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932B1 -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932B1
KR101707932B1 KR1020157004397A KR20157004397A KR101707932B1 KR 101707932 B1 KR101707932 B1 KR 101707932B1 KR 1020157004397 A KR1020157004397 A KR 1020157004397A KR 20157004397 A KR20157004397 A KR 20157004397A KR 101707932 B1 KR101707932 B1 KR 10170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uilding
movable member
blade
vertically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727A (ko
Inventor
마모루 오이시
야스유키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06B7/0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with one ventilation w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는, 창틀(2)에 장착되는 Z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3); 프레임(3)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진 Z방향으로 연장된 개구(4)에 배치되며, 그 개구(4)를 개폐하는 날개(5); 기류에 의해 날개(5)에 개구(4)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12); 프레임(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날개(5)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기구(15); 및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을 금지하는 금지 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VERTICAL-TYPE CONSTANT AIR VOLUME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의 벽, 새시, 멀리온 등에 설치되고, 건물 내와 건물 외를 환기하는 버티컬형 정풍량(定風量)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서는, 스프링 등에 의해 날개(풍량 조정판)를 원하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보유지지하고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5-273256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스프링 등에 의해 날개를 원하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보유지지하고 있으므로, 그 스프링 등의 경년 열화 등의 상태 변화에 따라 날개를 원하는 위치에 보유지지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고, 또한 기류에 의해 날개에 원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스프링 등의 부재를 필요로 하므로, 장치의 간략화를 꾀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날개에 의해 개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들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날개를 개구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 없이, 기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건물 내외의 원하는 정풍량 환기를 할 수 있고, 또한, 개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건물의 창틀에 설치하는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는, 창틀에 장착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 이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에 배치되며, 그 개구를 개폐하는 날개; 및 날개의 제1 피지지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기구 및 상하 방향에서 제1 피지지부에 대해 일방측에 위치하며, 날개가 그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하도록,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외측 또는 건물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2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및 제2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날개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 및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에 있어서 그 날개에 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 상하 이동 가능 부재 및 날개를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날개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기구; 및 날개에 설치된 피(被)걸어멈춤 부재 및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끌어당김 기구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날개의 개구 개방 이동을 금지하도록,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부재를 가지고 있는 금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 의하면, 특히 개폐 수단이 날개의 제1 피지지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기구, 및 상하 방향에서 제1 피지지부에 대해 일방측에 위치하며, 날개가 그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하도록,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외측 또는 건물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2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및 제2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날개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 및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에 있어서 그 날개에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자중에 의해 날개를 개구 개방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건물 외측으로부터 개구를 향하는 기류의 증대에 의해, 날개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에 저항하여, 그 날개에 개구 폐쇄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날개를 개구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 없이, 기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건물 내외의 원하는 정풍량 환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 의하면, 특히,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 상하 이동 가능 부재 및 날개를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날개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기구; 및 날개에 설치된 피걸어멈춤 부재 및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끌어당김 기구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날개의 개구 개방 이동을 금지하도록,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부재를 가지고 있는 금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끌어당김 기구에 의한 날개의 개구 폐쇄 위치로의 끌어당김에 의해 금지 기구에 의한 날개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만으로, 끌어당김 기구에 의한 날개의 개구 폐쇄 위치로의 끌어당김 동작과, 이 끌어당김 동작에 이어지는 금지 기구에 의한 날개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개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끌어당김 기구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요동 가능 부재;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의 상호 접근을 허용하도록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를 연결하고 있는 링크 부재; 및 일단에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타단에서 요동 가능 부재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요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요동에서 상하 방향의 탄성 신축을 발생시키는 탄성 신축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요동 가능 부재는,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서는 링크 부재를 개재하여 날개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기 위한 상하 이동을 발생시키는 한편,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서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여 그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장착되어도 좋다.
또한, 요동 가능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이 배치된 장공을 가져도 좋으며, 이 경우, 요동 가능 부재는, 개구 개방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이 슬라이드 핀을 통해 장공의 일단에 전달됨으로써, 날개를 개구 개방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링크 부재는, 링크 암과 링크 암의 일단에 설치되며, 요동 가능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 및 링크 암의 타단에 설치되며,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해도 좋고, 제1 및 제2 연결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의 상호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링크 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도 좋다.
탄성 신축 부재는,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한 요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한 상하 방향의 요동에서 신장됨으로써, 요동 가능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해 접근시키는 방향의 탄성적인 수축력을 발생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 금지 기구는, 피걸어멈춤 부재를 복수개 가지며, 그 복수의 피걸어멈춤 부재에 대응하는 걸어멈춤 부재를 복수개 가져도 좋으며, 이러한 경우, 복수의 피걸어멈춤 부재는 상하 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날개에 설치되어도 좋고, 복수의 걸어멈춤 부재는 상하 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되어도 좋다.
피걸어멈춤 부재는, 날개에 장착된 피걸어멈춤 오목부를 가진 후크부를 가져도 좋으며, 걸어멈춤 부재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및 이 고정부에 이어져 있으며,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부의 피걸어멈춤 오목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접촉부의 후크부에 대한 상기 접촉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피걸어멈춤 오목부로 이어지는 후크부의 선단 에지에는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된 경사 에지가 형성되어도 좋다.
걸어멈춤 부재의 접촉부는 판상(板狀)이며, 피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단부가 꺾여서 이루어지는 꺾임 부분을 가져도 좋다.
또한, 걸어멈춤 부재의 접촉부는, 고정부에 대해 날개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고정부로부터 날개측을 향해 절곡되어도 좋다.
또한, 걸어멈춤 부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안내 롤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끼워맞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고, 이 조작 수단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 이 회전체의 외주 에지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어 있고, 또한 회전체의 회전을 상하 동력으로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 및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 핸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회전체는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전달 부재는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림되는 체인 부재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는 날개의 제1 피지지부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날개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는 날개의 제1 피지지부에 대해 상방에 위치해도 좋고, 날개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는, 제2 지지 기구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를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된 안내 지지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날개의 제2 피지지부를 안내 지지면에서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으로 안내 지지함으로써, 날개에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건물 외측으로부터 개구를 향하는 기류의 증대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에 발생하고 있는 개구 개방 이동에 저항하여, 그 날개에 개구 폐쇄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날개를 개구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 없이, 기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건물 내외의 원하는 정풍량 환기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에서 제1 지지 기구는, 날개의 제1 피지지부를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된 안내 지지면을 구비해도 좋고, 제1 지지 기구의 안내 지지면의 경사각은 상술한 제2 지지 기구의 안내 지지면의 경사각보다 커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날개를 개구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 없이, 기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건물 내외의 원하는 정풍량 환기를 할 수 있고, 또한, 개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예의 설명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한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5에 도시한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도 7에 도시한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건물 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X-X선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전개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전개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전개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제1 및 제2 지지 기구의 개구 폐쇄시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제1 및 제2 지지 기구의 개구 개방시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창틀에 대한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바람직한 예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6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하는 건물의 창틀(2)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는 창틀(2)에 장착되는 상하 방향으로서의 Z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3); 프레임(3)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진 Z방향으로 연장된 개구(4)에 배치되며, 그 개구(4)를 개폐하는 날개(5); 날개(5)의 제1 피지지부(6)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기구(7) 및 Z방향에서 제1 피지지부(6)에 대해 일방측,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며, 날개(5)가 그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하도록 그 날개(5)의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외(8)측 또는 건물 내(9)측,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외(8)측에 위치하고 있는 날개(5)의 제2 피지지부(10)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서의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2 지지 기구(11)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지지 기구(7) 및 제2 지지 기구(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날개(5)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 및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에 있어서 그 날개(5)에 개구(4)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12); 프레임(3)에 Z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상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14);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 및 날개(5)를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날개(5)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기구(15); 및 날개(5)에 설치된 피걸어멈춤 부재(16) 및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설치됨과 아울러,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을 금지하도록,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16)를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부재(17)를 가지고 있는 금지 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부호 20은 건물벽, 부호 21은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진 미닫이문이다. 창틀(2)은 각각 서로 연결된 상 프레임(22), 하 프레임(23) 및 한 쌍의 버티컬 프레임(24, 25)을 가지고 있고, 버티컬 프레임(25)에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는,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7은 날개(5)가 개구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 및 (b)의 각각은 도 1의 (a) 및 (b)에서 부호 E1 및 E2가 부여된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 설명도이며, 도 4의 (a) 및 (b)의 각각은 도 3의 (a) 및 (b)에서 부호 E3 및 E4가 부여된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6의 (a) 및 (b)의 각각은, 도 5의 (a) 및 (b)에서 부호 E5 및 E6가 부여된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 설명도이며, 도 8의 (a) 및 (b)의 각각은 도 7의 (a) 및 (b)에서 부호 E7 및 E8가 부여된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 설명도이다.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는 건물 외(8)측으로 향하는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에 의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4)를 열고, 건물 내(9)측으로 향하는 날개(5)의 개구 폐쇄 이동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4)를 닫게 되어 있다.
프레임(3)은 Z방향으로 연장된 판상 본체(31); 판상 본체(31)의 중앙에 Z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 Z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장공(32); X방향 및 Z방향으로 직교하는 횡방향으로서의 Y방향에 대해 장공을 사이로 하여 판상 본체(31)에 설치된 Z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홈(33, 34); 예컨대, 도 9 및 10에 도시한 Z방향으로 연장된 덮개판(35)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36, 37)를 구비하고 있다.
판상 본체(31)의 건물 외(8)측의 면(38)에는 제1 지지 기구(7) 및 제2 지지 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판상 본체(31)의 건물 내(9)측의 면(39)에는 조작 수단(14)이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홈(33, 34) 및 장착부(36, 37)가 형성되어 있고, 홈(33, 34)을 개재하여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 및 걸어멈춤 부재(17)가 Z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장착부(36, 37)를 개재하여 덮개판(35)이 장착되어 있다.
장공(32)은 피걸어멈춤 부재(16)가 삽입/이탈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홈(33)은 면(39)과 건물 내(9)측을 향해 돌출하여 면(39)에 형성된 Z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벽(41, 4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홈(34)은 면(39)과 건물 내(9)측을 향해 돌출하여 면(39)에 형성된 Z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벽(43, 4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벽(41, 42)의 건물 내(9)측의 각각의 돌출 에지(45)는 Y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가이드벽(43, 44)의 건물 내(9)측의 각각의 돌출 에지(46)는 Y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장착부(36, 37)의 각각은 면(39)과 건물 내(9)측을 향해 돌출하여 면(39)에 형성된 Z방향으로 연장된 부착판(47, 48)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부착판(47, 48)과 덮개판(35) 사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 등의 탄성체(49)가 개재되어 있다.
덮개판(35)에는 Z방향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통기공(51), 및 조작 수단(14)이 배치되는 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5)는 Z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날개 본체(55); 날개 본체(55)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착된 상부 덮개(56) 및 하부 덮개(57); 날개 본체(55)의 건물 내(9)측의 Z방향으로 연장된 에지부(58, 59)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면(38)에 접촉하는 Z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씰(seal) 부재(60, 61); 탄성 씰 부재(60, 61)의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면(38)에 접촉하는 Y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씰 부재(62, 63); 날개 본체(55)의 Y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64, 65)에 Y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 장착되어 있는 Z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을 가진 레인 커버 부재(66, 6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지지 기구(7)는 제1 피지지부(6)에 장착된 전동 롤러(rolling roller) 등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축체(71); 프레임(3)에 장착되며, 또한 프레임(3)에 대해 제1 피지지부(6)가 Z방향에 대해 승강 가능해지도록 한 쌍의 축체(7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7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축체(71)는 Y방향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브래킷(73)을 통해 날개(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72)는 일단에서 판상 본체(31)의 면(38)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그 면(38)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또한 한 쌍의 축체(71)를 각각 승강시키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한 쌍의 축체(71)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장공 또는 슬릿,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판상 지지부(75); 한 쌍의 지지부(75)의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는 Y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브릿지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72)에는 제1 피지지부(6)를 Z방향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Z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지지면(77)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 지지면(77)은 지지 부재(72)에 형성된 슬릿(74)을 구획하는 면으로 이루어진다. 슬릿(74)은 연직선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안내 지지면(77)도 연직선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슬릿(74)은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 및 개구 폐쇄 이동에 있어서 축체(71)를 Z방향에 대해 안내 지지한다. 안내 지지면(77)의 경사각은 안내 지지면(87)의 경사각보다 크다.
슬릿(74) 및 안내 지지면(77)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서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상부 및 하부간의 중간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선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축체(71)는 날개(5)가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74)의 상부 및 하부간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한편, 날개(5)가 도 7에 도시한 개구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74)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 지지 기구(11)는 제2 피지지부(10)에 장착된 전동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축체(81); 및 제2 피지지부(10)를 X방향에서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X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지지면(87)이 형성된 지지 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피지지부(10)에 장착된 축체(81)는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그 날개(5)의 무게중심(G)에 대해 상방에, 또한 건물 외(8)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축체(81)는 Y방향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브래킷(83)을 통해 날개(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82)는, 일단에서 판상 본체(31)의 면(38)에 고정되어 있고, 그 면(38)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한 쌍의 축체(81)를 각각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한 쌍의 축체(81)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장공 또는 슬릿,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8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판상 지지부(85); 및 한 쌍의 지지부(85)의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는 Y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브릿지부(86)를 구비하고 있다.
슬릿(84)은 수평선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슬릿(84)을 구획하는 면으로 이루어진 안내 지지면(87)도 제2 피지지부(10)를 X방향에서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수평선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릿(84)은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 및 개구 폐쇄 이동시에 축체(81)를 Z방향에 대해 안내 지지한다.
슬릿(84) 및 안내 지지면(87)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건물 내(9)측의 단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건물 외(8)측의 단부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부간의 중간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선에 대해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안내 지지면(87)의 경사각은, 예컨대 건물 외(8)측으로부터 건물 내(9)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해도 좋고, 이 경우, 안내 지지면(87)은 만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축체(81)는 날개(5)가,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84)에 대한 건물 내(9)측에 위치하고, 날개(5)가 도 7에 도시한 개구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84)에 대해 건물 외(8)측에 위치한다.
제2 피지지부(10)는,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5)가 개구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날개(5)의 무게중심(G)과 동일 연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날개(5)가 개구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날개(5)의 무게중심(G)과 제2 피지지부(10)가 Z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연직선 상에 각각 위치하므로, 날개(5)는 그 자중에 의해 밸런스를 유지하며 정지한다. 이러한 정지 상태에 있는 날개(5)는, 기류에 의한 작은 힘에 의해 개구 폐쇄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여기서, 날개(5)가 기류에 의해 개구 개방 위치로부터 개구 폐쇄 이동을 발생시키면, 제2 피지지부(10)가 무게중심(G)에 대해 X방향에서 이동하여 건물 외(8)측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날개(5)에는 개구 폐쇄 이동력에 저항하는 대항 이동력으로서의 개구 개방 이동력이 주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는 안내 지지면(87)에 의해서도 상기 대항 이동력으로서의 개구 개방 이동력이 발생한다. 개구 폐쇄 이동력이 대항 이동력으로서의 개구 개방 이동력보다 상회하는 경우, 날개(5)는 개구 폐쇄 이동을 일으키고, 또한 개구 폐쇄 이동력이 대항 이동력으로서의 개구 개방 이동력보다 밑도는 경우, 날개(5)는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시켜 개구 개방 위치로 복귀하고, 이와 같이 날개(5)가 개구(4)를 개폐함으로써,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는 건물 외(8) 및 건물 내(9) 사이의 정풍량 환기를 행하게 되어 있다.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2 피지지부(10)와 무게중심(G)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미도시)은 연직선에 대해 건물 외(8)측으로부터 건물 내(9)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이 경사각은 날개(5)가 개구 개방 이동에 의해 개구 개방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고, 날개(5)가 개구 개방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0°가 된다. 제2 피지지부(10)와 무게중심(G)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연직선에 대해 건물 외(8)측으로부터 건물 내(9)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날개(5)에는 그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이 부여되고, 제2 피지지부(10)와 무게중심(G)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각이 0°가 된 경우에는, 제2 피지지부(10)의 위치와 무게중심(G)의 위치와의 관계에서의 개구 개방 이동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끌어당김 기구(15)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해 상대적으로 Z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요동 가능 부재(91); 요동 가능 부재(91) 및 날개(5)의 상호 접근을 허용하도록 요동 가능 부재(91) 및 날개(5)를 연결하고 있는 링크 부재(92); 및 일단(93)에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타단(94)에서 요동 가능 부재(91)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요동 가능 부재(91)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한 상대적인 Z방향의 요동에 대해 Z방향의 탄성 신축을 발생시키는 탄성 신축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95);을 구비하고 있다.
평면에서 보아 L자형 판상 요동 가능 부재(91)는 Z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96)을 가지고 있고, 장공(96)에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설치된 두개의 슬라이드 핀(97)이 배치되어 있고, 개구(4)를 개방 가능하게 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Z방향에서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슬라이드 핀(97)을 통해 장공(96)의 일단(98)에 전달됨으로써, 날개(5)를 개구 개방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동 가능 부재(91)는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에서는 링크 부재(92)를 개재하여 날개(5)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기 위한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한편,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 이상의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에서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해 상대적으로 Z방향에서의 하방으로 요동하여 그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 이상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장착되어 있다.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코일 스프링(95)을 통해 요동 가능 부재(91)에 전달된다.
링크 부재(92)는, 링크 암(101); 링크 암(101)의 일단에 설치되며, 또한 요동 가능 부재(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02); 및 링크 암(101)의 타단에 설치되며, 또한 피걸어멈춤 부재(16)를 개재하여 날개(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03);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부(102, 10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요동 가능 부재(91) 및 날개(5)의 상호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링크 암(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요동 가능 부재(91) 및 날개(5) 중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요동 가능 부재(91)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104)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공(105)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 부재(92)는, 예컨대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104)의 장공(105)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5)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 및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요동 가능 부재(91)가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전달되어 Z방향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 슬라이드 핀(104)은 장공(96)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연결부(103)로부터 이반됨과 아울러, 장공(96)의 단부(106)에 접촉하여 연결부(103)로부터의 일정량 이상의 이반이 금지되고, 이에 따라, 링크 부재(92)는 회전을 발생시키면서 요동 가능 부재(91)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구 폐쇄 이동력으로서 날개(5)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95)은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 이상의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한 요동 가능 부재(91)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한 Z방향에서의 하방으로의 요동에서 신장되고, 이에 따라, 요동 가능 부재(91)를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해 접근시키는 방향의 탄성적인 수축력을 발생시켜 증대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95)은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서는, 그 탄성적인 초기 수축력에 의해 요동 가능 부재(91)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한 Z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금지 기구(18)는 피걸어멈춤 부재(16)를 복수개 가지며, 그 복수의 피걸어멈춤 부재(16)에 대응하는 걸어멈춤 부재(17)를 복수개 가지고 있다.
복수의 피걸어멈춤 부재(16)는 Z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날개 본체(55)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걸어멈춤 부재(17)는 Z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설치되어 있다.
피걸어멈춤 부재(16)는 날개(5)에 장착된 피걸어멈춤 오목부(111)를 가진 후크부(112)를 가지고 있다. 걸어멈춤 부재(17)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113); 고정부(113)에 이어짐과 아울러,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부(112)의 피걸어멈춤 오목부(111)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부(112)에 접촉하는 접촉부(114); 및 접촉부(114)에 이어져 있으며, 홈(34)에 Z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안내 롤러(115)가 설치된 안내부(116);를 구비하고 있고, 접촉부(114)의 후크부(112)에 대한 상기 접촉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16)를 걸어멈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걸어멈춤 오목부(111)로 이어진 후크부(112)의 선단 에지(121)에는 건물 내(9)측으로부터 건물 외(8)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된 경사 에지(12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3), 접촉부(114) 및 안내부(116)는 각각 판상이며, 접촉부(114)는 고정부(113) 및 안내부(116)에 대해 날개(5)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고정부(113) 및 안내부(116)로부터 날개(5)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고, 피걸어멈춤 오목부(111)에 삽입되는 단부가 꺾여서 이루어지는 꺾임 부분(123)을 가지고 있다.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는, Z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서 보아 L자형 본체(125); Z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본체(125)에 장착됨과 아울러, 프레임(3)의 홈(33)에 Z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가이드 블록(126); 및 상술한 슬라이드 핀(97);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126)은 복수의 걸어멈춤 부재(17)의 Z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금지 기구(18)에 의해 개구 개방 이동이 금지된 날개(5)의 미세 요동을 저감시키고 있다.
본체(125)에는 코일 스프링(95)의 일단(93)이 핀(127)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125)에는 코일 스프링(95)의 타단(94)을 요동 가능 부재(91)에 장착하고 있는 핀(128)이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Z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9)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수단(14)은 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131); 회전체(131)의 외주 에지에 접촉함과 아울러, 본체(125)에 Z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어 있고, 또한 회전체(131)의 회전을 상하 동력으로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132), 및 회전체(131)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 핸들(133)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131)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로킷(134)으로 이루어지고, 전달 부재(132)는 스프로킷(134)에 맞물림되는 Z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25)에 설치된 체인 부재(135)로 이루어지고, 스프로킷(134)과 체인 부재(135)에 의해 체인 스프로킷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예컨대, 회전체(131)가 피니언으로 이루어지고, 전달 부재(132)가 Z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25)에 장착된 랙으로 이루어지며, 그 피니언 및 랙에 의해 랙 피니언 기구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조작 수단(14)에서는 조작 핸들(133)의 회전 조작을 계속함에 의해 스프로킷(134)이 회전하면, 체인 부재(135)가 이 회전을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전달하여 Z방향에서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한편, 조작 핸들(133)의 역회전 조작에 의해 스프로킷(134)이 회전하면, 체인 부재(135)가 이 반대 회전을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전달하여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발생시킨다.
이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에 의한 개구(4)의 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날개(5)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조작 핸들(13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를 프레임(3)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이 이동에 의해 걸어멈춤 부재(17)를 피걸어멈춤 부재(16)에 대해 하강시키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114)를 피걸어멈춤 오목부(111)로부터 빼내어 걸어멈춤 부재(17)에 의한 피걸어멈춤 부재(16)의 걸어멈춤을 해제하고, 이로써 금지 기구(18)에 의한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를 해제한다.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상기 하방으로의 이동시에 요동 가능 부재(91)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코일 스프링(95)의 수축력에 의한 Z방향에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요동 가능 부재(91)의 프레임(3)에 대한 Z방향의 변위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금지 기구(18)에 의한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는 해제되어 있는데, 요동 가능 부재(91)에 연결된 슬라이드 핀(104)이 연결부(103)로부터 이반된 상태이며, 장공(105)의 단부(106)에 접촉하여 연결부(103)로부터의 일정량 이상의 이반이 금지된 상태에 있고, 게다가, 요동 가능 부재(91)가 그 Z방향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날개(5)는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지 기구(18)에 의한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13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를 프레임(3)에 대해 하방으로 더 이동시키고, 이 이동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핀(97)을 통해 요동 가능 부재(91)에 전달되면 그 요동 가능 부재(91)가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핀(104)이 장공(105)을 이동하여 연결부(102)에 접근하여 링크 암(101)이 경사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한 날개(5)의 끌어당김도 해제되어 그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이 완전하게 해제된 상태가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지 기구(18)에 의한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 금지 및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한 날개(5)의 개구 폐쇄 위치로의 끌어당김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2 피지지부(10)가 X방향에서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외(8)측에 위치하고, 또한 안내 지지면(87)이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날개(5)에는 개구 개방 위치로 향하는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고, 날개(5)는 개구 개방 이동을 개시한다. 축체(81)는 제2 피지지부(10)의 건물 외(8)측으로 향하는 이동에 수반하여, 슬릿(84)을 따라 건물 외(8)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한다.
날개(5)에 부여되는 개구 개방 위치로 향하는 회동 모멘트는 날개(5)가 개구 개방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제2 피지지부(10)와 무게중심(G)을 연결하는 가상선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각이 서서히 감소하기 때문에, 점차 작아진다. 날개(5)가 개구 개방 이동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개구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제2 피지지부(10)와 무게중심(G) 각각이 동일 연직선 상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날개(5)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날개(5)는 개구 개방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날개(5)에 부여되는 개구 개방 위치로 향하는 회동 모멘트가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날개(5)에 의한 급속한 개구(4)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반대로, 날개(5)가 개구 개방 위치로부터 개구 폐쇄 위치를 향해 개구 폐쇄 이동하는 경우에는, 날개(5)에 부여되는 개구 개방 위치로 향하는 회동 모멘트는 점차 커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 폐쇄 이동에 저항하는 대항 이동력으로서의 개구 개방 이동력이 서서히 증가하고, 그 결과, 급속한 개구(4)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는 개구(4)를 개방한다.
날개(5)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기류에 의해 날개(5)에 대해 건물 외(8)측이 정압(正壓)이 되고, 건물 내(9)측이 진공압이 되면, 날개(5)에는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력이 부여되고, 이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력에 의해 날개(5)가 개구 폐쇄 이동하면, 건물 외(8) 및 건물 내(9) 사이를 흐르는 기체 유량은 감소한다. 반대로, 기류에 의해 날개(5)에 대해 건물 외(8)측이 진공압이 되고, 건물 내(9)측이 정압이 되면, 날개(5)에는 기류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이 부여되고, 이 기류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에 의해 날개(5)가 개구 개방 이동하면, 건물 외(8) 및 건물 내(9) 사이를 흐르는 기체 유량은 증대한다. 기류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 및 개구 폐쇄 이동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날개(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 개방 위치로 복귀하고 정지한다.
이하,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에 의한 개구(4) 폐쇄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날개(5)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개방 위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개방 이동 가능한 상태인 경우, 조작 핸들(133)의 역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를 프레임(3)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 이동이 코일 스프링(95)을 통해 전달되는 요동 가능 부재(91)에도 프레임(3)에 대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발생시키고, 이 요동 가능 부재(91)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핀(104)의 상승에 따라 링크 암(101)에 역방향의 경사 이동을 발생시키면서, 날개(5)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고,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가 상방으로 소정량 이동하였을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5)를 개구 폐쇄 위치에 배치한다.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가 프레임(3)에 대해 소정량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요동 가능 부재(91)의 그 이상의 프레임(3)에 대한 상방으로의 이동은 프레임(3) 등에 접촉함으로써 금지된다.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프레임(3)에 대한 소정량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른 끌어당김 기구(15)의 작동에 의해 날개(5)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긴 후, 조작 핸들(133)의 역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를 프레임(3)에 대해 상방으로 더욱 이동시키고, 이 소정량 이상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걸어멈춤 부재(17)가 피걸어멈춤 부재(16)에 대해 접근하고, 접촉부(114)가 피걸어멈춤 오목부(111)에 삽입되어 후크부(112)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걸어멈춤 부재(17)가 피걸어멈춤 부재(16)를 걸어멈춤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폐쇄 위치에 있는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이 금지된다.
본 실시예의 건물의 창틀(2)에 설치하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에 의하면, 창틀(2)에 장착되는 Z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3); 프레임(3)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진 Z방향으로 연장된 개구(4)에 배치되며, 또한 그 개구(4)를 개폐하는 날개(5); 및 날개(5)의 제1 피지지부(6)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기구(7) 및 Z방향에서 제1 피지지부(6)에 대해 일방측, 본 실시예에서는 상방에 위치하며, 날개(5)가 그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하도록 그 날개(5)의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외(8)측 또는 건물 내(9)측,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외(8)측에 위치하고 있는 날개(5)의 제2 피지지부(10)를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2 지지 기구(11);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지지 기구(7) 및 제2 지지 기구(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날개(5)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 및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에 있어서 그 날개(5)에 개구(4)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12); 프레임(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 및 날개(5)를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날개(5)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기구(15); 및 날개(5)에 설치된 피걸어멈춤 부재(16) 및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에 설치됨과 아울러,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을 금지하도록, 개구(4) 폐쇄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16)를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부재(17)를 가지고 있는 금지 기구(18)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날개(5)를 개구 개방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건물 외(8)측으로부터 개구(4)로 향하는 기류의 증대에 의해, 날개(5)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력에 저항하여 그 날개(5)에 개구 폐쇄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날개(5)를 개구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 없이, 기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건물 내외의 원하는 정풍량 환기를 할 수 있고, 또한,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한 날개(5)의 개구 폐쇄 위치로의 끌어당김에 의해 금지 기구(18)에 의한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를 확실히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이동 가능 부재(13)의 상하 이동만으로, 끌어당김 기구(15)에 의한 날개(5)의 개구 폐쇄 위치로의 끌어당김 동작과 이 끌어당김 동작에 이어지는 금지 기구(18)에 의한 날개(5)의 개구 개방 이동의 금지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4)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2 피지지부(10)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피지지부(6)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날개(5)의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외(8)측에 위치하고 있는데, 예컨대, 제2 피지지부(10)가 제1 피지지부(6)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도록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1)가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날개(5)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피지지부(10)는 날개(5)의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내(9)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1 환기 장치
2 창틀
3 프레임
4 개구
5 날개
6 제1 피지지부
7 제1 지지 기구
8 건물 외
9 건물 내
10 제2 피지지부
11 제2 지지 기구
12 개폐 수단
13 상하 이동 가능 부재
14 조작 수단
15 끌어당김 기구
16 피걸어멈춤 부재
17 걸어멈춤 부재
18 금지 기구

Claims (20)

  1. 창틀에 장착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 이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에 배치되며, 그 개구를 개폐하는 날개; 날개의 제1 피지지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기구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피지지부에 대해 일방측에 위치하며, 날개가 그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을 발생하도록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외측 또는 건물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2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및 제2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날개의 자중에 의한 개구 개방 이동 및 기류에 의한 개구 폐쇄 이동에 있어서 그 날개에 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 상하 이동 가능 부재 및 날개를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날개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기구; 및 날개에 설치된 피걸어멈춤 부재 및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끌어당김 기구에 의해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겨진 날개의 개구 개방 이동을 금지하도록,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부재를 가지고 있는 금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건물의 창틀에 설치하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끌어당김 기구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요동 가능 부재;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의 상호 접근을 허용하도록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를 연결하고 있는 링크 부재; 및 일단에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타단에서 요동 가능 부재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요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요동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탄성 신축을 발생시키는 탄성 신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요동 가능 부재는,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에서는 링크 부재를 개재하여 날개를 개구 폐쇄 위치로 끌어당기기 위한 상하 이동을 발생시키는 한편,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서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여 그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요동 가능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을 가지고 있고, 이 장공에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이 배치되고 있으며, 개구 개방시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의 상하 이동이 슬라이드 핀을 통해 장공의 일단에 전달됨으로써, 날개를 개구 개방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하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 부재는, 링크 암; 링크 암의 일단에 설치되며, 요동 가능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 및 링크 암의 타단에 설치되며,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및 제2 연결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의 상호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링크 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요동 가능 부재 및 날개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신축 부재는,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한 요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한 상하 방향의 요동에 있어서 신장됨으로써 요동 가능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대해 접근시키는 방향의 탄성적인 수축력을 발생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지 기구는, 피걸어멈춤 부재를 복수개 가짐과 아울러, 그 복수의 피걸어멈춤 부재에 대응하는 걸어멈춤 부재를 복수개 갖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피걸어멈춤 부재는 상하 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날개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걸어멈춤 부재는 상하 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걸어멈춤 부재는, 날개에 장착된 피걸어멈춤 오목부를 가진 후크부를 가지고 있고, 걸어멈춤 부재는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및 이 고정부에 이어짐과 아울러, 개구를 폐쇄할 때의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부의 피걸어멈춤 오목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접촉부의 후크부에 대한 상기 접촉에 의해 피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피걸어멈춤 오목부에 이어지는 후크부의 선단 에지에는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된 경사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걸어멈춤 부재의 접촉부는 판상(板狀)이며, 피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단부가 꺾여서 이루어지는 꺾임 부분을 가지고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걸어멈춤 부재의 접촉부는 고정부에 대해 날개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고정부로부터 날개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어멈춤 부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안내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의 상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조작 수단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 이 회전체의 외주 에지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되어 있고, 또한 회전체의 회전을 상하 동력으로서 상하 이동 가능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 및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 핸들;을 구비하고 있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회전체는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지고, 전달 부재는 스프로킷에 맞물림되는 체인 부재로 이루어진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의 제2 피지지부는, 날개의 제1 피지지부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날개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외측에 위치하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의 제2 피지지부는 날개의 제1 피지지부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날개가 개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날개의 무게중심에 대해 건물 내측에 위치하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지지 기구는 날개의 제2 피지지부를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된 안내 지지면을 구비하는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지지 기구는 날개의 제1 피지지부를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으로 안내 지지하도록, 건물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된 안내 지지면을 구비하고 있고, 제1 지지 기구의 안내 지지면의 경사각은 제2 지지 기구의 안내 지지면의 경사각보다 큰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KR1020157004397A 2012-08-20 2013-02-14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KR10170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1947 2012-08-20
JP2012181947A JP5966760B2 (ja) 2012-08-20 2012-08-20 縦型定風量換気装置
PCT/JP2013/000808 WO2014030267A1 (ja) 2012-08-20 2013-02-14 縦型定風量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727A KR20150036727A (ko) 2015-04-07
KR101707932B1 true KR101707932B1 (ko) 2017-02-17

Family

ID=5014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397A KR101707932B1 (ko) 2012-08-20 2013-02-14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66760B2 (ko)
KR (1) KR101707932B1 (ko)
CN (1) CN104583523B (ko)
TW (1) TWI515358B (ko)
WO (1) WO2014030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9009B2 (ja) * 2017-03-22 2021-03-03 Ykk Ap株式会社 換気装置及び建具
JP6839008B2 (ja) * 2017-03-22 2021-03-03 Ykk Ap株式会社 換気装置及び建具
KR102525308B1 (ko) * 2022-05-26 2023-04-24 정도영 분체도장 시스템용 먼지막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895A (ja) 2008-10-16 2010-04-30 Shin Nikkei Co Ltd 自然換気用窓
KR101163138B1 (ko) 2007-11-28 2012-07-06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환기 장치
JP2012154032A (ja) 2011-01-21 2012-08-16 Oiles Eco Corp 縦型定風量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741B2 (ja) * 2002-02-22 2006-05-1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自然風力換気窓
JP4314635B2 (ja) 2004-03-24 2009-08-19 三協立山アルミ株式会社 換気装置
CN201943518U (zh) * 2011-01-13 2011-08-24 河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简易工房的窗户
CN202370396U (zh) * 2011-12-20 2012-08-08 赵景晓 一种带换气通道的窗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38B1 (ko) 2007-11-28 2012-07-06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환기 장치
JP2010095895A (ja) 2008-10-16 2010-04-30 Shin Nikkei Co Ltd 自然換気用窓
JP2012154032A (ja) 2011-01-21 2012-08-16 Oiles Eco Corp 縦型定風量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5358B (zh) 2016-01-01
CN104583523B (zh) 2016-07-13
WO2014030267A1 (ja) 2014-02-27
JP5966760B2 (ja) 2016-08-10
CN104583523A (zh) 2015-04-29
KR20150036727A (ko) 2015-04-07
JP2014037753A (ja) 2014-02-27
TW201408858A (zh) 201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8038B1 (en) Natural ventilator
KR101707932B1 (ko) 버티컬형 정풍량 환기 장치
EP2652229B1 (en) Vertically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for a roller blind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KR101530299B1 (ko) 창 개폐 장치
US20100012279A1 (en) Louvred Shutter
JP4876931B2 (ja) 自然換気窓
KR101668607B1 (ko) 에너렉스 자동도어
JP4983404B2 (ja) 換気装置
KR20090077892A (ko) 자연 환기창
TWI693368B (zh) 換氣裝置以及門窗
JP4876813B2 (ja) 自然換気窓
JP5821193B2 (ja) 縦型定風量換気装置
KR100985753B1 (ko)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1464290B1 (ko) 자연 환기창
JP6333695B2 (ja) 換気装置
JP6352139B2 (ja) 換気装置
JP2016023433A (ja) 開き戸装置
KR100849161B1 (ko) 도어 구조체
JP4310535B2 (ja) 窓装置
PL72759Y1 (pl) Okno dachowe
KR20110007712A (ko) 개폐가 용이한 이동식 기밀 밸런싱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