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067U -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067U
KR20150002067U KR2020130009638U KR20130009638U KR20150002067U KR 20150002067 U KR20150002067 U KR 20150002067U KR 2020130009638 U KR2020130009638 U KR 2020130009638U KR 20130009638 U KR20130009638 U KR 20130009638U KR 20150002067 U KR20150002067 U KR 201500020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ct
screen
mounting groov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이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filed Critical 이지연
Priority to KR2020130009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067U/ko
Publication of KR20150002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방충망을 방충망 프레임에 장착하고, 이 방충망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게 스페이서로 고정함으로써, 창호 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스페이서로 메워 없애 창호 프레임에서 방충망 프레임을 빼내어 도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런 방충 프레임 내부에 보강 부재를 더 갖춰 격자 형태로 제작한 방충 프레임이 쉽게 휘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에서 쉽게 방충 프레임이 빠지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한 방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SAFE MOSQUITO NET FRAME WITH CRIME PREVENTIONS}
본 고안은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쉽게 방충망을 뜯을 수 없고, 특히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방충망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없애 방충망 프레임이 들리지 않게 함으로써, 방범 기능을 강화한 방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창호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방충 프레임과 방범창을 함께 더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용자의 안전 등을 위하여 이런 기능을 함께 갖는 창호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는, 예시적으로, 이런 방범과 방충 작용을 하거나 이들의 기능을 포함하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창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방범·방충 그리고 방탄 기능을 갖는 이중창에 관한 것으로, 방탄유리로 형성된 유리창과 방충 창 내부에 스테인리스 격자 바를 형성함으로써, 해충 등의 유입을 막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파손에 의한 외부의 침입을 완전히 차단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여닫이 출입문에 설치하는 방범 및 방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여닫이 출입문에 방범 및 방충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일체형 방범 및 방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창문을 결합하는 창틀 내에 방범창·방충망과 블라인드를 일체로 결합하므로 창문 주위에 별도의 방범창·방충망 또는 블라인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창문 이외의 기능을 위한 다양한 구성에 대한 설치비용의 절감과 창문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창틀의 일체화에 의하여 냉난방에 따른 단열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4는 드라이버나 타커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자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그 변형 부위가 변형 수용 홈부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방범 및 방충용 프레임의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스크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방범과 방충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한 스크린 설치가 쉬운 방범·방충망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런 종래의 방범 및 방충망 기능을 갖는 프레임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방범과 방충을 위하여 별도의 프레임을 구성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에도 어려움이 있다.
(2) 방충망 자체는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강도를 가지나, 방충망 프레임의 강도가 낮아 이 방충망 프레임을 파손한 뒤에 도난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3) 방충 프레임을 창호 프레임에 장착하는 경우, 이 창호 프레임에서 방충 프레임을 떼어낸 다음 열린 창호 프레임을 통한 도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4) 이처럼 방충 기능과 방범 기능을 별도로 구성하다 보면 그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5) 이는 도난에 대한 안전성과 해충에 대한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62920호(공개일 : 2004.07.09) 한국등록특허 제0367111호(등록일 : 2004.10.30) 한국등록특허 제1138151호(등록일 : 2012.04.12) 한국등록특허 제1270603호(등록일 : 2013.05.28)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방충망을 방충망 프레임에 장착하고, 이 방충망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게 스페이서로 고정함으로써, 창호 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스페이서로 메워 없애 창호 프레임에서 방충망 프레임을 빼내어 도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런 방충 프레임 내부에 보강 부재를 더 갖춰 격자 형태로 제작한 방충 프레임이 쉽게 휘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창호 프레임에서 쉽게 방충 프레임이 빠지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한 방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은,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충망 프레임(100); 테두리 부분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스크루(210)로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에 체결하여 장착하는 방충망(200);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방충망 프레임(100)의 상단과 창호 프레임(F)의 안쪽 면 사이에 끼워 설치하도록 방충망 프레임(100)에 장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0); 및 상기 스크루(210)로 방충망 프레임(100)에 체결하여 고정한 방충망(200)의 테두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해 방충망 프레임(100)에 끼워서 설치하는 마감 몰딩(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은, 그 단면 형상이, 일면에 창호 프레임(F)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P)에 끼우는 장착 홈(110)이 형성되고, 이 장착 홈(110)의 하부에 사각형 형상의 공간(12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120)의 내벽 중에서 세 변을 감싸면서 바깥쪽으로 꺾어 장착 홈(110)을 이루는 하나의 측벽으로 연장한 보강 부재(130)가 갖춰지고, 상기 보강 부재(130)가 설치되지 않은 장착 홈(110)을 이루는 측벽에 마감 몰딩(400)을 장착하기 위한 설치 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120) 중에서 보강 부재(130)가 없는 한쪽에 여닫이 홈(1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200)은 지름 6㎜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는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창호 프레임(F)의 상부 테두리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감 몰딩(400)은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 홈(140)에 강제로 끼워 장착하는 삽입 돌기(410)가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를 상기 삽입 돌기(410)가 형성된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이 삽입 돌기(410)를 설치 홈(140)에 장착할 때, 방충망 프레임(100)과 밀착하도록 탄성 변형부(4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방충망 하나를 가지고 방충 효과와 방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이로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2) 특히, 방충 프레임을 스페이서로 고정하여 창호 프레임에서 이 방충 프레임을 분리할 수 없게 하여 간단하면서도 누구든지 방범과 방충 기능을 얻을 수 있게 쉽게 방충 프레임을 장착하거나 필요에 따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3) 방충 프레임에 보강 부재를 추가하여 이 방충 프레임의 강성을 보완하여 방충 프레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난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4) 방충망을 미리 정해진 지름 이상을 갖는 강선으로 제작하여 외력으로 이 방충망을 찢거나 떼어낼 수 없게 하여 방범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5) 이에 방충만을 찢거나 뜯어냄에 따라 도난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창호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에서 A-A선을 따라 단면 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에서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프레임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구성 요소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프레임에 사용하는 길이 부재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 몰딩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미리 정해진 단면 형상을 갖는 길이 부재를 이용하여 격자 형상으로 제작한 방충망 프레임(100), 이 방충망 프레임(100)에 테두리 부분이 스크루(210)로 체결 고정하는 방충망(200), 방충망 프레임(100)이 창호 프레임(F)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0), 그리고 방충망 프레임(100)에 장착하여 방충망(200)의 결합 부위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마감하는 마감 몰딩(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에, 도난을 위해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서 빼려고 해도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방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200)은 도난을 위해 찢거나 파손되지 못하도록 미리 정해진 지름 이상의 강선으로 제작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이런 방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충망 프레임(100)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창호 프레임(F)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 가이드 돌기(P)에 끼워서 장착한다. 여기서, 창호 프레임(F)은 창호를 미닫이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이용한다.
이런 방충망 프레임(1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길이 부재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사용하는 길이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도 5와 같이, 일면에 장착 홈(110)을 형성한다. 장착 홈(110)은 창호 프레임(F)의 가이드 돌기(P)에 끼우는 부분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 장착하는 데 이용한다. 이하, 방충망 프레임(100)의 길이 부재에 대한 설명에 한해서는 그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 장착 홈(100)의 하부에 중공의 공간(120)을 형성한다. 이 공간(120)은 길이 부재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단면 형상이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방충망 프레임(1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형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120)은 하나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길이 부재의 전체 폭과 창호에서 요구하는 강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 개의 격자 형태나 행렬 형태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간(120)의 내부에는 보강 부재(130)를 갖춘다. 보강 부재(130)는 방충망 프레임(100)의 실질적인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한 것을 이용한다. 이처럼 재질의 차이는 하중을 고려하는 경우 알루미늄 재질을, 그리고 강성을 고려하는 경우 금속 재질로 제작한 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한다.
이런 보강 부재(13)는, 도 5와 같이, 상기 공간(120)의 내벽 중에서 3개의 내벽과 맞닿게 하고, 한쪽을 바깥쪽으로 꺾어 상술한 장착 홈(110)을 이루는 하나의 측벽으로 연장하여 형성한다.
이는, 공간(120) 내에 설치하는 "ㄷ" 부분이, 도 3과 같이, 실질적으로 방충망(20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하고, 나머지 부분이 가이드 돌기(P)의 안쪽 측벽과 맞닿게 하여, 방충망 프레임(100)이 창호 프레임(F)에 장착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착 홈(110)을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측벽, 즉 보강 부재(130)가 설치되지 않은 측벽에는, 도 5와 같이, 바깥쪽 면에 설치 홈(140)을 형성한다. 설치 홈(140)은, 도 2와 도 3과 같이, 후술하게 될 마감 몰딩(400)을 장착한다.
이런 장착 홈(110)은, 도 5와 같이, 그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감 몰딩(400)을 이 장착 홈(110)에 끼웠을 때에 빠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에는, 도 5와 같이, 여닫이 홈(150)을 더 형성한다. 여닫이 홈(150)은 공간(120) 중에서 보강 부재(130)가 없는 측벽에 형성한다. 이런 여닫이 홈(150)을 손잡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안으로 들어가게 형성할 수도 있고, 반대로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방충망(2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방충망 프레임(100)의 격자 부분에 장착한다. 이때, 방충망(200)의 방충망 프레임(100)의 내부 크기보다 조금 크게 절단하고, 그 테두리 부분을 방충망 프레임(100)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방충망(200)은 그 테두리 부분을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스크루(210)로 방충망 프레임(100)에 체결하여 장착한다. 이에, 체결한 여러 개의 스크루(210)를 짧은 시간에 모두 풀어서 방충망 프레임(100)에서 방충망(200)을 분리할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난 사고의 경우 방충망을 찢거나 파손한 다음 창호를 통해 실내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방충망(200)은 그 차체로서 방범 기능을 갖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충망(200)은 지름 6㎜의 강선으로 제작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도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방충망(200)은 방충망 프레임(100)의 바깥쪽, 즉 설치 홈(140)이 형성된 쪽에 스크루(210)로 체결하고 그 뒤에 마감 몰딩(400)으로 마감할 수 있게 한다.
스페이서(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창호 프레임(F)의 안쪽 면 사이와 방충망 프레임(100)의 상단 사이에 장착한다.
즉, 창호 프레임(F)에는 창호와 방충망 프레임(100) 등을 장착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돌기(P)를 형성하는데, 이들 가이드 돌기(P) 사이에 요홈과 같은 형태로 홈이 생긴다. 그리고, 이 가이드 돌기(P)에 방충망 프레임(1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 요홈의 안쪽 면과 방충망 프레임(100)의 상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G)이 있어야만 방충망 프레임(100)을 이 간격(G)만큼 들어올려 창호 프레임(F)에 달거나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 간격(G) 부분에 스페이서(300)를 끼워넣음에 따라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서 들어 올릴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창호 프레임(F)에서 방충망 프레임(100)을 떼어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런 스페이서(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간격(G) 부분에 쉽게 끼웠다가 빼낼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310)로 방충망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300)는 방충망 프레임(100)의 상단 테두리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구성함으로써, 이 방충망 프레임(100)이 위로 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방충망 프레임(100)의 가로변의 길이가 긴 경우 두 개 이상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마감 몰딩(100)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방충망 프레임(100)의 측면, 특히 방충망(200)의 테두리를 고정한 면에 장착한다. 이에 마감 몰딩(100)은 띠편 형상으로 제작하되, 그 폭이 방충망 프레임(100)의 폭보다 크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마감 몰딩(100)에는 방충망 프레임(100)과 마주하는 면에 삽입 돌기(410)를 형성한다. 삽입 돌기(410)는 상술한 설치 홈(140)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강제로 빼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삽입 돌기(410)의 자체 탄성을 이용할 수도 있고, 분할 핀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마감 몰딩(100)은, 양측 테두리를 휘어지게 하여 탄성 변형부(420)를 형성한다. 탄성 변형부(420)는 상기 삽입 돌기(410)가 돌출한 방향으로 휘어서 형성하는데, 이 삽입 돌기(410)를 상술한 설치 홈(140)에 끼움에 따라 탄성 변형부(420)가 방충망 프레임(100)과 긴밀하게 맞닿게 하여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W"는 창호를 설치하는 벽체를 나타낸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프레임은, 스페이서를 통해 방충망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서 빼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충과 방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하고, 특히 방충망의 강성을 보완하여 물리적인 힘으로 찢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아 줌으로써 방범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방충망 프레임
110 : 장착 홈
120 : 공간
130 : 보강 부재
140 : 설치 홈
150 : 여닫이 홈
200 : 방충망
300 : 스페이서
400 : 마감 몰딩
410 : 삽입 돌기
420 : 탄성 변형부

Claims (5)

  1.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충망 프레임(100);
    테두리 부분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스크루(210)로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에 체결하여 장착하는 방충망(200);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방충망 프레임(100)의 상단과 창호 프레임(F)의 안쪽 면 사이에 끼워 설치하도록 방충망 프레임(100)에 장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0); 및
    상기 스크루(210)로 방충망 프레임(100)에 체결하여 고정한 방충망(200)의 테두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해 방충망 프레임(100)에 끼워서 설치하는 마감 몰딩(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 프레임(100)은, 그 단면 형상이,
    일면에 창호 프레임(F)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P)에 끼우는 장착 홈(110)이 형성되고,
    이 장착 홈(110)의 하부에 사각형 형상의 공간(12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120)의 내벽 중에서 세 변을 감싸면서 바깥쪽으로 꺾어 장착 홈(110)을 이루는 하나의 측벽으로 연장한 보강 부재(130)가 갖춰지고,
    상기 보강 부재(130)가 설치되지 않은 장착 홈(110)을 이루는 측벽에 마감 몰딩(400)을 장착하기 위한 설치 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120) 중에서 보강 부재(130)가 없는 한쪽에 여닫이 홈(1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200)은 지름 6㎜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0)는 방충망 프레임(100)을 창호 프레임(F)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창호 프레임(F)의 상부 테두리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몰딩(400)은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 홈(140)에 강제로 끼워 장착하는 삽입 돌기(410)가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를 상기 삽입 돌기(410)가 형성된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이 삽입 돌기(410)를 설치 홈(140)에 장착할 때, 방충망 프레임(100)과 밀착하도록 탄성 변형부(4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2020130009638U 2013-11-22 2013-11-22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201500020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38U KR20150002067U (ko) 2013-11-22 2013-11-22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38U KR20150002067U (ko) 2013-11-22 2013-11-22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67U true KR20150002067U (ko) 2015-06-01

Family

ID=5351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638U KR20150002067U (ko) 2013-11-22 2013-11-22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06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569B1 (ko) * 2020-06-25 2020-09-24 한국유리산업(주) 버드 스크린이 탈부착되는 갤러리창
KR20210054272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용도가 상이한 망틀이 복수개 이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 프레임
KR20210062869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알루미늄 프로파일 가이드레일에 적용되는 보강부재
KR20220133586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슬라이딩 타입의 방충망 및 미세망 겸용 창호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272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용도가 상이한 망틀이 복수개 이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 프레임
KR20210062869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알루미늄 프로파일 가이드레일에 적용되는 보강부재
KR102159569B1 (ko) * 2020-06-25 2020-09-24 한국유리산업(주) 버드 스크린이 탈부착되는 갤러리창
KR20220133586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슬라이딩 타입의 방충망 및 미세망 겸용 창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63013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US9598892B2 (en) Quick release cladding system for door, window, sloped and vertical glazing systems frames, and the like
KR200437799Y1 (ko) 방충망 조립체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0467732Y1 (ko)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200438756Y1 (ko)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832034B1 (ko) 방충망 프레임용 프로파일
KR101138151B1 (ko) 방충 및 방범 일체형 창틀 구조
KR101933955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1047349B1 (ko) 외동형 창틀의 방폭창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1201616B1 (ko) 창호용 구조보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JP6938148B2 (ja) 建具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102017371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20160020856A (ko) 방범방충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2

Effective date: 2015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