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798A - 시스템 이중창 - Google Patents

시스템 이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798A
KR20150030798A KR20130109437A KR20130109437A KR20150030798A KR 20150030798 A KR20150030798 A KR 20150030798A KR 20130109437 A KR20130109437 A KR 20130109437A KR 20130109437 A KR20130109437 A KR 20130109437A KR 20150030798 A KR20150030798 A KR 2015003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roject
window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진
김성중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13010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798A/ko
Publication of KR2015003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내에 내부 T-T창과 외부 프로젝트창이 결합된 이중창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1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젝트창(120); 및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상기 프로젝트창(120)과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T-T(Tilt & Turn)창(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프레임 내에 내부 T-T창과 외부 프로젝트창이 결합된 이중창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여름철 실내 냉방 중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가열된 공기는 개방된 프로젝트창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이중창{DOUBLE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 이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T-T(Tilt & Turn)창과 외부 프로젝트창 구조를 적용하여 결로를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한다. 이때 상기의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프레임과 금속제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피브이시(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창호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한편,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시스템 창호는 복합 개폐식으로 창틀프레임 내에 트랜섬과 멀리온을 매개로 개구부가 구획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에는 개폐가 불가능한 고정창과, 개폐가 가능한 개폐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 창호의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1532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창틀프레임에 개폐가 불가한 고정창과, 개폐가 가능한 개폐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개폐창은 그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미서기창, 프로젝트창, T-T(Tilt & Turn) 방식의 창호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 창호는, 고정창과 개폐창이 모두 단창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틀프레임 내에 내부 T-T창과 외부 프로젝트창이 결합된 이중창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 이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이중창은,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젝트창;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상기 프로젝트창과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T-T(Tilt & Turn)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 개구부는, 트랜섬을 매개로 상측개구부와 하측개구부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상측개구부와 하측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프로젝트창이 설치되며, 나머지 구획된 개구부에는 고정창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랜섬에는, 상기 프로젝트창의 개방시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개구부를 막아주는 방충망;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창은 실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T-T창은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창 및 T-T창의 닫힘 조작시 상기 창틀프레임과 맞닿는 내부테두리에는, 기밀을 유지해주는 가스켓이 개재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 프로파일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 내에 내부 T-T창과 외부 프로젝트창이 결합된 이중창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여름철 실내 냉방 중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가열된 공기는 개방된 프로젝트창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창의 실내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창의 실내측 입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창의 실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창의 실내측 입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이중창(100)은, 창틀프레임(110)과,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젝트창(120)과,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T-T(Tilt & Turn)창(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개구부는 트랜섬(111)을 매개로 상측개구부(113a)와 하측개구부(113b)로 구획 형성된다. 이 경우 상측개구부(113a)와 하측개구부(1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 하측개구부(113b)에는 프로젝트창(12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나머지 상측개구부(113a)에는 고정창(130)이 설치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개구부(113a)에 프로젝트창(120)이 설치되고, 하측개구부(113b)에 고정창(130)이 설치된 구조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창(120)은 상측에 설치된 힌지축(미도시)을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우천시 프로젝트창(120)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 개구부에는 프로젝트창(120)과의 사이에 공간(S)을 두고 하나의 T-T창(14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 개구부는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되지 않고 하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프로젝트창(120)은 실외측으로 개방되고, T-T창(140)은 실내측으로 개방됨에 따라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트창(120) 및 T-T창(140)의 닫힘 조작시 창틀프레임(110)과 맞닿는 프로젝트창(120) 및 T-T창(140)의 내부 테두리면에는 기밀을 유지해주는 가스켓(G)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켓(G)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트랜섬(111)에는 프로젝트창(120)의 개방시 하측개구부(113b)를 통해 외부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방충망 조립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충망 조립체(150)는, 케이스(151)와, 케이스(151) 내에 토션스프링(미도시)를 매개로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풀(Spool)(153)과, 스풀(153)의 외주연에 권취되는 방충망(155)과, 방충망(155)의 인출된 상태를 고정해주는 잠금장치(157)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구조의 방충망 조립체(150)는 사용자가 프로젝트창(12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151) 내에 권취된 방충망(155)을 선택적으로 인출한 뒤, 잠금장치(157)를 이용하여 인출된 방충망(155)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잠금 해제시에는 스풀(1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출되었던 방충망(155)이 자동으로 권취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창(100)은, 외측창인 프로젝트창(120)과 내측창인 T-T창(140)의 이중창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그 사이의 공간에서 일사량 변화와 외기상황에 따른 유입기류가 조절된다. 즉 외부 기후에 대한 열적 완충작용을 하는 중공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여름철 실내 냉방 중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일사에 의해 데워져 외부보다 더 높은 온도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데워진 공기는 닫혀진 T-T창(140)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개방된 프로젝트창(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결국 실내공간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겨울철 기밀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실내,외측의 온도차에 따라 중공층 내부의 외측창 유리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프로파일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미도시)을 통해 결로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시스템 이중창 110 : 창틀프레임
111 : 트랜섬 113a : 상측개구부
113b : 하측개구부 120 : 프로젝트창
130 : 고정창 140 : T-T(Tilt & Turn)창
150 : 방충망 조립체

Claims (7)

  1. 창틀프레임(11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젝트창(120); 및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상기 프로젝트창(120)과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T-T(Tilt & Turn)창(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이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개구부는, 트랜섬(111)을 매개로 상측개구부(113a)와 하측개구부(113b)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상측개구부(113a)와 하측개구부(1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프로젝트창(120)이 설치되며, 나머지 구획된 개구부에는 고정창(130)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111)에는,
    상기 프로젝트창(120)의 개방시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개구부를 막아주는 방충망;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창(120)은 실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T-T창(140)은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이중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창(120) 및 T-T창(140)의 닫힘 조작시 상기 창틀프레임(110)과 맞닿는 내부 테두리면에는, 기밀을 유지해주는 가스켓(G)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G)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이중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프로파일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창.
KR20130109437A 2013-09-12 2013-09-12 시스템 이중창 KR2015003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437A KR20150030798A (ko) 2013-09-12 2013-09-12 시스템 이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437A KR20150030798A (ko) 2013-09-12 2013-09-12 시스템 이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798A true KR20150030798A (ko) 2015-03-23

Family

ID=5302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437A KR20150030798A (ko) 2013-09-12 2013-09-12 시스템 이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7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79U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79U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08B1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76408B1 (ko)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101472189B1 (ko)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KR101149684B1 (ko) 한옥용 문의 이중 개폐장치
KR102002110B1 (ko) 단열 강화 유리가 구비된 루버 창호
JP2007092405A (ja) 二重窓の防露構造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US9103156B1 (en) Attachable built-in blinds for doors and windows
US11421472B2 (en) Hollow louver top operating system
KR20150030798A (ko) 시스템 이중창
KR20150038763A (ko)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진 오르내리창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TWI693368B (zh) 換氣裝置以及門窗
KR101234273B1 (ko) 문짝프레임 구조
SI25159A (sl) Zunanja žaluzija in rolo senčila, zaščitena s steklom v ohišju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KR20180134240A (ko) 캠핑카용 창문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CN202926116U (zh) 一种改进的推拉窗
KR20170018264A (ko) 창호 시스템
JP6968555B2 (ja) 建具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