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366Y1 -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366Y1
KR200206366Y1 KR2019950007929U KR19950007929U KR200206366Y1 KR 200206366 Y1 KR200206366 Y1 KR 200206366Y1 KR 2019950007929 U KR2019950007929 U KR 2019950007929U KR 19950007929 U KR19950007929 U KR 19950007929U KR 200206366 Y1 KR200206366 Y1 KR 200206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plate
fixed
opened
shot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834U (ko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2019950007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366Y1/ko
Publication of KR960034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화재시 불길이나 연기가 다른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화샷다에 있어서, 비상문에 있어서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샷다와 비상문이 겹 쳐지는 부분에 고무판을 부착시키고 있으나 비상문을 연후에 닫을 경우에 고무판이 샷다와 비상문의 사이로 끼이게 되어 방화샷다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비상문이 맞물리는 샷다의 외측에서 다수개의 스토퍼를 형성하여 비상문을 열면 스토퍼의 작동판이 격실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고정캡이 후진되면서 작동판이 열리게 되어 비상문을 열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이 비상문을 열은 후에는 경첩의 후방에 형성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비상문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비상문의 개폐기능을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4도는 종래에 비상문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토퍼 2 : 작동판
3 : 고정판 4 : 격실
5 : 스프링 6 : 고정캡
7 : 가이드레일 8 : 경첩
9 : 복귀스프링 10 : 작동축
본 고안은 건축물의 화재시 불길이나 연기가 다른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화샷다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강하되는 샷다로 인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갖히게 되어 인명을 해치게 되기 때문에 이의 해결을 위하여 샷다의 일측을 절개하여 설치되는 비상문에 있어서, 비상문의 개폐를 위하여 샷다가 상승 및 하강하는 가이드 레일의 일측을 절개하여 비상문이 개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샷다를 강하시켰을 경우에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샷다와 비상문이 겹쳐지는 부분에 고무판을 부착시키고 있으나 비상문을 연후에 닫을 경우에 고무판이 샷다와 비상문의 사이로 끼이게 되어 방화샷다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뭇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면서 비상문이 열린후에는 자동으로 문이 닫히도록 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첩에 의하여 일측으로만 열리도록 되는 비상문에 있어서 비 상문이 맞물리는 샷다나 가이드레일의 외측에서 다수개의 스토퍼를 형성하여 비상문을 열면 작동판이 격실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고정캡이 후진되면서 작동판이 열리게 되어 비상문을 열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이 비상문을 열은 후에는 경첩의 후방에 형성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비상문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개폐되는 비상문(A)과 교차되는 샷다나 가이드레일의 일측을 절개한 양측으로 대응되는 일정부위에 고정판(3)은 샷다(B)에 볼트나 응접으로 고정시키고 작동판(2)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있고 고정판(3)에는 격실(4)의 내에 스프링(9)이 장착되어 고정캡(6)이 가이드 레일(7)에 의하여 삽입되어 작동판(2)과 고정판(3)을 절첩 되도록 되어 있는 작동축(10)이 고정 캡(6)을 밀면서 작동되는 것이고 경첩(8)은 타측의 샷다(B)와 비상문(A)에 각각 고정되어 샷다(B)에는 경첩(8)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스프링(9)을 장착하여 열린 비상문(A)이 자동적으로 복귀토록 되는 구성이다.
이 때 작동판(2)을 절첩시키는 작동축(10)은 고정캡(6)이 형성되는 위치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약간 돌출되어 있고 격실(4)에 내장된 스프링(9)은 본 고 안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탄성을 갖는 어떠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샷다에 고정되는 고정판(3)은 샷다(B)의 스라트(C)에 약간의 요입부(도시 안됨)를 형성하여 외관이 미려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고 작동판(2)이 작동축(17)에 의하여 절첩될 경우에는 스프링(5)에 의하여 일정한 각으로 꺾였을 경우에는 그 각을 유지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으로만 절첩될 수 있는 스토리(1)틀 형성함으로서 비상문(A)이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상문(A)을 열었을 경우에는 작동판(2)이 제껴지면서 비상문(A)이 열리게 되고 복귀스프링(9)에 의하여 비상문(A)이 닫힐 경후에도 작동판(2)이 열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상문과 샷다의 물림 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개폐되는 비상문(A)과 교차되는 샷다의 양측으로 대응되는 일정부위에 고정 판(3)은 샷다(B)에 볼트나 용접으로 고정시키고 작동판(2)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있고 고정판(3)에는 격실(4)의 내에 스프링(9)이 장착되어 고정캡(6)이 가이드레일(7)에 의하여 삽입되어 작동판(2)과 고정판(3)을 절첩되도록 되어 있는 작동축(10)이 고정캡(6)을 밀면서 작동되는 것이고 경첩은 타측의 샷다와 비상문에 각각 고정되어 샷다에는 경첩(8)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스프링(9)을 장착하여 열린 비상문이 자동적으로 복귀토록 되는 구성이다.
KR2019950007929U 1995-04-18 1995-04-18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KR200206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929U KR200206366Y1 (ko) 1995-04-18 1995-04-18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929U KR200206366Y1 (ko) 1995-04-18 1995-04-18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34U KR960034834U (ko) 1996-11-21
KR200206366Y1 true KR200206366Y1 (ko) 2000-12-01

Family

ID=1941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929U KR200206366Y1 (ko) 1995-04-18 1995-04-18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3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805B1 (ko) * 1996-06-27 2005-05-17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잠금기능이겸비되어샷다와동시에말려지는방화샷다용미미
KR20000002319A (ko) * 1998-06-18 2000-01-15 임동현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KR19980081983A (ko) * 1998-08-11 1998-11-25 임동현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34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538B2 (en) Lateral restraint for a movable partition, movable partition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4078333A (en) Swinging door system
US2586757A (en) Door hinge check
KR200206366Y1 (ko)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US6243919B1 (en) Hinge, e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US5076017A (en) Safety door assembly including safety hinge
US20210324668A1 (en) Locking mechanism with additional damping mechanism
JP3770641B2 (ja) 指詰め防止装置付き扉
US5457913A (en) Hinge mounting for auto ventilation window
KR101705342B1 (ko) 건축물용 소방용 방화문
GB2265929A (en) Smoke and finger guards for closures
US6471258B1 (en) Latching mechanism of an anti-finger catching system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JPS6120940Y2 (ko)
KR930006476Y1 (ko) 건물용 셔터
KR102690616B1 (ko) 손 끼임 방지용 여닫이문
KR200315864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102703893B1 (ko)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JPH08333948A (ja) 吊戸におけるスライド式吊りレール構造
KR0127376Y1 (ko)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
CN210178161U (zh) 一种小体积门窗关闭器
JP3789180B2 (ja) 可動式連絡通路
CN210370286U (zh) 一种铰链风撑装置
CA2201247A1 (en) Door safety guard
US20060137275A1 (en)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