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026B1 - 사물함 경첩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경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026B1
KR102450026B1 KR1020220085603A KR20220085603A KR102450026B1 KR 102450026 B1 KR102450026 B1 KR 102450026B1 KR 1020220085603 A KR1020220085603 A KR 1020220085603A KR 20220085603 A KR20220085603 A KR 20220085603A KR 102450026 B1 KR102450026 B1 KR 10245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upling part
lock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22008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개폐시 도어가 무단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물함본체에 결속되는 본체결합부와;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결합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를 힌지결합하도록 된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사물함 경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사물함본체의 개구선단에서 모서리부위의 측벽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피스를 통해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결합절곡편과, 상기 결합절곡편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결합부의 저면이 지지되는 면적을 가지는 힌지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재가 축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단부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2096887512-pat00004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결합편에는, 상기 도어결합부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저지돌부가 끼움되면서 결속되는 결속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편에서 상기 도어결합부의 저면이 밀착되는 면에는, 상기 도어결합부의 회전운동시 상기 저지돌부가 안내되면서 상기 결속공으로 유도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사물함 경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함 경첩장치{A locker hinge}
본 발명은, 사물함본체에 도어를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도록 된 사물함 경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사물함 경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개폐시 도어가 무단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사물함 경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구는 사무용 또는 가정용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사무용 가구 중에서 학교에 사용되는 사물함의 경우 다단으로 종횡의 사물함이 구비되고 이들 사물함마다 여닫이식 도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내부에 수납되는 비품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야 하는 사물함 등과 같은 가구는, 통상적으로, 비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가구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가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가구를 구성하는 상기 가구본체와 상기 도어는, 상기 가구본체의 전방 일측면 모서리와 상기 도어의 일 측면 모서리 간에 1개 이상의 힌지구조를 가지는 경첩이 설치되어 상기 가구본체에 대하여 상기 도어가 자유롭게 회동되어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가구본체와 상기 도어가 상기 경첩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가구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첩은, 통상적으로, 상기 가구본체와 상기 도어에 각각 볼트(나사)를 통해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경첩의 일측은, 상기 가구본체의 내측면에 볼트(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불트(나사)결합되어, 상기 가구본체에 상기 도어를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하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구용 경첩은, 통상적으로, 상기 가구본체에 결속되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결합부; 및 상기 본체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를 힌지결합하도록 된 힌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가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하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가구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될 때, 상기 본체결합부에 대하여 상기 도어결합부가 회전운동하면서 절첩된다.
상기와 같은 가구용 경첩은, 다양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689247호(명칭: 개인사물함의 도어 결합구조)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인사물함의 도어 결합구조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 시 도어가 사물함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하되, 도어의 상하부에서 힌지의 축이 사물함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힌지를 사용하여 도어와 사물함을 결합하고, 상기 상 하부 힌지를 구성하는 사물함측 힌지요소는 사물함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결합하는 볼트에 함께 체결하고, 도어측 힌지요소는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테두리에 나사로 체결하는 구조의 개인사물함의 도어 결합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1555호(명칭: 도어용 경첩)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각각의 평면에 나사공이 천공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힌지공이 천공된 연장돌기로 이루어진 몸체 고정부재와; 도어의 일측단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자형의 고정편과, 상기 연장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정면에서 측면으로 천공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동일선상을 따라 고정편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연장돌기의 힌지공과 대향하는 힌지공을 형성하는 힌지고정부와, 상기 고정편의 일측면에 천공되어 도어에 상기 고정편을 고정하는 나사공으로 이루어진 도어 연결부재와; 상기 몸체 고정부재의 힌지공과 상기 도어 연결부재의 힌지공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되는 힌지핀으로 구성되는 도어용 경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90163호(명칭: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앙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일 측에는 도어 내면에 설치되며 그 설치되는 도어의 상단 면 또는 하단 면 중 어느 일 측 단면과 면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90°로 절곡 형성된 도어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타 측에는 가구본체의 내벽에 설치되며 그 설치되는 내벽의 상단면 또는 하단 면 중 어느 일 측면과 면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90°로 절곡 형성된 본체힌지부가 구비된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는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물함사용자의 이름이나 사물함관리자의 이름 및 사물함에 보관되는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가 고정부의 끝단으로부터 도어방향으로 90°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도어힌지부의 일 측에는 도어힌지부의 해당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절개 편을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이 되게 감으며, 그 감으면서 발생하는 원통형의 상호 대향하는 양 끝단 변을 상호 용접하여 상기 도어힌지부와 일체로 된 스토퍼를 마련하며, 상기 스토퍼와 부합되는 위치의 본체힌지부 일 측에는 전방에 호형의 스토퍼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지지편을 갖는 "ㄱ"자형의 스토퍼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지지편과 상기 90°로 절곡 형성된 고정부의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지지편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 축의 상단은 도어힌지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힌지 축의 하단은 본체힌지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구성된 도어용 경첩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98230호(명칭: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내측에 고정되는 본체측 힌지부재, 도어의 끝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도어측 힌지부재 그리고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 및 상기 본체측 힌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의 도어수평고정판에 탄성편을 갖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편이 상기 본체측 힌지부재의 연장판에 형성된 걸림구멍으로 끼워지면 상기 도어의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축연결구멍에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열림제한편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열림제한편이 걸리는 열림제한턱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편이 걸림구멍을 벗어나면, 상기 열림제한편이 열림제한턱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의 열림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힌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689247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1555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90163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9823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첩구성 및 경첩구조들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생산효율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개폐시 도어가 무단으로 회전운동하여 도어가 자유롭게 회전 및 유동됨에 따라, 사용상의 안전성 및 개폐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함본체에 도어를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도록 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개폐시 도어가 무단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사물함 경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는, 사물함본체에 결속되는 본체결합부와;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결합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를 힌지결합하도록 된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사물함 경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사물함본체의 개구선단에서 모서리부위의 측벽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피스를 통해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결합절곡편과, 상기 결합절곡편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결합부의 저면이 지지되는 면적을 가지는 힌지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재가 축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단부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2096887512-pat00001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결합편에는, 상기 도어결합부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저지돌부가 끼움되면서 결속되는 결속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편에서 상기 도어결합부의 저면이 밀착되는 면에는, 상기 도어결합부의 회전운동시 상기 저지돌부가 안내되면서 상기 결속공으로 유도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는, 본체결합부가 사물함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가 결합된 도어결합부가 힌지부재를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여 회전운동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물함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체결합부와 도어결합부가 프레스가공을 통해 성형제조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도어의 개폐작업(자물쇠의 잠금 및 해제)시 저지돌부가 결속공에 끼움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됨으로써, 도어가 무단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 및 작업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가 도어에 대한 폐쇄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의 잠금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구성하는 도어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구성하는 도어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저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구성하는 도어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는, 사물함본체(100)에 결속되는 본체결합부(2)와; 도어(110)에 결합되는 도어결합부(3)와; 상기 본체결합부(2)와 상기 도어결합부(3)를 힌지결합하도록 된 힌지부재(4);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본체결합부(2)가 상기 사물함본체(100)의 개구전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0)가 결합된 상기 도어결합부(3)가 상기 힌지부재(4)를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여 회전운동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물함본체(100)의 개구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에서 힌지부재(4)는, '봉(rod)' 형상의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본체결합부(2)와 상기 도어결합부(3)에 각각 '리벳팅'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에서, 상기 본체결합부(2)는, 상기 사물함본체(100)의 개구선단에서 모서리부위의 측벽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피스(120)를 통해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결합절곡편(21)과, 상기 결합절곡편(21)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4)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결합부(3)의 저면이 지지되는 면적을 가지는 힌지결합편(22)을 포함한다.
즉, 'ㄴ'형상의 상기 결합절곡편(21)이 상기 사물함본체(100)의 개구선단에 상기 고정피스(120)(예를 들면, 못, 나사, 핀 등)를 통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결합편(22)에 상기 힌지부재(4)가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결합부(3)가 상기 힌지결합편(22)에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편(22)이 상기 사물함본체(100)의 개구선단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도어결합부(3)가 상기 개구선단의 전면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동작이 사물함본체(100)의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본체결합부(2)의 상기 결합절곡편(21)과 상기 힌지결합편(22)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통상의 '프레스가공'방법을 통해 대량으로 성형제조될 수 있어,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에서, 상기 도어결합부(3)는, 상기 힌지부재(4)가 축결합되는 힌지공(31)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110)의 단부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2096887512-pat00002
'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110)가 상기 도어결합부(3)의 내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힌지공(31)을 통해 상기 힌지부재(4)가 결속되면서 상기 본체결합부(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에서 도어결합부(3)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통상의 '프레스가공'방법을 통해 대량으로 성형제조될 수 있어,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에서, 상기 힌지결합편(22)에는, 상기 도어결합부(3)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저지돌부(32)가 끼움되면서 결속되는 결속공(2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저지돌부(32)가 상기 결속공(221)에 끼움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도어(110)의 개폐작업(자물쇠의 잠금 및 해제)시 도어(110)가 무단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 및 작업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저지돌부(32) 및 상기 결속공(221)은, 통상의 '편칭가공'방법을 통해 대량으로 성형제조될 수 있어,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은, 상기 힌지결합편(22)에서 상기 도어결합부(3)의 저면이 밀착되는 면에는, 상기 도어결합부(3)의 회전운동시 상기 저지돌부(32)가 안내되면서 상기 결속공(221)으로 유도하는 안내홈(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결합부(3)가 도어(1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저지돌부(32)가 상기 힌지결합편(22)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주행하는 중에 상기 안내홈(222)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결속공(221)으로 유도됨에 따라, 주행마찰력을 현저히 줄여,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안내홈(222)의 깊이는, 상기 저지돌부(32)의 돌출높이에 대하여 4/5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지돌부(32)가 무단으로 상기 안내홈(222)을 따라 역주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경첩장치(1)에서, 상기 저지돌부(32)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외측으로 파여진 다수의 절개홈(321)들이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신축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지돌부(32)가 상기 안내홈(222)과 밀착되면서 안내되는 중에 상기 저지돌부(32)가 상기 절개홈(321)들을 통해 형성되는 '신축탄성력'을 통해 탄성적으로 응축하도록 되어 주행마찰력을 현저히 감소함과 동시에, 상기 결속공(221)에 맞춤되어 위치될 때에는, 복원탄성을 통해 신장되어 무단으로 유동 및 끼움된 상태의 해제가 발생되지 않아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사물함 경첩장치
100 : 사물함본체 110 : 도어
120 : 고정피스
2 : 본체결합부 21 : 결합절곡편
22 : 힌지결합편 221 : 결속공
222 : 안내홈 3 : 도어결합부
31 : 힌지공 32 : 저지돌부
321 : 절개홈 4 : 힌지부재

Claims (1)

  1. 사물함본체(100)에 결속되는 본체결합부(2)와; 도어(110)에 결합되는 도어결합부(3)와; 상기 본체결합부(2)와 상기 도어결합부(3)를 힌지결합하도록 된 힌지부재(4);를 포함하는 사물함 경첩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2)는,
    상기 사물함본체(100)의 개구선단에서 모서리부위의 측벽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피스(120)를 통해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결합절곡편(21)과, 상기 결합절곡편(21)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4)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결합부(3)의 저면이 지지되는 면적을 가지는 힌지결합편(22)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결합부(3)는,
    상기 힌지부재(4)가 축결합되는 힌지공(31)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110)의 단부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며 단면형상이 '
    Figure 112022096887512-pat00003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결합편(22)에는,
    상기 도어결합부(3)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저지돌부(32)가 끼움되면서 결속되는 결속공(221)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편(22)에서 상기 도어결합부(2)의 저면이 밀착되는 면에는,
    상기 도어결합부(2)의 회전운동시 상기 저지돌부(32)가 안내되면서 상기 결속공(221)으로 유도하는 안내홈(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경첩장치.
KR1020220085603A 2022-07-12 2022-07-12 사물함 경첩장치 KR10245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603A KR102450026B1 (ko) 2022-07-12 2022-07-12 사물함 경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603A KR102450026B1 (ko) 2022-07-12 2022-07-12 사물함 경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026B1 true KR102450026B1 (ko) 2022-09-30

Family

ID=8345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03A KR102450026B1 (ko) 2022-07-12 2022-07-12 사물함 경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0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555Y1 (ko) 2006-01-03 2006-03-15 이승철 도어용 경첩
KR100689247B1 (ko) 2005-07-05 2007-03-02 주식회사 진성기업 개인사물함의 도어 결합구조
KR100990163B1 (ko) 2010-04-15 2010-10-29 오금애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
KR101298230B1 (ko) 2013-05-28 2013-08-22 유인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KR102069705B1 (ko) * 2018-10-04 2020-01-23 (주)퍼맥스 도어용 경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247B1 (ko) 2005-07-05 2007-03-02 주식회사 진성기업 개인사물함의 도어 결합구조
KR200411555Y1 (ko) 2006-01-03 2006-03-15 이승철 도어용 경첩
KR100990163B1 (ko) 2010-04-15 2010-10-29 오금애 여닫이식 도어용 경첩
KR101298230B1 (ko) 2013-05-28 2013-08-22 유인규 가구 도어용 힌지장치
KR102069705B1 (ko) * 2018-10-04 2020-01-23 (주)퍼맥스 도어용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705B1 (ko) 도어용 경첩
US6568032B1 (en) Screw-on hinge with blocked position
CN108729817A (zh) 柜组件
KR102450026B1 (ko) 사물함 경첩장치
KR102355005B1 (ko) 가구용 경첩
KR101954898B1 (ko) 가구용 상부경첩
KR102130065B1 (ko) 가구용 경첩장치
KR102184570B1 (ko) 가구용 상부경첩
KR101962078B1 (ko)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KR200401544Y1 (ko) 회전형 자물쇠용 걸고리
KR20040016362A (ko) 안전 경첩
KR102331895B1 (ko) 가구용 경첩구조
KR102116018B1 (ko) 가구용 하부경첩
KR102116016B1 (ko) 가구용 상부경첩
KR102206075B1 (ko) 가구용 하부경첩
KR102470229B1 (ko) 가구용 경첩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100382112B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US3688342A (en) Hinge latch
KR200362925Y1 (ko) 여닫이 개폐도어 결합구조
JPS6019258Y2 (ja) ヒンジ用カバ−
KR102027466B1 (ko) 사물함 도어용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함
KR10241615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40001882A (ko) 도어용 경첩 구조
KR200184292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