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705B1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705B1
KR102069705B1 KR1020190063512A KR20190063512A KR102069705B1 KR 102069705 B1 KR102069705 B1 KR 102069705B1 KR 1020190063512 A KR1020190063512 A KR 1020190063512A KR 20190063512 A KR20190063512 A KR 20190063512A KR 102069705 B1 KR102069705 B1 KR 10206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hinge piece
bracke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힌지연결부를,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브라켓에서 연장되는 고정힌지편, 회동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초기에 고정힌지편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회동힌지편, 및 고정힌지편과 회동힌지편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여 고정힌지편에 대해 회동힌지편의 회동을 안내하는 힌지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힌지연결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탄성적으로 결속되는 닫힘유지부를 통해 도어를 본체에 닫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임의적으로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도어의 여닫힘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리브와 탄성편에 덧살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 억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HINGE FOR LOCKE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연결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탄성적으로 결속되는 닫힘유지부를 통해 도어를 본체에 닫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임의적으로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도어의 여닫힘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리브와 탄성편에 덧살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 억제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개인적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학교,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다양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개방된 전면에 도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사물함에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경첩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사물함과 도어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면 유격에 의해 사물함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사물이 가구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자극에 의해 도어가 쉽게 열리게 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0163호(2010.10.20 등록, 발명의 명칭: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도어용 경첩은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릴 경우 사물함의 앞을 통행하는 다른 이용자의 통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열린 도어에 신체가 부딪혀 부상을 당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연결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닫힘유지부가 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임의적으로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여닫힘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리브와 탄성편에 덧살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 억제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칸막이에 의해 제 1수납공간과 제 2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의 상기 제 1수납공간의 상측 내부, 상기 제 1수납공간의 하측 내부, 상기 제 2수납공간의 하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제 1수납공간의 상측 내부에 위치한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 1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수납공간의 하측 내부에 위치한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 2도어에 구비되는 회동브라켓; 상기 제 1수납공간의 하측 내부에 위치한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도어에 구비되는 개폐안내브라켓; 대응되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 대응되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과 상기 개폐안내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본체의 개방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시, 상기 회동브라켓과 상기 개폐안내브라켓의 회동을 허용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닫힘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연장되는 고정힌지편; 상기 회동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초기에 상기 고정힌지편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회동힌지편; 및 상기 고정힌지편과 상기 회동힌지편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힌지편에 대해 상기 회동힌지편의 회동을 안내하는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닫힘유지부는, 상기 고정힌지편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슬롯구;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시, 상기 고정슬롯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동힌지편에 형성되는 회동슬롯구; 상기 회동힌지편에서 상기 회동슬롯구까지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탄성리브; 및 상기 탄성리브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엠보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슬롯구는 상기 고정힌지편의 일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닫힘유지부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시, 상기 고정슬롯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개폐안내힌지편에 형성되는 슬롯홀부; 상기 슬롯홀부의 장축측 내부 일측에서 중앙까지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2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슬롯구는 상기 고정힌지편의 타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엠보돌부가 대응되는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을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림돌부가 대응되는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을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돌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돌부는 볼록한 표면에 결착돌부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고, 대응되는 고정슬롯구는 상기 결착돌부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내측면에 결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부는 볼록한 표면에 안착돌부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고, 대응되는 고정슬롯구는 상기 안착돌부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내측면에 결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종래 기술과 달리 힌지연결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시, 탄성적으로 결속되는 닫힘유지부에 의해 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임의적으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여닫힘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리브와 탄성편에 덧살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 억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이 도어의 닫힘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이 도어의 열림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닫힘시의 경첩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열림시의 경첩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안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이 도어의 닫힘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이 도어의 열림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닫힘시의 경첩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열림시의 경첩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100)은 고정브라켓(110), 회동브라켓(120), 힌지연결부(140) 및 닫힘유지부(150)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10)은 사물함이나 수납함 등의 본체(10)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회동브라켓(120)은 도어(22,24)에 결합된다.
이때, 본체(10)는 칸막이(12)를 통해 수납공간(14,16)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2,24)는 하나 구비되어 복수 개의 수납공간(14,16)을 동시에 개폐할 수도 있고, 각 수납공간(14,16)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편의상, 본체(10)는 내부에 칸막이(12)를 한 개 구비함으로써 상부의 제 1수납공간(14)과 하부의 제 2수납공간(16)으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하고, 도어(22,24)는 제 1수납공간(14)을 개폐하는 제 1도어(22)와 제 2수납공간(16)을 개폐하는 제 2도어(24)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고정브라켓(110)은 제 1수납공간(14)과 제 2수납공간(16)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도 있으나,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과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 및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회동브라켓(120)은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과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10)에 대응되도록 제 1도어(22)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2도어(24)는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10)에 대응되도록 회동브라켓(120)을 구비하고,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의 고정브라켓(110)에 연결되는 개폐안내브라켓(130)을 구비한다. 즉,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110)은 제 1도어(22)의 내측면 하부에 구비된 회동브라켓(120)을 연결하고, 제 2도어(24)의 내측면 상부에 구비된 개폐안내브라켓(130)을 연결한다. 이때, 회동브라켓(120)과 개폐안내브라켓(130)은 동일 형상일 수도 있고, 상이한 형상일 수도 있으나, 동일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힌지연결부(140)는 대응되는 고정브라켓(110)과 회동브라켓(120)을 힌지 연결하여, 본체(10)의 개방측을 개폐하도록,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의 열림 또는 닫힘시, 회동브라켓(1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힌지연결부(140)는 대응되는 고정브라켓(110)과 개폐안내브라켓(130)을 힌지 연결하여, 본체(10)의 개방측을 개폐하도록, 제 2도어(24)의 열림 또는 닫힘시, 개폐안내브라켓(130)의 회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닫힘유지부(150)는 힌지연결부(140)에 구비되어,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의 닫힘시,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힌지연결부(140)는 고정힌지편(142), 회동힌지편(144), 힌지핀(146) 및 개폐안내힌지편(148)을 포함한다.
고정힌지편(142)은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브라켓(110)에서 연장된다. 특히, 고정힌지편(142)은 본체(10)의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과 내부 하측 및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의 동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0) 각각에 구비된다. 이때, 고정힌지편(142)은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고정힌지편(142)은 본체(10)의 전측으로 돌출되어 회동힌지편(144)과 개폐안내힌지편(148)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회동힌지편(144)과 개폐안내힌지편(148)의 힌지 회동시 본체(10)의 간섭을 방지한다.
특히, 회동힌지편(144)은 회동브라켓(120)에서 연장되고, 초기에 고정힌지편(142)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즉, 회동힌지편(144)은 본체(10)의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과 내부 하측 및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의 동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0)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 1도어(22)의 내측면과 제 2도어(24)의 내측면의 회동브라켓(120) 각각에서 연장된다. 아울러, 대응되는 고정힌지편(142)과 회동힌지편(144)은 초기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초기'는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가 본체(10)의 대응되는 제 1수납공간(14)과 제 2수납공간(16)을 막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힌지핀(146)은 대응되는 고정힌지편(142)과 회동힌지편(144)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한다. 그래서, 회동힌지편(144)은 고정힌지편(142)에 대해 회동이 허용됨으로써,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는 본체(10)에 대해 개폐를 위해 회동이 된다. 물론, 힌지핀(146)은 고정힌지편(142)과 회동힌지편(144)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개폐안내힌지편(148)은 제 2도어(24)에 결합된 개폐안내브라켓(130)에서 연장되고,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의 힌지핀(14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의 회동힌지편(144)과 개폐안내힌지편(148)은 고정힌지편(142)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초기에 고정힌지편(142)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물론, 힌지핀(146)에 의해 상호 연결된 회동힌지편(144), 고정힌지편(142) 및 개폐안내힌지편(148)은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브라켓(110) 각각은 수평결속부재(112), 수직결속부재(114) 및 절곡지지부재(116)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10) 각각의 수평결속부재(112)는 본체(10) 내측면 중 수평면에 결속된다. 즉, 수평결속부재(112)는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면,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면 및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수평결속부재(112)는 본체(10)와 면접촉된 채 결속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10) 각각의 수직결속부재(114)는 대응되는 수평결속부재(112)에서 절곡 연장되어, 본체(10) 내측면 중 수직면에 결속된다. 즉, 수직결속부재(114)는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면과 하측면에 결속된 수평결속부재(112) 각각에서 절곡 연장되어 제 1수납공간(14)의 측면 내부에 결속되고,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면에 결속된 수평결속부재(112)에서 절곡 연장되어 제 2수납공간(16)의 측면 내부에 결속된다. 즉, 대응되는 수평결속부재(112)와 수직결속부재(114)는 정면에서 봤을 때 '기억'자 형상으로 절곡된 채 본체(10)에 면접되어 결속됨으로써, 고정브라켓(110)은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절곡지지부재(116)는 수평결속부재(112) 각각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본체(10)의 전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본체(10)의 전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힌지편(142)을 연결 지지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10) 각각은 본체(10)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세면에 결속됨으로써, 본체(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물론, 고정브라켓(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회동브라켓(120)은 회동결속부재(122) 및 절곡연장부재(124)를 포함한다.
회동결속부재(122)는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과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0)에 대응되도록 제 1도어(22)의 내측면에 결속되고, 제 2수납공간(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0)에 대응되도록 제 2도어(24)의 내측면에 결속된다. 이때, 회동결속부재(122)는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의 내측면에 면접촉된 채 결속된다.
절곡연장부재(124)는 회동결속부재(122) 각각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회동브라켓(120)은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때, 동일한 회동결속부재(122)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연장부재(124)와 회동힌지편(144)은 대응되는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접하지 않게 된다. 즉, 절곡연장부재(124)는 대응되는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측면 테두리에 접하고, 회동힌지편(144)은 대응되는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상측면 테두리에 접한다.
아울러, 개폐안내브라켓(130)은 결속편(132) 및 절곡돌부(134)를 포함한다.
결속편(132)은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0)에 대응되도록 제 1도어(22)의 내측면에 결속된다.
절곡돌부(134)는 결속편(132)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제 1도어(22)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개폐안내브라켓(130)은 제 1도어(22)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때, 결속편(132)에서 절곡 연장된 절곡돌부(134)와 개폐안내힌지편(148)은 제 1도어(22)의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접하지 않게 된다. 즉, 절곡돌부(134)는 제 1도어(22)의 측면 테두리에 접하고, 개폐안내힌지편(148)은 제 1도어(22)의 하측면 테두리에 접한다.
한편, 닫힘유지부(150)는 고정슬롯구(151), 회동슬롯구(152), 탄성리브(153), 엠보돌부(154), 슬롯홀부(155), 탄성편(156) 및 걸림돌부(157)를 포함한다.
고정슬롯구(151)는 고정힌지편(142) 각각에 형성된다. 이때, 고정슬롯구(151)는 회동힌지편(144)에 대향하도록 일측면에 장방형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축이 본체(10)의 가로너비 방향과 나란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회동슬롯구(152)는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닫힘시, 고정슬롯구(151) 각각에 대응되도록, 회동힌지편(144)에 형성된다. 특히,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가 닫힘시, 대응되는 고정힌지편(142)과 회동힌지편(144)은 완전히 포개지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와 회동슬롯구(152)는 일치되게 배치된다. 물론, 회동슬롯구(152)는 슬롯홀 형상인 것으로 하고, 장축이 고정슬롯구(151)의 장축과 나란한 것으로 한다.
탄성리브(153)는 회동힌지편(144) 각각의 회동슬롯구(152)의 내측면에서 장축 방향으로 일측에서 대략 중앙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탄성리브(153)는 탄성력을 갖고 타측이 자유단을 이루게 된다. 물론, 탄성리브(153)는 형상 및 두께가 한정되지 않는다.
엠보돌부(154)는 탄성리브(153) 각각에 돌출되어,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가 닫힘 상태시,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엠보돌부(154)는 제 1도어(22) 또는 제 2도어(24)의 열림을 위해 일정 이상 힘이 작용시,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에서 원활하게 이탈 가능하도록 둘레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을 형성한다. 물론, 엠보돌부(15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슬롯홀부(155)는 제 1도어(22)의 닫힘시,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고정힌지편(142)의 고정슬롯구(151)에 대응되도록, 개폐안내힌지편(148)에 형성된다. 슬롯홀부(155)는 회동슬롯구(15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탄성편(156)은 슬롯홀부(155)의 장축측 내부 일측에서 대략 중앙까지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타측이 자유단을 이루게 된다. 물론, 탄성편(156)은 형상 및 두께에 한정하지 않는다.
걸림돌부(157)는 탄성편(156)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제 1도어(2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 1도어(22)는 상측이 엠보돌부(154)에 의해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상측의 고정힌지편(142)에 구속되고, 하측이 걸림돌부(157)에 의해 제 1수납공간(14)의 내부 하측의 고정힌지편(142)에 구속된다. 걸림돌부(157)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물론, 걸림돌부(157)는 제 1도어(22)의 열림을 위해 일정 이상 힘이 작용시,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에서 원활하게 이탈 가능하도록 둘레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탄성리브(153)는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표면에 보강리브(162)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탄성리브(153)는 회동슬롯구(152)의 내측면에서 자유단을 이루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리브(153)가 탄성 변형되면서, 엠보돌부(154)가 고정슬롯구(151)에 수용되는데, 탄성리브(153)는 잦은 탄성 변형으로 인해 탄성 변형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슬롯구(151)의 반대측 표면에 보강리브(162)를 돌출 형성한다.
탄성리브(153)는 보강리브(162)로 인해 탄성 변형량이 줄어들게 되고, 엠보돌부(154)가 고정슬롯구(151)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제 1도어(22)와 제 2도어(24)의 닫힘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고정슬롯구(151)는 엠보돌부(154)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고정슬롯구(151)와 엠보돌부(154)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물론, 보강리브(16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탄성편(156)는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표면에 보강돌부(164)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 1수납공간(14)과 제 2수납공간(16)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는 힌지연결부(140)의 고정힌지편(142)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호 형상의 고정슬롯구(151)를 형성한다. 그래서, 해당 고정힌지편(142)은 상측면의 고정슬롯구(151)에 대응되는 엠보돌부(154)를 수용하고, 하측면의 고정슬롯구(151)에 대응되는 걸림돌부(157)를 수용한다.
특히, 탄성편(156)은 슬롯홀부(155)의 내측면에서 자유단을 이루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편(156)이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돌부(157)가 홈 형상의 대응되는 고정슬롯구(151)에 수용되는데, 탄성편(156)은 잦은 탄성 변형으로 인해 탄성 변형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슬롯구(151)의 반대측 표면에 보강돌부(164)를 돌출 형성한다.
탄성편(156)은 보강돌부(164)로 인해 탄성 변형량이 줄어들게 되고, 걸림돌부(157)가 해당되는 고정슬롯구(151)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제 2도어(24)의 닫힘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고정슬롯구(151)는 걸림돌부(157)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보강돌부(16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볼록한 반원 형상의 엠보돌부(154)는 표면에 결착돌부(154a)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고, 볼록한 반원 형상의 걸림돌부(157)는 표면에 안착돌부(157a)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며, 오목한 반원 형상의 고정슬롯구(151)는 대응되는 결착돌부(154a) 또는 안착돌부(157a)를 일대일로 수용하기 위해 결착홈부(151a)를 함몰 형성한다.
이에 따라, 엠보돌부(154)와 걸림돌부(157)의 고정슬롯구(151)에 대한 결속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칸막이
14: 제 1수납공간 16: 제 2수납공간
22: 제 1도어 24: 제 2도어
100: 경첩 110: 고정브라켓
112: 수평결속부재 114: 수직결속부재
116: 절곡지지부재 120: 회동브라켓
130: 개폐안내브라켓 140: 힌지연결부
142: 고정힌지편 144: 회동힌지편
146: 힌지핀 148: 개폐안내힌지편
150: 닫힘유지부 151: 고정슬롯구
152: 회동슬롯구 153: 탄성리브
154: 엠보돌부 155: 슬롯홀부
156: 탄성편 157: 걸림돌부

Claims (4)

  1. 칸막이에 의해 제 1수납공간과 제 2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의 상기 제 1수납공간의 상측 내부, 상기 제 1수납공간의 하측 내부, 상기 제 2수납공간의 하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제 1수납공간의 상측 내부에 위치한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 1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수납공간의 하측 내부에 위치한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 2도어에 구비되는 회동브라켓; 상기 제 1수납공간의 하측 내부에 위치한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도어에 구비되는 개폐안내브라켓; 대응되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 대응되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과 상기 개폐안내브라켓을 힌지 연결하여, 상기 본체의 개방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시, 상기 회동브라켓과 상기 개폐안내브라켓의 회동을 허용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닫힘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연장되는 고정힌지편; 상기 회동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초기에 상기 고정힌지편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회동힌지편; 상기 고정힌지편과 상기 회동힌지편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힌지편에 대해 상기 회동힌지편의 회동을 안내하는 힌지핀; 및 상기 개폐안내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초기에 상기 고정힌지편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개폐안내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닫힘유지부는, 상기 고정힌지편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슬롯구;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시, 상기 고정슬롯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동힌지편에 형성되는 회동슬롯구; 상기 회동힌지편에서 상기 회동슬롯구까지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탄성리브; 상기 탄성리브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1도어 또는 상기 제 2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엠보돌부; 상기 제 2도어의 닫힘시, 상기 고정슬롯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개폐안내힌지편에 형성되는 슬롯홀부; 상기 슬롯홀부의 장축측 내부 일측에서 중앙까지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2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슬롯구는 상기 고정힌지편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엠보돌부가 대응되는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을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림돌부가 대응되는 고정슬롯구의 내측면을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돌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3512A 2018-10-04 2019-05-30 도어용 경첩 KR102069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77 2018-10-04
KR20180117977 2018-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05B1 true KR102069705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12A KR102069705B1 (ko) 2018-10-04 2019-05-30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026B1 (ko) * 2022-07-12 2022-09-30 정영호 사물함 경첩장치
KR20220162276A (ko) * 2021-06-01 2022-12-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함 도어의 경첩구조
KR102593129B1 (ko) * 2023-02-28 2023-10-24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닫힘이 가능한 경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63B1 (ko) * 2010-04-15 2010-10-29 오금애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
KR101009611B1 (ko) * 2010-09-08 2011-01-21 권양섭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KR101298230B1 (ko) * 2013-05-28 2013-08-22 유인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KR101653811B1 (ko) * 2016-03-22 2016-09-09 주식회사 대농크로바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63B1 (ko) * 2010-04-15 2010-10-29 오금애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
KR101009611B1 (ko) * 2010-09-08 2011-01-21 권양섭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KR101298230B1 (ko) * 2013-05-28 2013-08-22 유인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KR101653811B1 (ko) * 2016-03-22 2016-09-09 주식회사 대농크로바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76A (ko) * 2021-06-01 2022-12-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함 도어의 경첩구조
KR102490242B1 (ko) * 2021-06-01 2023-01-1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함 도어의 경첩구조
KR102450026B1 (ko) * 2022-07-12 2022-09-30 정영호 사물함 경첩장치
KR102593129B1 (ko) * 2023-02-28 2023-10-24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닫힘이 가능한 경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705B1 (ko) 도어용 경첩
US7574775B2 (en) Snap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EP1327841A2 (en) Refrigerator with two-axis door hinge
US4123822A (en) Pinless hinge structure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101957647B1 (ko) 도어용 경첩
KR102243060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12274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20190021134A (ko) 가구용 상부경첩
KR200443887Y1 (ko) 사물함용 경첩
KR102130065B1 (ko) 가구용 경첩장치
KR101951230B1 (ko) 가구 도어용 경첩
KR10226345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미닫이도어를 갖는 수납장
KR102150697B1 (ko) 수납가구
KR101962078B1 (ko)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KR200415360Y1 (ko) 개폐문이 구비된 책꽂이
KR102450026B1 (ko) 사물함 경첩장치
KR100598792B1 (ko) 냉장고 홈바
KR102609598B1 (ko) 경첩장치
KR102257352B1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593128B1 (ko) 가구 도어의 양방향 개폐 장치
JP3114072U (ja) ラックの扉板構造
KR102044630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US20240093543A1 (en) Door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