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078B1 -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078B1
KR101244078B1 KR1020090115102A KR20090115102A KR101244078B1 KR 101244078 B1 KR101244078 B1 KR 101244078B1 KR 1020090115102 A KR1020090115102 A KR 1020090115102A KR 20090115102 A KR20090115102 A KR 20090115102A KR 101244078 B1 KR101244078 B1 KR 10124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s
double
space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351A (ko
Inventor
양성만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1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0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air flow between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은 하단 부위를 통해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단 부위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창은 프로젝트창을 상단에 구비한 미서기창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를 제공한다.
이중 창호, 내부창, 외부창,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환기 팬, 상단창, 하단창, 블라인드

Description

이중 창호{Double Skin}
본 발명은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창호란 두 장의 유리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고정한 창호를 말한다. 이중 창호에서는 유리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성, 방음성 등이 향상된다. 따라서, 현재 이중 창호는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주택건물에 주로 채용되고 있다.
이중 창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성 및 방음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더운 여름에는 태양에너지에 의해 두 장의 유리판 사이의 공기층이 가열되기 때문에 건물의 실내공간의 온도도 함께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여름철에 냉방부하의 증가를 초래하는바,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이중 창호의 내부창 및 외부창을 모두 개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룰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를 불규칙한 속 도로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거주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거주자에 의해 기피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84043호는 이중 창호의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내부창과 외부창을 동시에 개폐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84043호에 따르면 내부창 및 외부창이 동시에 개폐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은 증대된다. 그러나, 가열된 공기층의 환기가 내부창 및 외부창이 모두 개방되었을 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과 불규칙한 속도의 외부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과 유입된 공기가 직접적으로 거주자에게 제공되는 현상은 여전히 방지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55086호는 이중 창호의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외부창을 상단창, 중단창, 하단창의 3단으로 구획하고 내부창을 상단창 및 하단창의 2단으로 구획하며, 내부창의 상단창 상부에 환기창을 고정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55086호에 따르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이 환기될 수 있고,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창이 여닫이창으로 이루어지고 2단으로 구획되며 여닫이창과 별도로 고정된 환기창을 포함하기 있기 때문에 내부창이 거주자에게 협소한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외부창의 유지 보수를 위해 외부창에 접근하여야 할 경우, 거주자는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내부창이 실내 공간 쪽으로 열리는 여닫이 창이기 때문에, 개방된 내부창은 거주자의 통행에 방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837499호는 이중 창호의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외부창을 중앙창과, 좌측창 및 우측창으로 구획하고 좌측창 및 우측창을 미닫이창 및 여닫이창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며, 중앙창을 고정창으로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좌측창 또는 우측창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우측창 또는 좌측창을 통해 배출되고, 이로써 가열된 공기층이 환기된다. 한국등록특허 제837499호에 따르면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개폐 가능한 창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의 환기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된 외부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 없이 내측창과 외측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킬 수 있고, 거주자가 외부창에 접근하여야 할 때 내부창이 거주자에게 충분한 크기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창에 의해 거주자의 통행이 방해되거나 거주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은 하단 부위를 통해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단 부위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창은 프로젝트창을 상단에 구비한 미서기창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창의 하단 부위는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창의 상단 부위는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는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및 환기 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배출부는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및 환기 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창은 고정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거나, 고정단인 하단 및 자유단인 상단을 포함하거나, 자유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창은 동일선상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단창 및 하단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창은 미서기창인 좌측창, 우측창 및 중앙창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창은 상기 좌측창 및 우측창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창은 고정단인 하단 및 자유단인 상단을 포함하거나, 자유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에는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창의 상하단 부위 각각에 배출부와 유입부가 마련되거나 외부창에 상단창 및 하단창이 마련되기 때문에,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환기될 수 있다.
또한, 내부창이 상단부위에 프로젝트창을 구비한 미서기창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첫째, 실외 공간의 공기가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둘째, 유입된 공기가 간접적으로 거주자에게 제공되며, 셋째, 거주자가 외부창으로 접근할 때 요구되는 통로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넷째, 거주자의 통행이 방해되는 현상이나 거주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창 및 하단창이 서로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외부창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 블라인드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채광 및 차양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젝트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외부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1실시예(100)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외부창과 내부창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창은 건물의 실외 공간(102)과 마주하는 창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와 중앙부위로 구획된다. 중앙부위에는 중앙창(110)이 설치되고,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20)와, 고정부(140)와, 배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창(110)은 창호틀(108)에 고정된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유리판(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40)는 중앙창(1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고정된 프레임(142)과, 상기 프레임(142)에 고정된 유리판(144)을 포함한다.
유입부(120)는 외부창의 하단부위에 설치되어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유입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창(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창(122)의 상단은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비나 눈이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실외 공간(102)으로부터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의 공기 유입이 용이하다.
한편,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입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창(124, 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프로젝트창(124)의 경우, 하단이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상단이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4의 (b) 에 도시된 프로젝트창(126)의 경우, 중심부 힌지(126a)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하단 모두가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또한, 프로젝트창(122, 124, 126)의 대안으로 유입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키트(128)로 이루어지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팬(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환기 키트(128)는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이격 공간(106)으로 자연 유입시키거나 그 자연 유입을 차단시키는 장치이고, 환기 팬(130)은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이격 공간(106)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장치이다.
배출부(160)는 외부창의 상단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106)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102)으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창(1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창(162)의 상단은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비나 눈이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선 유입부(120)와 동일하게, 상기 배출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창(124, 126)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키트(168)로 이루어지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팬(1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따르면 유입부(120)와 배출부(160)는 동일한 형태의 프로젝트창(122, 16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유입부(120)와 배출부(160)는 앞서 설명한 프로젝트창들(122, 124, 126)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유입부(120)와 배출부(160)가 프로젝트창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환기 키트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환기 팬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유입부(120)와 배출부(160)는 프로젝트창과, 환기 기트와, 환기 팬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내부창은 건물의 실내 공간(104)과 마주하는 창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와 중앙부위로 구획된다. 중앙부위에는 중앙창(210)이 설치되고, 좌측부위에는 좌측창(220)이 설치되며, 우측부위에는 우측창(230)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창(210)은 창호틀(108)에 장착된 프레임(212)과 상기 프레임(212)에 고정된 유리판(214)을 포함한다. 좌측창(220)은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222)과, 상기 프레임(222)에 고정된 유리판(224) 및 프로젝트창(226)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판(224)은 좌측창(220)의 하부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프로젝트창(226)은 상기 유리판(224)의 상부에 고정된다. 우측창(230)은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232)과, 상기 프레임(232)에 고정된 유리판(234) 및 프로젝트창(236)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판(234)은 좌측창(230)의 하부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프로젝트창(236)은 상기 유리판(234)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중앙창(210)과 좌측창(220)과 우측창(230)은 미서기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내부창이 미서기창으로 구성되고 프로젝트창(226, 236)이 프레임(222, 232) 및 유리판(224, 234)과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거주자가 외부창으로 접근할 때 요구되는 통로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창(226, 236)의 하단은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상단은 상기 고정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된 공기가 거주자에게 간접적으로 제공되고,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된 공기의 대류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주자의 통행이 방해되는 현상이나 거주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트창(226, 236)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창(126)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240)가 설치된다. 블라인드(240)는 차양 시에는 펴지도록, 그리고 채광 시에는 접히도록 구비된다. 블라인드(240)의 펴짐과 접힘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이중 창호(1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름철 태양에너지에 의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상기 공기가 환기되어야 할 경우, 유입부(120)와 배출부(160)가 조작되어 외부창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더운 공기는 상부로 이동한 후 외부창의 상단부위를 통해 실외 공간(102)으로 배출되고, 실외 공간(102)의 차가운 공기는 외부창의 하단부위를 통해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된다. 즉,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환기된다.
한편, 거주자는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불규칙한 속도와 직접성 때문에 외부창과 내부창의 동시 개방을 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거주자는 외부창을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내부창을 닫은 상태에서 프로젝트창(226, 236)을 개방하여,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간접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 제2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호의 내부창 및 블라인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부창 및 블라인드와 각각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외부창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2실시예(300)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외부창과 내부창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창은 건물의 실외 공간(102)과 마주하는 창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와 중앙부위로 구획된다. 중앙부위에는 중앙창(310)이 설치되고,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에는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이 설치된다. 중앙창(310)은 창호틀(108)에 고정된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 유리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상단창(320)은 중앙창(3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322)과 상기 프레임(322)에 고정된 유리판(324)을 포함 하고, 하단창(330)은 중앙창(3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332)과 상기 프레임(332)에 고정된 유리판(334)을 포함한다. 상단창(320)의 프레임(322)과 하단창(330)의 프레임(332)은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앙창(3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장착된다.
상기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은 서로 연동하여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하단창(330)이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단창(320)은 하단창(330)과 연동하여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하고, 하단창(330)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단창(320)은 하단창(330)과 연동하여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동메커니즘으로 인해,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 중 어느 하나가 개폐되면 나머지 하나도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름철 태양에너지에 의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상기 공기가 환기되어야 할 경우, 하부창(330)은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진다. 하부창(330)이 들어올려 지면 이에 연동하여 상부창(320)이 자동적으로 하부방향으로 내려오고, 이로써 외부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상기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더운 공기는 상부로 이동한 후 상부창(320)의 하강으로 인해 발생한 개구(302)를 통해 실외 공간(102)으로 배출되고, 실외 공간(102)의 차가운 공기는 하부창(330)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개구(304)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된다. 즉,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환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젝트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외부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은 하단 부위를 통해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부를 구비하고, 외부창의 상단부위는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되, 이들 유입부와 배출부는 프로젝트창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외부창의 좌측 부위와 우측 부위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창은 미서기창인 좌측창, 우측창 및 중앙창을 포함하고, 좌측창과 우측창의 상단 각각에 프로젝트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프로젝트창 혹은 환기 환기 키트 혹은 환기 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프로젝트창은 고정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거나, 고정단인 하단 및 자유단인 상단을 포함하거나, 자유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은 동일선상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단창 및 하단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에는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
KR1020090115102A 2009-11-26 2009-11-26 이중 창호 KR10124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02A KR101244078B1 (ko) 2009-11-26 2009-11-26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02A KR101244078B1 (ko) 2009-11-26 2009-11-26 이중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51A KR20110058351A (ko) 2011-06-01
KR101244078B1 true KR101244078B1 (ko) 2013-03-18

Family

ID=4439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102A KR101244078B1 (ko) 2009-11-26 2009-11-26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77Y1 (ko) 2016-09-07 2018-06-20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660A (ja) * 1996-05-07 1997-11-18 Sekisui Chem Co Ltd 建 具
KR100655086B1 (ko) * 2004-10-25 2006-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KR100770969B1 (ko) * 2006-04-25 200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외피전면개방형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및이의 제어시스템
KR20080047121A (ko) * 2006-11-24 2008-05-28 김상권 공기정화용 이중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660A (ja) * 1996-05-07 1997-11-18 Sekisui Chem Co Ltd 建 具
KR100655086B1 (ko) * 2004-10-25 2006-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KR100770969B1 (ko) * 2006-04-25 200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외피전면개방형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및이의 제어시스템
KR20080047121A (ko) * 2006-11-24 2008-05-28 김상권 공기정화용 이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51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246B2 (ja) 二重窓
KR100399310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CN104736789B (zh) 具有通风结构的窗
KR102187850B1 (ko) 자연순환식 환기장치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KR20110057373A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KR20080015230A (ko)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KR20140023709A (ko) 열교환 기능을 갖는 이중창호 장치
CN106639822B (zh) 通风窗及外围通风支撑构件
KR101251716B1 (ko) 난간대 겸용 이중 창호
KR101244078B1 (ko) 이중 창호
KR101244024B1 (ko) 이중 창호
JP7337000B2 (ja)
KR100697839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CN201439673U (zh) 建筑通用外门窗百叶遮阳一体化结构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JP4170959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及び二重窓ユニット
KR101275440B1 (ko) 이중 창호
KR200404269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20120076050A (ko) 자연환기장치
KR200447519Y1 (ko)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KR200238298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SE0901475A1 (sv) Anordning för uppvärmning av luft på en inglasad balkong
JP2020172848A (ja) 換気システム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CN106121142A (zh) 一种多功能天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