,틀(24)(26)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전방에 중심축선(38)을 가지게 형성한 방화문틀 힌지축(30)과,
    상기 방화문(24)에 다수의 볼트(40)로 장착되는 장착부(42)와, 이 장착부(42)의 일측이 일정각도로 굽어지거나 꺽여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방화문(24)의 전면과 병렬되게 일정 길이로 형성한 지지판(44)과, 이 지지판(44)의 일측에 방화문(24)의 날개부(22) 가장자리 기준선(36)과 병렬로 위치하게 방화문,틀(24)(26)로부터 일정 간격을 둔 전방의 중심축선(38)상 어느 위치에 회전중심점(46)을 가지게 뚫은 방화문 힌지홀(3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28)는 방화문틀 힌지축(30)과, 방화문 힌지홀(32)을 커버하여 외관을 마감하게 지지판(42)에 볼트(40)로 볼팅되는 커버하우징(48)을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28)는 방화문 날개부(22)의 가장자리 기준선(36)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에 형성되는 중심축선(38)이나, 이 중심축선(38)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는 회전중심점()을 방화문틀(26)의 날개부 시이트(50)의 형성 유무에 따라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KR1020020019562A 2002-04-10 2002-04-10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KR10057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62A KR100572637B1 (ko) 2002-04-10 2002-04-10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62A KR100572637B1 (ko) 2002-04-10 2002-04-10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772A KR20030080772A (ko) 2003-10-17
KR100572637B1 true KR100572637B1 (ko) 2006-04-19

Family

ID=3237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562A KR100572637B1 (ko) 2002-04-10 2002-04-10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35B1 (ko) * 2008-11-19 2012-01-02 (주)삼선씨에스에이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986A (ja) * 1989-04-18 1990-11-09 Nakanishi Eng:Kk ピボットヒンジ
JPH0585972U (ja) * 1992-04-24 1993-11-1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ピボットヒンジ
KR950001464U (ko) * 1993-06-08 1995-01-04 김종태 출입문의 상측용 힌지
KR950033500U (ko) * 1994-05-03 1995-12-16 주식회사동방강건 현관문용 힌지 결합구조
KR970009963U (ko) * 1995-08-12 1997-03-29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2축형 경첩
KR19990012342U (ko) * 1997-09-08 1999-04-06 박병규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986A (ja) * 1989-04-18 1990-11-09 Nakanishi Eng:Kk ピボットヒンジ
JPH0585972U (ja) * 1992-04-24 1993-11-1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ピボットヒンジ
KR950001464U (ko) * 1993-06-08 1995-01-04 김종태 출입문의 상측용 힌지
KR950033500U (ko) * 1994-05-03 1995-12-16 주식회사동방강건 현관문용 힌지 결합구조
KR970009963U (ko) * 1995-08-12 1997-03-29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2축형 경첩
KR19990012342U (ko) * 1997-09-08 1999-04-06 박병규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35B1 (ko) * 2008-11-19 2012-01-02 (주)삼선씨에스에이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772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771A (en) Door hinge and mount
KR100767069B1 (ko)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KR100572637B1 (ko)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EP1232317B1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KR20190002640U (ko) 현관 방화문 장치
CA3088916C (en) Door with finger pinch prevention function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JP3879039B2 (ja) 建物用ドア
JP6889142B2 (ja) 倒し窓の化粧板取付構造
KR200317333Y1 (ko) 방화문용 힌지 결합장치
KR200287720Y1 (ko) 사면날개를 갖는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KR200344365Y1 (ko) 무돌출 경첩에 의한 4방향 밀폐날개를 갖는 방화문
KR1007171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KR20010078383A (ko) 레일은폐형 창호장치
KR200339803Y1 (ko) 편심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무돌출 경첩
JP3669983B2 (ja) ドアの開閉構造
KR20040027678A (ko) 안전 도어 힌지 및 도어
KR200283717Y1 (ko)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KR102623560B1 (ko) 매립형 도어클로저가 적용된 pvc 터닝 도어
JPH09279964A (ja) シャッター
KR10087967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가능한 작동 글래스 설치 구조
KR20190000169U (ko) 문용 경첩
KR100577980B1 (ko) 방화셔터용 역경첩
KR100198494B1 (ko) 여닫이 문짝 설치용 경첩
JP3128144U (ja) 竪枠取付型ピボッ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