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77Y1 -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 Google Patents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77Y1
KR200486677Y1 KR2020160005276U KR20160005276U KR200486677Y1 KR 200486677 Y1 KR200486677 Y1 KR 200486677Y1 KR 2020160005276 U KR2020160005276 U KR 2020160005276U KR 20160005276 U KR20160005276 U KR 20160005276U KR 200486677 Y1 KR200486677 Y1 KR 200486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ull
handle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779U (ko
Inventor
양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Priority to KR2020160005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7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06B2003/4492Vertically-sliding wings provided wit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을 결합하되 풀다운창이 설치된 창호를 미서기 형태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깥쪽에서부터 방충망->제1 창호->제3 창호->제4 창호+제5 창호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창호, 제3 창호 및 제4 창호+제5 창호는 미서기 형태로 개폐되며, 제5 창호는 제4 창호와 분리되어 풀다운 형태로 개폐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A SLIDING WINDOW COMBINATED PULL-DOWN WINDOW}
본 고안은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을 결합하되 풀다운창이 설치된 창호를 미서기 형태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깥쪽에서부터 방충망->제1 창호->제2 창호->제3 창호->제4 창호+제5 창호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창호, 제2 창호, 제3 창호 및 제4 창호+제5 창호는 미서기 형태로 개폐되며, 제5 창호는 제4 창호와 분리되어 풀다운 형태로 개폐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이때 상기의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및 금속제 등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피브이씨(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써 창호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창호는 개폐되는 방법에 따라 미서기, 풀다운(Pull-Down), 프로젝트(Project) 등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풀다운창은 개방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직접 쐬지 않으면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시와 같은 경우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장점이 있는데에도 불구하고, 창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미서기창과는 달리 풀다운창(프로젝트창도 마찬가지)은 일부만 개방한다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창을 전부 개방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이 결합된 형태에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351호에 이중 창호가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은 하단 부위를 통해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단 부위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창은 프로젝트창을 상단에 구비한 미서기창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이중 창호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프로젝트창 및 미서기창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창호의 개념만 기재하고 있을 뿐, 실제 미서기창의 창호조립과 프로젝트창(또는 풀다운창)의 창호조립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요구되는 구성과 방법이 다른데 창호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재가 없다.
또한, 풀다운창(또는 프로젝트창)의 경우 개방을 위해 회전 및 잡아당겨지는 손잡이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개념적인 기술사항만 기재하다 보니 손잡이에 관련된 기술이 부각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미서기창과 풀다운창이 결합되는 창호를 제공하되,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설계하고, 또한 풀다운창을 개방하는데 조작되는 손잡이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351호(2011.06.01.)
본 고안의 목적은,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을 결합하되 풀다운창이 설치된 창호를 미서기 형태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깥쪽에서부터 방충망->제1 창호->제2 창호->제3 창호->제4 창호+제5 창호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창호, 제2 창호, 제3 창호 및 제4 창호+제5 창호는 미서기 형태로 개폐되며, 제5 창호는 제4 창호와 분리되어 풀다운 형태로 개폐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창이 결합된 풀다운창은, 창틀(10)에 연결되는 방충망(20), 제1 창호(30), 제2 창호(30a), 제3 창호(40), 제4 창호(50) 및 제5 창호(60)가 외부방향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4 창호(50)와 제5 창호(60)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있어서, 방충망(20)은 상기 창틀(10)의 외부방향으로 최선단에 설치되고, 양단에 연결된 방충망 프레임(21)으로 창틀(10)과 연결되며, 제1 창호(30)는 상기 방충망(20)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양단에 'H' 형태를 갖는 미서기 프레임(31)이 연결되며, 상기 미서기 프레임(31)을 통해 창틀(10)에 연결되고, 제2 창호(30a)는 상기 제1 창호(30)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제3 창호(40)는 상기 제2 창호(30a)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양단에 미서기 프레임(41)이 연결되어 상기 미서기 프레임(41)을 통해 창틀(10)에 연결되며, 제4 창호(50)는 상기 제3 창호(40)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일단이 창틀(10)과 미서기 프레임(51)을 통해 연결되며, 창호(30, 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점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제4 창호(50)의 창틀(10)과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 일단에 연결프레임(52)이 연결되며, 제5 창호(60)는 상기 제4 창호(50)의 하부측 창틀(10)에 연결되며, 양단에 풀다운 프레임(62)이 연결되고, 창틀(10)과 풀다운 프레임(62) 사이에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이 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창이 결합된 풀다운창은, 미서기창과 풀다운창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풀다운창의 개방에 따라 창호가 완전 개방되어도 후방에 위치된 미서기창으로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풀다운창을 개방하는 경우, 창호 자체가 개방되어야 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풀다운창이 포함된 창호를 미서기 형태로 개방할 수 있어서, 개방하고자 하는 풀다운창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서 제5 창호(풀다운창)이 창틀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서 손잡이가 구성되는 각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을 결합하되 풀다운창이 설치된 창호를 미서기 형태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풀다운창과 미서기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면서, 풀다운창을 개방하더라도 후방(바깥쪽, 외부)에 설치된 미서기창을 일부만 개방시켜 풀다운창의 완전 개방에 따른 불편한 점을 극복할 수 있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풀다운창의 완전 개방에 따른 불편한 점은 우천시 통상의 미서기창은 비가 내부로 들어오기 때문에 불편한데, 풀다운창의 경우 비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 미서기창의 경우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풀다운 창의 경우 조금만 개방한다고 하더라도 창호 전체가 개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일부 개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창호->제2 창호->제3 창호->제4 창호+제5 창호의 구조로 구성되므로, 풀다운창인 제5 창호를 개방하더라도, 제5 창호의 선단(후방)에 위치된 제 3창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위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고안은 창틀(10)을 시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때 창틀(10)은 통상적인 창호를 고정하는 틀을 의미하는 것으로 4개의 창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4개의 창호는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제1 창호 내지 제4+제5창호를 예를 들고 있으므로 4개의 창호로 표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 창호보다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창호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방충망(20)은 후술될 창호들의 외부방향으로 최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의 양단에 방충망 프레임(21)이 연결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21)이 창틀(10)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제1 창호(30)는 방충망(20)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미서기창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창호(30)의 양단에는 미서기 프레임(31)이 연결되고, 각 양단의 미서기 프레임(31)은 창틀(10)에 직접 연결(삽입)되어 창틀(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2 창호(30a)는 제1 창호(30)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미서기 창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제1, 제3, 제4 창호 등과 같이 미서기 프레임을 구비하여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제3 창호(40)는 제2 창호(30a)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미서기창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3 창호(40) 역시 제1 창호(30)와 같이 미서기 프레임(41)이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미서기 프레임(41)이 창틀(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창호(50)는 제3 창호(40)의 다음 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미서기창 형태로 구성되되, 일방향의 창틀(10)에서 다른방향의 창틀(10)까지 연결되는 상기 제1 창호(30) 및 제3 창호(40)와는 달리 일방향의 창틀(10)에서 연결되어 소정의 지점에서 마감된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일단은 미서기 프레임(51)을 통해 창틀(10)에 연결되되 다른 일단이 소정의 지점에서 연결프레임(52)에 의해 마감된다.
이때 소정의 지점이라 함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제1 및 3 창호(30, 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지점일 수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이의 하부에 제5 창호가 형성될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술된 미서기 프레임(31, 41, 51)은 'H'자 형태로 구성되며, 각 창호(30, 40, 50)가 연결되는 부분에 실링재 및 단열재(도면부호 미도시) 등을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서기 프레임(31, 41, 51)은 내부에 복수의 중공을 형성하여 단열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연결프레임(52)을 설명하기 위해 잠시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한다. 도 3에 따른 본 고안에서의 연결프레임(52)은 상기 미서기 프레임(31, 41, 51)의 창호 연결부분을 대칭시킨 형태이되, 하부 일측이 개방된 형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52) 역시 내부에 복수의 중공이 형성되어 단열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52)은 그 하부측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단속부재(53)가 연결될 수 있다.
단속부재(53)는 'ㄱ'자 형태로서 손잡이(70)의 조작을 단속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후술한다.
제5 창호(60)는 제4 창호(50)의 하부측에 위치된 창틀(10)에 연결되는 것으로, 풀다운(Pull-down)창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5 창호(60)의 양단에는 풀다운 프레임(62)이 연결되며, 특히 창틀(10)에 연결되는 제5 창호(60)의 일단에 연결된 풀다운 프레임(62)은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을 통해 창틀(10)과 연결될 수 있다.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은 미서기 프레임(31, 41, 51)의 형태에서 상부 일측이 개방된 형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미서기 프레임(31, 41, 51)과 마찬가지로 창틀(10)에 연결된다.
그리고 개방된 일측에서 풀다운 프레임(62)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과 풀다운 프레임(62)이 맞닿는 지점에는 충격완화부재(6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5 창호의 측면에 통상적인 풀다운창 형태의 개방/폐쇄(여닫이)를 위한 지지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풀다운창 형태로 개폐될 수 있는데, 제5 창호(60)가 풀다운창 형태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상기 풀다운 프레임(62)과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이 맞닿는 지점 중 하측에 마련된 충격완화부재(63)를 축으로 풀다운 프레임(62)이 회동되는 것이며,
이 경우, 하측에 마련된 충격완화부재(63)는 제5 창호(60)의 여닫이에 의해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 또는 풀다운 프레임(62)이 접촉되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측에 마련된 충격완화부재(63)는 풀다운 프레임(62)이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에 맞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풀다운 프레임(62)은 '└┐'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과 제5 창호(6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서 제5 창호(풀다운창)이 창틀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표시된 A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풀다운 프레임(62)은 상부 일측에 삽입공(62a)을 갖는 제1 돌기(62b)가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공(62a)에는 제2 돌기(64a)를 갖는 조립 프레임(64)이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제2 돌기(64a)는 각진형태로 구성되어 제1 돌기(62b)에 고정이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풀다운 프레임(62)의 일측에 조립 프레임(64)을 형성하는 기술적 의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2, 3 및 4 창호(30, 30a, 40, 50)의 경우, 미서기 프레임(31, 41, 51 등)에 각 창호를 연결하는 경우 단열재 등의 구조에 의해 창호 고정이 용이하고, 나아가 실링작업(실링재)이 쉬울 수 있지만, 제5 창호(60)의 경우에는 단열재를 사용하기 않기 때문에 풀다운 프레임(62)에 제5 창호(60)를 연결하는 경우 실링재 작업을 위해 제5 창호(60)를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풀다운 프레임(62)의 개방된 일측으로 제5 창호(60)를 연결하되, 제1 돌기(62b)에 제5 창호(60)가 지지되도록 하여, 제5 창호(60)의 일면에 실링재 작업을 수행하고, 조립 프레임(64)을 풀다운 프레임(62)의 개방된 일측, 즉 삽입공(62a)에 삽입시켜 제5 창호(60)의 다른 일면(조립 프레임 방향의 일면)에 실링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5 창호(60)와 풀다운 프레임(62)의 연결을 쉽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된 풀다운 프레임(62)은 제5 창호(60)의 하측에서 창틀(10)과 연결되는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와 같이, 조립 프레임(64)과 함께 제5 창호(60)의 상측에 연결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를 통해 손잡이(70)를 함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서 손잡이가 구성되는 각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표시된 B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5 창호(60)의 상측에 연결되는 풀다운 프레임(62)의 일측에는 손잡이(7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창호(60)의 상측에 연결되는 풀다운 프레임(62)의 일측에는 그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부재(65)가 더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70)는 풀다운 프레임(62)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손잡이(70)의 일측에는 상기 풀다운 프레임(62) 내부에 포함되는 걸림부재(7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71)는 손잡이(70)에 연결된 반대 일단이 굴곡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굴곡된 일단은 상기한 단속부재(53)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부재(71)는 상기 회전제한부재(65)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손잡이(70)를 회전하는 경우 회전제한부재(65)의 반대방향으로만 걸림부재(7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70)를 잡고 회전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걸림부재(71)가 단속부재(53)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고, 손잡이(70)를 잡아 당김으로써, 제5 창호(60)를 손잡이(70)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5 창호(60)의 상측에 풀다운 프레임(62)이 연결되는 경우, 연결프레임(52)과 풀다운 프레임(62)이 맞닿는 양단에 충격완화부재(63)가 마련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손잡이(70)는 일방향 뿐만 아니라, 양방향 모두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한다.
도 4에 따른 경우에 의하면, 본 고안은 회전제한부재(65)에 보조단속부재(66)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재(65)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일면에서 다른 반대 일면으로 관통되는 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70)에 연결된 걸림부재(71)는 도 3과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원기둥의 형상에서 수평방향의 양면이 일직선이 되는 형태가 되며, 일면에 내부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부재(65)에 형성된 홀의 형상은 상기 걸림부재(71)의 단면적(도 4의 해칭 참조)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상기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조금 큰 면적을 갖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한부재(65)에 형성된 홀의 형상은, 제5 창호(60)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70)를 돌렸을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4 중 (b)를 먼저 보면, 제5 창호(60)가 폐쇄된 경우 걸림부재(71)는 오목홈에 의해 걸려 개방되지 않다가, 손잡이(70)를 양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의 형상과 걸림부재(71)의 단면적 형상이 일치되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의 형상을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고안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고안이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창틀
20 : 방충망
21 : 방충망 프레임
30 : 제1 창호
31, 41, 51 : 미서기 프레임
30a : 제2 창호
40 : 제3 창호
50 : 제4 창호
52 : 연결프레임
53 : 단속부재
60 : 제5 창호
61 :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
62 : 풀다운 프레임
62a : 삽입공
62b : 제1 돌기
63 : 충격완화부재
64 : 조립 프레임
64a : 제2 돌기
65 : 회전제한부재
66 : 보조단속부재
70 : 손잡이
71 : 걸림부재

Claims (12)

  1. 창틀(10)에 연결되는 방충망(20), 제1 창호(30), 제2 창호(30a), 제3 창호(40), 제4 창호(50) 및 제5 창호(60)가 외부방향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4 창호(50)와 제5 창호(60)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20)은,
    상기 창틀(10)의 외부방향으로 최선단에 설치되고, 양단에 연결된 방충망 프레임(21)으로 창틀(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창호(30)는,
    상기 방충망(20)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양단에 'H' 형태를 갖는 미서기 프레임(31)이 연결되며, 상기 미서기 프레임(31)을 통해 창틀(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창호(30a)는,
    상기 제1 창호(30)의 다음 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3 창호(40)는,
    상기 제2 창호(30a)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양단에 미서기 프레임(41)이 연결되어 상기 미서기 프레임(41)을 통해 창틀(10)에 연결되며,
    상기 제4 창호(50)는,
    상기 제3 창호(40)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일단이 창틀(10)과 미서기 프레임(51)을 통해 연결되며, 창호(30, 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점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제4 창호(50)의 창틀(10)과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 일단에 연결프레임(52)이 연결되며,
    상기 제5 창호(60)는,
    상기 제4 창호(50)의 하부측 창틀(10)에 연결되며, 양단에 풀다운 프레임(62)이 연결되고, 창틀(10)과 풀다운 프레임(62) 사이에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창호(50) 양단 중 상부측 일단에 연결된 풀다운 프레임(62)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풀다운 프레임(6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손잡이(70)에 연결된 걸림부재(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52)은,
    -상기 미서기 프레임(31, 41, 51)의 형태에서 하부 일측이 개방된 형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5 창호(60)의 상부에 연결된 풀다운 프레임(62)과 연결되는 경우, 상호 맞닿는 지점에 충격완화부재(6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용 미서기 프레임(61)은,
    -상기 미서기 프레임(31, 41, 51)의 형태에서 상부 일측이 개방된 형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풀다운 프레임(62)과 연결되는 경우, 상호 맞닿는 지점에 충격완화부재(6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프레임(62)은,
    '└┐' 형태로 구성되고,
    이의 일측에 삽입공(62a)을 갖는 제1 돌기(62b)가 구성되며,
    상기 제1 돌기(62b)에 걸릴 수 있도록 각진 형태로 구성된 제2 돌기(64a)가 양단에 형성되는 조립 프레임(64)이 삽입공(62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립 프레임(64)에 의해 상기 풀다운 프레임(62)과 제5 창호(60)의 연결이 쉽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7.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프레임(52)은 그 하부 일측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 단속부재(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8. 청구항 7에 있어서,
    걸림부재(71)의 일단은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71)의 일단이 평상시에는 상기 단속부재(53)에 걸려 있다가, 손잡이(7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재(71)가 상기 단속부재(53)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5 창호(60)의 상측에 연결된 풀다운 프레임(62)의 상부 일측에 이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부재(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재(65)는,
    상기 걸림부재(71)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하측이 회전제한부재(65)에 끼워지고, 상측이 상기 단속부재(53)에 걸리는 보조단속부재(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조단속부재(66)는,
    상기 걸림부재(7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되,
    상기 홀은 손잡이(70)가 개방을 위해 회전되었을 때의 걸림부재(71)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2020160005276U 2016-09-07 2016-09-07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200486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76U KR200486677Y1 (ko) 2016-09-07 2016-09-07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76U KR200486677Y1 (ko) 2016-09-07 2016-09-07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79U KR20180000779U (ko) 2018-03-15
KR200486677Y1 true KR200486677Y1 (ko) 2018-06-20

Family

ID=6164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276U KR200486677Y1 (ko) 2016-09-07 2016-09-07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2641B (zh) * 2020-06-15 2021-10-01 中山市欧派克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同步滑动机构、侧隐门系统及具有该侧隐门系统的柜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10237A (zh) 2005-06-30 2005-12-21 保定宝硕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节能省材的推拉上旋窗
CN1804357A (zh) 2005-01-16 2006-07-19 胜利油田盛运威辰科技开发有限公司 推拉、平开、360°旋转的节能组合窗
KR101202186B1 (ko) 2011-11-10 2012-11-19 김순석 다기능 방범창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78B1 (ko) 2009-11-26 2013-03-18 (주)엘지하우시스 이중 창호
KR101244024B1 (ko) * 2009-11-26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이중 창호
KR101426130B1 (ko) * 2012-02-01 2014-08-05 (주)엘지하우시스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KR20150030798A (ko) * 2013-09-12 2015-03-23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이중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04357A (zh) 2005-01-16 2006-07-19 胜利油田盛运威辰科技开发有限公司 推拉、平开、360°旋转的节能组合窗
CN1710237A (zh) 2005-06-30 2005-12-21 保定宝硕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节能省材的推拉上旋窗
KR101202186B1 (ko) 2011-11-10 2012-11-19 김순석 다기능 방범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79U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200396859Y1 (ko)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KR102347829B1 (ko) 커튼월 프로젝트창 단열구조체
KR200385577Y1 (ko) 방범창
KR102052650B1 (ko)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200491312Y1 (ko)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US7219469B2 (en) Window or door lock system
JP5782660B2 (ja) 多段ロック
JP7041458B2 (ja) 建具
KR200428171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JP6749833B2 (ja) 建具
JP2018003393A (ja) 建具
KR102174414B1 (ko) 커버를 구비한 창틀완충부재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1075035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JP6647928B2 (ja) 建具
KR20200059638A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200462175Y1 (ko) 폴딩 도어용 경첩
KR200413513Y1 (ko) 새시용 바람막이
KR200432758Y1 (ko) 개폐용 샤시 프레임의 완충구조
KR101870333B1 (ko) 풀다운 창호의 방충망 장치
KR100740782B1 (ko) 포켓 미서기 출입문
JP2018003392A (ja) 建具
WO2004027194A1 (en) Window or door structure with a cavity between the sash and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