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533Y1 -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533Y1
KR880000533Y1 KR2019830002586U KR830002586U KR880000533Y1 KR 880000533 Y1 KR880000533 Y1 KR 880000533Y1 KR 2019830002586 U KR2019830002586 U KR 2019830002586U KR 830002586 U KR830002586 U KR 830002586U KR 880000533 Y1 KR880000533 Y1 KR 880000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ust cover
hinge
rotating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40U (ko
Inventor
장학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2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533Y1/ko
Publication of KR840005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33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 2 : 고징편
2' : 지지부 3 : 회동체
4, 4' : 탄력편 5 : 보강편
6 : 지지편 7 : 걸림편
8 : 축봉 9 : 스프링
9', 9" : 스프링의 양단
본 고안은 레코오드 턴 테이블 등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카바를 평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그 제작과 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카바를 해정하였을때 별도의 탄동장치 없이도 카바가 어느 일정각도 만큼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힌지를 형성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에 사용되는 힌지를 보면 거의 모두가 단순히 고정편과 회동편을 서로 유설시켜 고정편은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회동편은 더스트 카바에 일일히 나사로써 체결해야 했으므로 더스트 카바의 설치 교환이 매우 번거로왔고 또한 나사로 체결된 부분이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더스트 카바를 대부분형으로 형성해야 함으로써 그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제작비가 많아드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폐단에 대처하여, 서로 유설된 고정편과 회동편으로 된 힌지에 있어서 회동편을 집게형으로 형성하여 이에 평판형 더스트 카바를 용이하게 탄삽 고정토록 하고 또한 회동편과 일체로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 회동편과 고정편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을 탄설하여, 사용자가 일단은 상기 회동편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에 괘징된 더스트 카바를 해정하면 별도의 탄동정치를 설치해 주지 않아도 힌지만의 힘으로 더스트 카바가 어느 일정 각도까지 자동적으로 탄동개폐되도록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유설된 고정편(2)과 회동체(3)로 구성된 힌지(1)에 있어서, 회동체(3)에형으로 절곡된 상하 탄력편(4)(4')과 이와 일체로 보강편(5), 지지편(6)을 형성하여 회동체 전체를형으로 구성하고 지지편(6)의 내측으로 약간 사이를 두고 걸림편(7)을 형성하며, 고정편(2)에 절곡형성한 지지부(2')를 상기 지지편(6)과 걸림편(7) 사이에 삽지하여 축봉(8)으로써 유설하고 이 축봉(8)상에 스프링(9)을 권설하되 스프링(9)의 일단(9')은 회동체(3)에 타단(9")은 고정편(2)에 각각 탄지하여 회동체(3)와 고정편(2)이 서로 비틀림 탄설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며, 미설명부호 10은 더스트 카바, 11은 음향기기의 케이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와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도에 있어서 실선 부분은 본 고안을 음향기기의 케이스(11)에 설치한 후 더스트 카바(10)의 일단을 이에 탄삽 고정하고 그 타단을 케이스(11)에 괘정하여 완전히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더스트 카바(10)를 케이스(11)로 부터 해졍하면, 힌지(1)에 비틀림 탄설한 스프링(9)의 힘으로 더스트 카바(10)가 상측으로 탄동되어 열리고 이후 일정 각도만큼 상승 회동한 후에는 회동체(3)의 걸림편(7)이 고정편(2)의 기벽에 걸림으로써 더스트 카바(10)가 멈추게 되어 별도의 탄동 장치를 설치해 주지 않아도 일정각도 내의 탄동 개폐가 가능하며 스프링(9)의 장력을 조절하여 더스트 카바(10)의 중량과의 사이에 평형점을 조작하면 걸림편(7)의 걸림각을 최대 개폐각("가"의 상태)으로 하고 그 이하의 원하는 각도("나"의 상태)까지 부드럽게 열리게 할수도 있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더스트 카바(10)에 어떠한 나사구멍을 천공하지 않아도 이를 힌지(1)의 회동체(3)에 견고히 탄삽 고정할 수 있으며 보강편(5)은 더스트 카바(10)가 탄동될 때 상하 탄력편(4)(4')이 더욱 벌어져 틀이 생기는 것을 충분히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고 더우기 본 고안을 사용하면 더스트 카바(10)를 평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종래의형 더스트 카바 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재료가 적게 들어 그만큼 카바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용 힌지를 개량함에 있어서 평판형 더스트 카바를 힌지에 용이하게 탄삽 고정토록 하고 힌지만의 힘으로도 더스트 카바가 일정각도 내에서 탄동 개폐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더스트 카바의 제작비를 절감하고 그 설치교환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탄동 장치가 필요치 않은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힌지(1)를 구성함에 있어서,형으로 절곡된 상하 탄력편(4)(4')과 보강편(5), 지지편(6)을 일체로 형성하여형의 전체 형상을 가진 회동체(3)를 구성하고 지지편(6)의 내측으로 약간 사이를 두고 걸림편(7)을 형성하며, 고정편(2)에 절곡형성한 지지부(2')를 상기 지지편(6)과 걸림편(7)사이에 삽지하여 축봉(8)으로써 유설하고 이 축봉(8)상에 스프링(9)을 권설하되 그 일단(9')은 회동체(3)에 타단(9")은 고정편(2)에 각각 탄지하여 회동체(3)와 고정편(2)이 서로 비틀림 탄설되도록 하여서 된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힌지.
KR2019830002586U 1983-03-24 1983-03-24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KR880000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2586U KR880000533Y1 (ko) 1983-03-24 1983-03-24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2586U KR880000533Y1 (ko) 1983-03-24 1983-03-24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40U KR840005940U (ko) 1984-11-10
KR880000533Y1 true KR880000533Y1 (ko) 1988-03-12

Family

ID=1922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586U KR880000533Y1 (ko) 1983-03-24 1983-03-24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40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2230A (en) Door check
US3787923A (en) Hinge with torsion bar
KR100388989B1 (en) Hinge device for opening/closing upper member of office machine
US6497005B2 (en) Hinge mounted adjustable doorstop
CN1763343B (zh) 铰链装置
US1925945A (en) Door and window closer
KR880000533Y1 (ko) 음향기기의 더스트 카바(Dust Cover)용 흰지
US3103692A (en) Adjustable door stop
US3608129A (en) Cam hinge assembly
US2706828A (en) Closer hinge
JPH07247757A (ja) 自動ドア装置のハンガーローラー機構
US2213319A (en) Lid support
JPH0215340Y2 (ko)
US4149295A (en) Door return apparatus
KR200368284Y1 (ko) 문닫힘 방지용 경첩
US2220967A (en) Door closing and checking device
KR0120658Y1 (ko) 세탁기의 뚜껑 개폐장치
US2442955A (en) Lid support
KR0121431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자동경첩
CN211406506U (zh) 一种控温仪的盒盖结构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100188300B1 (ko) 도어용 피벗힌지
JPH0216363Y2 (ko)
KR820000088Y1 (ko) 공압식 도어크로져
JPS61145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