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255Y1 -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255Y1
KR200468255Y1 KR2020120012352U KR20120012352U KR200468255Y1 KR 200468255 Y1 KR200468255 Y1 KR 200468255Y1 KR 2020120012352 U KR2020120012352 U KR 2020120012352U KR 20120012352 U KR20120012352 U KR 20120012352U KR 200468255 Y1 KR200468255 Y1 KR 200468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andrail pipe
fastening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정원
Original Assignee
(주)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진 filed Critical (주) 일진
Priority to KR2020120012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의 전방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어린이 등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은, 창을 개폐하는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에,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810)와;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설치되는 벽면(W)에 고정 장착되는 체결판(820)과; 상기 체결판(820)과 난간파이프(8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난간파이프(810)가 상기 체결판(8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재(8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830)는, 일단은 상기 체결판(820)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난간파이프(810)에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에 의하면, 어린이나 환자가 창문을 통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Balustrade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falling}
본 고안은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전방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어린이나 환자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이나 섀시 등에는 창문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에는 난방 등을 위한 밀폐나 방풍 및 방음을 위한 구조를 위해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문 설치구조에서는, 창문을 통한 어린이 등의 추락을 방지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서, 안전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1-0018797호와 같은 창문구조가 개발되기도 하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안전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출원번호 제10-2011-0018797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가 창문의 전방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어린이 나 환자 등의 추락을 예방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난간파이프가 창문이 설치되는 벽면에 분리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미관도 수려하게 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은, 창을 개폐하는 창문어셈블리의 전방에,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와; 상기 창문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과 난간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난간파이프가 상기 체결판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체결판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난간파이프에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간파이프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가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2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면과 각각 접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홈의 걸림부에 수용되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간파이프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난간파이프 사이에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에서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가 창문어셈블리의 외측에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난간파이프에 의해 어린이나 환자 등의 추락이 사전에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난간파이프의 양단이 체결판에 의해 벽면에 지지되는 한편, 좌우로 슬라이딩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난간파이프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연결부재의 걸림턱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난간파이프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연결부재와 난간파이프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난간파이프에 연결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슬라이딩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창문 내외의 열절단이 방지됨은 물론, 각 창문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방음 및 방풍기능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하로 한 쌍의 난간파이프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이되는 경우에는, 벽면의 전방에 차폐부재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차폐부재를 이용하여 광고나 그림 등을 추가할 수 있으므로, 광고효과는 물론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건물의 부분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와 함께 구비되는 유격흡수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와 함께 구비되는 패킹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설치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건물의 일부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 구비된 건물에는, 좌우로 유동하여 선택적으로 창을 개폐하는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상기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창틀프레임(200)과,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 좌우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난간파이프(810)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도 2의 '800') 등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벽면(W)에는 창(窓)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창문어셈블리(100,100')가 다수개 구비되어 레일바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창틀프레임(200)에 의해 상하 좌우가 지지된다.
한편, 상기 난간파이프(810)는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800)의 주요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좌우(횡)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파이프(810)는 적어도 창문어셈블리(100,100') 아래 부분에 좌우로 하나가 설치되거나,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가 쌍으로 설치된다. 이는 주로 어린이 등이 키가 작아서 아래 부분에서 추락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난간파이프(8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판(820)에 의해 벽면(W)에 고정 장착되며, 벽면(W)의 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부재(8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도 2의 '80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난간파이프(810)와 체결판(820) 및 연결부재(83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이 적용된 창문건물의 부분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는 도 1의 A-A'부와 B-B'부의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와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와 함께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와 패킹부재의 부분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 설치되는 건물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창틀프레임(200) 및 난간파이프(810) 외에도,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패킹부재(300) 및 브러시(400) 그리고, 창문어셈블리(100,100')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부재(500)와,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상방유동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부재(600),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창틀프레임(200) 사이의 유격을 흡수하는 유격흡수부재(700), 그리고 난간파이프(810)와 체결판(820) 및 연결부재(830) 등으로 이루어지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800) 등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프레임(200)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면(W)에는, 상기 난간파이프(810)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체결판(820)이 고정 설치된다. 즉, 난간파이프(810)의 양단을 잡아 고정하는 체결판(820)이 벽면(W)의 전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820)과 난간파이프(810) 사이에는 연결부재(830)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파이프(810)가 상기 체결판(820)에 의해 일정 높이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파이프(810) 사이에는 차폐부재(850)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유동에 따라 창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주로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창틀(110)과, 주로 상기 창틀프레임(200)에 접촉되는 외측창틀(120)과, 상기 내측창틀(110)과 외측창틀(120)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창문(W)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이중으로 설치된 이중창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전후로 2열로 설치된다.
상기 창틀프레임(200)은, 상대적으로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중앙프레임(210)과, 상기 중앙프레임(210)의 좌우에 구비되는 외곽프레임(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된 창문구조는 이중창 구조이므로, 상기 중앙프레임(210)과 외곽프레임(220)은 각각 전후로 이중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중앙프레임(210)은, 전방(도 2에서)에 구비되는 중앙내측프레임(212)과, 후측에 구비되는 중앙외측프레임(214)과,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과 중앙외측프레임(214)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I)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과 중앙외측프레임(214)은 전체적으로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중앙부분의 좌우 폭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외곽프레임(220)은, 전방(도 2 및 도 3에서)에 구비되는 외곽내측프레임(222)과, 후측에 구비되는 외곽외측프레임(224)과, 상기 외곽내측프레임(222)과 외곽외측프레임(224)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I)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재(I)는, 상기 중앙외측프레임(214) 및 외곽외측프레임(224)의 냉기나 열기가,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 및 외곽내측프레임(222)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단열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단열재(I)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중앙외측프레임(214) 및 외곽외측프레임(224)과,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 및 외곽내측프레임(222)은 서로 완전히 이격되며, 이러한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 사이에 소정 크기의 단열재(I)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열재(I)는 상기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어,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을 서로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은 상기 단열재(I)의 전후로 서로 완전히 이격되어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기도 한다. 즉, 주위 환경과 실내의 분위기에 따라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은 서로 다른 색을 가지도록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의 도색을 완료한 다음, 상기 단열재(I)를 이용하여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을 각각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외측프레임(214)과 외곽외측프레임(224)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외측프레임(214)과 외곽외측프레임(224) 사이에는 방충어셈블리(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에는 좌우로 조립단(23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단(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좌측과 우측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에는 상기 조립단(230)이 수용되는 수용홈(13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홈(130)의 내면에는 전후로 브러시(4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400)가 상기 조립단(230)에 접하여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300)는,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프레임(210)의 좌우 및 외곽프레임(2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킹부재(300)는,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상단과 하단에도 각각 설치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상단프레임(260) 및 하단프레임(270) 그리고, 내부프레임(25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공기의 유동을 막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300)는, 상기와 같이 창틀프레임(200)의 각 부위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창틀프레임(200)에는 상기 패킹부재(300)의 장착을 지지하기 위한 패킹지지단(310)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지지단(310)은, 상기 패킹부재(300)의 일단이 삽입되는 패킹삽입부(312)와, 상기 창틀프레임(200)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삽입부(312)를 지지하는 패킹지지부(3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삽입부(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가 오목하게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패킹삽입부(3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부재(300)의 삽입부(306)와 날개부(308)가 수용되는 패킹홈(312a)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홈(312a)은, 출입구의 폭이 내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패킹삽입부(312)에는 하방이 개구된 패킹홈(312a)이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삽입부(312)의 하단 좌우 양단은 서로 근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의 패킹홈(312a)은 하단의 출입구 좌우 폭이 내부의 좌우 폭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홈(312a)의 출입구 폭을 내부보다 작게 한 것은, 내부에 삽입된 패킹부재(300)의 삽입부(306) 및 날개부(308)가 다시 패킹홈(312a)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패킹부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302)와, 상기 몸체부(302)의 일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일면에 각각 접하는 접촉부(304)와, 상기 패킹홈(312a)에 삽입되는 삽입부(306)와, 상기 삽입부(306)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306)가 상기 패킹홈(31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날개부(30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부재(300)는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flexible)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110,120)에 적어도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 또는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 상호 간의 틈새를 차단하여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302)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의 폭이 증가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몸체부(302)의 내부에는 탄성공(30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공(302')은 상기 몸체부(302)의 탄성을 강화시켜 보다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공(302')이 내부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몸체부(302)는 상하나 좌우로 찌그러지는 것이 보다 쉽게 가능하게 되어, 유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302)의 하단 좌우는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측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3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2)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부(304)는, 상기 몸체부(302)의 하단과 함께, 좌우에 구비되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측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306)는, 상기 몸체부(302)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삽입부(306)는, 몸체부(30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그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2)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의 폭이 감소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삽입부(306)의 끝단(도 5에서는 상단)에는, 상기 날개부(308)가 좌우로 '∧'형상(도 5에서)으로 성형된다. 상기 날개부(308)가 '∧'형상(도 5에서)을 가지도록 한 것은, 내측으로 쉽게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308)가 상기 패킹홈(312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에 의해 펼쳐져 상기 패킹홈(312a) 내부로부터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패킹홈(312a)의 출입구 좌우 폭 크기는, 상기 패킹부재(300)의 삽입부(306) 하단 좌우 폭 크기보다는 크고, 상기 날개부(308)의 좌우 끝단 폭보다는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308) 및 삽입부(306)가 상기 패킹홈(312a)에 삽입되는 것은 가능하나, 상기 패킹홈(312a) 내부에서 날개부(308)가 펼쳐지면 패킹홈(312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300)의 삽입부(306)와 날개부(308)가 상기 패킹홈(312a)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302)의 하단 및 접촉부(304)가 상기 창틀(110,120) 또는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에 각각 접하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2중으로 차단되므로 훌륭한 방풍기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상하로 이층으로 형성된다(도 1 및 도 3 참조). 따라서, 중앙부와 상하단에 각각 창틀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는 내부프레임(250)이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프레임(260) 및 하단프레임(270)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프레임(250)과 상단프레임(260) 및 하단프레임(270)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패킹부재(300)와 조립단(230) 등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250,260,270)에 구비되는 조립단(230)은,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개폐 유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역할도 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측창문어셈블리(100)와 내측창문어셈블리(100')로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창문(W)과 상하의 상부창틀(150) 및 하부창틀(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창틀(150) 및 하부창틀(160)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브러시(400) 등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 상호 간의 틈새를 통한 공기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일단에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내측창틀(110)에는 '
Figure 112012109035612-utm00001
'형상의 밀폐체결단(5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체결단(510)에 상기 밀폐부재(500)의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밀폐체결단(510)에 끼워지는 삽입편(502)과, 상기 삽입편(502)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끝단부가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면이나 후면에 접하는 차단촉(504)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편(502)과 차단촉(5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패킹부재(300)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격흡수부재(700)는, 상기 브러시(4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창틀프레임(200)의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흡수부재(700)는 상기 외측창틀(120)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브러시지지대(410)에 다른 일단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이 양측으로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외측창틀(120)이 전방이나 후방(도 2에서)으로 밀리도록 함으로써 유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유격흡수부재(700)는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유격흡수부재(7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격흡수부재(700)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창틀(110,120) 일면에 밀착되는 베이스편(702)과, 상기 베이스편(702)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편(704)과, 상기 조립단(230)에 접하는 지지편(70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편(7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110,120)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밀착되어 접하게 된다.
상기 절곡편(704)은, 상기 베이스편(702)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으로, 상기 브러시(400)를 지지하는 브러시지지대(410)의 일단에 접하는 부분이다. 즉, 도시(도 2의 확대도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10,120)의 끝단에는 상기 브러시(400)가 장착되는 브러시지지대(410)가 '
Figure 112012109035612-utm00002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브러시지지대(410)의 우측단(도 2의 확대도에서)에 상기 절곡편(704)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편(706)은, 상기 조립단(23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절곡편(704)과 평행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편(706)도 상기 절곡편(704)과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편(702)으로부터 수직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706)에는, 상기 브러시지지대(410)의 다른 일단에 접하는 접촉단(708)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접촉단(708)은 상기 지지편(706)과 수직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편(706)의 끝단은 다시 절곡편(704) 방향으로 휘어져 접촉단(708)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접촉단(708)은, 상기 지지편(706)과는 수직되도록 벤딩(bending)되며, 상기 베이스편(702)과는 평행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708)의 끝단(도 4에서는 하단)은 상기 브러시지지대(410)에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단(708)은, 상기 절곡편(704)이 접하는 브러시지지대(410)의 다른 일단(도 2의 확대도에서는 좌측단)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편(706)과 접촉단(708) 사이에는, 접촉단(708)이 지지편(706)과 일체가 되도록 하는 연결부(70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0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00)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상방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00)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창틀(110,120) 측면에 원터치에 의해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창틀(110,120)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창틀(110,120)에는, 상기 조립단(230)이 삽입되는 부분인 창틀홈(140)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U'자 형상을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틀(110,12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600)가 장착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상세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800)은, 창을 개폐하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에 횡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810)와,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설치되는 벽면(W)에 고정 장착되는 체결판(820)과, 상기 체결판(820)과 난간파이프(8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난간파이프(810)가 상기 체결판(8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재(8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난간파이프(8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형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난간파이프(8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난간파이프(810)에는 상기 연결부재(830)의 일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난간파이프(810)에는, 상기 연결부재(830)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814)이 형성된 수용부(812)가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2 이상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파이프(810)의 내부에는 우측과 하측(또는 상측)에 각각 수용부(8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우측과 하측(또는 상측)의 수용부(812)가 서로 90도의 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수용부(812)에는, 각각 수용홈(814)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814)에는, 상기 연결부재(830)의 상하면과 각각 접하는 밀착부(814')와, 상기 밀착부(814')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81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812)의 내측에는 직사각 형상의 걸림부(814")가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부(814")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밀착부(81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814")는,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830)의 걸림턱(832)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밀착부(814')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814")에 수용된 걸림턱(832)이 밀착부(814')를 통해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밀착부(814')에는 굴곡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부(814')의 내면에는 다수의 체결홈(814'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814'a)은 나사산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체결홈(814'a)은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830)와 차폐부재(850)의 이탈을 방지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판(820)은, 건물의 벽면(W)에 장착된다. 즉, 상기 체결판(820)은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벽면(W)에 고정앵커(84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체결판(8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벽면(W)에 밀착되는 부착면(822)과, 상기 부착면(822)의 상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면(8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면(822)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앵커(840)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앵커홀(822')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면(824)에는 체결볼트(826)가 관통되는 볼트홀(8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정앵커(840)가 벽면(W)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앵커홀(822')을 관통하게 되면, 앵커너트(84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부착면(822)이 벽면(W)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8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830)는, 일단은 상기 체결판(820)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난간파이프(810)에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830)는, 좌측단에는 상기 수용홈(814)의 걸림부(814")에 수용되는 걸림턱(83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하면에 체결돌기(83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8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진다. 즉, 상기 걸림턱(832)은, 상기에서 설명한 난간파이프(810)의 걸림부(814")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814")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830)의 중앙부 상하면에는 나사산 형상의 체결돌기(834)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돌기(834)는 상기 난간파이프(810) 수용홈(814)에 형성되는 밀착부(814')의 체결홈(814'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834)가 체결홈(814'a)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830)의 우측단에는 체결홀(836)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836)에는 상기 체결볼트(826)과 관통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826)가 상기 체결판(820)의 볼트홀(824')과 연결부재(830)의 체결홀(836)에 각각 관통한 다음, 체결너트(838)와 체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830)의 우측단이 상기 체결판(820)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난간파이프(810)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쌍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한 쌍의 난간파이프(810) 사이에는 차폐부재(85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차폐부재(8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은 상기 난간파이프(810)의 수용홈(814)에 수용된다.
상기 차폐부재(850)는, 상하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난간파이프(810) 사이에 설치되어, 건물 벽면이나 내부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차폐부재(850)에는 그림이나 글자 등을 새겨넣을 수도 있다.
상기 차폐부재(850)는, 창문어셈블리(100,100')가 구비되는 부분에는 설치하지 않고, 벽면(W)이 노출되는 부분에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난간파이프(810)의 끝단에는 상기 연결부재(830)와 차폐부재(8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830)와 차폐부재(850)가 상기 난간파이프(810)와 결합된 상태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볼트 등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외측에 난간파이프(810)가 횡으로 설치되면(도 1 참조),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열려있는 경우에도 창문을 통한 어린이 등의 낙하가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830)는 상기 난간파이프(810)의 끝단부, 즉 창틀프레임(200)의 외측 벽면(W) 부분에 설치되며, 연결부재(830)의 걸림턱(832)이 난간파이프(810)의 수용홈(814) 걸림부(814")에 측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된다.
한편, 상기 차폐부재(850)는 부가적인 부품으로, 상기 난간파이프(810)가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경우에 한 쌍의 난간파이프(8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차폐부재(850)는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을 막지 않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차폐부재(850)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형성되는 부분 외의 벽면(W) 전방에 설치되며, 이러한 차폐부재(850)에는 광고나 글자 또는 캐릭터와 이미지 등의 시각적인 장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850)가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에는 설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실내의 사용자가 창문 밖으로 내다보는 경우에 시야를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난간파이프(810)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고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난간파이프(810)의 내부가 비어있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 단면의 형상도 원형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2개의 난간파이프(810)가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난간파이프(810)가 하나만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도 7과 같이 하나의 난간파이프(810)가 횡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판(820)은 '⊃'형상 외에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차폐부재(850)도 사용되지 않게 된다.
100,100'. 창문어셈블리 200. 창틀프레임
300. 패킹부재 400. 브러시
500. 밀폐부재 600. 이탈방지부재
602. 회피홈 604. 장착후크
700. 유격흡수부재 702. 베이스편
704. 절곡편 706. 지지편
708. 접촉단 810. 난간파이프
812. 수용부 820. 체결판
830. 연결부재 840. 고정앵커
850. 차폐부재 W. 벽면

Claims (3)

  1. 창을 개폐하는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전방에,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파이프(810)와;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설치되는 벽면(W)에 고정 장착되는 체결판(820)과;
    상기 체결판(820)과 난간파이프(8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난간파이프(810)가 상기 체결판(8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재(8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830)는,
    일단은 상기 체결판(820)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난간파이프(810)에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기 난간파이프(810)에는,
    상기 연결부재(830)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814)이 형성된 수용부(812)가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2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814)에는,
    상기 연결부재(830)의 상하면과 각각 접하는 밀착부(814')와, 상기 밀착부(814')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814")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814')의 내면에는,
    나사산 형상의 체결홈(814'a)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830)의 이탈과 미끄럼을 방지하며;
    상기 연결부재(830)는,
    일단에는 상기 수용홈(814)의 걸림부(814")에 수용되는 걸림턱(832)이 상기 걸림부(8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중앙부 상하면에는 상기 밀착부(814')의 체결홈(814'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나사산 형상의 체결돌기(8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파이프(810)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난간파이프(810) 사이에는, 차폐부재(850)가 더 결합되고;
    상기 차폐부재(850)는,
    벽면(W)이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건물 벽면이나 내부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KR2020120012352U 2012-12-28 2012-12-28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KR200468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352U KR200468255Y1 (ko) 2012-12-28 2012-12-28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352U KR200468255Y1 (ko) 2012-12-28 2012-12-28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255Y1 true KR200468255Y1 (ko) 2013-08-02

Family

ID=5139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352U KR200468255Y1 (ko) 2012-12-28 2012-12-28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25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92B1 (ko) * 2018-01-15 2018-06-12 전상훈 흙막이 구조물
KR101877407B1 (ko) * 2018-01-10 2018-08-09 (주)명덕건설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906198B1 (ko) 2018-05-15 2018-10-10 김명현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915189B1 (ko) * 2018-06-18 2018-11-05 신미경 흙막이 구조물
KR101915188B1 (ko) * 2018-02-07 2018-11-05 신미경 흙막이 구조물
KR101916713B1 (ko) 2018-06-12 2018-11-08 박진순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KR102464988B1 (ko) 2022-03-07 2022-11-09 라성현 창문용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19A (ja) 1998-10-02 2000-04-18 Asahi Woodtec Corp 手摺装置
KR200231495Y1 (ko) 2001-01-11 2001-07-19 이종도 육교현판 체결대
KR200339868Y1 (ko) * 2003-10-06 2004-01-28 서종대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200347048Y1 (ko) * 2003-12-08 2004-04-09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충격완화 기능을 구비한 교량용 방호울타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19A (ja) 1998-10-02 2000-04-18 Asahi Woodtec Corp 手摺装置
KR200231495Y1 (ko) 2001-01-11 2001-07-19 이종도 육교현판 체결대
KR200339868Y1 (ko) * 2003-10-06 2004-01-28 서종대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200347048Y1 (ko) * 2003-12-08 2004-04-09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충격완화 기능을 구비한 교량용 방호울타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07B1 (ko) * 2018-01-10 2018-08-09 (주)명덕건설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866792B1 (ko) * 2018-01-15 2018-06-12 전상훈 흙막이 구조물
KR101915188B1 (ko) * 2018-02-07 2018-11-05 신미경 흙막이 구조물
KR101906198B1 (ko) 2018-05-15 2018-10-10 김명현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916713B1 (ko) 2018-06-12 2018-11-08 박진순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KR101915189B1 (ko) * 2018-06-18 2018-11-05 신미경 흙막이 구조물
KR102464988B1 (ko) 2022-03-07 2022-11-09 라성현 창문용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255Y1 (ko)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KR200475150Y1 (ko)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EP3075937B1 (en) Inner glass skin structure for double glass skin
KR200462358Y1 (ko) 글라스 화이버 방충망 창 및 그에 사용되는 방충망 고정대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859718B1 (ko) 복합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0470050Y1 (ko) 샷시문용 방풍구
ES2345468T3 (es) Bastidor de puerta o ventana corredera que incluye un travesaño elevado de batiente oculto de tipo monobloque.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101145225B1 (ko) 외장패널 조립용 프레임
KR20110072227A (ko) 유리창의 창호 구조
KR101263342B1 (ko) 추락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101236979B1 (ko)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200476548Y1 (ko)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043128B1 (ko) 도어용 몰딩
KR100784910B1 (ko) 안전플레이트가 구비된 창틀 어셈블리
KR20130081892A (ko) 창호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틀
KR200312111Y1 (ko) 출입문용 문풍대
KR101445018B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WO2001055522A1 (en) Discrete anchor means for joining units of construction
KR102184880B1 (ko) 창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안전난간의 결합구조
TWI438333B (zh) 隱形窗
KR101165677B1 (ko) 창호용 안전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