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622B1 -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622B1
KR102082622B1 KR1020190173652A KR20190173652A KR102082622B1 KR 102082622 B1 KR102082622 B1 KR 102082622B1 KR 1020190173652 A KR1020190173652 A KR 1020190173652A KR 20190173652 A KR20190173652 A KR 20190173652A KR 102082622 B1 KR102082622 B1 KR 10208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door
hinge
safety do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도운
Original Assignee
용도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도운 filed Critical 용도운
Priority to KR102019017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6Door leaves with provisions for locks, hinges or other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는,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 사이에서 상기 제2 포스트와 제1 힌지로 연결되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제2 포스트에 결합되는 제1 바디;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닫힌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제1 포스트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가림막; 및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림막을 가로질러 상기 제1 포스트에 형성된 지지체와 접촉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1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2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림막이 상기 도어가 접혀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장착부들에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Safety door preventing finger-jamming}
본 발명은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화장실 등의 문을 닫을 때 문과 포스트 사이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끼임 방지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스틸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공간과 또 다른 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틸도어는 현관과 같은 출입문과 방범의 목적을 가지는 외부공간에 배치하고, 목재도어는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공간과 또 다른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목재도어는 실내공간의 벽체 사이에 문설주와 문지방이 결합된 문틀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가지며, 미닫이문, 여닫이문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는 문설주와 도어 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여닫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실내용 여닫이 도어는 문설주와 도어 사이에서 문이 열리면 틈이 생기고, 다시 문이 닫히면 틈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틈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치원, 초등 및 중학교 등과 같은 곳에서 학생들의 장난이 심하여, 화장실 안에서 문을 닫을 때 바깥에 있는 학생이 이를 저지하여 하다 손가락이 끼여서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난 등에도 불구하고 손이나 손가락이 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도어가 고려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1961호 (2018.12.18)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조이지만 효과적으로 화장실 등의 도어와 관련되어 문을 닫을 때 문과 포스트 사이에 손이나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도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는,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 사이에서 상기 제2 포스트와 제1 힌지로 연결되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제2 포스트에 결합되는 제1 바디;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닫힌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제1 포스트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가림막; 및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림막을 가로질러 상기 제1 포스트에 형성된 지지체와 접촉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1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2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림막이 상기 도어가 접혀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장착부들에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림막의 전면에 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배면에 완충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안전도어는 도어와 포스트 사이로 손이 끼이는 방지할 수 있으며, 잠금부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로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어가 접혀졌을 때 제2 바디와 잠금부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덮도록 제1 멤버의 배면에 완충패드가 형성되어 잠금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안전도어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에서 제1 바디에 대해 제2 바디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에서 제1 바디에 대해 제2 바디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힌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안전도어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에서 제1 바디에 대해 제2 바디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에서 제1 바디에 대해 제2 바디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힌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도어(100)는 제1 포스트(10)와 제2 포스트(20) 사이에서 제2 포스트(20)와 제1 힌지(21)로 연결되어 안전도어(10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안전도어(100)는 화장실 내부의 구획된 각 공간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스트(10)와 제2 포스트(20)는 안전도어(1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 안전도어(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포스트(10), 제2 포스트(20) 및 안전도어(100)는 나무판재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전도어(100)는 제1 바디(100a), 제2 바디(100b), 가림막(125) 및 잠금부(4)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는 제1 힌지(21)에 의해 제2 포스트(20)에 결합된다. 제2 바디(100b)는 제2 힌지(102)에 의해 제1 바디(100a)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바디(100b)는 닫힌 상태에서 제1 포스트(10)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바디(100b)는 닫힌 상태에서 제1 포스트(10)와 맞닿거나 좀은 틈을 두고 서로 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제2 바디(100b)에 힘이 가해지면 제2 바디(100b)가 안전도어(100)의 배면을 향해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포스트(10)와 안전도어(100) 사이로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 사이에는 가림막(125)이 형성된다. 가림막(125)은 제1 멤버(123)와 제2 멤버(124)를 포함한다. 제1 멤버(123)는 제1 바디(100a)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1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멤버(124)는 상기 제2 바디(100b)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2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된다. 제1 멤버(123)와 제2 멤버(124)는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제1 멤버(123)와 제2 멤버(124)의 겹쳐지는 부분은 안전도어(100)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멤버(123)의 배면에는 완충패드(129)가 형성된다.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가 서로 겹쳐질 때 제2 바디(100b)에 의해 잠금부(4)가 접촉할 수 있게 되는데, 완충패드(129)가 이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즉, 안전도어(100)의 열린 상태에서 제1 멤버(123)를 잠금부(4)를 덮도록 배치되고, 잠금부(4)를 마주보게 되는 제1 멤버(123)의 배면에 완충패드(129)가 형성된다.
가림막(125)은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가림막(125)은 잠금부(4)가 형성되는 위치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 사이로 사용자의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림막(125)은 열린 상태에서 서로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가 서로 접혀지는 방향과 가림막(125)이 접혀지는 방향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일 예로,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의 돌출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접해질 때, 가림막(125)이 돌출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에 형성된 장착부들에 각각 가이드 돌기(123a, 124a)가 형성된다.
가림막(125)의 전면에 표지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표지부(126)는 "사용중"과 같이 안전도어(100)와 포스트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부(예로 화장실 칸막이 내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지부(126)는 제1 멤버(123)와 제2 멤버(124)에 각각 일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멤버(123)에 'ㅅ'이 형성되고, 제2 멤버(124)에 'ㅏ'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림막(125)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표지부(126)의 문자를 인식할 수 없지만 가림막(125)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표지부(126)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잠금부(4)는 제1 바디(100a)에 형성된다. 잠금부(4)는 가림막(125)을 가로질러 제1 포스트(10)에 형성된 지지체(19)와 접촉한다. 잠금부(4)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1 바디(100a)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잠금부(4)의 타측은 지지체(19)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장부를 잠그면 바깥에서 제2 바디(100b)를 밀어도 제2 바디(100b)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힌지(102)는 제1 힌지부(102a), 제2 힌지부(102b), 회전축(1028) 및 토션스프링(88)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에서 제2 바디(100b)에 힘이 가해지면, 제2 바디(100b)는 제1 바디(100a)에 대하여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바디(100a)와 연결매개인 제2 힌지(102)가 탄성수단(88)을 장착한 경우, 제2 바디(100b)는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회전이 되고, 힘이 사라지면 복원력이 작용하여 제2 바디(100b)는 다시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100)가 열리거나 닫힐 때, 제1 포스트(10)와의 사이에 손이나 손가락이 놓이면, 이들 손이나 손가락이 제2 바디(100b)에 닿으면서 이를 밀어 힘을 작용하게 하고 제2 바디(100b)는 안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안전도어(100)와 제1 포스트(10)의 사이에 손이나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화장실 등의 안전도어(100)와 관련되어 문을 닫을 때 문과 포스트 사이에 손이나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도어(100)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안전도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3)

  1.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 사이에서 상기 제2 포스트와 제1 힌지로 연결되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제2 포스트에 결합되는 제1 바디;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닫힌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제1 포스트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가림막; 및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림막을 가로질러 상기 제1 포스트에 형성된 지지체와 접촉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1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제2 장착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림막이 상기 도어가 접혀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장착부들에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전면에 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배면에 완충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KR1020190173652A 2019-12-24 2019-12-24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KR10208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52A KR102082622B1 (ko) 2019-12-24 2019-12-24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52A KR102082622B1 (ko) 2019-12-24 2019-12-24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622B1 true KR102082622B1 (ko) 2020-02-27

Family

ID=6964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52A KR102082622B1 (ko) 2019-12-24 2019-12-24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865A (zh) * 2020-09-07 2021-01-22 盐城市步高汽配制造有限公司 一种工程车操作室侧门锁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583B1 (ko) * 2011-11-01 2011-12-20 (주)미래원씨앤엠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101749140B1 (ko) * 2016-07-04 2017-06-21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접철식 방화문
KR101931961B1 (ko) 2018-03-16 2018-12-24 서원상협(주)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583B1 (ko) * 2011-11-01 2011-12-20 (주)미래원씨앤엠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101749140B1 (ko) * 2016-07-04 2017-06-21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접철식 방화문
KR101931961B1 (ko) 2018-03-16 2018-12-24 서원상협(주)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865A (zh) * 2020-09-07 2021-01-22 盐城市步高汽配制造有限公司 一种工程车操作室侧门锁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622B1 (ko) 손끼임 방지 안전도어
KR101948131B1 (ko) 손끼임 방지장치
KR100824370B1 (ko)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US4078333A (en) Swinging door system
KR102033856B1 (ko)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404367B1 (ko)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KR100976534B1 (ko) 도어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도어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102248737B1 (ko)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102205532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101082375B1 (ko) 문닫힘 방지기구
KR102264558B1 (ko)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KR20220132331A (ko) 끼임방지도어
KR20210021748A (ko) 끼임 방지도어
KR200194824Y1 (ko) 힌지문 닫힘 방지 장치(문고정장치)
KR100881824B1 (ko) 안전 도어
JP6952530B2 (ja) 開き戸用の錠装置
KR101170600B1 (ko) 미서기 도어용 자물쇠 잠금장치
KR200206366Y1 (ko)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KR102137831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JP3717201B2 (ja) 暗証符号入力盤の蓋
KR102357424B1 (ko) 도어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