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159A - 원형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원형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159A
KR20080096159A KR1020070041257A KR20070041257A KR20080096159A KR 20080096159 A KR20080096159 A KR 20080096159A KR 1020070041257 A KR1020070041257 A KR 1020070041257A KR 20070041257 A KR20070041257 A KR 20070041257A KR 20080096159 A KR20080096159 A KR 2008009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material
cover
door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근
Original Assignee
이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근 filed Critical 이혜근
Priority to KR102007004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159A/ko
Publication of KR2008009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06B2003/663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형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있어서, 힌지부재에 의해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유리재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양측 말단에 형성된 날개가 유리재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도어프레임과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버; 및 문틀에 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삽입홈이 형성되며, 커버의 일부가 커버삽입홈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문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를 제공한다.
도어, 도어프레임, 강화유리, 힌지, 커버, 바아, 경사면, 바람막이

Description

원형 안전도어{CIRCULAR SAFETY DOOR}
도 1은 종래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형 안전도어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홈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어 200: 문틀
300: 힌지 10: 도어프레임
20: 유리재 30: 커버
32: 커버날개 40: 문틀프레임
42: 커버삽입홈 44, 72: 경사면
46, 74: 결합홈 48, 76: 바람막이
50: 고무재장착부 52: 고무재장착홈
54: 고무재 54a: 공기유통공
60: 장착바아 62: 날개장착홈
70: 홈형성부 A: 실리콘
본 발명은 원형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형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깨끗하며 미려한 외관을 부각시키거나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건물의 현관부터 건물 분위기를 밝게 하기 위하여 투명한 유리소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동시에 내구성도 우수한 강화유리판을 주재료로 하여 도어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도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유리재(20), 특히 강화유리판의 상하부에는 각각 도어프레임(10)이 배치된다. 도어프레임(10)은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즉 문틀(200)에 상, 하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 게 설치되며, 힌지(300)를 축으로 회동하여 도어(100)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도어를 열 때 도어와 문틀 사이에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이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아울러,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도 도어와 문틀 사이에는 도어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에 신체 일부, 특히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데, 손가락 등이 끼여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움직이면 크게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도어와 문틀 간의 틈새에 의해 외부의 먼지, 바람 또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건물의 냉난방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405367호 "안전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가스켓"과 같이, 방풍과 더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안전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가스켓"은 장기간 사용시 무게에 따른 하중으로 볼트가 하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원활한 동작이 어려워지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형 안전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 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형 안전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있어서, 힌지부재에 의해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상기 유리재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양측 말단에 형성된 날개가 상기 유리재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버; 및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부가 상기 커버삽입홈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문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있어서, 힌지부재에 의해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상기 유리재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양측 말단에 형성된 날개가 상기 유리재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버와;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문틀프레임; 및 상기 문틀프레임의 한쪽 면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어 커버삽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홈형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삽입홈은 입구로부터 상기 커버삽입홈의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 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장착홈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착바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날개는 상기 날개장착홈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삽입홈의 경사면에는 상기 문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바람막이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형 안전도어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어프레임은 통상 사용되는 도어프레임과 동일하므로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생략하여 나타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크게 도어프레임(도 1의 10)과 유리재(20), 커버(30), 문틀프레임(40) 및 고무재장착부(50) 및 장착바아(60)로 구성된다.
도어프레임(도 1의 1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힌지부재(도 1의 30)에 의해 각각 문틀(도 1의 20)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리재(20)는 전술한 도어프레임(도 1의 10)의 내측에 상부 및 하부의 일부분이 위치되도록 하여 도어프레임(도 1의 10)의 사이에 배치되며,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 사용되는 유리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 용되는 유리재(20)는 통상 도어에 사용되는 유리재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무게 또한 줄일 수 있게 되며, 도어프레임(도 1의 10) 사이에 유리재(2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고무재장착부(50)가 위치하게 된다.
커버(30)는 단면이 반원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고, 두 개의 개수로 구비되어 유리재(20)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는 유리재(20)의 전면에, 다른 하나는 유리재(20)의 후면에 위치된다. 커버(30)는 도어프레임(도 1의 10)과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도어프레임(도 1의 10)의 두께(약 30mm)는 유리재(20)의 두께(약 12mm)보다 두껍게 구성되므로 커버(30)를 도어프레임(도 1의 10)에 접하도록 배치할 경우 커버(30)와 유리재(20) 사이에 공간(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커버 사이에 각각 약 9mm)이 형성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하기에 서술하는 장착바아(60)가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되고, 커버(30)의 양측말단 중앙측에 커버(30)의 길이보다 짧게, 즉 도어프레임(도 1의 10) 사이의 길이에 맞도록 형성된 커버날개(32)가 장착바아(60)에 끼워지게 된다.
문틀프레임(40)은 문틀(도 1의 20)에 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삽입홈(42)이 형성되며, 커버(30)의 일부가 전술한 커버삽입홈(42)에 삽입되되 도어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커버삽입홈(42)에 삽입된 커버(30)의 일부는 커버삽입홈(42)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커버(30)와 문틀프레임(40) 사이에 약간의 틈이 형성된다. 이때, 커버삽입홈(42)은 입구로부터 커버삽입홈(42)의 내면 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44)이 형성되어 문틀프레임(40)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M" 또는 "∑"와 유사한 형상을 갖게 된다.
고무재장착부(50)는 유리재(20)의 다른 쪽, 즉 커버(30)가 위치하는 부분의 반대쪽에 배치되며 유리재(20)의 다른 쪽 길이방향을 따라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고무재장착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사용되는 것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리재(20)의 폭을 보충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운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무재장착부(50)의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고무재장착홈(52)이 형성되고, 고무재장착홈(52)에는 고무재(54)가 끼워짐으로써 사람의 손 등이 끼더라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무재(54)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공(54a)을 형성하여 재료절감 및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리재(20)와 고무재장착부(50) 사이에는 고무재질 등의 완충재(미도시)를 배치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무재장착부(50)에 의해 유리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장착바아(60)는 도어프레임(도 1의 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리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두 개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바아(60)의 두께는 유리재(20)와 도어프레임(도 1의 10)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의 두께(약 9mm)와 같도록 형성되어 커버(30)를 도어프레임(도 1의 10)에 접하도록 배치했을 때 장착바아(60)와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장착바아(60)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장착홈(62)이 형성되며, 전술한 커버날개(32)가 날개장착홈(62)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날개장착홈(62)은 반원 형상으로 휘어있는 커버(30)가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꺾여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재료 절감 및 하중 감소를 위해 장착바아(60)의 내부는 중공의 형상으로, 즉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에서는 장착바아(60)가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두 개씩, 총 4개가 배치되며, 커버(30) 또한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하나씩 총 2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커버(30)가 하나의 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커버삽입홈(42)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제2 실시예에서는 커버삽입홈(42)의 단면 형상을 일부가 커버삽입홈(42)에 삽입되는 커버(30)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커버(30)와 문틀프레임(40) 사이의 틈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장착바아(60)가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커버(30)는 커버날개(32)가 이러한 장착바아에 끼워짐으로써 유리재(20)의 전 면 및 후면 일부 외에 한쪽 측면까지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어프레임(도 1의 10)의 내부 일측에는 유리재(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조절부, 예를 들어 조절볼트(미도시)가 배치되고, 이를 외부에서 조여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도 1의 10)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에서는 전술한 통공과 연통되도록 커버(30)의 상측에 관통공(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3 실시예의 경우 장착바아(60)가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4 실시예에서는 장착바아(60)가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30)가 유리재(20)에 접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커버날개(32)의 폭보다 제4 실시예의 커버날개(32)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커버날개(32)와 유리재(20)를 접합,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문틀프레임(40)에 형성된 커버삽입홈(42)의 경사면(44)에 문틀프레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람막이(48)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홈(46)이 형성된다. 도어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커버삽입홈(42)에 삽입된 커버(30)의 일부는 커버삽입홈(42)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커버(30)와 문틀프레임(40)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는데, 이 틈을 통해 외부의 먼지, 바람 또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건물의 냉난방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삽입홈(42)의 경사면(44)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46)을 형성하고, 이러한 결합홈(46)에 바람막이(48)를 설치하여 이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막이(48)는 도어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헤어(Mohair)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홈(46)은 커버삽입홈(42)의 다른 쪽 경사면(44)에 형성되거나 경사면(44)과 경사면(44) 사이의 평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홈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문틀(도 1의 200) 또는 문틀프레임(40)에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와 같이 커버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커버(30)와 문틀(도 1의 200) 또는 문틀프레임(4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형성부(7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커버삽입홈(42)을 만든 후 커버(30)의 일부를 만들어진 커버삽입홈(42)에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홈형성부(7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문틀(도 1의 200) 또는 문틀프레임(40)의 한쪽 면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어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같은 커버삽입홈(4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홈형성부(70)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72)에는 바람막이(76)를 장착할 수 있는 결합홈(7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홈형성부(70) 모두에 결합홈(74)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모두 결합홈(74)이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홈형성부(70)의 경사면(72)이 도 2 및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게 형성되어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처럼 곡선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의 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및 제8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전술한 제6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이에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6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기로 한다.
먼저,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제6 실시예와 유사하나 형상이 다르게 구성된 홈형성부(70)가 마련되고, 이러한 홈형성부(70)의 경사면(72)에는 결합홈(74)이 형성되어 바람막이(76)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홈형성부(70)를 구성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홈형성부(70)의 공간, 즉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의 커버삽입홈에는 커버(30)의 일부가 삽입된다.
커버(3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개수로 구비되어 유리재(20)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는 유리재(20)의 전면에, 다른 하나는 유리재(20)의 후면에 위치된다. 이때, 커버(30)의 양측말단 중앙측에 형성되는 커버날개(32)는 더욱 장착하기 쉽고, 쉽게 장착바아(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일부가 거의 직각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버(30)의 일부를 중심 방향으로 밀어넣는 형 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커버(30)를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30)가 유리재(20)를 가로막는 부분을 줄여서 사람들의 시야를 더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장착바아(6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리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리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두 개가 각각 배치되는데, 제1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며 특히, 커버(30)의 날개장착홈(62)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는 제7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30)와 장착바아(60)가 전술한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가 양쪽으로 열리고 닫히는 양문형 도어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단문형 도어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안전도어에 의하면,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무게를 줄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수명연장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도어에 있어서,
    힌지부재에 의해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상기 유리재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양측 말단에 형성된 커버날개가 상기 유리재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버; 및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부가 상기 커버삽입홈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문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2. 도어에 있어서,
    힌지부재에 의해 문틀의 상단과 하단 또는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재와;
    상기 유리재의 한쪽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양측 말단에 형성된 커버날 개가 상기 유리재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 일부를 감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버와;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문틀프레임; 및
    상기 문틀프레임의 한쪽 면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어 커버삽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홈형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삽입홈은 입구로부터 상기 커버삽입홈의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장착홈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착바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날개는 상기 날개장착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재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장착홈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착바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날개는 상기 날개장착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삽입홈의 경사면에는 상기 문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바람막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삽입홈의 내면에는 상기 문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바람막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안전도어.
KR1020070041257A 2007-04-27 2007-04-27 원형 안전도어 KR20080096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57A KR20080096159A (ko) 2007-04-27 2007-04-27 원형 안전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57A KR20080096159A (ko) 2007-04-27 2007-04-27 원형 안전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59A true KR20080096159A (ko) 2008-10-30

Family

ID=4015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57A KR20080096159A (ko) 2007-04-27 2007-04-27 원형 안전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28B1 (ko) * 2008-08-19 2011-06-20 이혜근 도어용 몰딩
KR102091352B1 (ko) * 2019-06-14 2020-03-19 주식회사 에이원산업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28B1 (ko) * 2008-08-19 2011-06-20 이혜근 도어용 몰딩
KR102091352B1 (ko) * 2019-06-14 2020-03-19 주식회사 에이원산업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EP3348737A1 (en) Roof window particularly for flat roofs
HUE028965T2 (en) For use in a tablet module window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0456643Y1 (ko)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JP4067570B2 (ja) とくに傾斜屋根面に取り付けるための窓
KR20080096159A (ko) 원형 안전도어
BE1006136A3 (fr) Module pour la realisation de facade tout verre.
US20180112456A1 (en) Jalousie Window Device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DK3199718T3 (en) Flat roof skylight and weather protection for this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102636070B1 (ko) 창호
KR102112223B1 (ko) 슬림형 여닫이창
KR20090112775A (ko) 미닫이문용 방풍부재 및 그 장착구조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0387902Y1 (ko) 안전 및 내구성이 향상된 목재 미닫이문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ES1059865U (es) Puerta de vehiculo automovil con ventanilla.
KR101043128B1 (ko) 도어용 몰딩
KR20110065880A (ko) 고기능 창유리 적용 창호
CN209384883U (zh) 一种门窗型材
JP4860943B2 (ja) 扉装置
KR100849161B1 (ko) 도어 구조체
CN213175296U (zh) 高水密性内置隐纱平开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20

Effective date: 200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