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128B1 - 도어용 몰딩 - Google Patents

도어용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128B1
KR101043128B1 KR1020080080773A KR20080080773A KR101043128B1 KR 101043128 B1 KR101043128 B1 KR 101043128B1 KR 1020080080773 A KR1020080080773 A KR 1020080080773A KR 20080080773 A KR20080080773 A KR 20080080773A KR 101043128 B1 KR101043128 B1 KR 10104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lding
holder
glass material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138A (ko
Inventor
이혜근
Original Assignee
이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근 filed Critical 이혜근
Priority to KR102008008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어의 유리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홀더를 매개로 또는 직접 유리재에 부착되는 고정부가 양측단에 형성된 보호덮개로 구성되어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도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표면에 찌그러짐이나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도어의 교체 또는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용 몰딩{MOLDING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몰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도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표면에 찌그러짐이나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도어의 교체 또는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도어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각종 건물의 출입구나, 사무실과 오피스텔 등의 출입문으로는, 미려한 외관 및 투명재에 의한 장점과 편리성, 그리고 경제성 등으로 인해 유리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시공 및 해체 또는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여 대부분의 도어가 유리문으로 교체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유리문은 통상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건물의 현관부터 분위기를 밝게 함과 동시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강화유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라 유리문으로 된 도어조립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도어조립체(100)는 유리재(1)를 둘러싸는 상부프레임(2) 및 하부프레 임(3)과 한 쌍의 측부프레임(4)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10)와; 건물 등의 벽체에 앵커볼트와 같은 다수의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과,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힌지(11,11a)들에 의해 도어(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22)을 포함하는 문틀(20);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도어(10)를 여닫는 과정에서 도어(10)와 문틀(20) 사이 또는 양쪽 도어(10) 사이의 틈새에 사람의 손가락이 끼어 있는 상태로 도어(10)가 닫히게 되면, 손가락이 골절되는 등의 심각한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출입문에 의한 안전사고는 어른들에 비하여 장난이 심하고 주의력이 산만한 어린이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며 실제로 매우 위험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어의 설치 후에는 도어(10)와 문틀(20) 사이 또는 양쪽 도어(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의해 난방이나 냉방이 잘 되질 않아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상기 틈새들에 의해 외부의 먼지 또는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방풍과 더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도어조립체가 제안되었지만, 이들 도어조립체의 대부분은 도어(10)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서, 장기간 사용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도어(10)가 충분히 보호되지 못하여 표면에 찌그러짐이나 긁힘 자국이 생겨 심한 경우에 도어(10)의 원활한 동작이 어렵고 틈새가 더 벌어지는 부분이 생겨 방풍 및 안전사고의 방지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도어(10)가 파손되면 일부 프레임만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도어(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작은 손상에도 도어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고 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도어용 몰딩을 제안함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도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표면에 찌그러짐이나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도어의 교체 또는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은, 도어의 유리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유리재에 부착되는 고정부가 양측단에 형성된 보호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은, 도어의 유리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양측단에 고정부가 형성된 보호덮개와; 이 보호덮개의 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은, 도어의 유리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양측단에 고정부가 형성된 보호덮개와; 이 보호덮개의 양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축부가 형성된 한 쌍의 홀더 및; 일단은 상기 유리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호덮개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도어용 몰딩을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외관이 고품격 미관을 갖도록 꾸며주며, 도어가 개폐될 때 도어와 문틀 또는 도어와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난방이나 냉방을 할 때 에너지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도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표면에 찌그러짐이나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만약 몰딩이 파손된 경우에는 단순히 몰딩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도어의 교체 또는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이 적용될 수 있는 도어조립체는, 도 2와, 도 3, 도 5, 도 6, 도 8 등에 그 일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재(1)와, 이 유리재(1)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도 1 참조) 및 하부프레임(3:도 1 참조)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10)와; 상기 도어(10)의 하부프레임(3) 일측에 연결되 는 플로어 힌지(11a:도 1 참조) 및; 상기 도어(10)의 상부프레임(2) 일측에 연결되는 힌지(11:도 1 참조)를 갖추어 도어(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공의 수평프레임(22:도 1 참조)과, 일측면이 다수의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벽체(6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을 구비하는 문틀(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은 양문형(兩門形) 또는 단문형(單門形) 도어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어가 3개 이상인 구조에도 적용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40)은, 도어(10)의 유리재(1)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이 몰딩(40)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고서, 유리재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고정부(41a)가 양측단에 형성된 보호덮개(41)로 구성된다.
보호덮개(41)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반원의 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강성과 화려한 미관이 창출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원의 만곡면으로 인해 몰딩(40), 특히 보호덮개(41)의 찌그러짐이나 표면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보호덮개(41)의 양측 선단에는 그들의 연장선이 이루는 가상의 수평면 상에 위치고서 서로를 향해 뻗어 있는 고정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41a)는 각각 예컨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유리재(1)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은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40)은, 도어(10)의 유리재(1)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이 몰딩(40)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고서 양측단에 고정부(41a)가 형성된 보호덮개(41)와, 이 보호덮개(41)의 양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41a)가 결합되는 결합부(42a)가 형성된 한 쌍의 홀더(42)로 구성된다.
보호덮개(41)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반원의 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반원의 만곡면으로 인해 몰딩(40), 특히 보호덮개(41)의 찌그러짐이나 표면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보호덮개(41)의 양측 선단에는 그들의 연장선이 이루는 가상의 수평면 상에 위치한 고정부(41a)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고정부(41a)는 후술하는 홀더(42)의 홈 형태로 된 결합부(42a)에 삽입되도록 결합부(4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춘 돌기가 바깥쪽을 향해 뻗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에 사용될 수 있는 홀더의 결합부와 이에 상응한 보호덮개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변형예들 중, 도 4의 (a)와 (b)에는 고정부(41a)에 홈이 형성되고 결합부(42a)에 돌기가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결합구조는 신뢰성 있는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도 4의 (c)에는 고정부(41a)가 단순히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서 결합부(42a)가 홈으로 된 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결합구조는 단순한 구 조이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몰딩(40)은 도어(10)의 상부프레임(2) 상단에서 하부프레임(3) 하단까지 뻗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한편, 홀더(42)는 상부프레임(2) 및 하부프레임(3)의 사이에 있는 유리재(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각각 예컨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유리재(1)에 부착된다. 이러한 홀더(42)의 본체는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고 긴 판부재 또는 도 4의 (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형상의 가늘고 긴 파이프부재로 되고서, 유리재(1)와의 부착면 반대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결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42)를 도어(10)에 부착할 때에는, 도어(10)의 상부프레임(2) 및 하부프레임(3)과 간섭되지 않도록 홀더(42)의 상부 끝쪽 일부와 하부 끝쪽 일부가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42)는 예컨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d) 내지 (f)에는, 홀더(42)의 본체가 파이프부재로 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본체는 대략 삼각형이나, 사각형, 타원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 한편, 고정부(41a)와 결합되는 결합부(42a)의 형태는 각각 도 4의 (a) 내지 (c)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또, 이러한 홀더(42)를 도어(10)에 부착할 때에는, 도어(10)의 상부프레임(2) 및 하부프레임(3)과 간섭되지 않도록 홀더(42)의 상부 끝쪽 일부와 하부 끝쪽 일부가 단차부를 이루도록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40)은, 도어(10)의 유리재(1)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이 몰딩(40)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고서 양측단에 고정부(41a)가 형성된 보호덮개(41)와, 이 보호덮개(41)의 양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41a)가 결합되는 결합부(42a)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축부(42b)가 형성된 한 쌍의 홀더(42) 및, 일단은 상기 유리재(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호덮개(4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제3실시예의 보호덮개(41)는 전체적으로 제2실시예의 보호덮개와 유사하다. 다만, 제3실시예의 보호덮개(41)는 그 내부면에 후술하는 스프링(45)을 용이하게 위치시키고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용 삽입부(41b)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에 사용될 수 있는 홀더의 결합부와 이에 상응한 보호덮개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홀더(42)는 결합부(42a)가 형성된 반대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부(4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홀더와 유사하다.
도시된 변형예들 중, 도 6의 (a) 내지 (c)에는 홀더(42)의 본체가 판부재로 되고서 신축부(42b)를 구비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도 6의 (d) 내지 (f)에는, 홀더(42)가 차례로 파이프부재에 신축부(42b) 및 결합부(42a)를 구비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재로 된 본체는 대략 삼각형 이나, 사각형, 타원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 한편, 고정부(41a)에 결합되는 결합부(42a)의 형태는 도 4의 (a) 내지 (f)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42b)는 판이 지그재그식으로 접철되게 형성된 것으로, 이 신축부(42b)의 결합부 반대쪽 표면(또는 파이프부재의 밑면)이 예컨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유리재(1)에 부착된다. 이러한 신축부(42b)는 후술하는 스프링(45)의 탄성력에 대해 반응하여 홀더(42)가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신축부(42b)를 포함한 홀더(42)의 제조 및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홀더(42) 전체가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42)들 사이에서 유리재(1)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호덮개(41)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스프링(45)이 설치되는데, 이 스프링(45)은 스프링용 삽입부(41b)에 끼워지기 때문에 유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45)으로 인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몰딩(40) 내지 유리재(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스프링(45)이 몰딩(40)을 지지하고 충분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한,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3개 내지 5개의 스프링(4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개수에 따라 스프링용 삽입부(41b)의 개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40)은, 도어(10)의 유리재(1)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이 몰딩(40)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고서 양측단에 고정부(41a)가 형성된 보호덮 개(41)와, 이 보호덮개(41)의 양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41a)가 결합되는 결합부(42a)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축부(42b)가 형성된 한 쌍의 홀더(42)와, 이들 홀더(42) 사이에서 유리재(1)에 부착되는 다수의 기둥형 지지부재(44) 및, 일단 쪽은 상기 지지부재(44)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보호덮개(4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제4실시예의 보호덮개(41)는 실질적으로 제3실시예의 보호덮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4실시예의 홀더(42)는 실질적으로 제3실시예의 홀더 및 도 6에 도시된 변형예들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42)들 사이에서 유리재(1)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는 기둥형 지지부재(44)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보호덮개(41)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스프링용 삽입부(41b)에 끼워지도록 스프링(45)이 설치되는데, 이 스프링(45)은 지지부재(44)에 끼워져 있으면서 스프링용 삽입부(41b)에도 끼워지기 때문에 유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45)은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개수가 한정되지 않지만 3개 내지 5개의 스프링(4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개수에 따라 스프링용 삽입부(41b) 및 지지부재(44)의 개수가 결정되어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들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40)은, 상기 도어(10)의 유리재(1)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 치되되, 이 몰딩(40)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고서 일측단에 고정부(41a)가 형성되며 반대측단에 고정면(41c)이 단차지게 형성된 보호덮개(41)와, 이 보호덮개(41)의 고정부(41a)가 형성된 일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41a)가 결합되는 결합부(42a)가 형성된 홀더(42)로 구성된다.
제5실시예의 보호덮개(41)는 전체적으로 제2실시예의 보호덮개와 유사하다. 다만, 제5실시예의 보호덮개(41)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도어(10)의 일측선단에 폭방향으로 단차진 연장부(10a)가 형성된 경우 또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도어(10)의 일측선단에 폭방향으로 단차지게 측부프레임(4:도 1 참조)이 설치된 경우에, 상기 연장부(10a) 또는 측부프레임(4)의 측면에 예컨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된 단차진 고정면(41c)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또, 이 보호덮개(41)는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반원으로 된 중공의 튜브형태로 되거나 반원의 호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면(41c)이 형성된 선단의 반대측 선단을 따라, 홀더(42)의 결합부(42a)에 결합되도록 이 결합부(4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추고서 바깥쪽을 향해 뻗어 있는 하나의 고정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1a)와 결합되는 홀더(42)의 결합부(42a)의 형태는 도 4의 (a) 내지 (f)와 동일하되,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덮개(41)의 고정부(41a)가 형성된 선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1)에 부착되는 단지 하나의 홀더(42)만 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어(10)와 바닥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게 되고, 더욱이 도어(10)의 하부프레임(3)이 대부분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도어(10)를 여닫는 과정에서 상기 틈새에 사람의 신발 또는 심지어는 발가락이 끼어, 신발이 손상되거나 발가락을 다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평보호대(50)가 도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게 된다. 이 수평보호대(50)는 도어(10)의 상부프레임(2)의 윗면 또는 하부프레임(3)의 밑면을 둘러싸는 예컨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료로 된 덮개(51)와, 이 덮개(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51a)에 장착되어 문틀의 수평프레임(22) 또는 바닥 쪽을 향해 뻗은 바람막이(12)로 이루어지며, 이 바람막이(12)는 모헤어(Mohair)나 고무로 된 스트립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도어(1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도어(10)와 수직프레임(21)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있게 되는데, 이 틈새를 통해 외부의 바람이나 먼지 또는 빗물이 유입되거나, 건물의 냉난방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조부재(24)가 상기 틈새를 이루는 수직프레임(21) 상에 부착되고서 이 보조부재(24)에다 결합홈(24a)을 형성하여, 여기에 바람막이(12)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바람막이(12)는 도어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헤어나 고무로 된 스트립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 및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40)이 도어(10)에서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만 기술되고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쪽 선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더구나,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유리재(1)의 힌지(11,11a)와 가까운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이 몰딩(40)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고서, 유리재(1)를 둘러싸는 측부프레임(4:도 1 참조)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고정부(41a)가 일측에 형성된 보호덮개(41)로 구성된다.
보호덮개(4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추가로, 보호덮개(41)의 일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고정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41a)는 각각 예컨대 용접이나 고정구 등으로 측부프레임(4)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용 몰딩은 도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구성을 더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41)의 고정부 반대측에다 결합홈(41d)을 형성하여, 여기에 바람막이(12)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바람막이(12)는 도어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헤어나 고무로 된 스트립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유리문으로 된 도어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에 사용될 수 있는 홀더의 결합부와 이에 상응한 보호덮개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에 사용될 수 있는 홀더의 결합부와 이에 상응한 보호덮개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수평보호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보조부재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몰딩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2)

  1. 일측선단에 폭방향으로 단차진 측부프레임(4)이 설치된 도어(10)의 유리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일측단에 고정부(41a)가 형성되며 반대측단에는 도어(10)에 설치된 단차진 측부프레임(4)에 부착되는 고정면(41c)이 형성된 한쌍의 보호덮개(41)와;
    상기 보호덮개(41)의 고정부(41a)가 형성된 일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41a)가 결합되는 결합부(42a)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축부(42b)가 형성된 한쌍의 홀더(42)를 구비하는 도어용 몰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측선단에 폭방향으로 단차진 연장부(10a)가 형성된 도어(10)의 유리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길이방향 선단을 따라 설치되되,
    일측단에 고정부(41a)가 형성되며 반대측단에는 도어(10)의 단차진 연장부(10a)에 부착되는 고정면(41c)이 단차지게 형성된 한쌍의 보호덮개(41)와;
    상기 보호덮개(41)의 고정부(41a)가 형성된 일측단에 상응한 위치에서 유리재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41a)가 결합되는 결합부(42a)가 형성되며 타측에 신축부(42b)가 형성된 한쌍의 홀더(42)를 구비하는 도어용 몰딩.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41)는 반원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몰딩.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2)의 본체는 얇고 긴 판부재 또는 가늘고 긴 파이프부재로 되고, 유리재와의 부착면 반대측에 결합부(4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몰딩.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1a)는, 상기 홀더(42)의 홈 형태로 된 결합부(42a)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부(4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홀더(42)의 돌기 형태로 된 결합부(42a)를 삽입하도록 홈 행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몰딩.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2)의 본체가 파이프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몰딩.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문틀(20)의 수직프레임(21) 상에 부착되고 결합홈(24a)과 상기 결합홈(24a)에 설치되는 바람막이(12)를 포함하는 보조부재(24)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어용 몰딩.
KR1020080080773A 2008-08-19 2008-08-19 도어용 몰딩 KR10104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773A KR101043128B1 (ko) 2008-08-19 2008-08-19 도어용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773A KR101043128B1 (ko) 2008-08-19 2008-08-19 도어용 몰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138A KR20080081138A (ko) 2008-09-08
KR101043128B1 true KR101043128B1 (ko) 2011-06-20

Family

ID=4002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773A KR101043128B1 (ko) 2008-08-19 2008-08-19 도어용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962B1 (ko) * 2019-08-08 2020-04-14 류주연 유리창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27B1 (ko) * 2011-04-12 2013-09-10 최승수 착탈식 출입문 보호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366A (ko) * 2001-12-31 2003-07-07 (주)이지엔콘솔 신용등급 관리 서비스 방법
KR20030085556A (ko) * 2001-03-16 2003-11-0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라만을 이용한 전송용 분산조절 케이블
KR200358366Y1 (ko) 2004-04-28 2004-08-06 임흥빈 회전식 안전강화유리문의 안전구
KR200385556Y1 (ko) * 2005-03-10 2005-05-31 고문수 강화유리문용 안전커버
KR20080063724A (ko) * 2008-04-22 2008-07-07 이혜근 이중 안전도어
KR20080096159A (ko) * 2007-04-27 2008-10-30 이혜근 원형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556A (ko) * 2001-03-16 2003-11-0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라만을 이용한 전송용 분산조절 케이블
KR20030058366A (ko) * 2001-12-31 2003-07-07 (주)이지엔콘솔 신용등급 관리 서비스 방법
KR200358366Y1 (ko) 2004-04-28 2004-08-06 임흥빈 회전식 안전강화유리문의 안전구
KR200385556Y1 (ko) * 2005-03-10 2005-05-31 고문수 강화유리문용 안전커버
KR20080096159A (ko) * 2007-04-27 2008-10-30 이혜근 원형 안전도어
KR20080063724A (ko) * 2008-04-22 2008-07-07 이혜근 이중 안전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962B1 (ko) * 2019-08-08 2020-04-14 류주연 유리창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138A (ko) 2008-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200468255Y1 (ko)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KR101441430B1 (ko) 창호용 조립식 방풍부재
KR101043128B1 (ko) 도어용 몰딩
KR101002861B1 (ko) 이중 안전도어
KR200385556Y1 (ko) 강화유리문용 안전커버
KR100903205B1 (ko) 보안경을 갖는 안전모
KR101321711B1 (ko) 미닫이문용 기밀재
KR20150078869A (ko)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ES2681445T3 (es) Campana extractora de vapores, en particular campana en isla
KR200300419Y1 (ko) 도어용 안전장치
US20180112456A1 (en) Jalousie Window Device
KR200395349Y1 (ko) 강화도어용 완충장치
KR20090112775A (ko) 미닫이문용 방풍부재 및 그 장착구조
KR200312111Y1 (ko) 출입문용 문풍대
KR200354016Y1 (ko) 강화유리도어용 프레임의 안전바 이탈방지장치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JP5632808B2 (ja) 建具
CN210977111U (zh) 汽车推拉窗
KR101626096B1 (ko) 손 보호용 미닫이문형 출입문
KR20060099904A (ko) 광고부가 구비된 강화유리문
JP2007056506A (ja) 引込戸
KR20080096159A (ko) 원형 안전도어
WO2002065884A1 (es) Mampara enrollable para baño y ducha
KR200279148Y1 (ko) 완충고무테와 겸용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부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