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661A -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 Google Patents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661A
KR20210080661A KR1020190171511A KR20190171511A KR20210080661A KR 20210080661 A KR20210080661 A KR 20210080661A KR 1020190171511 A KR1020190171511 A KR 1020190171511A KR 20190171511 A KR20190171511 A KR 20190171511A KR 20210080661 A KR20210080661 A KR 20210080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safety
hinge body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수
Original Assignee
윤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수 filed Critical 윤승수
Priority to KR102019017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661A/ko
Publication of KR2021008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첩과 여닫이문을 개선하여 여닫이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말단에 제1 나선면(121)이 형성된 제1 통형상체(120)와, 판상의 제1 조립판(110)을 포함하는 제1 힌지체(100)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나선면(121)에 대응하는 제2 나선면(221)이 말단에 형성되어 제1 통형상체(120)와의 상대적인 원주방향 회동에 따라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 통형상체(220)와, 판상의 제2 조립판(210)을 포함하는 제2 힌지체(200)와; 제1 통형상체(120)와 제2 통형상체(22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힌지체(100) 및 제2 힌지체(2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샤프트(300)와; 샤프트(300)에 마련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지지체(400)와; 일측은 제1 힌지체(100) 또는 제2 힌지체(200)에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체(400)에 지지되는 탄성체(500)를 포함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절첩 도어의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Safety hinge and trapping-proof door having the hinge}
본 발명은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첩과 여닫이문을 개선하여 여닫이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소정의 충격량이 작용할 경우, 메인 도어로부터 분할 형성된 절첩 도어가 절첩되도록 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절첩 도어의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라 불리는 문(門)은, 한 장소의 경계, 건축물의 입구 등의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로서, 통상 한 장소와 다른 장소를 연결시키는 접점에 위치하므로 담ㅇ벽 등의 경계요소와 함께 있을 때가 많다.
이러한 문은 개폐 방식에 따라 크게 미닫이문과 여닫이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미닫이문은 롤러와 같은 구름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문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개폐되는 방식이고, 여닫이문은 경첩이 마련되어 있어 이 경첩을 기준으로 문이 회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문은 손쉽게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개폐 시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끼임을 예방하기 위하여 미닫이문의 경우 문의 선단에 완충쿠션 등을 추가로 마련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있어서 여닫이문은 문과 문틀 사이에서 매우 큰 전단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큰 상해를 유발하고 있으나, 이러한 끼임을 간단한 구조로 손쉽게 예방할 수 없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충격량이 작용할 경우, 메인 도어로부터 분할 형성된 절첩 도어가 절첩되도록 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절첩 도어의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말단에 제1 나선면이 형성된 제1 통형상체와, 판상의 제1 조립판을 포함하는 제1 힌지체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나선면에 대응하는 제2 나선면이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형상체와의 상대적인 원주방향 회동에 따라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 통형상체와, 판상의 제2 조립판을 포함하는 제2 힌지체와; 상기 제1 통형상체와 상기 제2 통형상체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체 및 상기 제2 힌지체의 회동 중심이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지지체와; 일측은 상기 제1 힌지체 또는 상기 제2 힌지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이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너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체와 상기 제2 힌지체 상호간의 탄력적인 밀착력을 조절 가능한 것이 좋다.
게다가, 상기 제1 힌지체의 제1 통형상체와 상기 제2 힌지체의 제2 통형상체에는 서로 맞물리는 계단형 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체의 제1 조립판과 상기 제2 힌지체의 제2 조립판 사이의 최소 간극을 제한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은, 메인 도어와 절첩 도어로 분할 형성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메인 도어를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 경첩과; 상기 절첩 도어를 상기 메인 도어에 지지하는 상술한 안전 경첩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 경첩은 두 조립판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두 조립판 중 어느 하나가 계단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간에는 연질의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충격량이 작용할 경우, 메인 도어로부터 분할 형성된 절첩 도어가 절첩되도록 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절첩 도어의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완만한 나선면을 도시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계단형 단턱을 도시하는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조립판이 포개어진 상태와 조립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조립판이 포개어진 상태와 조립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완만한 나선면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계단형 단턱을 도시하는 도이다.
게다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조립판이 포개어진 상태와 조립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9의 (a)는 조립판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조립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에 있어서 조립판이 포개어진 상태와 조립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도 10의 (a)는 조립판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조립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은, 소정의 충격량이 작용할 경우, 메인 도어로부터 분할 형성된 절첩 도어가 절첩되도록 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절첩 도어의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1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말단에 제1 나선면(121)이 형성된 제1 통형상체(120)와, 판상의 제1 조립판(110)을 포함하는 제1 힌지체(100)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나선면(121)에 대응하는 제2 나선면(221)이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형상체(120)와의 상대적인 원주방향 회동에 따라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 통형상체(220)와, 판상의 제2 조립판(210)을 포함하는 제2 힌지체(200)와; 상기 제1 통형상체(120)와 상기 제2 통형상체(22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체(100) 및 상기 제2 힌지체(2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300)에 마련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지지체(400)와; 일측은 상기 제1 힌지체(100) 또는 상기 제2 힌지체(20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체(400)에 지지되는 탄성체(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안전 경첩(10)은 크게 제1 힌지체(100), 제2 힌지체(200), 샤프트(300), 지지체(400), 그리고 탄성체(5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제1 힌지체(100)는 제1 조립판(110) 및 제1 통형상체(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조립판(110)은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체결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피스나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문 또는 문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에 설명할 도어부재(600)의 절첩 도어(6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통형상체(120)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조립판(110)과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힌지체(10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 가공하여 제1 조립판(110)을 형성한 후, 금속 판재를 말아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제1 통형상체(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힌지체(100)는 하나의 판재를 이용하여 제1 조립판(110) 및 제1 통형상체(12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통형상체(120)는 상기 제1 조립판(110)의 전체 길이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조립판(110)의 대략 절반 길이로 형성될 것이다.
특히, 상기 제1 통형상체(120)의 내측 단부, 즉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 하측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부 구간 제1 나선면(121)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나선면(121)은 특히 도 7과 같이 높이 차이를 둔 두 개의 평면(121a, 121b)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힌지체(200)는 제2 조립판(210) 및 제2 통형상체(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조립판(210) 또한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체결공(211)이 관통 형성되어 피스나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문 또는 문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에 설명할 도어부재(600)의 메인 도어(61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통형상체(220)도 중공의 파이프 형상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조립판(210)과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힌지체(200)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 가공하여 제2 조립판(210)을 형성한 후, 금속 판재를 말아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제2 통형상체(2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제2 힌지체(200)도 하나의 판재를 이용하여 제2 조립판(210) 및 제2 통형상체(22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통형상체(220) 또한 상기 제2 조립판(210)의 전체 길이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조립판(210)의 대략 절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힌지체(100)의 제1 통형상체(120)와 제2 힌지체(200)의 제2 통형상체(220)가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되, 상측에 제1 통형상체(120)가 위치하고 하측에 제2 통형상체(220)가 위치하도록 하여, 제1 통형상체(120)와 제2 통형상체(220)의 내측 단부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하측에 제2 통형상체(220)가 형성된 제2 힌지체(200)를 이하에 설명할 메인 도어(610) 측에 고정시켜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반면, 상측에 제1 통형상체(120)가 형성된 제1 힌지체(100)를 이하에 설명할 절첩 도어(620) 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1 힌지체(100)는 절첩 도어(6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 통형상체(220)의 내측 단부, 즉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 상측 단부에는 상술한 제1 통형상체(120)의 제1 나선면(121)에 대응하여 서로 접촉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부 구간 제2 나선면(221)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2 나선면(221) 또한 도 7과 같이 높이 차이를 둔 두 개의 평면(221a, 221b)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힌지체(100) 및 제2 힌지체(200)의 구성에 따라,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이 서로 맞닿아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제1 힌지체(100)와 제2 힌지체(2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구성요소로 명명 하였지만, 실제 제작 시에는 나선면이 형성된 통형상체 및 조립판을 하나의 판재로 가공하여 동일한 형상의 힌지체를 2개 제작한 후, 그 중 하나를 제1 힌지체(100)로, 그리고 나머지 하나를 제2 힌지체(200)로 구분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술한 제1 나선면(121)과 제2 나선면(221)이 도 5와 같이 서로 맞닿아 위치하도록 제1 나선면(121) 및 제2 나선면(221)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샤프트(300)는 상술한 제1 힌지체(100)와 제2 힌지체(200)를 연결하여, 상기 제1 힌지체(100) 및 상기 제2 힌지체(2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3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통형상체(120) 및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통형상체(22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 즉 도면상 상측 단부에는 제1 통형상체(120) 및 제2 통형상체(22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으로 머리부(310)를 형성하여, 제1 통형상체(120) 및 제2 통형상체(220) 내부에 삽입된 샤프트(300)가 스스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이 머리부(310)에 의해 걸쳐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샤프트(300)의 재질은 상술한 제1 힌지체(100)나 제2 힌지체(200)의 재질 보다 강도나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지체(400)는 상기 샤프트(300)에 있어서 머리부(310)의 반대측, 즉 도면상 하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샤프트(300)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치 않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체(400)는 상기 샤프트(300)에 용접 등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샤프트(30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삽입 및 분리되는 핀 등의 기계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지지체(400)는 용접 등에 의해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는 것보다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샤프트(300)에 있어서 축방향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되, 변경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탄성체(500)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힌지체(100)와 상기 제2 힌지체(200) 중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 지지되고, 그 반대편 타측은 상기 지지체(400)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500)는 탄력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제1 힌지체(100)와 제2 힌지체(200)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는 제2 힌지체(200)의 하측 단부와 지지체(400) 사이에 탄성체(500)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500)가 제2 힌지체(200)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이 도 5와 같이 상호간에 적절한 탄력적인 접촉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제1 힌지체(100)가 절첩 도어(620)에 고정되어 있다면, 상기 절첩 도어(620)의 자중 또한 작용하여 제1 나선면(121)과 제2 나선면(221)의 접촉력을 가중시키게 될 것이다.
그 결과, 도 9의 (a)과 같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 위치하던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도 9의 (b)와 같이 서로 벌어져 펼쳐지려고 할 때, 도 5와 같이 서로 접촉하여 위치하는 제1 나선면(121)과 제2 나선면(221)이 도 6과 같이 서로의 나선면(121, 221)을 타고 올라가 어긋나려면 소정의 충격량이 요구되는 것이다.
물론, 도 6과 같이 서로의 나선면(121, 221)을 올라타면, 그에 따라 제1 힌지체(100)는 탄성체(500)의 탄성력 및 절첩 도어(620)의 자중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미세하게 올라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도 1 및 도 5와 같이 서로 포개어져 위치하지만, 미리 정해진 충격량 이상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도 6과 같이 위치하게 되면서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안전 경첩(10)에 있어서 제1 조립판(110) 및 제2 조립판(210)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 있는 상태에서 펼쳐지는 데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적절하게 가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00)는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이고; 상기 탄성체(500)는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너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체(100)와 상기 제2 힌지체(200) 상호간의 탄력적인 밀착력을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01)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체(400)인 너트가 상기 수나사(301)에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체(400)인 너트가 상기 수나사(301)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샤프트(300)에 있어서 축방향 체결위치를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상기 탄성체(50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적절하게 가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샤프트(300)의 하측 말단에 2분할 또는 4분할하는 슬릿(302)을 소정 깊이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체(400)인 너트를 상기 샤프트(300)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에는 2분할된 슬릿(302)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5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감싸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300)에 대하여 상기 지지체(400)인 너트의 체결 위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상기 너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체(100)와 상기 제2 힌지체(200) 상호간의 탄력적인 밀착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400)인 너트를 보다 많이 체결하여 그 체결 위치가 상기 제1 힌지체(100) 또는 제2 힌지체(200)에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은 보다 큰 밀착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벌어져 펼쳐지기 위해서는 보다 큰 충격량이 요구될 것이다.
반면에, 상기 지지체(400)인 너트를 보다 적게 체결하면 그 체결 위치가 상기 제1 힌지체(100) 또는 제2 힌지체(200)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상기 탄성체(500)의 탄성력이 감소하여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은 보다 작은 밀착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펼쳐지기 위해서는 보다 작은 충격량으로도 쉽게 펼쳐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나선면(121) 및 상기 제2 나선면(221)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여 절첩에 요구되는 최소 충격량을 조절 가능한 것이 양호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각도가 비교적 완만하게 제1 나선면(121) 및 제2 나선면(221)을 형성한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적 경사도가 높은 제1 나선면(121) 및 제2 나선면(221)이 형성된 도 5의 안전 경첩(10)에 비해 보다 적은 충격량으로도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펼쳐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나선면(121) 및 제2 나선면(221)에 대한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도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평행하게 포개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펼쳐지는 데에 요구되는 충격량의 하한 값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통형상체(120)와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통형상체(220)에는 서로 맞물리는 계단형 단턱(121c, 221c)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 사이의 최소 간극(B)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체(100)에 있어서 제1 나선면(121)의 높이에 대응하여 제1 계단형 단턱(121c)을 형성하고, 제2 힌지체(200)에 있어서 제2 나선면(221)의 높이에 대응하여 제2 계단형 단턱(221c)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계단형 단턱(121c) 및 상기 제2 계단형 단턱(221c)은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 위치할 때, 도 10의 (a)와 같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 위치하는 도 9의 (a)에 나타낸 적절한 간극(B), 예를 들어 이후에 설명할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가 일직선을 유지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간극(B)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계단형 단턱(121c, 221c)은 서로 맞물려 위치함에 따라,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평행하게 포개어져 위치하였을 때, 서로를 향하여 더 이상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의 (b) 및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소망하는 방향으로만 펼쳐져 절첩되고, 도 9의 (a) 및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로 분할 형성되는 도어부재(600)와; 상기 메인 도어(610)를 문틀(9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 경첩(700)과; 상기 절첩 도어(620)를 상기 메인 도어(610)에 지지하는 상술한 안전 경첩(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은 크게 도어부재(600)와, 메인 경첩(700), 그리고 상술한 안전 경첩(10)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도어부재(600)는 소정의 폭, 높이, 그리고 두께를 가진 여닫이문으로서 일측에 손잡이(800)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800)는 조작에 따라 여닫이문의 개방을 위한 로크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도어부재(600)는 손잡이(800)가 형성된 끝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대략 10~20cm 떨어진 위치에서, 도면상 우측의 메인 도어(610)와 좌측의 절첩 도어(620)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재(600)에 있어서 절첩 도어(620)는 메인 도어(6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경첩(700)은 2개의 조립판(710, 72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나의 조립판(710)은 문틀(90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조립판(720)은 메인 도어(61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부재(600)의 메인 도어(610)는 도 12와 같이 메인 경첩(700)을 통해 문틀(9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안전 경첩(10)에 있어서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은 상기 절첩 도어(620)에 고정되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은 상기 메인 도어(6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재(600)의 절첩 도어(62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안전 경첩(10)을 통해 상기 도어부재(600)의 메인 도어(610)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 경첩(10)의 세부 구성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상기 안전 경첩(10)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도 12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는, 도어부재(600)에 있어서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가 절첩되지 않고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계단형 단턱(121c, 221c)이 서로 맞물려 있어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가 절첩되는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제한하게 됨으로써,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는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도 13과 같이 펼쳐지기 시작하며, 도어부재(600)에 있어서 절첩 도어(620)는 메인 도어(610)로부터 안전 경첩(10)의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치 이상의 충격량이 발생할 경우 안전 경첩(10)이 펼쳐지면서 도어부재(600)의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안전 경첩(10)이 펼쳐지지 않으므로 도어부재(600)의 절첩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메인 경첩(700)에 있어서도 끼임의 위험성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인 경첩(700)은 두 조립판(710, 720)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두 조립판(710, 720) 중 어느 하나가 계단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간에는 연질의 완충부재(73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메인 경첩(70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조립판(710, 720) 가운데 문틀(900)에 고정되는 조립판(710)은 통상적인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메인 도어(610)에 고정되는 조립판(720)은 평판을 2단 절곡하여 계단형 단면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계단형 단면의 조립판(720)에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의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빈 공간 내에 발포 성형재료, 고무, 실리콘, 스펀지나 연질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부터 제작된 완충부재(730)를 상하방향으로 마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730)에 있어서는 메인 경첩(700)의 조립판(710)을 향하는 면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다소 볼록하게 돌출 성형하여 기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부재(730)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지니도록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질 합성수지를 대략 사각형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고, 일측에 개구를 형성하여 제작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고 도색 등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메인 경첩(700)의 조립판(710)과 완충부재(730)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이더라도 상해가 발생치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 시 도어부재(600)에 있어서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안전 경첩(10)은 도 1과 같이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이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 위치하며, 이때,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500)가 제2 힌지체(200)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이 도 5와 같이 상호간에 적절한 탄력적인 접촉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에 더해, 상기 절첩 도어(620)의 자중 또한 작용하여 제1 나선면(121)과 제2 나선면(221)의 접촉력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소정 치 이상의 충격량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도어부재(600)에 있어서 메인 도어(610)와 절첩 도어(620)가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로, 메인 경첩(700)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도어부재(60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힌지체(100)의 제1 계단형 단턱(121c)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계단형 단턱(221c)이 서로 맞물려 있어 절첩이 이루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안전 경첩(10)이 굴절되는 일도 없게 된다.
하지만, 만약 문틀(900)과 도어부재(600)의 절첩 도어(620)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경우에는, 제1 힌지체(100)의 제1 나선면(121)과 제2 힌지체(200)의 제2 나선면(22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전 경첩(10)에 있어서 도 9의 (a)와 같이 서로 포개어져 위치하고 있던 제1 힌지체(100)의 제1 조립판(110)과 상기 제2 힌지체(200)의 제2 조립판(210)은 도 9의 (b)와 같이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펼쳐지게 되며, 그 결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재(600)의 메인 도어(610)로부터 절첩 도어(620)의 절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문틀(900)과 도어부재(600)의 절첩 도어(620)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경우, 절첩 도어(620)가 적절하게 절첩되면서 사용자의 상해를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안전 경첩(10)에 있어서 샤프트(300)에 체결되어 있는 지지체(400)인 너트의 체결 위치를 가변 조절하는 것으로, 절첩 도어(620)의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 충격량을 손쉽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나선면(121, 221)의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으로도, 절첩 도어(620)의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 충격량을 손쉽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은, 소정의 충격량이 작용할 경우, 메인 도어로부터 분할 형성된 절첩 도어가 절첩되도록 하여, 문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절첩 도어의 절첩에 요구되는 충격량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안전 경첩 100 : 제1 힌지체
110 : 제1 조립판 111 : 체결공
120 : 제1 통형상체 121 : 제1 나선면
121a, 121b : 평면 121c : 제1 계단형 단턱
200 : 제2 힌지체 210 : 제2 조립판
211 : 체결공 220 : 제2 통형상체
221 : 제2 나선면 221a, 221b : 평면
221c : 제2 계단형 단턱 300 : 샤프트
310 : 머리부 301 : 수나사
302 : 슬릿 400 : 지지체
500 : 탄성체 600 : 도어부재
610 : 메인 도어 620 : 절첩 도어
700 : 메인 경첩 710, 720 : 조립판
730 : 완충부재 800 : 손잡이
900 : 문틀

Claims (5)

  1.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말단에 제1 나선면이 형성된 제1 통형상체와, 판상의 제1 조립판을 포함하는 제1 힌지체와;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나선면에 대응하는 제2 나선면이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형상체와의 상대적인 원주방향 회동에 따라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 통형상체와, 판상의 제2 조립판을 포함하는 제2 힌지체와;
    상기 제1 통형상체와 상기 제2 통형상체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체 및 상기 제2 힌지체의 회동 중심이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지지체와;
    일측은 상기 제1 힌지체 또는 상기 제2 힌지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이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너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체와 상기 제2 힌지체 상호간의 탄력적인 밀착력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체의 제1 통형상체와 상기 제2 힌지체의 제2 통형상체에는 서로 맞물리는 계단형 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체의 제1 조립판과 상기 제2 힌지체의 제2 조립판 사이의 최소 간극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
  4. 메인 도어와 절첩 도어로 분할 형성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메인 도어를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 경첩과;
    상기 절첩 도어를 상기 메인 도어에 지지하는 제1항의 안전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경첩은 두 조립판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두 조립판 중 어느 하나가 계단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간에는 연질의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첩을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1020190171511A 2019-12-20 2019-12-20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20210080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11A KR20210080661A (ko) 2019-12-20 2019-12-20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11A KR20210080661A (ko) 2019-12-20 2019-12-20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661A true KR20210080661A (ko) 2021-07-01

Family

ID=7686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511A KR20210080661A (ko) 2019-12-20 2019-12-20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59B1 (ko) * 2023-02-22 2023-10-06 (주)청송퍼니처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59B1 (ko) * 2023-02-22 2023-10-06 (주)청송퍼니처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는 이중도어가 내장된 사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4930A (en) Folding sliding doors
US8281458B2 (en) Hinge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EP3346078B1 (de) Zimmertür
AU2010285684B2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WO2016127190A1 (de) Stützvorrichtung für eine möbelklappe
KR20210080661A (ko) 안전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끼임 방지 여닫이문
EP3346077B1 (de) Türanordnung
US20060021190A1 (en) Device for closing a door
KR101995360B1 (ko)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끼임 방지 도어
EP2402532B1 (de) Türband, insbesondere für Hohlprofilzargen
EP3168398A1 (de) Verstecktes scharnier für türen, fenster oder ähnliche bauteile
AU2021271942A1 (en) A hinge
KR102168638B1 (ko) 축 이동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힌지축 지지장치
KR102287492B1 (ko) 문의 안전장치
EP3045634A1 (de) Ausstellvorrichtung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mit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KR20240002677A (ko) 여닫이 도어용 경첩
CN108505861B (zh) 一种用于家具上翻折叠门的防夹手机构
JP3699740B2 (ja) ヒンジ装置
GB2359114A (en) Spring assisted rising butt hinge
CN211287347U (zh) 一种家具用平顺开闭结构
EP2446782A1 (de) Lagerung für Endpunktlager von Federlatten eines Bettlattenrostes
US6836934B2 (en) Safety hinge
US20210172231A1 (en) Safety device for sliding door
KR20180130137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