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714B1 - 방충망 고정프레임 - Google Patents

방충망 고정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714B1
KR101628714B1 KR1020150161577A KR20150161577A KR101628714B1 KR 101628714 B1 KR101628714 B1 KR 101628714B1 KR 1020150161577 A KR1020150161577 A KR 1020150161577A KR 20150161577 A KR20150161577 A KR 20150161577A KR 101628714 B1 KR101628714 B1 KR 10162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main
insect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가 장착된 방충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개구부에 외부의 침입과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및 방범망이 구비되는데, 이때 방충망 또는 방범망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별도의 고정구가 구비된 방충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망 고정프레임 {Fixing frame of windows for preventing crime and insect}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가 장착된 방충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개구부에 외부의 침입과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및 방범망이 구비되는데, 이때 방충망 또는 방범망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별도의 고정구가 구비된 방충망 고정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유리창 바깥쪽에 설치하여서 주로 하절기에 실내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해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문화수준의 향상과 주거생활의 쾌적화를 위해 주거공간에는 거의 대부분이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충망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충망은 통상적으로 금속의 얇은 망사로 직조 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충격으로도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최근 고강도의 망사를 이용해 외부의 침입과 해충의 유입을 동시에 방지하기 위한 방범망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충망은 망사로 된 방충망 또는 방범망(이하 방충망)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사각 형태의 프레임이 구비되며, 방충망의 가장자리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의 외측 창틀에 설치되는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이때, 방충망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은 건물의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다수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사용한다. 즉, 절단된 프레임의 끝단을 45°각도로 절단하여 상측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이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이때 상측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에 각각 삽입되어 상측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고정구로 인해 상측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조립하여 사각 형태의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측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조립하는 경우 접합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사각 형태의 프레임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창틀에 설치된 방충망 프레임이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지 않아 재시공 및 하자보수의 요청이 자주 발생하였고, 힘을 주어 개방하면 방충망 프레임이 창틀에서 이탈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의 크고 작은 문제점 있다. 또한, 정교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측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이 뒤틀리면서 접합 되는 부위가 벌어지고, 벌어진 틈새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방충망을 고정하는 고정핀 등을 부식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방충망을 지지하기 위한 방충망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하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을 조립할 때 접합 되는 부위의 정교한 조립이 가능하여, 방충망 프레임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충망 프레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112호 '방충망용 상부 모서리 연결구' (출원일자 2015.11.17) 2. 등록특허공보 제10-0999051호 '방충망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프레임 '(출원일자 2010.05.06) 3.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2972호' 방충창용 모서리 조립구' (출원일자 2012.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충망 프레임의 조립 시 각각의 모서리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구가 결속되어 방충망 프레임의 연결부위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 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충망 프레임이 창틀에 안착 되어 슬라이딩될 때 창틀과 방충망 프레임의 상호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동레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이동레일의 위치를 안내하는 등의 추가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방충망 고정프레임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의 방충망 고정프레임은 격자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진 방충망(100);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기 방충망(10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0);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상하 좌우측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의 모서리가 접합 되는 복수개의 메인프레임(300); 상기 절단된 메인프레임(3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을 감싸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메인프레임(300)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0) 각각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 고정구(400); 상기 메인프레임(300) 중 상측에 위치한 메인프레임(300)과 측면에 위치한 메인프레임(300)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접합 되는 모서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0) 각각의 모서리에 삽입되어 각각의 메인프레임(30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고정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상기 제1 고정구(400)의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홀(311)이 형성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삽입로드(320); 상기 몸체(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로드(32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몸체(310)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삽입로드(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삽입로드(330)의 내측면에 상기 제2 고정구(50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정구 삽입홈(330-1)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3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 안내돌기(331)와 상기 제1 안내돌기(331)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안내돌기(3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로드(330)의 하단에는 상기 제2 안내돌기(332)와 이격된 모헤어 끼움홈(330-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메인프레임(300)이 창틀(W)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0) 중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하측에 삽입되는 메인프레임(300) 몸체(310)의 타측면에 롤러(600)가 체결되되, 상기 제1 안내돌기(331)는 상기 롤러(600)의 회전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롤러(600)의 안착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구(500)가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안내돌기(331) 및 상기 제2 안내돌기(332)와 밀착되면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고정구(500)의 둘레면을 따라 밀착패킹(510)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고정구로 인해 방충망 프레임의 연결부위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고정구의 둘레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밀착패킹으로 인해 방충망 프레임을 창틀에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마찰음 및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롤러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롤러의 위치를 안내하는 다른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가 메인프레임에 삽입되면 복수개의 메인프레임이 항상 90°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프레임이 뒤틀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방충망 고정프레임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방충망 고정프레임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제1 및 제2 고정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방충망 고정프레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롤러 및 창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방충망 프레임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방충망 프레임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제1 및 제2 고정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방충망 프레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롤러 및 창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충망 고정프레임은 격자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진 방충망(100)을 갖는다. 방충망(100)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경량의 알루미늄 등의 얇은 철사를 직조하여 제조되며, 철사의 두께는 약 0.1 ~ 1mm 범위 내에서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방충망(10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0)이 구비된다. 고정프레임(200)은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중앙이 관통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방충망(100)이 별도의 고정핀으로 인해 고정된다. 상기의 고정핀은 방충망(100)을 고정프레임(200)에 고정하기 위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고정프레임(2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는 메인프레임(300)이 구비된다. 메인프레임(3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고정프레임(200)의 상하폭 길이와 측면의 길이에 맞게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즉, 메인프레임(300)을 고정프레임(200)의 상하 측면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고 절단된 복수개의 메인프레임(300)을 고정프레임(200)의 상하 좌우측에 끼운다. 이때 메인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단은 45°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된 면을 접합하면 상하측의 메인프레임(300)과 좌우측의 메인프레임(300)이 상호 직각을 이루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300)의 각각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되는 제1 고정구(400)가 구비된다. 제1 고정구(400)는 90°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며, 제1 고정구(400)가 메인프레임(300)에 삽입되면 메인프레임(300)이 고정프레임(200)을 감싸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 을 참조하면 절곡된 제1 고정구(400)의 일측이 상측의 메인프레임(300)의 일측에 삽입되고, 제1 고정구(400)의 타측이 측면의 메인프레임(300)의 일측에 삽입되면 상측 메인프레임(300)과 측면의 메인프레임(300)은 상호 직각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고정구(400)와 메인프레임(300)의 결합으로 보면 절곡된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는 제1 고정구(400)는 적어도 4개 정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구(400)와 동일하게 메인프레임(300) 일측과 타측단에 삽입되는 제2 고정구(500)가 구비된다. 제2 고정구(500)는 메인프레임(300)이 접합되는 모서리가 제1 고정구(400)와의 유격으로 인해 어긋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고정구(5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메인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된다. 제2 고정구(500) 또한 제1 고정구(400)와 동일하게 90°절곡되어 구비되는데, 이때 제1 고정구(400)의 좌우측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프레임(300)의 접합되는 접합면이 상호간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구(400)가 1차로 각각의 메인프레임(300)의 접합면을 일치시키고 제2 고정구(500)가 메인프레임(300)의 접합면을 정교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상하 좌우측의 메인프레임(300)은 뒤틀림 없이 정교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이 완성된 메인프레임(300)이 창틀에 안착되면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300)은 몸체(310), 제1 삽입로드(320) 및 제2 삽입로드(33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제1 고정구(400)의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홀(311)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을 이룬다. 몸체(310)의 내측면에는 몸체(310)의 휨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돌출되는 강성돌기가 몸체(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로드(320)는 몸체(31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1 삽입로드(32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310)의 일측에는 고정프레임(200)이 삽입될 수 있는 프레임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한편, 도 2 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삽입로드(320) 중 어느 하나의 제1 삽입로드(320)에는 고정프레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결합돌기(321)가 돌출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고정프레임(200)에도 결합돌기(321)에 체결되는 체결후크(2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2 삽입로드(330)는 몸체(310)의 타측 즉, 몸체(310)를 기준으로 제1 삽입로드(32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로드(330)와 동일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삽입로드(330)에는 제1 안내돌기(331) 및 제2 안내돌기(332)가 형성된다. 제1 안내돌기(331) 및 제2 안내돌기(332)는 제2 삽입로드(330)의 내측면에 제2 고정구(5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고정구 삽입홈(330-1)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제1 안내돌기(331)는 몸체(3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제2 안내돌기(332)는 제1 안내돌기(33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 삽입로드(330)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1 안내돌기(331) 및 제2 안내돌기(332)는 복수개의 제2 삽입로드(330)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5 를 참조하면 제2 안내돌기(332)의 하단 즉 제2 삽입로드(330)의 하단에는 모헤어(700)가 삽입되는 모헤어 끼움홈(330-2)가 형성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300) 중 고정프레임(200)의 하측에 삽입되는 메인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롤러(600)가 체결된다. 즉, 롤러(600)는 몸체(310)의 타측면에 안착되어 메인프레임(3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메인프레임(300)이 창틀(W)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1 안내돌기(331)는 롤러(60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롤러(600)의 위치를 안내하는 다른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롤러(600)가 제1 안내돌기(331)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롤러(600)의 회전방향과 창틀 및 메인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이 동일하고, 이로 인해 롤러(6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은 힘으로도 메인프레임(300)을 쉽게 개폐할 수 있다.
롤러(600)가 창틀(W)에서 슬라이딩될 때 회전하는 방향이 항상 메인프레임(300)의 길이방향과 어긋나지 않고 일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2 고정구(500)의 가장자리 둘레면에는 밀착패킹(5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2 고정구(500)가 메인프레임(300)에 삽입되는 경우, 제2 고정구(500)의 일측과 타측단이 제1 안내돌기(331) 및 제2 안내돌기(332)에 밀착되면서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하측 메인프레임(300)과 좌우측 메인프레임(300) 상호간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패킹(510)을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하면 메인프레임(300)을 창틀(W)에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롤러(600)와 창틀(W)간의 마찰음 및 진동으로 인한 메인프레임(300)의 공명음 등이 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방충망 200 : 고정프레임
201 : 체결후크 300 : 메인프레임
310 : 몸체 311 : 삽입홀
320 : 제1 삽입로드 321 : 결합돌기
330 : 제2 삽입로드 330-1 : 제2 고정구 삽입홈
330-2 : 모헤어 끼움홈 331 : 제1 안내돌기
332 : 제2 안내돌기 400 : 제1 고정구
500 : 제2 고정구 510 : 밀착패킹
600 : 롤러 S : 프레임 삽입공간

Claims (5)

  1. 격자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진 방충망(100);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기 방충망(10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0);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상하 좌우측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의 모서리가 접합 되는 복수개의 메인프레임(300);
    상기 절단된 메인프레임(3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을 감싸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메인프레임(300)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0) 각각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 고정구(400);
    상기 메인프레임(300) 중 상측에 위치한 메인프레임(300)과 측면에 위치한 메인프레임(300)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접합 되는 모서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접합면을 정교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300) 각각의 모서리에 삽입되어 각각의 메인프레임(30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고정구(5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상기 제1 고정구(400)의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홀(311)이 형성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삽입로드(320);
    상기 몸체(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로드(32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몸체(310)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삽입로드(3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삽입로드(330)의 내측면에 상기 제2 고정구(50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정구 삽입홈(330-1)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3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 안내돌기(331)와 상기 제1 안내돌기(331)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안내돌기(3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로드(330)의 하단에는 상기 제2 안내돌기(332)와 이격된 모헤어 끼움홈(330-2)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300)이 창틀(W)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0) 중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하측에 삽입되는 메인프레임(300) 몸체(310)의 타측면에 롤러(600)가 체결되되,
    상기 제1 안내돌기(331)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600)의 회전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롤러(600)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고 각각의 제1 안내돌기(331) 사이에 상기 롤러(60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고정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구(500)가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안내돌기(331) 및 상기 제2 안내돌기(332)와 밀착되면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고정구(500)의 둘레면을 따라 밀착패킹(510)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20150161577A 2015-11-18 2015-11-18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62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77A KR101628714B1 (ko) 2015-11-18 2015-11-18 방충망 고정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77A KR101628714B1 (ko) 2015-11-18 2015-11-18 방충망 고정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714B1 true KR101628714B1 (ko) 2016-06-09

Family

ID=5613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577A KR101628714B1 (ko) 2015-11-18 2015-11-18 방충망 고정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7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011B1 (ko) 2017-07-18 2019-02-14 김은주 미세먼지 필터와 방충망이 구비된 가변형 창틀
CN109488195A (zh) * 2018-12-10 2019-03-19 阜阳市和谐门窗有限公司 一种铝合金窗用金刚网结构及其连接件
KR102148097B1 (ko) * 2019-05-13 2020-08-25 박영화 수직 결합 구조를 갖는 창틀을 포함하는 방충창
KR200492294Y1 (ko) 2019-05-23 2020-09-11 (주)다우솔루션 방충망 문틀 프레임
CN113047756A (zh) * 2021-05-07 2021-06-29 徐州市宁源门窗有限公司 一种高密封性节能铝合金门窗
KR200494239Y1 (ko) 2020-10-26 2021-09-02 주식회사 톱스톡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방충망 프레임
KR20220066723A (ko) 2020-11-16 2022-05-24 송중화 망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망 체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12Y1 (ko) 2005-11-17 2006-02-07 이성규 방충창용 상부 모서리연결구
KR20080076696A (ko) * 2007-02-15 2008-08-20 정수영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 구조
KR100999051B1 (ko) 2010-05-06 2010-12-07 (주)창이랑 방충망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프레임
KR101387318B1 (ko) * 2013-11-05 2014-04-18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조립구조
KR20140002972U (ko) 2012-11-12 2014-05-21 박준석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12Y1 (ko) 2005-11-17 2006-02-07 이성규 방충창용 상부 모서리연결구
KR20080076696A (ko) * 2007-02-15 2008-08-20 정수영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 구조
KR100999051B1 (ko) 2010-05-06 2010-12-07 (주)창이랑 방충망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프레임
KR20140002972U (ko) 2012-11-12 2014-05-21 박준석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1387318B1 (ko) * 2013-11-05 2014-04-18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조립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011B1 (ko) 2017-07-18 2019-02-14 김은주 미세먼지 필터와 방충망이 구비된 가변형 창틀
CN109488195A (zh) * 2018-12-10 2019-03-19 阜阳市和谐门窗有限公司 一种铝合金窗用金刚网结构及其连接件
KR102148097B1 (ko) * 2019-05-13 2020-08-25 박영화 수직 결합 구조를 갖는 창틀을 포함하는 방충창
KR200492294Y1 (ko) 2019-05-23 2020-09-11 (주)다우솔루션 방충망 문틀 프레임
KR200494239Y1 (ko) 2020-10-26 2021-09-02 주식회사 톱스톡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방충망 프레임
KR20220066723A (ko) 2020-11-16 2022-05-24 송중화 망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망 체결 방법
CN113047756A (zh) * 2021-05-07 2021-06-29 徐州市宁源门窗有限公司 一种高密封性节能铝合金门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982276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61064B1 (ko) 방충망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US10538148B2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968694B1 (ko) 창문틀용 미세먼지망 고정 어셈블리
KR101795578B1 (ko)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US20210340814A1 (en) Protective Scre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200476548Y1 (ko)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1369469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669482B1 (ko) 방충망 기능을 겸비한 방범창
KR200479250Y1 (ko) 방충망
KR20200017289A (ko) 창호용 방진필터 고정장치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JP3236700U (ja) 窓型インビジブルグリル
JP2015197027A (ja) 網戸装置
KR102153306B1 (ko) 방충망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
JP2019199722A (ja) 網戸用の虫侵入防止部材および虫侵入防止網戸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JP7240841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