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983A -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983A
KR19980081983A KR1019980032617A KR19980032617A KR19980081983A KR 19980081983 A KR19980081983 A KR 19980081983A KR 1019980032617 A KR1019980032617 A KR 1019980032617A KR 19980032617 A KR19980032617 A KR 19980032617A KR 19980081983 A KR19980081983 A KR 1998008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uide rail
plate
operating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101998003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1983A/ko
Publication of KR1998008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983A/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방화셔터에 있어서 비상탈출시에 실내에서 셔터전체를 밀어 탈출이 가능토록 되면서 셔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실외에서는 셔터를 밀어도 들어올려지지 않토록 되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방화셔터는 비상탈출을 위하여 셔터의 일측 또는 중앙으로 경첩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비상문을 형성하거나 또는 실내에서 셔터를 밀면 가이드레일이 절첩되면서 셔터전체가 밀어올려 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있었으나, 비상문이 형성된 것의 단점은 비상문이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경첩을 부착할 경우에 경첩의 암경첩과 숫경첩의 유격으로 인하여 셔터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상문이 하방으로 쳐지게 되어 비상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과 비상문이 개폐토록 하기 위하여는 가이드레일의 전방이 절개되어있어 외력에 의하여 손쉽게 열리게 되는 단점이 있고, 셔터전체를 밀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의 단점은 가이드레일이 절첩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이드레일의 절첩을 위하여 반듯이 별도의 전원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비상탈출시에 셔터전체를 실내측에서 밀면 셔터를 구성하고 있는 셔터판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미가 고정판과 작동판으로 구분되어 있어 작동판이 꺽여지면서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 있던 미미의 작동판이 빠져나오게 되면서 셔터를 들어올릴 수 있고 들어올려진 셔터가 원위치할 경우에는 셔터의 중량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작동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작동판이 펼쳐져 가이드레일로 삽입되어 셔터가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지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되어 셔터의 수평유지는 물론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이 비상탈출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방화셔터.

Description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본 발명은 방화셔터에 있어서 비상 탈출시에 실내에서는 셔터를 밀면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비상탈출이 가능토록 되면서 실외에서는 밀경우에도 셔터를 들어올릴 수 없도록 되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 셔터가 자동으로 하강토록 되어 있어서 실내에서 미처 탈출하지 못한 인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반듯이 비상탈출수단이 강구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70)의 일측을 절개하여 경첩(90)으로 비상문(100)이 개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는 비상문(100)이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셔터(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에 각각의 경첩(90)을 형성함으로 이러한 경첩(90)이 통상 암경첩과 숫경첩으로 되어 있어 이들간의 유격으로 인하여 비상문(100)이 형성된 부분은 하방으로 쳐지게 됨으로 자칫잘못하면 비상문(100)이 열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첩(90)으로 인하여 셔터(70)의 수평유지가 불가능하여 셔터(70)의 상승을 위하여 권취드럼에 권취될 경우에 권취상태가 불완전하여 이로 인한 셔터의 고장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비상문(100)이 개폐토록 하기 위하여는 반듯이 가이드레일(80)의 전방이 절개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절개된 부분으로 인하여 비상문(100)의 덜렁거림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비상문(100)을 형성치 아니하고 셔터(70)의 전체가 들어올려지도록 할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70)를 수납시키고 있는 가이드레일(80)의 일측이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절첩판(50)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80)이 열리도록 한후 실내측에서 밀면 셔터(70)의 전체가 밀어서 올려지는 것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절첩되는 가이드레일(80)의 절첩판(5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여 화재시에 정전으로 인하여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비상탈출수단이 막히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이 셔터를 실내측에서 밀면 셔터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미미가 절첩되면서 가이드레일에서 탈리되어 셔터가 밀어올려지도록 되는 방화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셔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이 탈리되지 않토록 셔터판의 양측선단으로 장착시키는 미미의 막힘판에 작동판을 절첩가능하게 연장시켜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서 삽입되어 있다가 셔터를 실내측에서 밀 경우에는 작동판이 꺽여지면서 미미의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서 탈리되면서 셔터를 밀어서 들어올 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셔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에 미미가 결합된 정면도.
도 2는 가이드레일에 미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셔터가 밀려서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서 빠진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미미의 구성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미미가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고정판의 사시도.
도 7은 작동판의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셔터
도 9은 종래의 미미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종래의 가이드레일이 절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막힘판 2: 고정판
3: 작동판 4: 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를 표시함에 있어 대칭되는 부분의 도면부호는 생략하고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에서 표시한 부호를 동일하게 나타내었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모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승과 하강작용을 하는 셔터(70)의 양측단이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레일(80)에 삽입되어진 공지의 셔터(70)에 있어서, 셔터(70)가 가이드레일(80)에 삽입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하고 셔터(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의 양측 선단으로는 각각의 셔터판(60)이 빠지지 않토록 장착되는 미미(40)를 셔터판(60)에 고정되는 고정판(2)과 가이드레일(80)에 내삽되어지는 작동판(3)으로 구분하여 작동판(3)이 꺾여지면서 가이드레일(80)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고 들려진 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셔터(70)의 중량에 의하여 원위치될 경우에는 꺾여진 작동판(3)이 가이드레일(80)의 후단(80a)과 충돌하면서 원위치되도록 하여 작동판(3)이 가이드레일(80)에 내삽되어지도록 되는 구성이다.
이때 가이드레일(80)의 전단(80b)은 후단(80a)보다는 폭이 짧아야 작동판(3)의 빠짐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미미(40)의 구성일례로는 고정판(2)과 작동판(3)으로 구분하여 고정판(2)의 막힘판(1)의 중앙에는 절개홈(9)이 형성된 만곡돌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9)에는 캠(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만곡돌출부(11)가 작동판(3)의 요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핀(15)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작동판(3)의 요입부(10)의 중앙으로는 스프링(4)에 의하여 가압되어지는 구슬(5)이 탈리되지 않토록 하면서 구슬(5)의 반구만이 노출토록 한 절개홈(9a)이 형성되고 스프링(4)에 의하여 가압되는 구슬(5)이 반구만이 노출토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4)의 장력은 조절나사(8)에 의하여 스프링(4)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고 스프링(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구슬(5)은 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에 삽입된 캠(14)의 만곡면(16)과 만곡홈(1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작동판(3)이 꺽여지고 꺽여진 상태에서는 그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있다가 일정한 외력을 받으면 원상으로 복귀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판(3)과 고정판(2)이 결합되는 부위의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는 막힘판(1)의 일측면(A)에서 연장되어 막힘판(1)의 2/3되는 부분까지 만곡돌출부(11)가 형성되고 만곡돌출부(11)가 형성된 막힘판(1)의 외측으로는 절취부(20)를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20)에는 작동판(3)의 요입부(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만곡돌출부(11a)가 삽입토록 하며 이때 상기 작동판(3)의 만곡돌출부(11a)도 작동판(3)의 일측면(B)에서 연장되어 2/3되는 부분까지 만곡돌출부(11a)가 형성되어 고정판(2)과 작동판(3)이 결합될 경우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동판(3)이 꺽여질 경우에 작동판(3)이 직각의 범위내에서 작동토록 하기 위하여 작동판(3)의 일측면(B)이 고정판(2)의 절취부(20)의 저면(C)과 밀착토록 하면서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되고, 작동판(3)이 원위치될 경우(펼쳐질 경우)에 정확하게 원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판(3)의 받침면(21)과 고정판(2)의 돌출면(22)이 밀착토록 되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판(3)과 고정판(2)으로 형성되는 미미(40)가 셔터(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에 상하로 연결되게 장착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애기 위하여 작동판(3)과 고정판(2)이 고정핀(15)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면으로는 내향턱(23)을 형성하고 타측면으로는 외향턱(24)을 형성하여 내향턱(23)과 외향턱(24)이 중첩토록 하여 틈새를 없앤 것이다.
또한 작동판(3)의 외곽테두리에는 가이드레일(80)에서의 빠짐과 삽입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25)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셔터(70)를 들어올릴 경우에는 셔터(70)를 실내측에서 밀면 작동판(3)이 꺾여지면서 작동판(3)이 가이드레일(80)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들려진 후 원위치될 경우에는 꺾여진 작동판(3)이 가이드레일(80)의 후단(80a)과 충돌하게 되면서 펼쳐져서 펼쳐진 작동판(3)은 가이드레일(80)로 내삽되어지면서 셔터(70)의 덜렁거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미의 고정판과 연동되게 장착된 작동판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가이드레일에서 빠지면서 비상탈출이 가능토록 하고 탈출후에는 셔터의 자중에 의하여 미미의 작동판의 꺽임각에 의하여 가이드레일로 삽입되후에는 꺽인 작동판이 펴지면서 가이드레일에 삽입고정되어짐으로서 셔터의 덜렁거림이 없이 바상탈출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Claims (2)

  1.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된 셔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에 고정판과 작동판으로 구분된 미미가 결합되어 셔터판의 빠짐을 방지하면서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져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서 탈리되거나 삽입되면서 셔터가 들어올려져 탈출수단이 강구된 방화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전방이 짧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KR1019980032617A 1998-08-11 1998-08-11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KR19980081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17A KR19980081983A (ko) 1998-08-11 1998-08-11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17A KR19980081983A (ko) 1998-08-11 1998-08-11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983A true KR19980081983A (ko) 1998-11-25

Family

ID=6589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617A KR19980081983A (ko) 1998-08-11 1998-08-11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1983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046A (en) * 1985-06-18 1987-02-03 Indal, Inc. Revolving door collapsing mechanism
JPH08177340A (ja) * 1994-10-14 1996-07-09 Kap-Il Park 建物用シャッタ装置
KR960034835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샷다에 방범기능을 갖는 장치
KR960034834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KR970010004U (ko) * 1995-08-23 1997-03-29 임동현 방화샷다에서 경첩과 미미부분에 지지장치가 형성된 비상문
KR970039913U (ko) * 1995-12-11 1997-07-29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텨
KR19990036428U (ko) * 1998-02-20 1999-09-27 한현호 절첩식 회전문.
KR20000002319A (ko) * 1998-06-18 2000-01-15 임동현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046A (en) * 1985-06-18 1987-02-03 Indal, Inc. Revolving door collapsing mechanism
JPH08177340A (ja) * 1994-10-14 1996-07-09 Kap-Il Park 建物用シャッタ装置
KR960034835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샷다에 방범기능을 갖는 장치
KR960034834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KR970010004U (ko) * 1995-08-23 1997-03-29 임동현 방화샷다에서 경첩과 미미부분에 지지장치가 형성된 비상문
KR970039913U (ko) * 1995-12-11 1997-07-29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텨
KR19990036428U (ko) * 1998-02-20 1999-09-27 한현호 절첩식 회전문.
KR20000002319A (ko) * 1998-06-18 2000-01-15 임동현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1307B1 (en) Bracket for venetian blind headrail
KR19980081983A (ko)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KR20070058064A (ko) 잠금기능을 갖는 비상문을 셔터의 내,외측에서 열 수있도록 한 방화셔터
EP3418486B1 (fr) Trappe de visite pour installation de volet roulant
JP4119071B2 (ja) 天井直付け照明器具取付装置
US6305676B1 (en) Buckling device of a scanner head
KR20110037478A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JP3942260B2 (ja) 採風窓用ロック解除装置
JP4668715B2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ガイド構造
JP2004179520A (ja) 樹脂製ボックスの扉体取り付け構造
JPH08135281A (ja) ドアガードにおける扉の開放状態保持装置
JP2926555B2 (ja) 機器筐体構造
KR20000002319A (ko)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JP3517634B2 (ja) 折 戸
KR200157139Y1 (ko) 방화 셔터의 비상문 밀착 고정장치
KR200272726Y1 (ko) 함체의 로킹장치
JP3593318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巻取軸支持装置
JP2009001387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固定装置
JP2001173346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2005133400A (ja) 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KR200254092Y1 (ko) 방충망의 결합구조
KR200346923Y1 (ko) 분전반 도어의 지지구조
JP2022038169A (ja) 可動式耐風フック
JP2000265760A (ja) 建築用シャッター
JPH0883986A (ja) 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