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456B1 -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456B1
KR101366456B1 KR1020090015373A KR20090015373A KR101366456B1 KR 101366456 B1 KR101366456 B1 KR 101366456B1 KR 1020090015373 A KR1020090015373 A KR 1020090015373A KR 20090015373 A KR20090015373 A KR 20090015373A KR 101366456 B1 KR101366456 B1 KR 10136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zing bead
gasket
out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476A (ko
Inventor
최지웅
김해용
윤수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1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4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창호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글레이징 비드를 실외측에 장착하여 시공성과 내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틸팅 창호, 터닝 창호, 글레이징 비드

Description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Windows with outdoor fixed glazing bead and assembling method of same}
본 발명은 시스템 창호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글레이징 비드를 실외측에 장착하여 시공성과 내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닝(turning)형 창호라고 하는 것은 창짝의 좌우측 중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을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회전하여 창호를 개폐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틸팅(tiling)형 창호라고 하는 것은 창호의 상하측중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을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회전하여 창호를 개폐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터닝형 겸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터닝형 또는 틸팅형 창호를 조립할 때 글래스를 지지하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는 실내측에 장착함이 일반적이며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은 종래 창짝(10)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나타나있듯이 상기 창짝(10)은 글래스(G)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1) 및 하 부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글래스(G)를 장착하기 위해 글레이징 비드(13)가 실내측에 장치되고 상기 글래스(G)와 글레이징 비드(13)사이에 실런트를 투입하여 상기 글래스(G)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창짝(10)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글레이징 비드(13)가 실내측에 위치하는 관계로 조립시 단차가 발생함은 물론 실내측에서의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틸팅 창호나 터닝 창호의 경우 창짝이 회전을 하는데, 상기 회전하는 창짝에 사용자가 부딪혀 신체의 손상을 입을 염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레이징 비드를 실외측에 장치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창짝의 하측 모서리에 안전 가스켓을 장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짝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창짝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을 실내측으로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창짝의 실외측에 글레이징 비드를 장치하는 단계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와 글래스사이에 실런트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의 조립 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창짝의 좌우측 중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창짝이 개폐되는 터닝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실외측에 글레이징 비드가 장치된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창짝의 실내측 하단 모서리부분에 장치된 안전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에 의한 경우 글레이징 비드를 실외측 에 장치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창짝의 하측 모서리에 안전 가스켓을 장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의 창짝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창짝 일 모서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창호(W)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짝(100)의 좌우측 중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창짝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로서, 상기 창짝(100)의 실외측에 글레이징 비드(130)가 장치된 것이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W)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창호(W)라고 하는 것은 글래스(G)를 지지하는 창짝(100)과 상기 창짝(100)을 지지하는 창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도면에서는 상기 창짝(100)만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130)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글래스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 내면에 채워 고정하는 소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창짝(100)의 실외측에 장치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를 실내측에 장치한 관계로 실내측에서 바라보는 외관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를 실외측에 장치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를 "ㄴ"자 형상을 구비하되 수평부는 그 끝부분에 다수개 돌출된 쐐기가 형성되고, 수직부는 상기 글래스(G)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래스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0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글레이징 비드(130)를 보다 원활하게 장치하기 위해 상기 창짝(100)의 글래스(G) 하면에 장치되는 셋팅 블록(150)과 상기 셋팅 블록(150) 하면에 장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에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가 장치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셋팅 블록(150)이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글래스(G)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글래스(G)의 높이를 조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셋팅 블록(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셋팅 블록(150)의 하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60)를 장치하였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의 수평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는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를 고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를 실외측에 장치하면 종래와 달리 실내측에서 바라보는 외관의 심미감이 상승됨은 물론 장착의 편의성이 증진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실시예2에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창짝(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창짝(100)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창짝(100)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로서 상기 창짝(100)이 회전할 때 사용자와 부딪히는 문제점이 종래에는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짝(100)의 실내측 일 모서리부분에 장치된 안전 가스켓(170)을 포함하였다.(도 3 참조)
상기 안전 가스켓(170)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창호에 사용되는 가스켓을 창짝(100)에 부착하여 상기 창짝(100)이 사용자와 부딪힐 때 상기 가스켓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짝(100)의 실내측 하단 모서리부분에 장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안전 가스켓(170)이 장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안전 가스켓(170)의 장착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 가스켓(170)이 상기 창짝에 끼움되기 위한 장착부(171)와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부(172)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171)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여 상기 창짝(100)의 끝부분이 끼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17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끝부분은 원형으로 말려있는 형상이 예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안전 가스켓(170)이 상기 창짝(100)에 고정되는 한편 사용자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안전 가스켓(170)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창짝(100)의 프레임(120)에 다수개의 가스켓(140)을 장착하여 기밀 및 수밀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의 외측에 장치되는 제1가스켓(141)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우측 밑면에 장치된 제2가스켓(142)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1가스켓(141) 및 제2가스켓(142)은 본 발명의 가스켓(140)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가스켓의 개수나 장착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분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프레임(120) 중 실외측 프레임은 종래와 달리 상부 프레임이 없고 하부 프레임이 상부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 도 1참조)이 하부 프레임(12)상에 위치하는 구성인 관계로 단차가 생겨 외관을 해칠 수 있는 염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을 상부측으로 연장함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다시 말해 종래는 실외측 상부 프레임에 의해 단차가 있었으며, 실내측에 글레이징 비드를 장치하여 이러한 단차를 해결하였으나, 상기 글레이징 비드의 규격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 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레임은 실내외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글래스(G)의 실내측면에 장치되어 결로 배수 기능을 하는 가스켓(110)을 설치하였다.
상기 가스켓(110)은 상기 글래스(G)에 밀착된 상태로서 상기 글래스(G) 표면에 생성되는 결로는 상기 가스켓(110)을 따라 흘러내리되, 상기 프레임(120) 내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로는 상기 가스켓(110)에 의해 프레임(120)내부로 유입됨에 의해 실내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짝(100)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창짝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W)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창짝(100)을 실내측으로 개방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이는 터닝 창호인 경우 좌우측 중 일측을 실내측으로 당겨 개방하거나 혹은 틸칭 창호의 경우 상하측 중 일측을 실내측으로 당겨 개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창짝(100)의 실외측에 글레이징 비드(130)를 장치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S200)에 의해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를 실내측에서 장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글레이징 비드(130)와 글래스(G)사이에 실런트(S)를 투입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글래스(G)를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창짝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 일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짝 110 : 결로 배수용 가스켓
130 : 글레이징 비드 150 : 셋팅 블록

Claims (5)

  1. 삭제
  2. 창짝의 좌우측 중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창짝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실외측에 글레이징 비드가 장치되고,
    상기 창짝의 글래스 하면에 장치되는 셋팅 블록 및 상기 셋팅 블록 하면에 장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글레이징 비드의 수평부가 삽입되도록 장치하고,
    상기 창짝의 실내측 일 모서리부분에 안전 가스켓을 장치하되, 상기 안전 가스켓은 창짝에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단면 형태의 장착부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부분이 원형으로 말려진 형태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의 글래스의 실내측 면에 결로배수 기능을 하는 가스켓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프레임에 다수개의 가스켓을 장착하여 기밀 및 수밀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KR1020090015373A 2009-02-24 2009-02-24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KR10136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373A KR101366456B1 (ko) 2009-02-24 2009-02-24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373A KR101366456B1 (ko) 2009-02-24 2009-02-24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76A KR20100096476A (ko) 2010-09-02
KR101366456B1 true KR101366456B1 (ko) 2014-02-26

Family

ID=4300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373A KR101366456B1 (ko) 2009-02-24 2009-02-24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5Y1 (ko) * 2012-09-03 2013-02-15 김선희 창호 샤시구조체
CN109184485B (zh) * 2018-11-19 2023-11-17 浙江东方大港大河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安装玻璃方便的窗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22Y1 (ko) * 2000-05-03 2001-01-15 송영권 안전 및 에너지절약을 위한 보호대가 부착된 여닫이문과 문틀
KR100758378B1 (ko) 2006-02-16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20080019868A (ko)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22Y1 (ko) * 2000-05-03 2001-01-15 송영권 안전 및 에너지절약을 위한 보호대가 부착된 여닫이문과 문틀
KR100758378B1 (ko) 2006-02-16 200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층용 창호
KR20080019868A (ko)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76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66456B1 (ko)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WO2020228439A1 (zh) 一种单摆式联动百叶窗、联动百叶天窗屋顶及百叶片
JP2006342542A (ja) 引違いサッシの下枠改装構造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EP1647660B1 (en) Patio door structure
KR20080067479A (ko) 누수방지를 위한 창호설치구조
KR102636070B1 (ko) 창호
JP7404437B2 (ja) 改装サッシ、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KR101545152B1 (ko) 창문유리의 창문프레임 설치 구조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102215879B1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JP7403692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CN216130747U (zh) 一种单开外页扇横边框型材
KR200309088Y1 (ko) 창문의 기밀 구조
CN217461891U (zh) 一种滑动推拉窗结构
JP4041097B2 (ja) シャッター
EP4257385A1 (en) Vehicle window covering device
CN216974562U (zh) 系统平开窗
KR101172413B1 (ko) 창호
JP5650833B2 (ja) 後付けサッシ
KR20180029574A (ko) 평레일 창호
US20220220799A1 (en) Ventilator
CN211173727U (zh) 一种推拉玻璃窗扇型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