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674A -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 Google Patents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674A
KR20200069674A KR1020180156982A KR20180156982A KR20200069674A KR 20200069674 A KR20200069674 A KR 20200069674A KR 1020180156982 A KR1020180156982 A KR 1020180156982A KR 20180156982 A KR20180156982 A KR 20180156982A KR 20200069674 A KR20200069674 A KR 2020006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security
blocking
networ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327B1 (ko
Inventor
신석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Priority to KR102018015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3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06B2009/015Mount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격자 모양의 메쉬형상으로 이루어진 방범망;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고, 상기 방범망을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방범망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의 실내측에 장착되어 통전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방식의 집진기능을 구비한 미세먼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 실외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범망이 장착되는 방범망장착부; 및 상기 본체의 실내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망이 장착되는 미세먼지망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CRIME PREVENTING WINDOW HAVING APPARATUS FOR BLOCKING FINE DUST}
본 발명은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에 관한 것으로, 방범 기능을 갖는 방충· 방범망과 미세먼지 차단망을 복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망이라 함은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틀 등에 설치되는 방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방범망은 철재 등을 이용하여 0.1 ~ 0.7mm 두께를 갖는 격자구조로써 시야는 확보하되, 외부의 침입을 방지함은 물론 벌레나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쉬형상의 망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방범망은 철제 등을 이용하여 방범망의 테두리를 별도의 프레임으로 고정시켜 현관문 또는 창틀 등에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일반적인 방식으로 방범망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방범망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면 방범망이 프레임에서 쉽게 이탈되어 방범망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국내 공개 특허 10-2011-0101429호 공보에는 스크린 설치가 용이한 방법·방충망용 프레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스크린 설치가 용이한 방법·방충망용 프레임 구조는 강성확보를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격실로 구획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창틀설치구; 및 몸체의 상부에 자체변형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테두리 부분을 압착변형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지지측벽부 및 절취측벽부로 이루어진 스크린설치구;를 포함하고, 지지측벽부는 안쪽면에 스크린의 접힘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스크린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변형 수용홈부가 구비되고, 절취측벽부는 공구에 의하여 일부가 절취되면서 스크린과 함께 변형 수용홈부에 수용되는 일부절취변형부와, 일부절취변형부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범·방충망용 프레임 구조는 하나의 스크린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방범망과 미세먼지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방범망 및 미세먼지망에 각각의 프레임을 갖도록 하여 별도의 설치작업이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극심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여 생활하는 것이 필수적인 생활 환경으로 작용하는 현대인들에게 방범 및 방충망 창호와 별도로 미세먼지 창호를 설치하는 번거로움 없이 방범과 미세먼지 창호가 하나의 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방충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겸용 창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10-2011-0101429 (공개일자 2011년 09월 16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범망 프레임 실외 좌우 양측에 방범망을 용이하게 장착하는 방범망장착부 및 상기 프레임 실내측 좌우 양측에 미세먼지망을 장착하기 위한 미세먼지망장착부를 구비하여 실외측에 방범망을 설치하고 실내측에 미세먼지망을 설치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방범망 및 미세먼지망이 이중으로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격자 모양의 메쉬형상으로 이루어진 방범망;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고, 상기 방범망을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방범망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의 실내측에 장착되어 통전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방식의 집진기능을 구비한 미세먼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 실외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범망이 장착되는 방범망장착부; 및 상기 본체의 실내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망이 장착되는 미세먼지망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방범망장착부가 상기 본체의 좌, 우측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범망의 좌, 우측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방범망을 고정시키는 마감캡; 및 상기 본체의 좌, 우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방범망을 위치시킨 후 상기 마감캡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마감캡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마감캡이상기 마감캡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에 삽입되는 외측맞물림돌기; 상기 마감캡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측맞물림돌기; 및 상기 마감캡의 상기 외측맞물림돌기 및 내측맞물림돌기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마감캡수용부가 상기 외측맞물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외측맞물림돌기수용홈; 상기 내측맞물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맞물림돌기수용홈;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수용홈; 및 상기 방범망이 안착되어 위치하는 방범망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미세먼지망장착부가 상기 미세먼지망의 좌, 우 단부가 삽입되도록 절곡 형성된 미세먼지망고정부재; 및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에 가압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의 밀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프레임이상기 실외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모헤어를 삽입 장착하는 제1모헤어수용부; 및 상기 실내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모헤어를 삽입 장착하는 제2모헤어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제1모헤어가 복수개의 제1차단돌기 및 제1차단홈이 반복 형성된 제1방풍핀에 소정 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2모헤어는 복수개의 제2차단돌기 및 제2차단홈이 반복 형성된 제2방풍핀에 소정 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상기 제1차단돌기 및 제2차단돌기가 상기 창틀과 접촉하는 상기 제1차단돌기 및 제2차단돌기의 일면에서 상기 창틀과 대응되는 상기 제1차단돌기 및 제2차단돌기의 타면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에 의하면,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어 바깥쪽에는 방범망을 장착하고 안쪽에는 미세먼지망을 장착하여 각각 별도의 방범망을 구비하여 장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방충,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방범망은 실내측을 중심으로 바깥쪽에 설치하고 미세먼지망은 안쪽에 설치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바깥쪽에 설치된 방범망은 금속성의 강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에서 칼날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손상이 용이하지 않아 방범 기능이 뛰어나고, 미세먼지망은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의 장착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의 분해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의 모헤어 및 방풍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의 장착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의 분해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망(S), 미세먼지망(D) 및 프레임(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범망(S)은 격자 모양의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범망(S)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격자 모양의 메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범망(S)은 두께가 0.1~1mm 범위 내에서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범망(S)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망(D)은 상기 방범망(S)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10)의 실내측에 장착되어 통전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방식의 집진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먼지망(D)은 인체에 유해한 (PM10이하,0.01mm이하) 미세먼지 및 꽃가루를 정전기 방식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비전도체로 코팅하여 만들어진 매쉬 구조로 형성되었으며, 외곽의 틀 또한 기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강철 등의 전도체가 비전도체 내부에 뼈대 형태로 구성되어 정전기가 잘 발생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도성 물체(스테인리스, 강철 등)로 만들어진 선에 비전도성 물질인 폴리에스터나 에폭시 수지 등을 분체도장(강철 등의 선에 정전기를 발생시켜 수지분말이 달라붙게 한 다음에 열처리하여 코팅을 하는 방식) 코팅을 하여 정전기를 잘 가두어 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빗물이나 습기에도 녹이 슬지 않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색으로 가공이 가능하여 주거지의 환경 미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망(D)은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고, 상기 방범망(S) 및 상기 미세먼지망(D)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은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며 하단에 구비된 롤러(미도시)에 의해 창틀 하부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창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방범망 및 미세먼지망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종래의 방범망 창호와 같이 외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단열재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종래의 방범망 창호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0)은 본체(100), 방범망장착부(200), 미세먼지망장착부(300), 제1모헤어수용부(400), 제2모헤어수용부(600), 제1방풍핀(500) 및 제2방풍핀(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프레임(10)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상기 프레임(10)의 외곽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방범망장착부(200)는 상기 본체(100) 실외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범망(S)이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범망장착부(200)는 마감캡(210) 및 마감캡수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210)은 상기 본체(100)의 좌, 우측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범망(S)의 좌, 우측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100)에 상기 방범망(S)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마감캡(210)은 상기 본체(100)의 좌, 우측 단부에 상기 방범망(S)을 위치시킨 후 상기 마감캡(210)을 가압하여 상기 본체(100), 방범망(S) 및 상기 마감캡(2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마감캡(210)은 상기 마감캡(2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220)에 삽입되는 외측맞물림돌기(211), 상기 마감캡(2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220)에 삽입되는 내측맞물림돌기(212) 및 상기 마감캡(21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22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수용부(220)는 상기 본체(100)의 좌, 우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방범망(S)을 위치시킨 후 상기 마감캡(210)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220)는 상기 본체(100)의 좌, 우측 단부에서 상기 방범망(S)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마감캡수용부(220)는 상기 외측맞물림돌기(2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외측맞물림돌기수용홈(221), 상기 내측맞물림돌기(2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맞물림돌기수용홈(222), 상기 결합돌기(21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수용홈(223) 및 상기 방범망(S)이 안착되어 위치하는 방범망수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범망장착부(200)는 다수개의 돌기와 홈으로 구성된 상기 마감캡 (210)및 마감캡수용부(220)의 삽입 및 고정에 의해 상기 방범망(S)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미세먼지망장착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실내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망(D)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먼지망장착부(300)는 상기 방범망장착부(200)와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10)의 실내측 좌, 우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망(D)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미세먼지망장착부(300)는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 및 밀착봉(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는 상기 미세먼지망(D)의 좌, 우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는 상기 미세먼지망(D)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단 개방된 부분에 상기 밀착봉(320)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돌기(31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는 상기 미세먼지망(D)이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에 상기 미세먼지망(D)을 위치하고 상기 밀착봉(320)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봉(320) 및 상기 미세먼지망(D)이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좌,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프레임(10)의 상, 하측 단부 또는 상기 프레임(10)의 좌, 우, 상, 하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밀착봉(320)은 가입되어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봉(320)은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에 삽입된 상기 미세먼지망(D)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봉(320)은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310)와 크기 및 길이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의 모헤어 및 방풍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모헤어수용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1모헤어(410)를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모헤어(410)는 복수개의 제1차단돌기(510) 및 제1차단홈(520)이 반복 형성된 제1방풍핀(500)에 소정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헤어는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실외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모헤어(410)와 상기 실내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모헤어(61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풍핀(500)은 상기 제1모헤어(410)에 대응 접촉되는 실외측 창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모헤어(410)의 소정 부분이 수용되는 제1차단돌기(510) 및 제1차단홈(520)이 반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모헤어(410)는 상기 제1차단돌기(510) 및 제1차단홈(520)이 반복 형성된 제1방풍핀(500)에 소정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돌기(510)는 상기 창틀과 접촉하는 상기 제1차단돌기(510)의 일면에서 상기 창틀과 대응되는 상기 제1차단돌기(510)의 타면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돌기(5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1모헤어(410)와 상기 제1방풍핀(500)을 통해 저항 면적을 넓게 하여 외기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차단돌기(510)에 각각 제1방풍핀(500)이 형성되면, 상기 제1차단홈(520)에 각각 수납되는 제1모헤어(410)를 더욱 조밀하게 밀집 시켜 제1모헤어(410)에 직접적으로 통과하는 외기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제1차단홈(520)을 따라 제1모헤어(410)에 돌아 나가는 외기는 제1방풍핀(50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여 외기가 제1차단홈(520)에 장기간 체류 또는 소멸되어 방풍 및 외기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헤어수용부(600)는 상기 실내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제2모헤어(610)를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모헤어(610)는 복수개의 제2차단돌기(710) 및 제2차단홈(720)이 반복 형성된 제2방풍핀(700)에 소정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방풍핀(700)은 상기 제2모헤어(610)에 대응 접촉되는 실내측 창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모헤어(610)의 소정 부분이 수용되는 제2차단돌기(710) 및 제2차단홈(720)이 반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모헤어(610)는 상기 제2차단돌기(710) 및 제2차단홈(720)이 반복 형성된 제2방풍핀(700)에 소정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차단돌기(710)는 상기 창틀과 접촉하는 상기 제2차단돌기(710)의 일면에서 상기 창틀과 대응되는 상기 제2차단돌기(710)의 타면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차단돌기(7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2모헤어(610)와 상기 제2방풍핀(700)을 통해 저항면적을 넓게 하여 외기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차단돌기(710)에 각각 제2방풍핀(700)이 형성되면, 상기 제2차단홈(720)에 각각 수납되는 제2모헤어(610)를 더욱 조밀하게 밀집 시켜 제2모헤어(610)에 직접적으로 통과하는 외기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제2차단홈(720)을 따라 제2모헤어(610)에 돌아 나가는 외기는 제2방풍핀(70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여 외기가 제2차단홈(720)에 장기간 체류 또는 소멸되어 방풍 및 외기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는 제1모헤어(410) 및 제1방풍핀(500)에 의해 1차적으로 외기를 차단하고, 상기 제2모헤어(610) 및 제2방풍핀(700)에 의해 2차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방풍 및 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에 의하면,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어 바깥쪽에는 방범망을 장착하고 안쪽에는 미세먼지망을 장착하여 각각 별도의 방범망을 구비하여 장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방충,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방범망은 실내측을 중심으로 바깥쪽에 설치하고 미세먼지망은 안쪽에 설치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바깥쪽에 설치된 방범망은 금속성의 강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에서 칼날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손상이 용이하지 않아 방범 기능이 뛰어나고, 미세먼지망은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S : 방범망 D : 미세먼지망
10 : 프레임 100 : 본체
200 : 방범망장착부 210 : 마감캡
211 : 외측맞물림돌기 212 : 내측맞물림돌기
213 : 결합돌기 220 : 마감캡수용부
221 : 외측맞물림돌기수용홈 222 : 내측맞물림수용홈
223 : 결합돌기수용홈 224 : 방범망수용부
300 : 미세먼지망장착부 310 : 미세먼지망고정부재
311 : 걸림돌기 320 : 밀착봉
400 : 제1모헤어수용부 410 : 제1모헤어
500 : 제1방풍핀 510 : 제1차단돌기
520 : 제1차단홈 600 : 제2모헤어수용부
610 : 제2모헤어 700 : 제2방풍핀
710 : 제2차단돌기 720 : 제2차단홈

Claims (8)

  1. 격자 모양의 메쉬형상으로 이루어진 방범망;
    실외측 창틀에 설치되고, 상기 방범망을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방범망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의 실내측에 장착되어 통전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방식의 집진기능을 구비한 미세먼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 실외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범망이 장착되는 방범망장착부; 및
    상기 본체의 실내측 방향의 좌, 우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망이 장착되는 미세먼지망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망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좌, 우측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범망의 좌, 우측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방범망을 고정시키는 마감캡; 및
    상기 본체의 좌, 우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방범망을 위치시킨 후 상기 마감캡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마감캡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마감캡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에 삽입되는 외측맞물림돌기;
    상기 마감캡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측맞물림돌기; 및
    상기 마감캡의 상기 외측맞물림돌기 및 내측맞물림돌기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마감캡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수용부는,
    상기 외측맞물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외측맞물림돌기수용홈;
    상기 내측맞물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맞물림돌기수용홈;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수용홈; 및
    상기 방범망이 안착되어 위치하는 방범망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망장착부는,
    상기 미세먼지망의 좌, 우 단부가 삽입되도록 절곡 형성된 미세먼지망고정부재; 및
    상기 미세먼지망고정부재에 가압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의 밀착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실외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모헤어를 삽입 장착하는 제1모헤어수용부; 및
    상기 실내측 창틀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모헤어를 삽입 장착하는 제2모헤어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헤어는,
    복수개의 제1차단돌기 및 제1차단홈이 반복 형성된 제1방풍핀에 소정 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2모헤어는,
    복수개의 제2차단돌기 및 제2차단홈이 반복 형성된 제2방풍핀에 소정 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욤 방범망 창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돌기 및 제2차단돌기는,
    상기 창틀과 접촉하는 상기 제1차단돌기 및 제2차단돌기의 일면에서 상기 창틀과 대응되는 상기 제1차단돌기 및 제2차단돌기의 타면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KR1020180156982A 2018-12-07 2018-12-07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KR10214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82A KR102149327B1 (ko) 2018-12-07 2018-12-07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82A KR102149327B1 (ko) 2018-12-07 2018-12-07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674A true KR20200069674A (ko) 2020-06-17
KR102149327B1 KR102149327B1 (ko) 2020-08-28

Family

ID=7140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82A KR102149327B1 (ko) 2018-12-07 2018-12-07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50B1 (ko) * 2020-08-07 2021-08-30 주식회사 알루텍 롤스크린 방진망 탈부착형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429A (ko) 2010-03-08 2011-09-16 이철기 스크린 설치가 용이한 방범·방충망용 프레임 구조
KR20150093292A (ko) * 2014-02-06 2015-08-18 한국메탈주식회사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KR101559318B1 (ko) *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20170136079A (ko) * 2016-05-30 2017-12-11 김재원 금속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창호용 망 장치
KR20180083503A (ko) * 2017-01-13 2018-07-23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429A (ko) 2010-03-08 2011-09-16 이철기 스크린 설치가 용이한 방범·방충망용 프레임 구조
KR20150093292A (ko) * 2014-02-06 2015-08-18 한국메탈주식회사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KR101559318B1 (ko) *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20170136079A (ko) * 2016-05-30 2017-12-11 김재원 금속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창호용 망 장치
KR20180083503A (ko) * 2017-01-13 2018-07-23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50B1 (ko) * 2020-08-07 2021-08-30 주식회사 알루텍 롤스크린 방진망 탈부착형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327B1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770B2 (en) Adjustable screen tensioning system
KR101593157B1 (ko) 미세방충망이 장착된 방범망
US6230455B1 (en) High impact flanged window screen
US6505669B2 (en) Hinged window screen with cover
US20150284994A1 (en) Window including hinged security screen
KR20200069674A (ko) 방범 및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범망 창호
AU2008249233B2 (en) Screen Assembly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JP2018197467A (ja) フロントサッシ
KR101669482B1 (ko) 방충망 기능을 겸비한 방범창
US11525302B2 (en) Protective scre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3355525B2 (ja) サッシ窓用窓枠の上枠
KR200472218Y1 (ko) 건물 개구용 방충 및 방한장치
KR101795578B1 (ko)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2017371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1933955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JP4075703B2 (ja) 面格子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JP3236700U (ja) 窓型インビジブルグリル
JP6794016B2 (ja) 換気装置
KR101830089B1 (ko) 창문틀 모서리 보호 부재
CN216415790U (zh) 一种窗户防鼠组件
JP6954518B1 (ja) 後付サッシ
KR20180002130U (ko) 방충망이 설치된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