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319A -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319A
KR20000002319A KR1019980022998A KR19980022998A KR20000002319A KR 20000002319 A KR20000002319 A KR 20000002319A KR 1019980022998 A KR1019980022998 A KR 1019980022998A KR 19980022998 A KR19980022998 A KR 19980022998A KR 20000002319 A KR20000002319 A KR 2000000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utter
operating plate
groov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101998002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319A/ko
Publication of KR2000000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방화셔터에 형성되는 비상문이 가이드레일에 내삽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개폐토록 하여 셔터가 하강시에도 비상문이 덜렁거림이 없도록 하기 위한 방화셔터용 미미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방화셔터는 셔터의 하방일측으로 경첩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비상문을 형성하고 상기 비상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의 전방을 비상문이 개폐될 수 있는 폭만큼을 절개함으로서 비상문은 가이드레일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적은 외력에 의하여도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상문의 경첩을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여 비상문이 닫혀 있을 경우에 밀착력을 강화시켜 약간의 외력에는 덜렁거림이 방지토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장시간이 경과되면 스프링의 장력이 저하되어 결국비상문이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던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서는 비상문을 밀면 셔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셔터판이 빠지지 않토록 끼워지는 미미가 직각으로 꺽이게 되면서 가이드레일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고 비상문이 경첩에 의하여 닫힐 경우에는 직각으로 꺽여진 미미의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의 후단에 충돌하면서 작동판이 원상으로 펼쳐지면서 펼쳐진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짐으로서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방화셔터의 미미.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본 발명은, 비상문이 셔터의 하방일측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절개된 가이드레일로 출입되면서 경첩의 스프링 장력에 의하여 비상문이 항상 닫힘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의 닫힘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경첩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에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단점을 해소하고 가이드레일의 전방이 절개됨으로 인하여 이러한 절개부로 각종 이물질이 끼일 경우에는 비상문이 열려지지 않게 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비상문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셔터판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미미가 고정판과 작동판으로 구분하여 비상문이 밀어서 열 경우에는 작동판이 일정각도로 꺽여지면서 가이드레일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비상문을 열 수 있도록 하고 닫혀질 경우에는 꺽여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의 후단과 충돌하면 미미의 작동판이 펼쳐지면서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 지도록 하여 비상문이 덜렁거리지 않게 되고 또한 가이드레일의 전방을 절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 셔터가 자동으로 하강토록 되어 있어서 실내에서 미처 탈출하지 못한 인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반듯이 비상탈출수단이 강구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의 일측을 절개하여 경첩으로 비상문이 개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는 비상문이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셔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에 각각의 경첩을 형성함으로 이러한 경첩의 유격에 의한 비상문의 중량으로 비상문이 하방으로 쳐지게 됨으로 비상문이 열리지 않게 되거나 셔터의 수평유지가 불가능하여 셔터의 상승을 위하여 권취드럼에 권취될 경우에 권취상태가 불완전하여 이로 인한 셔터의 고장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비상문이 셔터의 일측으로 경첩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기 때문에 비상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의 전방을 비상문이 출입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비상문이 개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비상문이 가이드레일에서 내삽되어지지 않고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상문이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진 상태에서 비상문을 밀면 비상문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셔터판이 탈리되지 않토록 장착되는 미미의 작동판이 꺽여지면서 가이드레일에서 탈리되면서 비상문이 열리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비상문을 밀면 셔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셔터판이 빠지지 않토록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져 있던 미미의 작동판이 꺽이게 되면서 가이드레일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고 비상문이 경첩에 의하여 닫힐 경우에는 꺽여진 미미의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의 후단에 충돌하면서 작동판이 원상으로 펼쳐지면서 펼쳐진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에 내삽되어짐으로서 비상문이 덜렁거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3은 가이드레일에 미미의 작동판이 내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작동판이 꺽여져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분리되어진 고정판의 사시도.
도 6은 분리되어진 작동판의 사시도.
도 7은 캠의 사시도.
도 8은 미미의 또다른 작동구성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9는 미미의 또다른 작동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0은 종래의 미미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11은 종래의 미미가 사용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의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막힘판 2: 고정판
3: 작동판 4: 스프링
5: 구슬 6: 단턱
7: 요홈 8: 조절나사
9: 절개홈 10: 요입부
11: 돌출부 12: 요입홈
13: 중첩부 14: 캠
15: 고정핀 16: 만곡면
17: 만곡홈 18: 지지부
19: 구멍 20: 절취부
21: 받침면 22: 돌출면
23: 내향턱 24: 외향턱
25: 경사면 26: 철판
30: 슬라이드몸체 31: 슬라이드홈
32: 안내돌기 33: 회동돌기
34: 돌출날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 내지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에 비상문(100)이 형성되어 경첩(90)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모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동시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가이드레일(80)에 내삽되어진 상태에서 상승과 하강작용을 하는 공지의 셔터(70)에 있어서, 경첩(90)에 대향되게 셔터(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의 선단으로 셔터판(60)이 빠지지 않토록 장착되는 미미(50)를 고정판(2)과 작동판(3)으로 구분하여 고정판(2)의 막힘판(1)의 중앙에는 절개홈(9)이 형성된 만곡돌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9)에는 캠(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만곡돌출부(11)가 작동판(3)의 요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핀(15)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작동판(3)의 요입부(10)의 중앙으로는 스프링(4)에 의하여 가압되어지는 구슬(5)이 탈리되지 않토록 하면서 구슬(5)의 반구만이 노출토록 한 절개홈(9a)이 형성되고 스프링(4)에 의하여 가압되는 구슬(5)이 반구만이 노출토록 하기 위하여 요홈(7)의 내측에서는 단턱(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4)의 장력은 조절나사(8)에 의하여 스프링(4)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고 스프링(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구슬(5)은 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에 삽입된 캠(14)의 만곡면(16)과 만곡홈(1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작동판(3)이 꺽여지고 꺽여진 상태에서는 그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있다가 일정한 외력을 받으면 원상으로 복귀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캠(14)은 고정판(2)의 절개홈(9)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측으로 단턱(6a)이 형성된 지지부(18)를 형성하여 지지부(18)가 고정판(2)의 절개홈(9)의 내측으로 밀착되면서 단턱(6a)이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여 작동판(3)에 장착되어 반구만이 노출되는 구슬(5)이 만곡면(16)과 만곡홈(17)을 따라 이동될 경우에 캠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캠(14)의 중앙에는 고정핀(15)의 관통을 위하여 고정구멍(19)이 천공된 구조이고 캠(14)의 만곡면(16)을 따라 이동한 구슬(5)이 만곡홈(17)에 삽입될 경우에는 만곡면(16)의 선단(D)이 출입할 수 있도록 작동판(3)의 요입부(10)에 형성된 절개홈(9a)은 고정판(2)의 절개홈(9)과 동일한 축상에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작동판(3)과 고정판(2)이 결합되는 부위의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는 막힘판(1)의 일측면(A)에서 연장되어 막힘판(1)의 2/3되는 부분까지 만곡돌출부(11)가 형성되고 만곡돌출부(11)가 형성된 막힘판(1)의 외측으로는 절취부(20)를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20)에는 작동판(3)의 요입부(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만곡돌출부(11a)가 삽입토록 하며 이때 상기 작동판(3)의 만곡돌출부(11a)도 작동판(3)의 일측면(B)에서 연장되어 2/3되는 부분까지 만곡돌출부(11a)가 형성되어 고정판(2)과 작동판(3)이 결합될 경우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동판(3)이 꺽여질 경우에 작동판(3)이 직각의 범위내에서 작동토록 하기 위하여 작동판(3)의 일측면(B)이 고정판(2)의 절취부(20)의 저면(C)과 밀착토록 하면서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되고, 작동판(3)이 원위치될 경우(펼쳐질 경우)에 정확하게 원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판(3)의 받침면(21)과 고정판(2)의 돌출면(22)이 밀착토록 되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판(3)과 고정판(2)으로 형성되는 미미(50)가 셔터(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에 상하로 연결되게 장착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애기 위하여 작동판(3)과 고정판(2)이 고정핀(15)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면으로는 내향턱(23)을 형성하고 타측면으로는 외향턱(24)을 형성하여 내향턱(23)과 외향턱(24)이 중첩토록 하여 틈새를 없앤 것이다.
또한 작동판(3)의 외곽테두리에는 가이드레일(80)에서의 빠짐과 삽입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25)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정판(2)과 작동판(3)에는 미미(50)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요입홈(12)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요입홈(12)은 철판(26)으로 덮어줌으로서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을 구슬이 아닌 슬라이드몸체(30)로 형성하여 슬라이드몸체의 슬라이드홈(31)이 안내돌기(3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판의 회동돌기(33)가 슬라이드몸체의 전면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몸체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토록 되면서 작동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드몸체(30)의 일측면으로는 돌출날개(34)를 형성하여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스프링에 이물질이 진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첩(90)에 의하여 개폐되는 비상문(100)의 경첩과 대향되는 각각의 셔터판(60)의 선단에 고정판(2)을 고정하여 막힘판(1)이 셔터판(60)의 빠짐을 방지토록 하면서 막힘판(1)의 중앙에 돌설된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에는 캠(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만곡돌출부(11)가 작동판(3)의 요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핀(15)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작동판(3)이 요홈(7)에 삽입되어진 구슬(5)이 조절나사(8)로 인하여 가압되어진 스프링(4)에 의하여 가압되어 반구만이 작동판의 요입부(10)의 중앙으로 절개된 절개홈(9a)으로 노출되면서 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에 삽입된 캠(14)의 만곡홈(17)에 삽입되어 있다가 외력을 받으면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구슬이 캠의 만곡홈에서 빠져나오면서 만곡면(16)을 따라 구르게 되면서 작동판(3)이 꺽여지게 되고 꺽여진 상태에서는 만곡면(16)에 의하여 꺽여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그후 비상문(100)이 닫힐 경우에는 미미(50)의 작동판(3)이 꺽여진 상태에서 그대로 후진하게 되면 작동판(3)이 가이드레일(80)의 후단과 충돌하면서 작동판(3)이 펼쳐지게 되고 펼쳐질 경우에도 스프링(4)이 가압되면서 구슬(5)이 캠(14)의 만곡면(16)을 따라 구르게 되면서 캠(14)의 만곡홈(17)에 삽입되게 되면 미미(50)의 작동판(3)은 원상으로 펼쳐지면서 펼쳐진 작동판(3)은 가이드레일(80)의 내측으로 펼쳐지면서 내삽되어 비상문(100)이 덜렁거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의 후단에 충돌할 경우에 펼쳐짐의 시작을 위하여 작동판의 외곽테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작동판이 가이드레일의 후단과 충돌할 경우에 펼쳐짐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미의 고정판과 연동되게 장착된 작동판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슬 또는 슬라이드몸체가 고정판의 캠이나 회동돌기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가이드레일에서 빠지면서 비상탈출이 가능토록 하고 탈출후에는 셔터의 자중에 의하여 미미의 작동판의 꺽임각에 의하여 가이드레일로 삽입되후에는 꺽인 작동판이 펴지면서 가이드레일에 내삽 고정되어짐으로서 셔터의 덜렁거림이 없는 비상문의 셔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일측에 비상문(100)이 형성되어 경첩(90)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모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동시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가이드레일(80)에 내삽되어진 상태에서 상승과 하강작용을 하는 공지의 셔터(70)에 있어서, 경첩(90)에 대향되게 비상문(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의 선단으로 셔터판(60)이 빠지지 않토록 장착되는 미미(50)를 고정판(2)과 작동판(3)으로 구분하여 고정판(2)은 셔터판(60)에 고정하고 작동판(3)은 꺽여지거나 펼쳐지면서 가이드레일(80)을 출입하여 비상문(100)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2. 제1항에 있어서,고정판(2)의 막힘판(1)의 중앙에는 절개홈(9)이 형성된 만곡돌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9)에는 캠(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만곡돌출부(11)가 작동판(3)의 요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핀(15)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3. 제1항에 있어서,작동판(3)의 요입부(10)의 중앙으로는 스프링(4)에 의하여 가압되어지는 구슬(5)이 탈리되지 않토록 하면서 구슬(5)의 반구만이 노출토록 한 절개홈(9a)이 형성되고 스프링(4)은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된 요홈(7)에 삽입되어 조절나사로 스프링이 탄력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4. 제1항에 있어서,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는 막힘판(1)의 일측면(A)에서 연장되어 막힘판(1)의 2/3되는 부분까지 만곡돌출부(11)가 형성되고 만곡돌출부(11)가 형성된 막힘판(1)의 외측으로는 절취부(20)를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20)에는 작동판(3)의 요입부(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만곡돌출부(11a)가 삽입토록 하여 상기 작동판(3)의 만곡돌출부(11a)도 작동판(3)의 일측면(B)에서 연장되어 2/3되는 부분까지 만곡돌출부(11a)가 형성되어 고정판(2)과 작동판(3)이 결합될 경우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동판(3)이 꺽여질 경우에 작동판(3)이 직각의 범위내에서 작동토록 하기 위하여 작동판(3)의 일측면(B)이 고정판(2)의 절취부(20)의 저면(C)과 밀착토록 하면서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되고, 작동판(3)이 원위치될 경우(펼쳐질 경우)에 정확하게 원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판(3)의 받침면(21)과 고정판(2)의 돌출면(22)이 밀착토록 되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토록 한 것이다.
  5. 제1항에 있어서,작동판(3)과 고정판(2)으로 형성되는 미미(50)가 셔터(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60)에 상하로 연결되게 장착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애기 위하여 작동판(3)과 고정판(2)이 고정핀(15)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면으로는 내향턱(23)을 형성하고 타측면으로는 외향턱(24)을 형성하여 내향턱(23)과 외향턱(24)이 중첩토록 하여 틈새를 없앤 것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2)과 작동판(3)에는 미미(50)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요입홈(12)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요입홈(12)은 철판(26)으로 덮어줌으로서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7. 제2항에 있어서, 캠(14)은 고정판(2)의 절개홈(9)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측으로 단턱(6a)이 형성된 지지부(18)를 형성하여 지지부(18)가 고정판(2)의 절개홈(9)의 내측으로 밀착되면서 단턱(6a)이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고 작동판(3)에 장착되어 반구만이 노출되는 구슬(5)이 만곡면(16)과 만곡홈(17)을 따라 이동될 경우에 캠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8. 제2항에 있어서, 고정판의 막힘판의 중앙으로는 회동돌기(33)가 돌설되어 슬라이드몸체를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9. 제3항에 있어서, 작동판(3)의 요입부(10)에는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슬라이드몸체가 요입부의 안내돌기에 삽입되어지는 슬리이드홈이 형성되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10. 제3항에 있어서, 작동판(3)의 외곽테두리에는 가이드레일(80)에서의 빠짐과 삽입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25)을 형성한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11.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구슬(5)은 고정판(2)의 만곡돌출부(11)의 절개홈(9)에 삽입된 캠(14)의 만곡면(16)과 만곡홈(1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작동판(3)이 꺽여지고 꺽여진 상태에서는 그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일정한 외력을 받으면 원상으로 복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미미.
KR1019980022998A 1998-06-18 1998-06-18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KR20000002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998A KR20000002319A (ko) 1998-06-18 1998-06-18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998A KR20000002319A (ko) 1998-06-18 1998-06-18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19A true KR20000002319A (ko) 2000-01-15

Family

ID=1953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998A KR20000002319A (ko) 1998-06-18 1998-06-18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83A (ko) * 1998-08-11 1998-11-25 임동현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046A (en) * 1985-06-18 1987-02-03 Indal, Inc. Revolving door collapsing mechanism
JPH08177340A (ja) * 1994-10-14 1996-07-09 Kap-Il Park 建物用シャッタ装置
KR960034834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KR960034835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샷다에 방범기능을 갖는 장치
KR970010004U (ko) * 1995-08-23 1997-03-29 임동현 방화샷다에서 경첩과 미미부분에 지지장치가 형성된 비상문
KR970039913U (ko) * 1995-12-11 1997-07-29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텨
KR19990036428U (ko) * 1998-02-20 1999-09-27 한현호 절첩식 회전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046A (en) * 1985-06-18 1987-02-03 Indal, Inc. Revolving door collapsing mechanism
JPH08177340A (ja) * 1994-10-14 1996-07-09 Kap-Il Park 建物用シャッタ装置
KR960034834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KR960034835U (ko) * 1995-04-18 1996-11-21 임동현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샷다에 방범기능을 갖는 장치
KR970010004U (ko) * 1995-08-23 1997-03-29 임동현 방화샷다에서 경첩과 미미부분에 지지장치가 형성된 비상문
KR970039913U (ko) * 1995-12-11 1997-07-29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텨
KR19990036428U (ko) * 1998-02-20 1999-09-27 한현호 절첩식 회전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83A (ko) * 1998-08-11 1998-11-25 임동현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891B2 (ja) シェード装置
JP3929163B2 (ja)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S6025286B2 (ja) 車両用屋根
JPH03292989A (ja) かみそり機構
WO2004035972A1 (ja) ステー
KR20000002319A (ko) 방화셔터의비상문미미
AU785311B2 (en) A braking system for retracting screens
JP4106167B2 (ja) ボックス体の開閉装置
JP2002012030A (ja) バニティミラー付き車両用サンバイザ
JP3808199B2 (ja) コンパクトの自動開蓋機構
JP3113655U (ja) 扉等開度調整器
JP3208683B2 (ja) 移動体のロック装置
KR100328985B1 (ko) 차량용 쿼터 글래스 개폐 장치
JP2004536987A (ja) アーチ状に張り出したローラブラインド構造
EP0478156A1 (en) Blind for vehicle opening roof
JP2897037B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4405175B2 (ja) シャッタの施錠装置
JP3593318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巻取軸支持装置
JP2005016092A (ja) 扉の閉鎖保持装置
JP3517634B2 (ja) 折 戸
KR200284031Y1 (ko) 도어용 스토퍼
JP4152550B2 (ja) 窓のガードアーム装置
JPH054538Y2 (ko)
KR200256869Y1 (ko) 접철식 사다리용 힌지
KR19980081983A (ko) 밀어올려지는 방화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