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512U - 유리문의손보호구 - Google Patents

유리문의손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512U
KR19990040512U KR2019990005737U KR19990005737U KR19990040512U KR 19990040512 U KR19990040512 U KR 19990040512U KR 2019990005737 U KR2019990005737 U KR 2019990005737U KR 19990005737 U KR19990005737 U KR 19990005737U KR 19990040512 U KR19990040512 U KR 19990040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hand
elastic member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서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근 filed Critical 서종근
Priority to KR2019990005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512U/ko
Priority to AU55318/99A priority patent/AU5531899A/en
Priority to PCT/KR1999/000503 priority patent/WO2000061905A1/en
Publication of KR19990040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51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문을 열고 닫을 때 유리문 사이에 손가락이나 손등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이 닫히는 유리문 모서리에 손이 다치지 않도록 탄성부재를 장착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리문의 손 보호구는, 상기 유리문의 일측면의 소정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개방되어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의 일측면에는 장방향의 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의하면, 부주위로 인하여 손가락이나 손이 현관문 사이에 끼더라도 속이 빈 고무로 되어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손이 다치는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으며, 유리문의 손 보호구 일측면에 형성된 둘출부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공기차단과 실내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문의 손 보호구{Hand Guard of Door}
본 고안은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문을 열고 닫을 때 유리문 사이에 손가락이나 손등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시킨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출입문 또는 현관문으로 유리문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철재나 나무로 된 문에 비하여 미관상 보기에 좋고 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문을 열고 닫을 때 소음이 적게 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문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리문은 설치하고자 하는 현관문의 크기에 맞게 유리(10)를 자른 다음, 이 유리(10)의 상단 및 하단에 금속 재질의 보강재(20,22)를 대고 사람이 문을 열고 닫기 편리하게 유리(10)에 손잡이(12)를 부착시킨 구조이다. 그리고 유리(10)의 위쪽에 부착된 상판(20)에는 자물쇠(30)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리문에 있어서는, 문이 열리고 닫히는 모서리 부분이 두꺼운 유리로 되어 있기때문에 유리문 사이에 손가락이나 손등이 끼일 경우 다칠 위험이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문을 열고 닫을때 부주의로 문 사이에 손이 끼여서 다치는 사고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유리문 모서리 부분에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탄성소재를 설치하여 유리문을 열고 닫을 때 유리문 사이에 손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시킨 유리문의 손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현관 유리문의 정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일부확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 손 보호구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구멍을 형성시키는 공정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리문 손 보호구가 장착된 유리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 손 보호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사용한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다른 손 보호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사용한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다른 손 보호구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리 12 : 손잡이
14,42,52 : 나사구멍 16 : 절개부
20 : 상판 22 : 하판
30 : 자물쇠 40 : 탄성부재
44 : 칸막이 벽 46 : 걸림턱
48 : 둘출부 49 : 공간부
50 : 보강재 53 : 제 1보강재
54 : 수나사 55 : 제 2보강재
56 : 암나사 57 : 패킹
59 : 탄성부재 60 : 보강판
65 : 나사구멍 100 : 유리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는,
적어도, 유리문에 부착되는 유리문의 손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의 일측 단부의 소정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한쪽이 개방된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나사구멍과,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뚫린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지도록 탄성부재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뚫린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와 탄성부재 및 유리문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에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여기에 체결되는 암나사 및 수나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보강재는 투명 아크릴이고, 상기 보강재는 피브이씨(PVC)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는,
적어도, 유리문에 부착되는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의 일측 단부의 소정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한쪽이 개방된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나사구멍과,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뚫린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보강재와,
상기 탄성보강재 및 유리문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에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여기에 체결되는 암나사 및 수나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의하면, 부주위로 인하여 손가락이나 손등이 현관문 사이에 끼더라도 속이 빈 고무로 되어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손이 다치는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으며, 유리문의 손 보호구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방음 및 단열효과와, 외부로부터의 공기차단과 실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일부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문(100)의 손잡이 부근에 탄성부재(40)를 장착하기 위해 일정 길이만큼 절개시킨 절개부(16)와, 이 절개부(16)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14)은 상기 절개부(16)에서 개방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유리(10)의 절개부(16)에 삽입하는 탄성소재로 된 탄성부재(40)의 일측면에는 장방향의 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48)가 형성되며 정면 및 후면측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42)이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0)의 삽입시 절개되지 않은 유리문 모서리와 높이를 맞추기 위해 탄성부재(40)의 내측에는 칸막이 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48)는 소위 웨더스트랩의 기능을 한다. 즉, 유리문(100)이 닫힐 경우 벽면 또는 반대편의 다른 유리문(100)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아주어 외부 공기를 차단해 줌으로써 내부 공기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유리문(100) 모서리에 손이 끼였을 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탄성체나 실리콘 또는 피브이씨(PVC) 재질로 사용한다.
상기 탄성부재(40)가 유리(10)의 절개부(16)에 끼워진 후 탄성부재(40)를 유리(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강재(50)를 끼우게 된다. 이때, 보강재(50)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나사구멍(52)이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0)의 재질을 금속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 아크릴이나 피브이씨(PVC) 등을 상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10)의 절개부(16)에 탄성부재(40)가 끼워지고, 그 위에 보강재(50)가 끼워지고 나면, 상기 보강재(50)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52)과 상기 탄성부재(40)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42) 및 유리(10)의 절개부(16)에 인접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14)을 맞추어 수나사 및 암나사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나사에 의한 조임력으로 유리(10)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으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탄성소재로 된 패킹(57)을 나사구멍(14)에 끼워 사용한다.
상기 유리(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구멍(42)의 형상은 상기 절개부(16)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나사구멍(14)을 형성한 것이다. 이 나사구멍(14)은 유리문(10)의 절개부(16)쪽이 일부 개방된 형상을 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유리문의 손 보호구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구멍을 형성시키는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에서, 유리문(10)의 절개부(16)에 개방되어 형성된 원형구멍에 탄성부재(고무재질, 실리콘)나 피브이씨(PVC)(59)를 사용하여 원형구멍을 메우고,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 또는 피브이씨(59)에 원형구멍(65)을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원형구멍(65)은 손 다침을 방지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탄성부재(40)와 보강재(50)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곳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유리문 손 보호구가 장착된 유리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 손 보호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문(100)과 벽 사이, 또는 유리문(100)과 유리문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탄성부재(40)로 된 돌출부(48)를 유리문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문을 여닫는 모서리 부분에 탄성소재로 된 유리문의 손 보호구가 설치되어 있어서 문을 열고 닫을 때 손이 문사이에 끼더라도 다칠 염려가 없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부호 10은 유리, 부호 40은 탄성부재, 부호 48은 돌출부, 부호 49는 공간부, 부호 50은 보강재, 부호 54는 수나사, 부호 56은 암나사, 부호 57은 패킹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패킹(57)은 탄성부재(4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암나사(56)와 수나사(54)의 사이에 결합되어 나사의 체결시 조여주는 결합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나사의 체결시 유리(10)에 가해지는 밀착력에 의해 더욱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사용한 탄성부재(4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는, 고무탄성체나 실리콘 또는 피브이씨(PVC)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면의 종방향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凸'자 형상을 이루고 그 단면에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나사 구멍(42)과 걸림턱(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장방향의 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48)가 일측 단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칸막이 벽(44)이 형성되어 탄성부재(40)의 내부에 빈 공간인 공간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다른 손 보호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유리문(10)이 한 쌍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탄성부재(40)는 소정의 측면 부위에 형성된 돌출부(48)가 상기 탄성부재(40)의 중심부에서 보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0)와 마주하는 한 쌍의 다른 유리문(10)에 형성된 둘출부(40a)는 그 형상은 동일하지만, 상기 돌출부(40)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유리문(10)이 닫혔을 경우, 마주하는 돌출부(48)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차단과 방음 및 단열작용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탄성부재의 사시도로서, 상기 탄성부재(40)의 일측면에 돌출부(48)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출입문의 경우 상기 돌출부(48)가 서로 교차되도록 측면의 중심에서 소정의 부위로 치우쳐져서 형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서 사용한 보강재(5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단 및 하단이 동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그 측면에 다수개의 나사구멍(52)이 형성된 제 1보강부(53)와, 이 제 1보강부(53)와 동일형상을 갖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 2보강부(5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40)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50)의 재질를 사용하거나, 또는 투명 아크릴이나 피브이씨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다른 손 보호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탄성부재(40)와 보강재(5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의 재질인 피브이씨(PVC) 또는 실리콘, 고무탄성체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50)는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 아크릴이나 피브이씨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와 보강재(50)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제조 공정에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유리문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시켜 외부와의 공기 차단과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 보호구는 재질이 탄성소재이기 때문에 유리문의 틈에 손가락이나 손등이 끼여서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의하면, 부주위로 인하여 손가락이나 손등이 현관문 사이에 끼더라도 속이 빈 탄성소재로 된 본 고안의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의해 손이 다치는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으며, 유리문의 손 보호구의 일측면에 형성된 둘출부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공기차단과 실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적어도, 유리문에 부착되는 유리문의 손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의 일측 단부의 소정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한쪽이 개방된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나사구멍과,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뚫린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지도록 탄성부재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뚫린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와 탄성부재 및 유리문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에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여기에 체결되는 암나사 및 수나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손 보호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투명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손 보호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피브이씨(PVC)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손 보호구.
  4. 적어도, 유리문에 부착되는 유리문의 손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의 일측 단부의 소정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한쪽이 개방된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나사구멍과,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뚫린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보강재와,
    상기 탄성보강재 및 유리문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에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여기에 체결되는 암나사 및 수나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손 보호구.
KR2019990005737U 1999-04-08 1999-04-08 유리문의손보호구 KR19990040512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37U KR19990040512U (ko) 1999-04-08 1999-04-08 유리문의손보호구
AU55318/99A AU5531899A (en) 1999-04-08 1999-09-01 Safety door
PCT/KR1999/000503 WO2000061905A1 (en) 1999-04-08 1999-09-01 Safety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37U KR19990040512U (ko) 1999-04-08 1999-04-08 유리문의손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12U true KR19990040512U (ko) 1999-12-06

Family

ID=1957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737U KR19990040512U (ko) 1999-04-08 1999-04-08 유리문의손보호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90040512U (ko)
AU (1) AU5531899A (ko)
WO (1) WO200006190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95B1 (ko) * 2001-03-08 2003-08-06 전정희 여닫이식 유리문용 손 보호구
KR100798155B1 (ko) * 2007-03-27 2008-01-28 임식규 보안유지 및 소음억제를 위한 강화유리도어의 안전장치
KR20140132045A (ko) * 2013-05-07 2014-11-17 남정호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73B1 (ko) * 2002-01-16 2005-04-20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수단을 구비한 문틈보호구
RU2710129C2 (ru) * 2018-06-04 2019-12-24 Ива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Чердынцев Безопасная двер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6114A1 (de) * 1978-02-14 1979-08-16 Donges Stahlbau Gmbh Dichtleiste fuer torfluegeldichtungen
FR2429316A1 (fr) * 1978-06-23 1980-01-18 Marantier Bernard Joint anti-pince-doigts pour portes, notamment pour portes de type va-et-vi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95B1 (ko) * 2001-03-08 2003-08-06 전정희 여닫이식 유리문용 손 보호구
KR100798155B1 (ko) * 2007-03-27 2008-01-28 임식규 보안유지 및 소음억제를 위한 강화유리도어의 안전장치
KR20140132045A (ko) * 2013-05-07 2014-11-17 남정호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531899A (en) 2000-11-14
WO2000061905A1 (en) 200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8330A (en) Door light
US5092077A (en) Device for preventing fingers from jamming
US5233804A (en) Corner protector assembly and retainer clip therefor
CA2494301A1 (en) Door safety device
KR19990040512U (ko) 유리문의손보호구
KR100718654B1 (ko) 완충부재와 탄성부재에 의한 안전수단을 갖는 도어프레임
KR200406927Y1 (ko) 붙박이장 슬라이드 도어 구조
KR200300538Y1 (ko) 유리문 안전장치
KR200245210Y1 (ko) 유리문의 손 보호구
KR200380388Y1 (ko) 문 손 보호대
US4423897A (en) Window ventilating stop
KR200287636Y1 (ko) 유리도어 안전장치
KR200312166Y1 (ko) 도어 안전장치
KR200300252Y1 (ko) 외풍방지 및 손을 보호 할 수 있는 현관문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JP3078695U (ja) ガラスドア用安全装置
KR20210012205A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200272204Y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보호구
JPS5841355Y2 (ja) 金属製框ドア
KR102538162B1 (ko) 미닫이문 손 보호대
KR200334594Y1 (ko) 안전 도어 힌지 및 도어
KR20210128581A (ko) 여닫이문의 손끼임 방지 및 기밀구조
JPH0540214Y2 (ko)
KR200238243Y1 (ko) 유리도어의 출입자 안전장치
KR200252640Y1 (ko) 열린 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