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492B1 - 문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문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492B1
KR102287492B1 KR1020190097292A KR20190097292A KR102287492B1 KR 102287492 B1 KR102287492 B1 KR 102287492B1 KR 1020190097292 A KR1020190097292 A KR 1020190097292A KR 20190097292 A KR20190097292 A KR 20190097292A KR 102287492 B1 KR102287492 B1 KR 10228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um
fixed
fixing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667A (ko
Inventor
손창민
Original Assignee
손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민 filed Critical 손창민
Priority to KR102019009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4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70Lubr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과 문틀 사이 틈새를 통해 유아들이 부상을 입는 경우를 완전하게 방지함과 아울러, 개폐 동작이 원활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적고 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완전하게 틈새를 차단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고정구멍(11)들이 뚫어져 나사(5)를 통해 문(1)에 고정 부착되는 문고정편(10)과, 문고정편(10)에 일단이 고정되며 유연재로 펼쳐짐과 권취가 자유롭게 되는 스크린부재(20)와, 상기 스크린부재(20)의 타측 단부를 고정시킨 상태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끼워지며 양단부에 반달형의 키부(41)가 마련되는 고정축(40)과,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에 마련된 걸림홈(42)과 고정홈(33)에 각각 양단부가 걸어져 스크린부재(20)가 드럼(30)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50)과,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경 사이에 설치되어 드럼(30)이 회전 자유롭게 하면서 고정축(40)과 드럼(30)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윤활부재(60)와, 상기 고정축(40)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키홈(71)이 마련되는 지지부재(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in the door}
본 발명은 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과 문틀 사이 틈새를 통해 유아들이 부상을 입는 경우를 완전하게 방지함과 아울러, 개폐 동작이 원활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적고 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완전하게 틈새를 차단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과 문 사이에는 문의 개폐를 위해 경첩이 상하로 복수개 설치된다.
경첩은 문틀과 문에 각각 고정 부착되는 두개의 금속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이다.
경첩을 중심으로 문이 개방될 때 문과 문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밖에 없는데, 특히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유아 등의 경우 틈새를 통해 손이 끼인 상태에서 여닫이 문을 닫아 크고 작은 손낌 안전 사고가 자주 발생되었다.
종래, 이러한 문틈 손낌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 공개 제20-1991-11745호 "문틈 안전 보호구"와 같이 문틈을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문틈 차단용 보호막과 같은 구성은 그 구조와 설치가 복잡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시간이 지나면 형상이 변경되거나 복원력을 상실하여 여닫이 문의 개폐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20-0224343호 "출입문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서와 같이 문틀에는 끼임방지막이 권취된 원통형의 몸체를 부착하고, 경첩을 축으로 개폐되는 문에는 끼임방지막의 단부를 고정하여 문이 개방될 때 끼임방지막이 펼쳐지면서 문틈을 차단하도록 된 것이 제안된 바 있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1991-11745호(공개일자 1991년07월29일)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10-0224343호(등록일자 2001년03월07일)
상기한 종래 등록 실용신안 제20-0224343호의 구조에 의하면, 회동축 작동홈의 내부에 끼임방지막이 권취된 회동축을 끼워 설치하고, 탄성 복귀를 위해 스프링들을 회동축의 상부와 하부 내측에서 각각 걸어지게 하고 그 끝단부는 덮개 내부에 걸어서 끼임방지막이 펼쳐진 후 문이 닫쳐질 때 에는 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속이 빈 관형상으로 된 회동축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문이 개방되면서 끼임방지막이 펼쳐지게 되면 스프링의 형상과 위치를 제어하지 못하므로 스프링이 심하게 비틀리면서 꽈지게 되고, 이때 직경이 확대되어 회동축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심한 마찰력으로 회동축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문과 문틀의 대략 중간부에 끼임방지막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성인이나 유아들이 서 있는 상태에서 문틈에 손이 끼여서 부상을 입는 경우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로서 1-3살의 주로 엎드려서 행동하거나 키가 매우 작은 영아의 경우 문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주로 손가락이 들어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는 사고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끼임방지막이 감겨지는 회동축이 회전될 때 그 중심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구성이 없으므로, 문이 개폐될 때 소음이 발생되거나 스프링이 꼬여져서 발생되는 마찰 등의 원인으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품성과 신뢰성이 낮아져서,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문과 문틀 사이의 전장 길이에 걸쳐 영아, 유아의 손이 들어가 끼일 수 있는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문의 안전장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스크린이 권취되는 롤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문의 개폐 동작과 스크린 펼침 작동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상품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문의 안전장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의 회전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 부드럽고 원활한 개폐 조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과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구멍(11)들이 뚫어져 나사(5)를 통해 문(1)에 고정 부착되는 문고정편(10)과,
문고정편(10)에 일단이 고정되며 유연재로 펼쳐짐과 권취가 자유롭게 되는 스크린부재(20)와,
상기 스크린부재(20)의 타측 단부를 고정시킨 상태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드럼(30)으로 이루어진 문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30)의 내부에는 양단부에 반달형의 키부(41)가 마련되어 끼워지는 고정축(40)과,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에 마련된 걸림홈(42)과 고정홈(33)에 각각 양단부가 걸어져 스크린부재(20)가 드럼(30)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50)과,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경 사이에 설치되어 드럼(30)이 회전 자유롭게 하면서 고정축(40)과 드럼(30)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윤활부재(60)와,
상기 고정축(40)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키홈(71)이 마련되는 지지부재(70)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지지부재(70)는 키홈(71)의 일측으로 트여지게 개구부(73)를 마련하고, 문틀(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나사(4)를 통해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40)의 키부(41)를 통해 끼워지게 한 후, 마감부재(72)를 고정볼트(6)로 체결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30)의 외부에는 문틀(2)에 나사(5)를 통해 위치 고정되는 부착판(81)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 높이로 고정나사(4)가 체결되도록 나사홈(82)들이 마련되는 하우징(80)에 감싸지게 설치되고,
하우징(80)의 트여진 상부와 하부는 고정나사(4)를 통해 지지부재(70)가 각각 체결 설치된다.
삭제
상기 윤활부재(60)는 베어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부에는 중심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칼라(90)들이 더 설치된다.
상기 드럼(30)은 외측면에 끼움홈(31)을 마련하여 스크린부재(20)를 끼워지게 한 후 고정편(32)으로 가압시켜 고정된다.
상기 문고정편(10)에는 수용홈(12)을 마련하여 스크린부재(20)를 끼워지게 한 후 고정날개(13)로 가압시켜 고정시키고,
일단에는 외부를 향해 위치결정돌기(14)가 일체로 구비되어 문(1)에 고정될 때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1) 또는 문틀(2)에는 완충부재(100)를 설치하되, 상기 완충부재(100)는 속이 빈 함체형의 케이스(110)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스토버(12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토퍼(120)를 완충스프링(130)으로 단력지지하여 과도한 힘이나 빠른 속도로 닫쳐지면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정축과 드럼 사이에 일정간 중심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윤활부재에 의해 항상 원활하게 드럼이 회전 작동될 수 있게 지지하게 된다.
또, 고정축에 감싸지게 설치된 코일스프링이 드럼의 내경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드럼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문의 개폐시 펼쳐지는 스크린부재와 드럼의 회전 작동이 항상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소음과 고장의 원인이 없어 신뢰성과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과 문틀의 전장에 걸쳐 발생되는 틈새 모두를 스크린부재로 완전히 차단시켜 성인은 물론 영아와 유아들이 틈새에 손이 끼여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 부품수가 적고 가공 및 조립 공정이 간편하여 제품의 코스트를 낮춰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손끼움 방지장치가 문과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문이 개방되어 스크린부재가 펼쳐져 문틈을 차단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드럼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탄력지게 고정축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드럼의 평면도.
도 6은 문고정편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일부절결 단면도.
도 10은 완충부재가 문틀에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
도 11은 완충부재의 스토퍼에 문이 걸려지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문(1)은 경첩(3)을 중심으로 문틀(2)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문(1)에는 문고정편(10)이 나사(5)들로 고정 부착된다.
문고정편(10)은 금속재로 수개의 고정구멍(11)들이 뚫어져 나사(5)를 통해 문(1)에 견고하게 고정 부착되고, 스크린부재(20)의 선단부를 결합하여 문(1)이 개폐 회동될 때 후술하는 드럼(30)에 권취되어 있던 스크린부재(20)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부재(20)는 합성섬유나 합성수지재의 얇은 시트지로 유연성과 인성이 양호한 재질로 선택되며, 그 선단부는 문고정편(10)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드럼(30)에 결합된 상태로 문(1)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드럼(3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문(1)이 개방될 때 펼쳐지면서 문(1)과 문틈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드럼(30)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대략 상기 스크린부재(20)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성형되고, 스크린부재(20)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끼움홈(31)을 고정편(32)의 내부로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재(20)의 단부를 2-3회 중첩하여 끼움홈(31) 내측으로 끼워지게 한 후 고정편(32)으로 가압시켜 고정시키게 된다.(도 5)
또, 상기 문고정편(10)에도 수용홈(12)을 마련하여 스크린부재(20)의 선단부를 2-3회 중첩하여 끼워지게 한 후 고정날개(13)로 가압시키는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문고정편(10)이 부착된 문(1)의 개폐 작동에 따라 같이 스크린부재(20)가 펼쳐지거나 드럼(30)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도 6)
상기 드럼(30)의 내부로는 고정축(40)이 끼워진 상태로 지지부재(70)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고정축(40)의 양단부는 회전 방지기능을 위해 반달형의 키부(41)가 마련되며, 지지부재(70)에는 이 키부(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키홈(7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사이에는 탄력성 유지를 위해 코일스프링(50)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력 설치된다.
즉, 고정축(40)에는 중앙 부근에 걸림홈(42)을 파내어 코일스프링(50)의 단부가 걸어지게 하고, 드럼(30)의 양단부에는 고정홈(33)이 뚫어져 코일스프링(50)의 양쪽 선단부가 각각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부재(20)가 권취되어 있는 드럼(30)은 항상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코일스프링(50)의 탄력은 도 2에서와 같이 문(1)이 문틀(2)에 닫쳐져 있는 상태에서도 스크린부재(20)가 드럼(30)을 향해 권취되려고 하는 탄력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부재(20)가 느슨하게 늘어지거나 외관을 해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경 사이에는 드럼(30)이 회전 자유롭게 하면서 고정축(40)과 드럼(30)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윤활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윤활부재(60)는 부싱 또는 베어링이 적합하다.
상기 고정축(40)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7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드럼(30)의 외부로 하우징(80)을 마련하고, 이 하우징(80)의 양단부에 위치시킨 후 나사(5)를 통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0)은 스크린부재(20)가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30)의 외측을 감싸지게 하고, 일측에는 부착판(81)이 일체로 구비되어 문틀(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5)를 통해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80)에는 상부와 하부에 일정 높이로 나사홈(82)들이 마련되어, 이 나사홈(82)의 위치로 고정나사(4)가 체결될 수 있도록 성형된다.
하우징(80)의 양단부에 부착된 지지부재(70)들을 포함한 전체 길이는 대략 문틀(2)의 내측 수직 높이와 대응되도록 성형하고, 그 내부에서 문(1)의 개폐 동작에 의해 펼쳐지는 스크린부재(20)는 문(1)과 문틀(2) 사이에서 형성되는 문틈을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완전하게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고정축(40)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지부재(70)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와 평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70)는 키홈(71)의 일측으로 트여지게 개구부(73)를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문틀(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지지부재(70)를 각각 부착한 후 고정나사(4)를 통해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40)의 키부(41)가 개구부(73)를 통해 측면에서 끼워지게 조립한 후 마감부재(72)를 고정볼트(6)로 체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마감부재(72)는 키홈(71)에 트여진 개구부(73)를 막혀지게 하여 고정축(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문틀(2)의 수직 높이와 대응하게 드럼(30)의 내부에 끼워지는 고정축(40)이 지지부재(70)에 회전 방지된 상태로 측면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부에는 중심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칼라(90)들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문고정편(10)의 일단에는 외부를 향해 위치결정돌기(14)가 일체로 구비되어 문(1)에 문고정편(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문고정편(10)의 설치가 편리하고, 그 설치 위치가 정확한 수직라인을 유지하여 문고정편(10)을 따라 펼쳐지는 스크린부재(20)의 구겨짐이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문(1)을 회동 가능하게 문틀(2) 사이에 설치되는 경첩(3)은 상단과 중앙 및 하단에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그 사이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문(1)의 내측에서는 물론, 문(1)의 외부에서도 틈새를 완전하게 각각 차단시키는 것이 손끼임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 효과면에서 바람직 하다.
한편, 종래 문(1)은 예로서 개방된 상태에서 강한 바람이 불거나 출입하는 자가 본의 아니게 강한 힘으로 닫쳐지게 하는 경우 빠른 속도로 문틀(2)에 문(1)이 접촉되면서 충격과 큰 소음이 발생되어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문(1) 또는 문틀(2)에는 완충부재(100)를 더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완충부재(100)에 의해 문(1)이 강한 바람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과도한 힘으로 빠른 속도로 닫쳐지더라도 충격과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완충부재(100)의 구성은 속이 빈 함체형의 케이스(110)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스토퍼(12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토퍼(120)를 완충스프링(130)으로 탄력 지지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완충부재(100)가 문(1)의 경첩(3) 설치방향 측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완충부재(100)가 문틀(2)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문(1)의 측면부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문(1)이 경첩(3)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닫쳐지는 과정에서 스토퍼(120)에 문(1)의 측면부가 접촉되면서 완충스프링(130)의 탄력으로 문(1)의 회전 속도를 급격히 줄여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잡고 더 밀어 도어락이 걸려지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완충스프링(130)의 탄력을 누르고 스토퍼(120)가 후퇴되면서 문(1)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1)의 닫침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나 강풍에 의해 충격이나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항상 정숙하게 개폐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문 2 - 문틀
10 - 문고정편 20 - 스크린부재
30 - 드럼 40 - 고정축
41 - 키부 50 - 코일스프링
60 - 윤활부재 70 - 지지부재
71 - 키홈 72 - 마감부재
80 - 하우징 81 - 부착판
90 - 칼라 100 - 완충부재

Claims (9)

  1. 고정구멍(11)들이 뚫어져 나사(5)를 통해 문(1)에 고정 부착되는 문고정편(10)과, 문고정편(10)에 일단이 고정되며 유연재로 펼쳐짐과 권취가 자유롭게 되는 스크린부재(20)와, 상기 스크린부재(20)의 타측 단부를 고정시킨 상태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드럼(30)으로 이루어진 문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30)의 내부에는 양단부에 반달형의 키부(41)가 마련되어 끼워지는 고정축(40)과,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에 마련된 걸림홈(42)과 고정홈(33)에 각각 양단부가 걸어져 스크린부재(20)가 드럼(30)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50)과,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경 사이에 설치되어 드럼(30)이 회전 자유롭게 하면서 고정축(40)과 드럼(30)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윤활부재(60)와,
    상기 고정축(40)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키홈(71)이 마련되는 지지부재(70)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지지부재(70)는 키홈(71)의 일측으로 트여지게 개구부(73)를 마련하고, 문틀(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나사(4)를 통해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40)의 키부(41)를 통해 끼워지게 한 후, 마감부재(72)를 고정볼트(6)로 체결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30)의 외부에는 문틀(2)에 나사(5)를 통해 위치 고정되는 부착판(81)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 높이로 고정나사(4)가 체결되도록 나사홈(82)들이 마련되는 하우징(80)에 감싸지게 설치되고,
    하우징(80)의 트여진 상부와 하부는 고정나사(4)를 통해 지지부재(70)가 각각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윤활부재(60)는 베어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40)과 드럼(30) 내부에는 중심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칼라(90)들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30)은 외측면에 끼움홈(31)을 마련하여 스크린부재(20)를 끼워지게 한 후 고정편(32)으로 가압시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고정편(10)에는 수용홈(12)을 마련하여 스크린부재(20)를 끼워지게 한 후 고정날개(13)로 가압시켜 고정시키고,
    일단에는 외부를 향해 위치결정돌기(14)가 일체로 구비되어 문(1)에 고정될 때 설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1) 또는 문틀(2)에는 완충부재(100)를 설치하되, 상기 완충부재(100)는 속이 빈 함체형의 케이스(110)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스토퍼(12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토퍼(120)를 완충스프링(130)으로 단력지지하여 과도한 힘이나 빠른 속도록 닫쳐지면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전장치.





  9. 삭제
KR1020190097292A 2019-08-09 2019-08-09 문의 안전장치 KR10228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92A KR102287492B1 (ko) 2019-08-09 2019-08-09 문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92A KR102287492B1 (ko) 2019-08-09 2019-08-09 문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67A KR20210017667A (ko) 2021-02-17
KR102287492B1 true KR102287492B1 (ko) 2021-08-06

Family

ID=7473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292A KR102287492B1 (ko) 2019-08-09 2019-08-09 문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228A (ko) 2022-02-18 2023-08-25 손창민 문의 안전장치
KR102659277B1 (ko) 2022-10-19 2024-04-18 손창민 문의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79Y1 (ko) * 2003-07-21 2003-10-04 정석동 창틀용 안전망
KR100574396B1 (ko) * 2004-06-29 2006-04-28 김태형 안전창문구조
KR100942818B1 (ko) * 2009-03-27 2010-02-18 (주) 코인씨앤엠 셔터형 롤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197Y1 (ko) 1989-12-11 1992-02-14 구자명 문틈 안전 보호구
KR100224343B1 (ko) 1996-12-20 1999-10-15 정몽규 디이젤 엔진의 와류실식 연소실 구조
KR101232283B1 (ko) * 2010-07-13 2013-02-12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EP3135851A1 (de) * 2015-08-31 2017-03-01 Planet GDZ AG Fingerschutzvorrichtung für eine flügeltü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79Y1 (ko) * 2003-07-21 2003-10-04 정석동 창틀용 안전망
KR100574396B1 (ko) * 2004-06-29 2006-04-28 김태형 안전창문구조
KR100942818B1 (ko) * 2009-03-27 2010-02-18 (주) 코인씨앤엠 셔터형 롤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228A (ko) 2022-02-18 2023-08-25 손창민 문의 안전장치
KR102659277B1 (ko) 2022-10-19 2024-04-18 손창민 문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67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KR101244792B1 (ko) 안전 여닫이문
US3172168A (en) Retractable door stop
KR102287492B1 (ko) 문의 안전장치
KR101948131B1 (ko) 손끼임 방지장치
KR101945524B1 (ko) 손 끼임 방지 안전도어
KR20180033891A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US20210115715A1 (en) Assembly of Door and Door Frame With Reduced Risk of Squeeze Caused Injuries
US20140310915A1 (en) Holding hinge assembly
KR102056013B1 (ko) 안전문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2011001117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닫힘 방지장치
KR102112274B1 (ko) 여닫이식 도어와 문틀의 결합구조
KR102588987B1 (ko) 문의 안전장치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102248737B1 (ko)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JPH02198554A (ja) ドアアッセンブリ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2566175B1 (ko) 정역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고무봉이 설치된 손끼임 방지장치
KR102544658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전도어
KR20210003403A (ko) 안전문
KR102659277B1 (ko) 문의 안전장치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20210000582A (ko) 손가락 끼임 방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