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166Y1 - 도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166Y1
KR200312166Y1 KR20-2003-0002768U KR20030002768U KR200312166Y1 KR 200312166 Y1 KR200312166 Y1 KR 200312166Y1 KR 20030002768 U KR20030002768 U KR 20030002768U KR 200312166 Y1 KR200312166 Y1 KR 200312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afety
safety devic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식규
Original Assignee
임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식규 filed Critical 임식규
Priority to KR20-2003-0002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와 문틀사이의 틈새에 손이 끼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경첩이 설치되는 부분의 안팎에 설치 고정하되, 도어와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한 틈새커버와, 문틀의 안쪽기둥 면에 부착 고정되며 내부에 일 방향으로 말려있는 탄성부와 문틀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로 이루어진 안전커튼이 내장 된 안전장치 동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 특히 경첩이 설치되는 부분의 안팎에 발생되는 틈새에 틈새커버와 안전장치 동체를 부착 고정시키되, 안전커튼의 부착부를 문의 내 측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문을 열 때 안전커튼이 문을 여는 만큼 함께 인출되어 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어 손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하여 사용 중 손이 낄 염려가 전혀 없는 도어안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안전장치{a safety device of door}
본 고안은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 및 방풍효과를 한층 더 높이고, 도어를 열 때 문틀과 도어사이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틈을 가려주어 무의식중에 손이 끼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문틀과 도어는 경첩으로 연결 설치되며, 이 경우 도어를열게 되면 문틀과 도어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한 틈은 도어를 열었을 때 형성되며 도어의 개방 폭에 비례하여 틈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도어측면과 문틀 내측면 사이에도 상당한 틈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한 틈은 안전사고 발생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데, 이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치는 줄 모르고, 무의식중에 문틀을 잡았을 때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경우는 현관문의 경우에 자주 발생되는데 이유는 문이 닫치는 과정에서 신발을 벗고 신을 때 몸의 중심을 잡기 위해 무의식중에 문설주를 잡았을 때 손끝이 문과 도어사이에 끼어 다치는 경우를 비롯하여 사물의 이치나 분별을 명확하게 할 수 없는 노약자의 경우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경우 등 도어와 문틀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사례는 우리 일상에서 자주 발생되는 사건중 하나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경첩이 설치되는 부분 안팎에 도어를 열 때, 자연적으로 도어와 문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고무로 별도 형성한 틈새커버와, 문틀안쪽기둥 면에 부착 고정되며 내부에 일 방향으로 말려있는 탄성부와 문틀에 부착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로 이루어진 보호커튼이 내장 된 안전장치 동체로 구성하여 문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부 전후부에 고정 설치함으로서, 도어를 열더라도 틈새가 보이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전혀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손가락이끼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방음 및 방풍효과도 한 차원 더 높게 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안전장치 동체를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 예시도로서 문틀과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횡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횡단면예시도
도어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문틀(1)과 도어(2)가 경첩(3)으로 연결 구성된 부분의 안팎에 각각 안전장치동체(4)와 틈새커버(5)를 설치 고정하되,
상기 안전장치동체(4)는
측면(48)이 문틀(1)의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게 하고, 일방에 종 방향으로 개구부(42)와 단턱(41)(41')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공간부(44)가 형성된 프레임(43)과,
상기 프레임(4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4)에 개재되며, 선단에 만곡 형성된 탄성부(45)를, 그리고 후미에는 도어(2)에 부착 고정시키는 부착고정부(46)를 가지며 합성수지로 형성된 안전커튼(47) 및,
상기 프레임(43)의 상 하단부에 끼워지는 캡(48)으로 형성되고,
틈새커버(5)는 도어(2)의 바깥쪽, 즉 도어(2)와 문틀(1)사이에 돌출되는 경첩(3)부위에 종 방향으로 경첩(3)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반원형의 커버부(51)와 상기 커버부(51)의 양 끝단에 형성된 부착부(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프레임(43)을 문틀(1)의 일 측면에 부착고정시키되, 고정방법은 양면접착테이프를 비롯하여 나사. 못 등등과 같은 통상의 부착수단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여 설치 사용하면 되며, 바람직한 방법은 프레임의 측면(48)을 문틀(1)에 양면접착테이프(6)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뒤 접시머리나사(7)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43)의 내측 공간부(44)에서 문틀(1)에 체결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무난한 방법이라 할 수 있으나, 이때 상기 접시머리나사(7)의 체결위치는 가급적 프레임(43)의 상 하단부에서 체결 고정하는 것이 프레임(43)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43)의 상 하단부에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한 별도의 캡(48)을 끼우되, 상기 캡(48)의 측면에는 구멍을 관통 형성하여 프레임(43)을 문틀(1)에 접시머리나사(7)로 고정시킬 때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으며, 더불어 프레임(43)의 상하부 마무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또, 위와 같이 프레임(43)을 문틀(1)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2)에는 안전커튼(47)의 부착고정부(46)를 부착 고정시키되, 이 또한 접착력이 강한 양면접착테이프(6)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키고, 경우에 따라 보다 강한 고정을 위하여 나사(7')나 못 등을 부착고정부(46)에 박아 고정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별도 형성한 보강대(8)를 씌운 뒤, 이 위에 나사(7')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도 된다.
그리고 상기한 틈새커버(5)는 연질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하여 커버부(51)가 문틀(1)과 도어(2)를 연결하는 경첩(3)을 감싸도록 씌우되, 부착부(52)를 양면접착테이프(6)를 이용하여 문틀과 도어에 부착 고정시키면 된다.
위와 같이 문틀(1)과 도어(2)에 안전장치 동체(4)와 틈새커버(5)를 부착 고정시키면, 도어(2)를 열 때 안전커튼(47)이 도어(2)가 열리는 만큼 인출되면서 도어(2)와 문틀(1)사이의 틈새를 막아주게 되며 따라서 노약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문틀(1)을 잡더라도 손가락이 들어가지 못하게 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경첩(3)이 위치한 도어(2) 바깥쪽에도 문틀(1)과 도어(2)사이를 틈새커버(5)가 막아주기 때문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 부분을 통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역시 완벽하게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안전장치의 표면색상을 문틀(1)과 도어(2)의 색상에 맞춰 제조하게 되면, 문틀과 도어에 설치하였을 때 매우 자연스러운 느낌이 연출되며, 더불어 도어 및 문틀과 조화를 이루게 되어 외관이 매우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질에 있어서도 안전장치 동체(4)를 구성하는 프레임(43)은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하거나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하여도 되며, 이외에도 금속철판이나 스테인레스 스틸로 절곡하여도 되는 것이며, 틈새커버(5)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또는 고무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안전커튼(47)은 합성수지를 비롯하여 박판으로 형성된 금속판재를 이용하여도 되며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도어(2)를 개방하였을 때 프레임(4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 본 고안의 안전장치 동체(4)를 설치할 때 목재 문틀의 경우 안전장치 동체(4)가 삽입될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곳에 내장 설치하거나, 문틀이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경우는 문틀 일부가 안전장치 동체와 같은 구조로 되게 하여도 되며, 이러한 설치구조의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하다 하겠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 동체(4)를 설치함에 있어 프레임(43)을 도어(2)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시키고, 안전커튼(47)의 부착고정부(46)를 문틀(1)에 부착 설치하여도 되며, 더불어 안전커튼(47)의 탄성부(45)를 탄성을 가진 금속 박판으로 형성하여 태엽스프링처럼 말아 프레임(43)내에 내장 설치하여도 작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어서 이러한 구성의 변화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1)과 도어(2)사이, 즉, 경첩(3)이 위치한 내외측면에 설치 고정시켜 도어(2)를 열었을 때 문틀(1)과 도어(2)사이에 틈이 가려지게 하여 손이 들어가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방음효과 또한 한 차원 더 높이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도어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문틀(1)과 도어(2)가 경첩(3)으로 연결 구성된 부분의 안팍에 각각 안전장치동체(4)와 틈새커버(5)를 설치 고정하되,
    상기 안전장치동체(4)는
    측면(48)이 문틀(1)의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게 하고, 일방에 종 방향으로 개구부(42)와 단턱(41)(41')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공간부(44)가 형성된 프레임(43)과,
    상기 프레임(4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4)에 개재되며, 선단에 만곡 형성된 탄성부(45)를, 그리고 후미에는 도어(2)에 부착 고정시키는 부착고정부(46)를 가지며 합성수지로 형성된 안전커튼(47) 및,
    상기 프레임(43)의 상 하단부에 끼워지는 캡(48)으로 형성되고,
    틈새커버(5)는 도어(2)의 바깥쪽, 즉 도어(2)와 문틀(1)사이에 돌출되는 경첩(3)부위에 종 방향으로 경첩(3)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반원형의 커버부(51)와 상기 커버부(51)의 양 끝단에 형성된 부착부(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2. 1항에 있어서,
    안전커튼(47)의 부착고정부(46)를 도어(2)에 부착 고정시키되, 접착력이 강한 양면접착테이프(6)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키고, 이 위에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별도 형성한 보강대(8)를 씌운 다음 나사(7')로 체결고정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3. 1항에 있어서,
    안전커튼(47)은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이나 금속으로 된 탄성박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4. 1항에 있어서,
    안전커튼(47)과 틈새커버(5)는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양면접착테이프와 함께 나사를 이용하여 도어(2)와 문틀(1)에 부착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5. 1항에 있어서,
    안전장치 동체(4)를 구성하는 프레임(43)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안전커튼(47)의 탄성부(45)를 태옆스프링 구성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6. 1항에 있어서,
    안전장치 동체(4)를 구성하는 프레임(43)은 도어(1)에 부착 고정시키고, 안전커튼(47)에 형성된 부착고정부(46)를 문틀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KR20-2003-0002768U 2003-01-24 2003-01-24 도어 안전장치 KR200312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768U KR200312166Y1 (ko) 2003-01-24 2003-01-24 도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768U KR200312166Y1 (ko) 2003-01-24 2003-01-24 도어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166Y1 true KR200312166Y1 (ko) 2003-05-09

Family

ID=4933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768U KR200312166Y1 (ko) 2003-01-24 2003-01-24 도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1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78B1 (ko) * 2015-08-06 2018-03-08 윔코리아 주식회사 문틈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102005842B1 (ko) * 2018-07-30 2019-08-07 오석태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20190105828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2040123B1 (ko) 2018-11-02 2019-11-05 주식회사 금천 도어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78B1 (ko) * 2015-08-06 2018-03-08 윔코리아 주식회사 문틈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20190105828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2030638B1 (ko) * 2018-03-06 2019-10-10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2005842B1 (ko) * 2018-07-30 2019-08-07 오석태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102040123B1 (ko) 2018-11-02 2019-11-05 주식회사 금천 도어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4301A1 (en) Door safety device
KR200312166Y1 (ko) 도어 안전장치
KR102167385B1 (ko) 문틈 커버를 겸하는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20080090951A (ko) 손낌방지안전도어
KR200406927Y1 (ko) 붙박이장 슬라이드 도어 구조
KR20220021828A (ko)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200300538Y1 (ko) 유리문 안전장치
KR200371704Y1 (ko) 도어용 안전부재
KR200380388Y1 (ko) 문 손 보호대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101416325B1 (ko) 안전도어
KR20220132331A (ko) 끼임방지도어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KR200252605Y1 (ko) 열린 문 고정장치
KR19990040512U (ko) 유리문의손보호구
KR20020087660A (ko) 여닫이문용 안전장치
KR200252640Y1 (ko) 열린 문 고정장치
KR102102056B1 (ko) 틈새 끼임 방지구
KR200244234Y1 (ko) 손가락끼임방지장치
KR102125482B1 (ko)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1445018B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0219421Y1 (ko) 강화유리도어용 측면 보호캡
KR200272204Y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보호구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