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61B1 -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61B1
KR101931961B1 KR1020180031159A KR20180031159A KR101931961B1 KR 101931961 B1 KR101931961 B1 KR 101931961B1 KR 1020180031159 A KR1020180031159 A KR 1020180031159A KR 20180031159 A KR20180031159 A KR 20180031159A KR 101931961 B1 KR101931961 B1 KR 10193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door frame
safety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서원상협(주)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상협(주),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filed Critical 서원상협(주)
Priority to KR102018003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0Retrofitting of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에서 기존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고 도어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경첩 부분의 문틈 사이로 손끼임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의 힌지부에 일측에 결합돌부가 형성된 복수의 클립을 결합돌부가 좌우 대칭으로 위치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클립의 결합돌부 각각에 도어 및 문틀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커버결합대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결합대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제1안전요소를 장착하고, 도어가 닫혀지는 내측 방향으로 문틀 및 도어의 세로길이방향과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일측이 문틀의 걸림돌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의 타측면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중앙의 절첩부에 의하여 접혀짐과 펼쳐짐으로 절첩되는 가림판으로 구성된 제2안전장치를 장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Anti-pinch safety device installed on hinge of existing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경첩 부분의 문틈 사이로 손끼임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틀에서 기존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이나 단독주택 등의 주거건물의 실내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방이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에는 방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의 구조는 방의 출입구 테두리에 대부분 문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를 문틀과 경첩으로 연결하여 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개폐되는 반대방향으로 더이상 진입을 방지하도록 문틀면의 중앙이나 일측면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경첩의 구조가 문틀의 일면과 도어의 일면에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두 개의 경첩면이 힌지부에 의하여 축결합된 것으로, 하나의 경첩면이 문틀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경첩면이 도어에 일면에 장착되는데, 두 개의 경첩면이 서로 밀착되는 두께를 감안하여 문틀과 도어에는 경첩면의 크기만큼 내입되는 가공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문틀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하여 문틀과 도어에 경첩의 장착을 위한 가공면을 현장에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문틀과 도어에 손상이 발생되면서 추후에 경첩의 헐거워짐이나 도어를 교체할 때 가공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의 시공이 간편하면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일명 이지경첩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지경첩은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도어에는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의 절개부와 대응하는 크기의 경첩면이 장착되어 도어의 경척면이 문틀의 경첩면 절개부에 내입되게 중첩되게 이루어지면서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경첩을 문틀과 도어에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신속한 시공을 제공하면서 추후에 도어를 교체하더라도 경첩면을 고정하는 구멍만 매꾸면 되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여닫이식 도어의 문제점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문틀과 도어의 경첩부분으로 문틈이 발생되고, 도1과 같이 경첩이 설치된 문틈 사이로 손가락이나 손이 끼이게 되면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었고, 특히 이러한 손끼임 부상은 대부분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최근에 문틈이 발생되지 않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전도어가 많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도어는 대부분 설치를 하기 위하여 기존의 경첩과 도어를 제거한 후 도어에 문틀을 가려주는 경첩기능을 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교체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사용되는 부품 및 시공에 의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도어를 설치할 때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설치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인하여 문틀의 폭이 좁아지게 되면서 도어가 문틀에 안 맞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를 위하여 대부분 현장에서 도어의 일측면을 연삭 또는 절단하여 설치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어의 가공된 부분에는 별도의 마감처리를 추가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는 물론 가공에 따른 시간소요로 설치시간과 이러한 안전도어의 설치가 전문가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비용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문틀에 설치된 도어 및 경첩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문틈에 손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기능을 갖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에 설치된 문틀에 이지경첩에 의하여 회동되어 개방되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는 외측 방향으로 문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의 힌지부에 일측에 결합돌부가 형성된 복수의 클립을 결합돌부가 좌우 대칭으로 위치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클립의 결합돌부 각각에 도어 및 문틀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커버결합대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결합대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제1안전요소를 장착하여 경첩이 노출되는 외측 틈새를 가림토록 하고, 도어가 닫혀지는 내측 방향으로 문틀 및 도어의 세로길이방향과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일측이 문틀의 걸림돌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의 타측면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중앙의 절첩부에 의하여 접혀짐과 펼쳐짐으로 절첩되는 가림판으로 구성된 제2안전장치를 설치하여 내측 틈새를 가림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문틀이나 도어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의 용이성 및 저렴한 설치비용을 제공하면서도 문틈으로 인한 손끼임의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문틀에서 경첩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문틈으로 손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안전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안전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커버결합대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상태의 작동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커버결합대가 경첩에 의해 높게 설치된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안전장치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안전장치가 도어에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안전장치가 설치가 완료된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된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도어(20)가 경첩(30)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경첩(30)은 문틀(10)에 장착되는 고정경첩(31)과 도어(20)에 장착되는 회동경첩(32)이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도어(20)의 개방에 의하여 문틀(10)과 도어(2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차단하여 손끼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경첩(30)의 양 방향으로 제1안전장치(100)와 제2안전장치(200)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경첩(30)이 위치된 틈새를 가리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1안전장치(100)는 경첩(30)의 고정경첩(31)의 힌지부(33)와 회동경첩(32)의 힌지부(34)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클립(110)과 상기 클립(110)과 결합되면서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문틀(10) 및 도어(20)의 각각에 밀착되는 두 개의 커버결합대(120)와 상기 커버결합대(120)에 결합되어 틈새를 가리는 커버결합대(120)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커버(1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클립(110)은 경첩(30)의 힌지부(33,3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개구된 일측 선단에서 일정길이로 연결면(112)에 의하여 절곡되어 상기 연결면(112)과 맞대응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부(111)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결합대(120)는 클립(110)의 결합돌부가(111) 끼워지는 결합홈테(121)와 상기 결합홈테(121)의 후방으로 커버(130)가 결합되는 결합요소(12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테(121)의 일측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문틀(10) 또는 도어(20)에 밀착되는 밀착날개(122)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130)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좌우 양 선단에 클립(110)에 의하여 좌우 대칭으로 결합되는 커버결합대(120)의 결합요소(123)에 결합되는 맞물림결합요소(131)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110)의 개구된 타측 선단에는 경첩(30)의 힌지부(33,34)에 끼임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절곡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첩(30)은 이지경첩을 사용하여 회동경첩(32)의 힌지부(34)에 결합된 클립(110)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회동될 때 클립(110)의 개구된 타측 선단에 형성된 절곡부(114)가 고정경첩(31)에 걸림되지 않고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지경첩은 문틀(10)에 장착되는 고정경첩(31)의 내측이 절개된 절개부(31a)가 형성되고 회동경첩(32)은 절개부(31a)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경첩이 절첩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경첩(31)과 회동경첩(32)이 동일면으로 중첩되게 이루어져 회동경첩(32)의 힌지부(34)에 결합된 클립(110)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회동될 때 고정경첩(31)의 절개부(31a)를 관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첩(30)의 힌지부(33,34)에 복수의 클립(110)을 결합돌부(111)가 좌우 대칭으로 위치되도록 끼임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클립(110)의 결합돌부(111)에 커버결합체(120)를 장착하여 상기 커버결합체(120)가 클립(110)과 문틀(10) 및 도어(20)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좌우 대칭으로 장착된 커버결합체(120)에 커버(130)를 결합함으로써 경첩이 형성되는 틈새가 노출되지 않게 길이방향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110)과 커버결합체(120)를 결합할 때 클립(110)의 결합돌부(111)에는 다단으로 걸림테(112)를 형성하고 커버결합체(120)의 결합홈테(121)에는 내벽면으로 돌출된 맞물림 걸림테(121a)를 형성하여 커버결합체(120)가 클립(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11)에 형성된 걸림테(113)는 상하 양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결합홈테(121)에 형성된 맞물림걸림테(121a)도 걸림테(112)와 대응하도록 상하 양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즉, 클립(110)과 커버결합체(120)와 커버(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제조되고, 경첩(30)은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경첩(30)의 크기에 따라서 돌출되는 힌지부(33,34)에 의하여 클립(110)에서 커버결합체(120)의 높낮이 조절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결합체(120)에 형성된 밀착날개(122)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커버결합체(120)가 클립(110)에 결합되면서 커버결합체(120)의 밀착날개(122)가 경사각에 의하여 조절되어 문틀(10) 및 도어(20)에 밀착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제1안전장치(100)가 설치된 반대 방향의 틈새를 가리도록 설치되는 제2안전장치(200)는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중앙의 절첩부(211)에 의하여 두 개의 판체(210a,210b)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판체(210a,210b) 선단에는 문틀(10)과 도어(2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가 형성된 가림판(210)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가림판(210)는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것으로, 문틀(10)과 도어(20)에 설치할 때 가림판(210)의 설치가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가림판(2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부(212)를 문틀(10)에 밀착하여 나사 또는 못 등의 고정요소로 먼저 고정한 후에 제2고정부(213)를 도어(20)에 고정하여 제2안정장치(20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림판(210)에 형성되는 절첩부(211)와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연질체로 형성하여 도어(20)의 개폐에 따라서 가림판(210)의 절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상기 절첩부(211)와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를 형성하는 연질체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성형성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에 이형이 발생되지 않고 일체감을 갖도록 성형이 가능한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212)와 제2고정부(213)는 문틀 및 도어에 고정할 때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면서도 고정되는 고정요소에 의해 찢어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와 판체(210a,210b) 사이에 연질체를 형성하여 고정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10은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를 도어(20)에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213)를 연질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도어(20)에는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끼임홈(310)이 형성된 장착대(300)를 장착하고 상기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에는 별도의 연결바(220)를 결합하여 가림판(210)의 제1고정부(212)를 문틀(10)에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300)의 끼임홈(310)에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에 결합된 연결바(220)를 원터치로 끼임결합하여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바(220)는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가 결합되는 결합홈(221)과 그 하단으로 일측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걸림바(222)와 타측에 상기 걸림바(222)보다 높게 이격되게 형성된 걸림돌기(223)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대(300)의 끼임홈(310))은 일측에 연결바(220)의 걸림바(222)가 먼저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홈(311)과 타측에 누름 가압되는 걸림돌기(223)가 걸려지는 걸림편(312)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를 도어(20)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변판(210)의 문틀(10)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판체(210a)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문틀(10)에 부딪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완충수단(230)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상기 완충수단(230)을 구비하기 위하여 판체(210a)에 장착부를 형성하여 완충수단(230)을 상기 장착부에 끼움으로써 간단하게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20)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제2안전장치(200)의 가림판(210)이 완충수단(230)에 의하여 문틀(10)에 밀착되어도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안전장치에 의하여 틈새가 완전히 차단되어 손끼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문틀 11: 걸림돌부
20: 도어
30: 이지경첩 31: 고정경첩
32: 회동경첩 33,34: 힌지부
100: 제1안전장치
110: 클립 111: 결합돌부
120: 커버결합체 121: 결합홈테
122: 밀착날개
200: 제2안전장치
210: 가림판 211: 절첩부
212: 제1고정부 213: 제2고정부
220: 연결바 221: 결합홈
222: 걸림바 223: 걸림돌기
230: 완충수단
300: 장착대 310: 끼임홈
311: 걸림홈 312: 걸림편

Claims (7)

  1. 삭제
  2. 출입문에 설치되는 문틀(10)에 고정경첩(31)과 회동경첩(32)으로 이루어진 경첩(30)에 의하여 도어(20)가 회동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20)가 개방될 때 경첩(30)이 위치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경첩(30)의 고정경첩(31)의 힌지부(33) 및 회동경첩(32)의 힌지부(34)에 좌우 대칭으로 각각 장착되는 결합돌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클립(110)과 상기 클립(110)의 결합돌부(111)가 결합되는 결합홈테(121)가 형성되고 문틀(10) 및 도어(20)에 밀착되는 밀착날개(122)가 형성된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두 개의 커버결합대(120)와 상기 커버결합대(120)에 결합되어 틈새를 가림토록 하는 커버(130)로 이루어진 제1안전장치(100)가 장착되고, 도어(20)의 경첩(30)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중앙의 절첩부(211)에 의하여 두 개의 판체(210a,210b)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상기 각각의 판체(210a,210b) 선단에는 문틀(10)과 도어(2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가 형성된 가림판(210)으로 이루어진 제2안전장치(200)가 장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장치(100)의 클립(110)에 형성된 결합돌부(111)에는 다단으로 상하 양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걸림테(112)가 형성되고, 커버결합체(120)의 결합홈테(121)에는 다단으로 상하 양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맞물림 걸림테(121a)가 형성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토록 하면서 조작에 의해 클립(110)에서 커버결합체(120)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3. 출입문에 설치되는 문틀(10)에 고정경첩(31)과 회동경첩(32)으로 이루어진 경첩(30)에 의하여 도어(20)가 회동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20)가 개방될 때 경첩(30)이 위치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경첩(30)의 고정경첩(31)의 힌지부(33) 및 회동경첩(32)의 힌지부(34)에 좌우 대칭으로 각각 장착되는 결합돌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클립(110)과 상기 클립(110)의 결합돌부(111)가 결합되는 결합홈테(121)가 형성되고 문틀(10) 및 도어(20)에 밀착되는 밀착날개(122)가 형성된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두 개의 커버결합대(120)와 상기 커버결합대(120)에 결합되어 틈새를 가림토록 하는 커버(130)로 이루어진 제1안전장치(100)가 장착되고, 도어(20)의 경첩(30)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문틀(10) 및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중앙의 절첩부(211)에 의하여 두 개의 판체(210a,210b)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상기 각각의 판체(210a,210b) 선단에는 문틀(10)과 도어(2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가 형성된 가림판(210)으로 이루어진 제2안전장치(200)가 장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장치(100)의 커버결합체(120)에 형성된 밀착날개(122)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첩(30)의 크기에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힌지부(33,34)에 클립(110)이 결합되면서 커버결합체(120)의 밀착날개(122)가 경사각에 의하여 조절되어 문틀(10) 및 도어(20)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에는 도어(20)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끼임홈(310)이 형성된 장착대(300)가 구비되고, 상기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에는 연결바(220)가 결합되어 상기 장착대(300)의 끼임홈(310)에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에 결합된 연결바(220)가 원터치로 끼임결합되어 조립이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20)는 가림판(210)의 제2고정부(213)가 결합되는 결합홈(221)과 그 하단으로 일측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걸림바(222)와 타측에 상기 걸림바(222)보다 높게 이격된 걸림돌기(223)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대(300)의 끼임홈(310))은 일측에 연결바(220)의 걸림바(222)가 먼저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홈(311)과 타측에 누름 가압되는 걸림돌기(223)가 걸려지는 걸림편(312)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210)의 절첩부(211)와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이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210)의 문틀(10)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판체(210a)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문틀에 부딪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완충수단(2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KR1020180031159A 2018-03-16 2018-03-16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KR10193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59A KR101931961B1 (ko) 2018-03-16 2018-03-16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59A KR101931961B1 (ko) 2018-03-16 2018-03-16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961B1 true KR101931961B1 (ko) 2018-12-24

Family

ID=6501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59A KR101931961B1 (ko) 2018-03-16 2018-03-16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6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399B1 (ko) 2019-10-07 2019-10-31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76173B1 (ko) * 2018-12-26 2020-02-11 이인섭 손 끼임 방지용 안전 도어
KR102082622B1 (ko) 2019-12-24 2020-02-27 용도운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CN110984792A (zh) * 2019-12-24 2020-04-10 广东炬森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防夹手的折叠门
WO2020091398A1 (ko) * 2018-11-01 2020-05-07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장치 및 설치방법
KR102125847B1 (ko) 2020-03-26 2020-06-30 구본춘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00001805U (ko) * 2019-02-01 2020-08-11 서원상협(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가락끼임을 방지하는 기구
KR102146967B1 (ko) * 2019-04-19 2020-08-21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2167249B1 (ko) * 2019-04-19 2020-10-19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간소화된 조립구조로 설치의 용이성과 출입을 위한 문폭확보와 손가락끼임 방지를 위해 문틈을 가려주는 안전장치
CN111852303A (zh) * 2020-03-09 2020-10-30 屋姿爱儿株式会社 一种具有防止夹手指功能的门
KR20210009857A (ko) * 2019-07-18 2021-01-27 이예명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2244145B1 (ko) * 2020-04-08 2021-04-26 주명식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10116930A (ko) 2020-03-18 2021-09-28 김덕호 손가락끼임 방지용 안전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581A (ja) * 2001-08-03 2003-02-21 Tostem Corp ド ア
KR100849161B1 (ko) * 2007-02-27 2008-07-30 이혜근 도어 구조체
JP2016108880A (ja) * 2014-12-09 2016-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ドア用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581A (ja) * 2001-08-03 2003-02-21 Tostem Corp ド ア
KR100849161B1 (ko) * 2007-02-27 2008-07-30 이혜근 도어 구조체
JP2016108880A (ja) * 2014-12-09 2016-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ドア用安全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398A1 (ko) * 2018-11-01 2020-05-07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장치 및 설치방법
KR102076173B1 (ko) * 2018-12-26 2020-02-11 이인섭 손 끼임 방지용 안전 도어
KR200494489Y1 (ko) * 2019-02-01 2021-10-25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가락끼임을 방지하는 기구
KR20200001805U (ko) * 2019-02-01 2020-08-11 서원상협(주)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가락끼임을 방지하는 기구
KR102146967B1 (ko) * 2019-04-19 2020-08-21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2167249B1 (ko) * 2019-04-19 2020-10-19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간소화된 조립구조로 설치의 용이성과 출입을 위한 문폭확보와 손가락끼임 방지를 위해 문틈을 가려주는 안전장치
KR20210009857A (ko) * 2019-07-18 2021-01-27 이예명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2420234B1 (ko) * 2019-07-18 2022-07-14 이만영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2038399B1 (ko) 2019-10-07 2019-10-31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CN110984792A (zh) * 2019-12-24 2020-04-10 广东炬森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防夹手的折叠门
KR102082622B1 (ko) 2019-12-24 2020-02-27 용도운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CN111852303A (zh) * 2020-03-09 2020-10-30 屋姿爱儿株式会社 一种具有防止夹手指功能的门
KR20210116930A (ko) 2020-03-18 2021-09-28 김덕호 손가락끼임 방지용 안전커버
KR102125847B1 (ko) 2020-03-26 2020-06-30 구본춘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244145B1 (ko) * 2020-04-08 2021-04-26 주명식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61B1 (ko)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KR101929808B1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709447B1 (ko) 도어용 손낌 방지형 힌지 장치
KR200488790Y1 (ko) 문틈 안전 커버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US3301820A (en) Pre-assembled door and casing therefor
KR101931960B1 (ko) 문틀에 맞게 도어 폭이 가변되어 설치되는 안전장치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ES2963275T3 (es) Puerta con función de prevención de pellizcos en los dedos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200489230Y1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2200460B1 (ko) 폭이 좁은 문틀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경첩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102167249B1 (ko) 간소화된 조립구조로 설치의 용이성과 출입을 위한 문폭확보와 손가락끼임 방지를 위해 문틈을 가려주는 안전장치
KR101002238B1 (ko)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KR200368284Y1 (ko) 문닫힘 방지용 경첩
KR20210021748A (ko) 끼임 방지도어
JP3295597B2 (ja) 折畳み式建具
KR200491293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조
US11466511B1 (en) Snap-on safety guard for door g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