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824B1 -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824B1
KR101825824B1 KR1020160097113A KR20160097113A KR101825824B1 KR 101825824 B1 KR101825824 B1 KR 101825824B1 KR 1020160097113 A KR1020160097113 A KR 1020160097113A KR 20160097113 A KR20160097113 A KR 20160097113A KR 101825824 B1 KR101825824 B1 KR 10182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file
security
ed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이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filed Critical 이지연
Priority to KR102016009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프로파일에 비스를 이용하여 보강판에 관통하게 장착하여 장착력을 높이고, 또한 이 가장자리를 덮는 보강 부재를 방범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를 끼우는 홈에 고정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므로, 스크린을 프로파일에 고정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쉽게 스크린을 분리하지 못하게 하여 방범 효과와 더불어 방충 효과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PROFILE FOR INSECT SCREEN WITH SECURITY GUARD FUNCTION}
본 발명은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프로파일에 비스를 이용하여 보강판에 관통하게 장착하여 장착력을 높이고, 또한 이 가장자리를 덮는 보강 부재를 방범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를 끼우는 홈에 고정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므로, 스크린을 프로파일에 고정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쉽게 스크린을 분리하지 못하게 하여 방범 효과와 더불어 방충 효과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모기 등의 해충이 실내 등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망으로 보통 1㎜ 정도의 그물망 형태로 제작하여 벌레는 통과하지 못하나 바람이 통할 수 있게 제작한다. 이러한 방충망은 방충망의 기본 기능 외에 외부에서 타인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와 같이, 방범 기능을 갖춘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517098호
미닫이 창문이 개폐되는 창호의 양측 전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펼치거나 말아 올릴 수 있는 방충 및 방범시설을 구비한 틀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곤충이나 벌레들의 실내 유입을 손쉽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사용시 또는 사용이 불필요한 시기에는 가시성(visibility)을 저해하지 않게 보관할 수 있고, 도둑이나 강도의 침입 또한 막을 수 있고, 더불어 부주의로 인한 추락 사고까지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593157호
금속망이 장착된 프레임에 미세 방충망을 형성하여 방범 및 방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은 물론 미세 방충망에 가해지는 외력을 탄성 부재에서 흡수하여 미세 방충망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 방충망이 장착된 방범망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35464호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프레임에 망체를 고정하기 위한 망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일측단부와 함께 그루브 내로 삽입 설치되어 망체의 일측단부를 그루브 내에 고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면서 그루브 내로 삽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망체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어떠한 형태의 프레임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643646호
창문틀의 외측단에 끼워져 구비되는 방충창이 잠긴 상태로 외부에서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방범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창문용 방범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상은 방충창틀에 방충망을 끼워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하고 외면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창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창문용 방충창으로서, 상기 방충창의 내측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방충창틀의 전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편을 형성하면서 한측부로 창문틀의 외면에 체결 고정하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는 구성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구성이다.
하지만, 이런 기존 방범을 목적으로 하는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 방충 작용을 하는 스크린(망)을 금속이나 탄성 소재와 같이 강한 재질로 제작하면 방범과 방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스크린을 격자와 같은 형태의 방충망 프레임에 장착할 때 어려움이 있다.
(2) 즉, 방범 방충망은 스크린 자체의 강성이 강하므로 이 스크린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보다 이 스크린을 방범 방충망 프레임에 장착한 부분이나 장착 부분에서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다.
(3) 특히, 방범 방충망을 프로파일에 장착할 때 고정한 가장자리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면 이 부분에 드라이버 등을 끼워서 강제로 벌리거나 파손하여 방범 방충망을 훼손하여 도난과 강도에 이용한다.
(4) 이에, 프로파일에 장착하는 가장자리 부분의 체결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특히 노출되더라도 방범과 방충을 위한 스크린을 쉽게 파손하거나 분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517098호 (등록일 : 2015.04.27) 한국등록특허 제1593157호 (등록일 : 2016.02.02) 한국등록특허 제1635464호 (등록일 : 2016.06.27) 한국등록특허 제1643646호 (등록일 : 2016.07.2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방범 방충망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에서, 방범 방충망 프레임의 가이드가 끼워지는 홈에 밀착하게 마감 부재를 끼워서 비스로 고정하고, 이 마감 부재의 한쪽을 연장하여 스크린을 체결한 가장자리 부분을 덮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마감 부재를 고정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가장자리를 덮어서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강도나 도둑이 들더라도 이 가장자리를 파손하기 어렵게 하여 방범과 방충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방범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 마감 부재를 고정하는 비스와 스크린을 고정하는 비스가 프로파일 안에 갖춘 보강판에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들 비스의 체결력을 높여 더욱 견고하고 장착 고정하여 안전하면서도 방범과 방충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방범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 부재의 가장자리와 프로파일의 측면 사이에 마감재를 갖춰서 이들 사이의 틈새를 없앨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스크린의 장착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할 뿐만 아니라 마감 부재를 알루미늄이나 PVC로 제작하여 더욱 견고하게 보일 수 있게 하여 방범과 방충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방범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은, 다각형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미리 정한 길이로 자르고, 양단을 이웃한 프로파일과 연결하여 방범 방충망을 제작하되, 방범 방충망 프레임(F)에 형성한 가이드(G)에 끼워지게 한쪽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 홈(110); 및 내부에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 격자 공간(120);를 포함하는 프로파일(100)로 제작한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에 노출되는 측벽에 적어도 1열의 비스(210)로 장착한 스크린(200); 및 상기 홈(110)에 끼워져서 그 바닥면에 비스(310)로 고정하고, 한쪽이 상기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의 측벽을 덮어서 스크린(200)의 가장자리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덮을 수 있게 연장 성형한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격자 공간(120)에는 보강판(121)을 갖추고, 이 보강판(121)에는 상기 비스(210, 310)가 관통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300)는,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을 덮는 가장자리에 마감재(320)를 갖춰서 마감 부재(300)와 스크린(200) 사이의 틈새가 보이지 않게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감 부재(300)는, PVC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스크린을 프로파일에 고정하는 가장자리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 고정 부분을 파손할 우려가 적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특히, 이 가장자리는 방범 방충망 프레임의 가이드를 안내하는 홈에 마감 부재를 끼워서 고정함에 따라 이 가장자리가 마감 부재로 씌워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므로, 마감 부재를 분리하거나 파손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이러한 안전성을 더욱 높아진다.
(3) 또한, 마감 부재를 알루미늄 합금이나 PVC 등으로 제작하여 프로파일에 장착하므로, 금속성 미감 등을 연출하여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그리고, 마감 부재의 가장자리에 마감재를 장착하여 이 가장자리와 프로파일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므로 그 사이로 드라이버를 끼워서 스크린을 고정한 부분을 파손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파일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마감 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범 방충망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범 방충망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창호 형상에 맞게 프로파일(100)로 제작한 프레임, 이 프레임(200)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에 장착하는 스크린(200),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100)에 고정하여 스크린(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 부분을 가려주는 마감 부재(3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마감 부재(300)는 프로파일(100)에 호차 등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한 홈(110)에 고정하여 외부에서 체결 부분이 보이지 않게 구성하므로, 이처럼 조립한 부분을 통해 방범 방충망을 강제로 분리하거나 파손하지 못하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 스크린(200)과 마감 부재(300)는 프로파일(100)에 강성 보강 등을 목적으로 장착한 보강판(121)에 비스(210, 310)가 관통되게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장착력을 높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300)는 가장자리에 마감재(320)를 갖춰서 스크린(200)과 프로파일(100) 사이의 틈새를 없애 그 사이로 공구를 집어넣어서 스크린(200)의 체결 부분을 강제로 해제하거나 파손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을 장착하기 위해 건축물 등의 개구부에 장착한 방범 방충망 프레임을 말하고, 방범 방충망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며 이 방범 방충망 프레임(F)에 장착하는 것은 '프레임'이라고 약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미리 정한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다. 즉, 방범 방충망은 창호의 실외 측에 장착하므로, 통상 창호 형상과 같게 제작한다. 이때, 창호는 통상 사각 격자 형태로 많이 제작하기는 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다각형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프레임은, [도 1] 및 [도 3]과 같은 프레임(100)을 미리 정한 길이로 자르고, 자른 두 개의 프로파일(100)의 끝을 연결하여 다각형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이웃한 두 개의 프로파일(100)은 다각형 형상의 창호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모따기 하여 고정구나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조립한다.
프로파일(1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미리 정한 단면을 가진 길이 부재로, 창호의 넓이와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한다. 이에, 여기서는 그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프로파일(1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한쪽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홈(110)을 형성한다. 홈(111)은 프로파일(100)로 방충망 프레임이나 창호 프레임 등을 장착할 때 호차(戶車) 등을 설치하거나 미닫이 방식의 창호가 잘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G)가 끼워져서 안내하게 하는 홈을 말한다. 여기서, 가이드(G)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한 방범 방충망 프레임(F)에 이 프레임과 마주하게 돌출성형한 것으로, 미닫이 방식에서 소음과 슬라이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일종의 돌기를 말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내부에 적어도 두 개의 격자 공간(120)을 형성한다. 격자 공간(120)은 통상 길이 부재 형태로 제작하는 프로파일(100)의 폭 단면에서 볼 때 격자 구조와 같이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구성함으로써, 프로파일(10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격자 공간(120)은 통상 사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프로파일(100)의 단면 형상이나, 프로파일(100)의 표면 모양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자 공간(12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내부에 보강판(121)을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판(121)은 통상 격자 공간(120)의 내면 단면 형상이나 "ㄷ"자 또는 "ㅂ"자 등 그 크기와 형상이 다른 격자 공간과 이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보강판(121)을 구성하여 사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판(121)은 여러 개의 격자 공간(120) 안에 각각 하나씩 보강할 수도 있고, 때에 따라 가장 큰 격자 공간만 보강하거나, 이웃한 두 개의 격자 공간 등을 보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스크린(200)과 마감 부재(300)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비스(210. 310)가 이 보강판(121)을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는 격자 공간(120)에 보강판(121)을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스크린(200)과 마감 부재(300)의 장착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200)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장착한다. 여기서, 스크린(200)은 먼지나 강도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범 창호 등에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스크린(200)은, [도 3]과 같이, 비스(210)를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원하는 위치에 쉽게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스(21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진 나사류로 보통 체결 방식을 통해 체결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비스(210)는 프로파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체결하여 스크린(200)을 고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열로 체결하여 방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부재(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홈(110)에 끼워지게 장착하는 삽입 부분(300')과 이 삽입 부분(300')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구성한 연장 부분(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삽입 부분(300')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홈(110)의 내면을 감싸도록 꺾어서 형성하고, 그 바닥에 비스(310)를 이용하여 프로파일(100)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가이드(G)에 장착하면 이 체결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마감 부재(300)를 임의로 제거하거나 파손하는 게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 부분(3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삽입 부분(300')의 한쪽에서 연장했다가 꺾어서 프로파일(100)의 측면, 바람직하게는 실외 측을 덮을 수 있게 형성한다. 이는, 연장 부분(300")이 비스(310) 체결한 스크린(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어줌으로써, 이 비스(310) 노출을 최소화하여 실외에서 쉽게 비스(310)를 이완하거나 스크린(200)을 파손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마감 부재(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삽입 부분(300')이 가이드(G)에 가려서 외부 노출이 안 되게 비스(310)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여기서 연장 성형한 연장 부분(300")이 스크린(200)을 고정한 비스(210)를 가려주므로 그만큼 스크린(200)이 파손되거나 훼손될 우려가 적어져서 방범 효과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 부재(300)는, PVC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프레임이나 프로파일과 동질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이보다 더 강한 재질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하여 방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범 방충망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마감재(320)를 더 추가 구성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4]와 같이, 마감 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마감재(320)를 추가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재(320)는 프로파일(100)에서 실외 측을 향하는 가장자리, 즉 연장 부분(300")의 가장자리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감 부재(300)의 가장자리 중에서 실질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특히 그 안에 스크린(2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부분이므로 이 연장 부분(300")이 파손되면 바로 스크린(200)의 파손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100 : 프로파일
110 : 홈
120 : 격자 공간
121 : 보강판
200 : 스크린
210 : 비스
300 : 마감 부재

Claims (4)

  1. 다각형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미리 정한 길이로 자르고, 양단을 이웃한 프로파일과 연결하여 방범 방충망을 제작하되,
    방범 방충망 프레임(F)에 형성한 가이드(G)에 끼워지게 한쪽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 홈(110); 및 내부에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 격자 공간(120);를 포함하는 프로파일(100)로 제작한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에 노출되는 측벽에 적어도 1열의 비스(210)로 장착한 스크린(200); 및
    상기 홈(110)에 끼워져서 그 바닥면에 비스(310)로 고정하고, 한쪽이 상기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의 측벽을 덮어서 스크린(200)의 가장자리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덮을 수 있게 연장 성형한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
  2. 제1 항에서,
    상기 격자 공간(120)에는 보강판(121)을 갖추고,
    이 보강판(121)에는 상기 비스(210, 310)가 관통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3. 제1 항에서,
    상기 마감 부재(300)는,
    프로파일(100)의 실외 측을 덮는 가장자리에 마감재(320)를 갖춰서 마감 부재(300)와 스크린(200) 사이의 틈새가 보이지 않게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마감 부재(300)는,
    PVC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20160097113A 2016-07-29 2016-07-29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182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13A KR101825824B1 (ko) 2016-07-29 2016-07-29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13A KR101825824B1 (ko) 2016-07-29 2016-07-29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824B1 true KR101825824B1 (ko) 2018-02-05

Family

ID=6122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13A KR101825824B1 (ko) 2016-07-29 2016-07-29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8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064B1 (ko) 2013-03-22 2014-02-19 신양하이텍금속산업 주식회사 방충망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064B1 (ko) 2013-03-22 2014-02-19 신양하이텍금속산업 주식회사 방충망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770B2 (en) Adjustable screen tensioning system
US6230455B1 (en) High impact flanged window screen
US5487243A (en) Storm shutter system
US6505669B2 (en) Hinged window screen with cover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US6591553B1 (en) Entranceway barrier apparatus
AU2022211888B2 (en) A security screen assembly
KR200437799Y1 (ko) 방충망 조립체
US20150284994A1 (en) Window including hinged security screen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200385577Y1 (ko) 방범창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933955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2017371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20170034511A (ko) 방범방충창
KR20160020856A (ko) 방범방충창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20200069674A (ko)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EP3940180B1 (en) Profile assembly for a combined awning and grating device
KR101561266B1 (ko) 방범방충창
KR102235129B1 (ko) 방범창살 및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101669482B1 (ko) 방충망 기능을 겸비한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