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753B1 -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 Google Patents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753B1
KR100985753B1 KR1020100052727A KR20100052727A KR100985753B1 KR 100985753 B1 KR100985753 B1 KR 100985753B1 KR 1020100052727 A KR1020100052727 A KR 1020100052727A KR 20100052727 A KR20100052727 A KR 20100052727A KR 100985753 B1 KR100985753 B1 KR 10098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uide rail
frame
explosion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Priority to KR102010005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호의 안쪽과 바깥쪽 양방향에 대하여 창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창짝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창틀에 마련된 하부 가이드레일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부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연장부의 끝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창짝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부로 구성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Explosion-proof window of Window system with anti-sepa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 상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창짝이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창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라 함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축구조물에 마련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창이나 문을 개방시키는 창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창호는 창짝의 개폐구조에 따라 크게 여닫이 창호와 미닫이 창호로 구분되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여닫이 창호는 창짝이 경첩을 매개로 하여 창틀에 설치되어 창짝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창호이고, 상기 미닫이 창호는 창틀에 구비된 레일에 창짝이 결합되어 창짝이 옆으로 이동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창호이다.
상기 여닫이 창호는 창짝이 경첩에 의해 창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창짝이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창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나, 상기 미닫이 창호는 창틀의 레일에 결합된 창짝이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실용 제0447299호에는 미닫이창문의 임의이탈 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에 상기 미닫이창문의 임의이탈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미닫이창문의 임의이탈 방지구조는 창테 내에 유리를 조립하여 된 유리창(1)과, 상기 유리창(1)을 끼워 맞춤할 수 있도록 벽체의 개구부를 둘러 부착 시공되는 창틀(2)과, 상기 창테의 하부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창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브레이드(3)를 포함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전브레이드(3)는 유리창(1)을 창틀(2)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하부샤시(20)의 가이드레일(22)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프레임(11)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향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유리창이 창틀에 결합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브레이드(3)를 하부프레임(11)과 평행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된 안전브레이드(3)는 하부샤시(20)의 테두리편(21) 보다 아래 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유리창이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이탈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안전브레이드가 설치된 구조 상 유리창이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이탈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건축물의 바깥쪽에서 강풍에 의해 유리창에 큰 압력이 작용할 경우, 안전브레이드는 이탈방지장치로써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안전브레이드는 유리창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창테의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축물의 외부에서 유리창에 큰 압력이 작용하여 유리창이 건축물의 내부 방향으로 이탈하려 할 경우, 안전브레이드는 가이드레일(22)과의 간섭에 의해 하부프레임(11)과 직교하도록 회전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 이탈방지장치로써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두 번째, 안전브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부샤시의 테두리편(21)과 하부프레임(11)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하므로, 하부샤시가 점유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유리창과 창틀의 사이에 불가피하게 형성된 공간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쉽게 쌓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안쪽과 바깥쪽 양방향에 대하여 창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부재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기존 창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틀과 창짝이 견고히 결속되어 방폭유리와 함께 방폭 창호의 구성이 가능한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는 건축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창짝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창틀에 마련된 하부 가이드레일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부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연장부의 끝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창짝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부로 구성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속부는 하부 가이드레일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수직부와 하부 가이드레일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앵글부를 매개로 연장부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가 하부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부의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고정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홈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창틀에 구비되어 창짝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레일에는 창짝의 들림을 방지하여 창짝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방지부재는, 상부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체결되며, 끝단이 상부 가이드레일로 삽입되어 이동방지부재를 구속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재는 상부 가이드레일의 외측 단부에 걸려 이동방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이탈방지부재의 결속부가 하부 가이드레일의 내부로 삽입되어짐으로써 창호의 내/외부 양방향에 대한 창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속부가 앵글부를 매개로 연장부와 연결되어 이탈방지부재와 창짝의 사이에 불필요한 빈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창짝이 이탈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창짝의 들림을 구속하는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창짝의 이탈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방폭유리와 함께 방폭창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 은 종래 미닫이창문의 임의이탈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로써 이탈방지부재가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로써 이탈방지부재가 상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도 2의 'A'부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와 하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방지부재에 의하여 창짝의 들림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로써 이탈방지부재가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로써 이탈방지부재가 상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창호(100)는 공지의 창호(100)에 이탈방지부재(130)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창짝(12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지의 창호(100)는 건축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110)과, 상기 창틀(11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옆으로 밀려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짝(120)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의 창호(100)로는 미닫이 창호와 미서기 창호가 있다.
통상 상기 창틀(110)은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 창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창틀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창짝(120)과 결합되어 창짝(120)의 이동을 지지하는 상부 가이드레일(111)과 하부 가이드레일(11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창짝(120)은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사각형 구조의 창짝 프레임에 유리창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창틀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하부 가이드레일(112)에 결합된 창짝(1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지의 창호(100)에 설치되어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0)는 창짝(120)의 하부프레임(121)에 설치되며 창틀(110)과 창짝(120)의 조립시 도 2와 같이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창틀(110)과 창짝(120)의 조립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였다가 창틀(110)과 창틀(110)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도 2와 같이 상승하여 창틀(110)과 창짝(120)을 결속시키는 것으로써, 고정부(131)와 연장부(132) 및 결속부(133)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A'부 상세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와 하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131)는 창짝(120)의 하부프레임(12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평판형의 판재로써, 이탈방지부재(130)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121)에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131)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3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3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부(131)를 관통한 볼트(1312)가 하부프레임(121)에 마련된 체결공(1211)에 체결되어짐으로써 고정부(131)가 하부프레임(12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이탈방지부재(130)의 위치조정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볼트(1312)를 약간 풀어 이탈방지부재(130)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후, 이탈방지부재(130)를 상하로 이동시켜 적절한 곳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1312)를 다시 조임으로써 이탈방지부재(13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1)가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21)의 외면에 고정부(13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홈(1212)을 더 형성하여 고정부(131)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1212)은 하부프레임(121)의 외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함몰된 구조로써 고정부(131)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구비하여 홈(1212)에 삽입된 고정부(131)가 측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줌으로써, 이탈방지부재(130)의 수직방향에 대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정부(131)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132)는 고정부(131)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판형의 판재이다.
상기 결속부(133)는 연장부(132)의 끝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부 가이드레일(112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연장부(132)의 끝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속부(133)가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결속부(133)는 하부 가이드레일(112)에 의하여 창호의 내외측 양방향에 대한 이동이 모두 구속됨으로써, 창호(100)의 내외측 양방향에 대하여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속부(133)를 연장부(132)의 끝단부에 형성함에 있어서, 결속부(133)를 연장부(132)의 끝단부에 바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연장부(132)가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외측 끝단부(112a)와 간섭되어 이탈방지부재(130)에 하부프레임(121)의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하부프레임(121)과 이탈방지부재(130)의 사이에 불필요한 빈공간이 형성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부(133)는 앵글부(134)를 매개로 하여 연장부(13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앵글부(134)는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외측 끝단(112a)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수직부(1341)와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외측 끝단(112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수평부(1342)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부(133)는 수평부(1342)의 끝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결속부(133)가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이탈방지부재(130)를 완전히 상향 이동시킬 때, 연장부(132)와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외측 끝단부(112a)가 간섭되지 않음으로써 이탈방지부재(130)는 하부프레임(121)의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이탈방지부재(130)는 하부프레임(121)의 사이에 불필요한 빈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를 구성하는 고정부(131)와 연장부(132) 및 앵글부(134) 그리고 결속부(133)는 일체형의 구조로써, 하나의 평판형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함으로써 이탈방지부재(13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창틀(110)에 결합된 창짝(120)이 이탈되기 위해서는 창짝(120)이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들어올려짐으로써, 창짝(120)의 하부프레임(121)이 하부 가이드레일(112)로부터 벗어나야만 하므로, 창짝(120)의 들림을 방지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창호(100)는 창짝(120)의 들림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방지부재의 사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방지부재에 의하여 창짝의 들림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방지부재(140)는 창틀(110)의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어 창짝(120)의 들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상부 가이드레일(111)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부(141)와, 상기 결합부(141)를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고정하도록 체결되는 볼트(1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41)는 상부 가이드레일(111)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U-자 형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며,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볼트(142)는 결합부(141)로부터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강제로 삽입되어짐으로써 이동방지부재(14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이동방지부재(140)가 자중에 의하여 상부 가이드레일(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143)가 이동방지부재(140)에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43)는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이동방지부재(140)가 하향 이동하여 상부 가이드레일(111)로부터 이탈하려 할 경우, 상부 가이드레일(111)의 외측 단부(111a)에 걸려 이동방지부재(140)가 더 이상 하향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결합부(141)의 일측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방지부재(140)는 상부 가이드레일(111)의 측면에서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끼워 넣은 것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창틀(110)과 창짝(120)의 조립시에는 도 7과 같이 내면이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밀착되도록 완전히 상향 이동된 상태로 고정되고, 창짝(120)이 창틀(110)에 결합된 후, 도 9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하향 이동된 채로 고정되어 창짝(120)의 들림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탈방지부재(130)와 이동방지부재(140)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구조는 창틀(110)과 창짝(120)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이탈방지부재(130)는 작업자에 의해 상향 이동된 채로 창짝(120)에 고정되어 창틀(110)과 창짝(120)을 결속하게 되며, 이때 이탈방지부재(130)의 결속부(133)가 하부 가이드레일(112)에 완전히 삽입되어짐으로써 창호(100)의 내외측 양방향에 대한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설치된 이동방지부재(140)가 창짝(120)의 들림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외력이나 충격 외에도 폭발과 같은 큰 충격하에서도 창짝(120)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방폭유리와 함께 방폭창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호 (110) : 창틀
(112) : 하부 가이드레일 (120) : 창짝
(121) : 하부프레임 (1212) : 홈
(130) : 이탈방지부재 (131) : 고정부
(1311) : 슬롯 (1312) : 볼트
(132) : 연장부 (133) : 결속부
(134) : 앵글부 (1341) : 수직부
(1342) : 수평부 (140) : 이동방지부재
(141) : 결합부 (142) : 볼트
(143) : 걸림부

Claims (7)

  1. 건축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110)과, 상기 창틀(11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짝(120)을 포함하는 창호(100)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창짝(120)의 하부프레임(121)에 결합되는 고정부(131); 상기 고정부(131)의 하단부로부터 창틀(110)에 마련된 하부 가이드레일(112)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32); 및 상기 연장부(132)로부터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연장부(132)의 끝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부(133)로 구성된 이탈방지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31)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3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311)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1312)가 하부프레임(121)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부(131)의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33)는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외측 끝단(112a)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수직부(1341)와 하부 가이드레일(112)의 외측 끝단(112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수평부(1342)로 이루어진 앵글부(134)를 매개로 연장부(13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21)에는 고정부(13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홈(121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10)에 구비되어 창짝(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레일(111)에는 창짝(120)의 들림을 방지하여 창짝(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재(140)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1)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부(141);
    상기 결합부(141)로부터 체결되며, 끝단이 상부 가이드레일(111)로 삽입되어 이동방지부재(140)를 구속하는 볼트(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재(140)는 상부 가이드레일(111)의 외측 단부(111a)에 걸려 이동방지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141)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걸림부(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20100052727A 2010-06-04 2010-06-04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098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27A KR100985753B1 (ko) 2010-06-04 2010-06-04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27A KR100985753B1 (ko) 2010-06-04 2010-06-04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753B1 true KR100985753B1 (ko) 2010-10-06

Family

ID=4313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727A KR100985753B1 (ko) 2010-06-04 2010-06-04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7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264B1 (ko) 2009-10-30 2012-04-06 김정민 이탈방지용 샷시문
KR2016012793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건조대
KR20180127039A (ko) 2017-05-19 2018-11-28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370A (ko) * 2000-12-21 2003-09-13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계면활성제 혼합물 부가제를 함유하는 천공 중합체성 필름웹
KR20040047299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lcd 어셈블리의 인쇄회로기판 구조
KR200372370Y1 (ko) 2004-08-06 2005-01-14 주부돈 창문 이탈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틀
KR20090110708A (ko) * 2008-04-18 2009-10-22 최경돈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20090124580A (ko) * 2008-05-30 2009-12-03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방폭 창호
KR200447299Y1 (ko) 2009-02-02 2010-01-13 동방시스템주식회사 미닫이창문의 임의이탈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370A (ko) * 2000-12-21 2003-09-13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계면활성제 혼합물 부가제를 함유하는 천공 중합체성 필름웹
KR20040047299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lcd 어셈블리의 인쇄회로기판 구조
KR200372370Y1 (ko) 2004-08-06 2005-01-14 주부돈 창문 이탈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틀
KR20090110708A (ko) * 2008-04-18 2009-10-22 최경돈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20090124580A (ko) * 2008-05-30 2009-12-03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방폭 창호
KR200447299Y1 (ko) 2009-02-02 2010-01-13 동방시스템주식회사 미닫이창문의 임의이탈 방지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264B1 (ko) 2009-10-30 2012-04-06 김정민 이탈방지용 샷시문
KR2016012793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건조대
KR101703243B1 (ko) * 2015-04-28 2017-02-06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건조대
KR20180127039A (ko) 2017-05-19 2018-11-28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KR100985753B1 (ko)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JP6783158B2 (ja) ブラインド
JP2014214465A (ja) サッシ
KR200389361Y1 (ko) 롤식 방충망
KR101077722B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200457717Y1 (ko) 롤방충망 장치
KR101602660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JP2003176667A (ja) 上げ下げ窓
JP6423299B2 (ja) 網戸付きサッシ
JP6885723B2 (ja) シャッター
JP5580039B2 (ja) 引き戸用換気装置
JP5129010B2 (ja) 網戸装置、その窓枠に対する取付構造並びにその取付方法及び取外方法
EP2357311A1 (en) Self-locking slat for shutter
JP2012233313A (ja) 遮蔽装置および建具
KR102448167B1 (ko) 이탈방지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행거식 출입문
KR200447015Y1 (ko) 슬라이딩 창호 장치
JP2022074663A (ja) 内窓
KR102081268B1 (ko) 여닫이식 방충망의 경첩구조
JP4686413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200411038Y1 (ko) 창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