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732Y1 -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 Google Patents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732Y1
KR200467732Y1 KR2020110005835U KR20110005835U KR200467732Y1 KR 200467732 Y1 KR200467732 Y1 KR 200467732Y1 KR 2020110005835 U KR2020110005835 U KR 2020110005835U KR 20110005835 U KR20110005835 U KR 20110005835U KR 200467732 Y1 KR200467732 Y1 KR 200467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taka
security
fram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118U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2020110005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3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카를 이용하여 방범스크린을 직접 프레임에 박아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방범스크린의 고정력을 높여 방범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타카가 측벽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구성된 내측벽에 2중으로 박히도록 함으로써, 방범 스크린과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측벽 안으로 들어간 타카의 양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타카를 빼내려고 외력을 가하더라도 타카가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여 방범 스크린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TAKER FIXED SAFETY WINDOW FRAME}
본 고안은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범스크린을 타카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방범스크린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는 스크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범·방충망용 프레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강성확보를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격실로 구획된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창틀설치구(110); 및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자체변형을 이용하여 스크린(S)의 테두리 부분을 압착변형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지지측벽부(120a) 및 절취측벽부(120b)로 이루어진 스크린설치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벽부(120a)는 안쪽면에 스크린(S)의 접힘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스크린(S)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변형수용홈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절취측벽부(120b)는 공구(T)에 의하여 일부가 절취되면서 상기 스크린(S)과 함께 상기 변형수용홈부(121)에 수용되는 일부절취변형부(122)와, 상기 일부절취변형부(122)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지지측벽부와 스크린 사이로 공구를 집어넣어 좌우로 벌리게 되면 이들 측벽 사이가 벌어져서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린이 분리되어 방범과 방충효과를 다하지 못하였다.
2) 스크린의 테두리 부분을 고정시켜 주는 절취변형부의 고정력이 약하여 스크린에 외력이 가하는 경우 이 절취변형부가 다시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3) 타카로 프레임을 절취변형하여 스크린을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타카로 정확하게 스크린을 고정시켜 주지 못하면 스크린과 프레임 사이의 고정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1 한국특허출원 제10-2010-20421호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타카를 이용하여 방범스크린을 직접 프레임에 박아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방범스크린의 고정력을 높여 방범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타카가 측벽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구성된 내측벽에 2중으로 박히도록 함으로써, 방범 스크린과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측벽 안으로 들어간 타카의 양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타카를 빼내려고 외력을 가하더라도 타카가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여 방범 스크린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격자실이 형성되고, 윗면에는 일측에 지지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몸체; 및 방범망을 사이에 두고 지지측벽과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프레임 몸체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착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벽은 중공으로 이루어져서 여기에 밀착되게 설치된 방범망이 타카의 박힘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측벽의 내부에는 내측벽이 구비되어, 타카가 이 지지측벽과 내측벽에 2중으로 박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격자실이 형성되고, 윗면에는 일측에 지지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몸체; 및 방범망을 사이에 두고 지지측벽과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프레임 몸체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착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벽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방범망이 밀착되어 타카로 박힘 고정되는 일면에는 안쪽으로 가이드가 형성되어 지지측벽을 뚫고 들어온 타카의 각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지지측벽 및 장착측벽에는 상부에 기밀부재를 끼울 수 있도록 자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측벽 및 여기에 맞닿는 프레임 몸체의 윗면에는 서로 감합설치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감합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 몸체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가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타카를 이용하여 방범 스크린을 프레임에 직접 박아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방범 스크린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으로부터 방범 스크린을 쉽게 분리시킬 수 없게 되어 방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2) 프레임 안에 박히는 타카의 양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타카에 의한 고정력 뿐만 아니라 벌어진 양단부가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방범 스크린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3) 타카가 박히게 되는 지지측벽을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타카가 2중으로 박히게 하여 방범 스크린의 고정력을 그만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에 방범망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이 창문에 장착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의 결합순서를 보여주기 위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에 방범망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이 창문에 장착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의 결합순서를 보여주기 위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W"는 창문을, "WF"은 창문 프레임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1000')은, 강성확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격자실(110)이 형성되고 윗면에 지지측벽(120)이 형성된 프레임 몸체(100)와, 이 지지측벽(120)과 마주보도록 프레임 몸체(100)에 결합되는 장착측벽(200)을 포함한다.
특히, 지지측벽(120)과 장착측벽(200) 사이에는 방범망(N)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 방범망(N)은 그 테두리 부분이 지지측벽(120)에 타카(T)로 박음질된다. 그리고, 박음질 된 타카(T)의 단부는 지지측벽(120)안으로 박히면서 서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설치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 몸체(100)는 내부에 중공 형태로 전체 길이에 걸쳐 격자실(110)이 형성된다. 격자실(110)은 프레임 몸체(100)의 강성확보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2개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프레임 몸체(100)의 상부에는 방범망(N)을 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측벽(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측벽(1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자실(124)이 형성되고, 이 격자실(124)에는 가이드(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122)는 타카(T)가 박히는 지지측벽(120)의 안쪽 측벽에 형성되며, 도 4에서와 같이, 타카(T)가 박힘에 따라 그 양단이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V"자 형태로 형성한다.
한편, 지지측벽(120)에는 가이드(124)가 형성된 안쪽 측벽의 상부에 자리면(123)이 형성된다. 자리면(123)에는 기밀부재(S)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 기밀부재(S)가 방범망(N)의 설치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틈새를 없애 프레임 몸체(100) 내부로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유입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측벽(200)이 설치되는 프레임 몸체(100)의 윗면에는 감합돌기부(130)가 형성된다. 감합돌기부(130)는 일종의 스냅핏과 같이 원터치 형식으로 장착측벽(200)을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감합돌기부(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몸체(100)에는 마감부재(1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마감부재(140)는 프레임 몸체(100)에 형성된 격자실(110) 중에서 가장 아래에 형성된 격자실을 마감하는데 이용된다.
즉, 프레임 몸체(100)는, 도 3과 같이, 방범창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창문프레임(WF)에 장착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 몸체(100)는 이 창문프레임(WF)의 돌기부(R)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바닥면에 개구부(15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개구부(150)는 창문프레임(WF)의 형상이나 장착위치에 따라 막아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원터치 방식으로 개구부(150)를 마감부재(140)로 마감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장착측벽(200)은 지지측벽(120)과 마주보도록 프레임 몸체(100)의 윗면에 장착되게 된다. 이러한 장착측벽(200)은 상부에 상기 자리면(123)과 마주보도록 자리면(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자리면(210)에는 기밀부재(S)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장착측벽(200)에는 하부에 상술한 한쌍의 감합돌기부(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감합돌기부(220)가 형성된다. 이들 감합돌기부(220)는 장착측벽(200)을 프레임 몸체(100) 위에 놓고 아래로 누름에 따라 상기 감합돌기부(130)와 스냅핏과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1000')은, 방범망(N)의 크기에 맞게 절단한 다음 액자 모양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조립된 프레임의 지지측벽(120)에 방범망(N)을 올려놓게 되면 방범망(N)의 테두리 부분이 지지측벽(120) 위에 올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가)와 같이 타카(T)로 방범망(N)을 박아 고정시키게 되면, 타카(T)의 양단은 도 4의 (나)와 같이 지지측벽(120)의 안쪽으로 박히면서 결국 도 4의 (다)와 같이 가이드(122)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 제2실시예 )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1000")은, 타카(T)가 2중으로 박히도록 지지측벽(120)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격자실(124)을 2개의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측벽(120)의 내부에 내측벽(121)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내측벽(121)은 타카(T)가 박히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하고, 이 타카(T)의 단부가 관통하여 박힐 수 있도록 지지측벽(120)의 안쪽 벽면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프레임(1000")은, 타카(T)가 일차적으로 지지측벽(120)을 관통하여 박힘과 동시에 내측벽(121)까지 관통하여 2중으로 박히기 때문에 그만큼 방범망(N)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프레임 몸체
110 : 격자실
120 : 지지측벽
121 : 내측벽
122 : 가이드
123, 210 : 자리면
124 : 격자실
130, 220 : 감합돌기부
140 : 마감부재
150 : 개구부
200 : 장착측벽

Claims (5)

  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격자실(110)이 형성되고, 윗면에는 일측에 지지측벽(120)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몸체(100); 및
    방범망(N)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측벽(120)과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100)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착측벽(2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벽(120)은 중공으로 이루어져서 여기에 밀착되게 설치된 방범망(N)이 타카(T)의 박힘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측벽(120)의 내부에는 내측벽(121)이 구비되어, 타카(T)가 이 지지측벽(120)과 내측벽(121)에 2중으로 박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2.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격자실(110)이 형성되고, 윗면에는 일측에 지지측벽(120)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몸체(100); 및
    방범망(N)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측벽(120)과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100)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착측벽(2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벽(120)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방범망(N)이 밀착되어 타카(T)로 박힘 고정되는 일면에는 안쪽으로 가이드(122)가 형성되어 지지측벽(120)을 뚫고 들어온 타카(T)의 각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벽(120) 및 장착측벽(200)에는 상부에 기밀부재(S)를 끼울 수 있도록 자리면(123,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측벽(200) 및 여기에 맞닿는 프레임 몸체(100)의 윗면에는 서로 감합설치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감합돌기부(130,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몸체(10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140)가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2020110005835U 2011-06-27 2011-06-27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200467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35U KR200467732Y1 (ko) 2011-06-27 2011-06-27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35U KR200467732Y1 (ko) 2011-06-27 2011-06-27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18U KR20130000118U (ko) 2013-01-04
KR200467732Y1 true KR200467732Y1 (ko) 2013-07-08

Family

ID=5135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835U KR200467732Y1 (ko) 2011-06-27 2011-06-27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16B1 (ko) 2015-11-18 2016-06-09 해피창 주식회사 방범망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방범망 조립체
KR20160084170A (ko) * 2015-01-05 2016-07-13 주식회사 세론공영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2434205B1 (ko) * 2021-03-04 2022-08-18 김병길 이탈 방지부를 갖는 방충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955B1 (ko) * 2016-12-30 2019-04-05 이지연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1958452B1 (ko) * 2017-01-23 2019-03-14 (주)텍스토머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KR200492649Y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대현상공 방범방충 일체형 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230Y2 (ja) 1992-05-21 1996-11-06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面格子の取付けブラケット
KR200438173Y1 (ko) 2007-03-20 2008-01-25 박영순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20090012527U (ko) * 2008-06-03 2009-12-0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230Y2 (ja) 1992-05-21 1996-11-06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面格子の取付けブラケット
KR200438173Y1 (ko) 2007-03-20 2008-01-25 박영순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20090012527U (ko) * 2008-06-03 2009-12-0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170A (ko) * 2015-01-05 2016-07-13 주식회사 세론공영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643646B1 (ko) * 2015-01-05 2016-08-10 주식회사 세론공영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628716B1 (ko) 2015-11-18 2016-06-09 해피창 주식회사 방범망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방범망 조립체
KR102434205B1 (ko) * 2021-03-04 2022-08-18 김병길 이탈 방지부를 갖는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18U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732Y1 (ko)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200437799Y1 (ko) 방충망 조립체
US9045936B2 (en) Safety window for hurrican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632323B1 (ko) 벽체 마감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876530B1 (ko) 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창
KR101018004B1 (ko) 크린룸용 조립식 도어틀
KR101091953B1 (ko) 커튼월 구조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1961470B1 (ko) 방범 방충망 결합구조
KR200459938Y1 (ko) 방충망 고정장치
JP5461375B2 (ja) 建具
JP6935525B2 (ja)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2274499B1 (ko) 차량용 도어 아웃벨트 어셈블리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JP2017155408A (ja) 窓ユニットの連結構造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JP2015172314A (ja) 建具枠
JP6267964B2 (ja) 引き戸
JP5495440B2 (ja) 面格子及びそれを備えるサッシ
KR20090003227U (ko) 방범창
KR20110103689A (ko) 방충망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