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161B1 -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161B1
KR100849161B1 KR1020070019329A KR20070019329A KR100849161B1 KR 100849161 B1 KR100849161 B1 KR 100849161B1 KR 1020070019329 A KR1020070019329 A KR 1020070019329A KR 20070019329 A KR20070019329 A KR 20070019329A KR 100849161 B1 KR100849161 B1 KR 10084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cap
door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근
Original Assignee
이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근 filed Critical 이혜근
Priority to KR102007001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와, 도어를 문틀 또는 바닥면에 장착시키는 힌지수단으로 구성되며, 힌지수단을 축으로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한 쪽이 힌지수단에 의해 각각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유리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바아와; 유리재와 바아를 연결 고정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 및 문틀의 한쪽 면으로부터 유리재와 바아 사이의 틈을 통해 문틀의 다른 쪽 면에 이르도록 배치되며, 고정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고정부이동공이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를 제공한다.
도어, 도어프레임, 강화유리판, 힌지, 커버, 바아, 탄성부재

Description

도어 구조체{DOOR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 중 바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 중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조립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어 20: 문틀
30: 힌지 100: 도어프레임
200: 유리재 210: 완충재
300: 바아 310: 몸체
312: 제1 고정공 314: 홈
320: 제1 캡 322: 삽입방지턱
324, 334: 돌출구 326: 돌출공
330: 제2 캡 332: 제2 고정공
340: 핀 350: 탄성부재
360: 지지구 362: 돌기
370: 높이조절와셔 400: 고정부
410: 고정부재 412: 연결구
412a: 제1 통공 420: 유리재장착구
422: 걸림구 422a: 제2 통공
424: 장착공 426: 바람마개
430: 고정수단 500: 커버
510: 고정부이동공
본 발명은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깨끗하며 미려한 외관을 부각시키거나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건물의 현관부터 건물 분위기를 밝게 하기 위하여 투명한 유리소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동시에 내구성도 우수한 강화유리판을 주재료로 하여 도어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도어(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유리재(200), 특히 강화유리판의 상하부에는 각각 도어프레임(100)이 배치된다. 도어프레임(100)은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즉 문틀(20)에 상, 하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힌지(30)를 축으로 회동하여 도어(10)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도어를 열 때 도어와 문틀 사이에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이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아울러,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도 도어와 문틀 사이에는 도어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에 신체 일부, 특히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데, 손가락 등이 끼여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움직이면 크게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도어와 문틀 간의 틈새에 의해 외부의 먼지, 바람 또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건물의 냉난방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405367호 "안전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가스켓"과 같이, 방풍과 더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안전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가스켓"은 장기간 사용시 무게에 따른 하중으로 볼트가 하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원활한 동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상기 문틀의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상기 유리재와 상기 문틀의 일측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상기 문틀의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아와; 상기 문틀의 한쪽 면으로부터 상기 문틀의 다른 쪽 면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아를 둘러싸는 형상이 되도록 하되, 고정부이동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유리재를 고정하며, 상기 바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이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바아와 연결되는 부분을 구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바아는, 단면이 반달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고, 한쪽 말단에 제1 고정공이 형성된 몸체와; 한쪽 일부가 상기 몸체의 한 쪽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쪽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며, 둘레를 따라 삽입방지턱이 형성되는 제1 캡과; 한쪽 일부가 상기 몸체의 다른 쪽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쪽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 에 고정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고정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고정공이 형성되는 제2 캡과; 상기 제1 고정공과 상기 제2 고정공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핀;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한쪽이 상기 제1 캡에 접하며, 다른 쪽이 상기 제2 캡에 접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캡 및 상기 제2 캡 사이의 상기 몸체 내부에는, 외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둘 이상이며, 적어도 상기 제1 캡과 상기 지지구 사이 및 상기 제2 캡과 상기 지지구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지지구의 돌기의 상측 및 하측에 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한쪽에는 제1 통공이 형성된 연결구가 마련되고, 다른 쪽은 상기 바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재와;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통공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걸림구가 상기 연결구에 접하도록 돌출 배치되는 유리재장착구; 및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구는 상기 유리재장착구에 장착 또는 분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구조체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 중 바아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 중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의 조립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어프레임은 통상 사용되는 도어프레임과 거의 유사하므로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생략하였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는 크게 도어프레임(도 1의 100)과 유리재(200), 바아(300), 고정부(400) 및 커버(500)로 구성된다.
도어프레임(도 1의 10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쪽이 힌지수단(도 1의 30)에 의해 각각 문틀(도 1의 20)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리재(200)는 전술한 도어프레임(도 1의 100) 사이에 배치되며, 강화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 사용되는 유리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재(200)는 통상 도어에 사용되는 유리재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도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유리재(20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하기에 서술하는 바아(300)가 위치하게 된다. 유리재(200)의 한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완충재(210)가 마련되어 유리재(20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유리재(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아(300)는 유리재(2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어프레임(도 1의 100) 사이에 배치되며, 몸체(310)와 제1 캡(320), 제2 캡(330) 및 핀(340)으로 구성된다. 몸체(310)는 단면이 반달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고, 한쪽 말단에 제1 고정공(312)이 형성되며 몸체(3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홈(314)이 형성된다. 제1 캡(320)은 한쪽 일부가 몸체(310)의 한 쪽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쪽 일부가 도어프레임(도 1의 100)에 고정되며, 제1 캡(320) 전체가 몸체(310) 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둘레를 따라 삽입방지턱(322)이 형성된다. 제2 캡(330)은 한쪽 일부가 몸체(310)의 다른 쪽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쪽 일부가 도어프레임(도 1의 100)에 고정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제1 고정공(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고정공(322)이 형성된다. 핀(340)은 전술한 제1 고정공(312)과 제2 고정공(322)을 관통하여 몸체(310)와 제2 캡(33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탄성부재(350)는 몸체(310) 내부에 배치되는데, 한쪽이 제1 캡(320)에 접하며 다른 쪽이 제2 캡(330)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캡(320)의 상면과 제2 캡(330)의 하면에는 각각 도어프레임(도 1의 100)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돌출구(324, 334)가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구(324, 334)에는 돌출공(326,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캡(320)과 제2 캡(330)의 돌출공(326, 미도시)은 돌출구(324, 334)가 도어프레임(도 1의 100)의 일측부에 삽입된 후 장착수단, 예를 들어 장착핀(미도시) 등이 돌출공(326)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바아(300)가 도어프레임(도 1의 100)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320)과 몸체(310) 사이에는 제1 캡(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와셔(3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와셔(370)는 도어의 제조회사, 시공방법 등에 따라 조금씩 변동될 수 있는 상부와 하부 도어프레임(도 1의 1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 캡(320)과 몸체(310) 사이에 배치되어 바아(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어 하부의 도어프레임(도 1의 100)이 외력 등에 의해 파손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원래 도어프레임(도 1의 100)과 다른 제조회사의 도어프레임을 사용하게 되면 높이가 맞지 않아 돌출구(334)의 삽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높이조절와셔(370)를 이용, 높이를 맞추어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높이조절와셔(370)는 치수별로, 예를 들어 2mm, 3mm, 5mm와 같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 다수 개로 준비하여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높이조절와셔(370)를 사용하였으나, 도 7에서는 높이조절와셔(37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아(300)는 도어프레임(도 1의 100)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제2 캡(320)에 외력을 가해 몸체(31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길이로 삽입되도록 하고, 바아(300)의 설치위치에 바아(300)를 놓은 후 몸체(310)의 내부로 삽입된 제2 캡(330)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캡이 원위치하여 바아(300)가 도어프레임(100) 사이에 고정되며,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310)에 형성된 제1 고정공(312)과 제2 캡에 형성된 제2 고정공(322) 중 어느 하나에 핀(340)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고정공(322)이 다수개로 형성될 경우 전술한 높이조절와셔(370)와 같이 제조회사, 시공방법 등에 따라 조금씩 변동될 수 있는 상부와 하부 도어프레임(도 1의 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바아(3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캡(320)과 제2 캡(33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50)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길어지면 탄성부재(350)가 유동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원하는 탄성력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320) 및 제2 캡(330) 사이의 몸체(310) 내부에, 외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362)가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구(360)를 위치시키고, 제 1 캡(320)과 제2 캡(330), 지지구(360)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350)가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탄성부재(350)는 지지구(360)의 돌기(362)의 상측 및 하측에 닿아 위치하여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지지구(360)가 몸체(310)와 같은 단면이 반달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나, 지지구(360)의 내부가 채워져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면이 반달 형상이 아닌 원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4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로 구성되어 유리재(200)와 바아(300)를 연결 고정하게 되는데, 고정부재(410)와 유리재장착구(420) 및 고정수단(430)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4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로 마련되는데, 한쪽에 제1 통공(412a)이 형성된 연결구(412)가 마련되고, 다른 쪽은 바아(300)를 감싸도록, 특히 바아(300)의 몸체(310)에 형성되어 있는 홈(314)에 장착된다. 유리재장착구(420)는 한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리재(20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통공(422a)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걸림구(422)가 연결구(412)에 접하도록 돌출 배치된다. 또한, 고정수단(430)은 제1 통공(412a) 및 제2 통공(422a)을 관통 배치되어 고정부재(410)와 유리재장착구(4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유리재장착구(420)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걸림구(422)를 유리재장착구(420)에 돌출되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유리재장착구(420)의 제작이 어려울 뿐더러 제조비용도 상승하게 되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422)가 배치될 위치에 장착공(424)을 형성하고, 걸림구(422) 를 별도로 제작한 후 장착공(424)을 통해 걸림구(422)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커버(500)는 문틀(도 1의 20)의 한쪽 면으로부터 유리재(200)와 바아(300) 사이의 틈을 통해 문틀(도 1의 20)의 다른 쪽 면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커버(500)에는 고정부(400)와 대응되는 부분에 고정부이동공(510)이 형성된다.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커버(500)는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으나, 바아(300)와 유리재(200)는 동작되며, 이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400) 또한 동작되게 되므로 고정부(400)의 동작거리만큼 고정부이동공(510)이 일정 거리를 갖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도어의 설치위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도어가 한쪽으로만 열리고 닫히게 구성되거나 양쪽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도어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를 커버에 형성된 고정부이동공(510)의 형상이나 길이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유리재장착구(420)와 커버(500) 사이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틈이 형성되는데, 이 틈을 통해 외부의 먼지, 바람 또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건물의 냉난방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리재장착구(420)의 한쪽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장착홈에 바람마개(426)를 설치하여 이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바람마개(426)는 도어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헤어(Mohair)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조체에 의하면,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상기 문틀의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상기 유리재와 상기 문틀의 일측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상기 문틀의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아와;
    상기 문틀의 한쪽 면으로부터 상기 문틀의 다른 쪽 면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아를 둘러싸는 형상이 되도록 하되, 고정부이동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유리재를 고정하며, 상기 바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이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바아와 연결되는 부분을 구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단면이 반달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고, 한쪽 말단에 제1 고정공이 형성된 몸 체와;
    한쪽 일부가 상기 몸체의 한 쪽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쪽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며, 둘레를 따라 삽입방지턱이 형성되는 제1 캡과;
    한쪽 일부가 상기 몸체의 다른 쪽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쪽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고정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고정공이 형성되는 제2 캡과;
    상기 제1 고정공과 상기 제2 고정공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핀;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한쪽이 상기 제1 캡에 접하며, 다른 쪽이 상기 제2 캡에 접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및 상기 제2 캡 사이의 상기 몸체 내부에는,
    외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둘 이상이며, 적어도 상기 제1 캡과 상기 지지구 사이 및 상기 제2 캡과 상기 지지구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지지구의 돌기의 상측 및 하측에 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쪽에는 제1 통공이 형성된 연결구가 마련되고, 다른 쪽은 상기 바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재와;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통공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걸림구가 상기 연결구에 접하도록 돌출 배치되는 유리재장착구; 및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유리재장착구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체.
KR1020070019329A 2007-02-27 2007-02-27 도어 구조체 KR10084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329A KR100849161B1 (ko) 2007-02-27 2007-02-27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329A KR100849161B1 (ko) 2007-02-27 2007-02-27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161B1 true KR100849161B1 (ko) 2008-07-30

Family

ID=3982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329A KR100849161B1 (ko) 2007-02-27 2007-02-27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61B1 (ko) * 2018-03-16 2018-12-24 서원상협(주)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550A (ja) * 1994-04-05 1995-10-27 Fuji Seiko Honsha:Kk 防水扉装置
KR200186803Y1 (ko) 1999-11-02 2000-06-15 박정규 어린이 손가락 부상 방지 도어
KR200202027Y1 (ko) 2000-05-29 2000-11-01 김재겸 도어용 경첩
KR200224343Y1 (ko) 2000-11-21 2001-05-15 남성현 출입문의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550A (ja) * 1994-04-05 1995-10-27 Fuji Seiko Honsha:Kk 防水扉装置
KR200186803Y1 (ko) 1999-11-02 2000-06-15 박정규 어린이 손가락 부상 방지 도어
KR200202027Y1 (ko) 2000-05-29 2000-11-01 김재겸 도어용 경첩
KR200224343Y1 (ko) 2000-11-21 2001-05-15 남성현 출입문의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61B1 (ko) * 2018-03-16 2018-12-24 서원상협(주)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10B1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US11708718B2 (en) Multifunctional window
KR20090072558A (ko) 시스템 창호
KR102082429B1 (ko) 창호용 호차
CN105507783A (zh) 一种模块化门底密封装置
KR100849161B1 (ko) 도어 구조체
KR101526177B1 (ko)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1459682B1 (ko)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1569750B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밀착식 창호
KR20130049928A (ko) 선박용 도어의 오토씰 패킹장치
KR20140057896A (ko) 크린룸 도어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100667447B1 (ko) 도어 액츄에이터 수분유입방지장치
KR101707932B1 (ko)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KR101366456B1 (ko)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20080096159A (ko) 원형 안전도어
KR101549833B1 (ko) 창호용 탄성 풍지판
KR200456497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KR200186904Y1 (ko) 방풍용 창문틀 구조
CN209384883U (zh) 一种门窗型材
KR101553675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