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243B1 - 창틀 거치 건조대 - Google Patents

창틀 거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243B1
KR101703243B1 KR1020150059437A KR20150059437A KR101703243B1 KR 101703243 B1 KR101703243 B1 KR 101703243B1 KR 1020150059437 A KR1020150059437 A KR 1020150059437A KR 20150059437 A KR20150059437 A KR 20150059437A KR 101703243 B1 KR101703243 B1 KR 10170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guide rail
gu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930A (ko
Inventor
김민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디엘
Priority to KR102015005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24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거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거치 건조대는, 창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통하여 베란다의 창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프레임에 다수의 거치대를 설치하여 빨래 등의 거치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고, 베란다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창틀 거치 건조대 {Rack for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틀 거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생활이 편리한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아파트에는 베란다 및 다용도실 등과 같은 다목적용 실내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베란다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빨래건조대를 구비하여 빨래를 건조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빨래건조대의 형태로서 스탠드형 빨래건조대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는 베란다의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여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베란다 천정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빨래 건조대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6894호 (공개일: 2013. 12. 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란다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미적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창틀 거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거치 건조대는, 창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끼워져 지지되는 상단가이드홈과 하단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단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전방돌기 및 후방돌기 중, 상기 후방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 측벽에 접촉하여 롤링되고, 그 회전축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에 적치될 수 있는 물체의 무게로 인한 상기 창틀 거치 건조대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기 창틀 거치 건조대의 슬라이딩 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상기 후방돌기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삭제
또한, 상기 하단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벽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이탈방지가이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단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하여 롤링되는 롤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단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벽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이탈방지가이드가 구비된다.
삭제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상기 하측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기 하측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측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관통되어 있고, 그 단부가 상기 상측프레임의 외측에 밀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측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지면에 수직하거나 지면에 수평하게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폐문은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개폐문과, 상기 걸림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개폐문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갈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프레임의 가로바에 걸려 상기 개폐문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개폐문은 채광을 위해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거치 건조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프레임을 통하여 베란다의 창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프레임에 다수의 거치대를 설치하여 빨래 등의 거치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고, 베란다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개폐문을 통하여 사용시 프레임을 개방하여 사용하고, 불사용시 프레임을 폐쇄하여 개폐문을 통한 장식효과, 인테리어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부를 프레임의 가로바에 거는 방식으로 손쉽게 개폐문을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으며, 개폐문 수리 등이 필요할 때 개폐문만 분리하여 교체, 수리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되는 다른 효과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거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가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상단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하단 부근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가 가이드레일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하단의 롤러 단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상단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A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거치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개폐문을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주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개폐문을 배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주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가 창틀에 장착되어 개폐문이 닫힌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가 창틀에 장착되어 개폐문이 열린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는 도 1의 창틀 거치 건조대의 개폐문이 열린 상태에서 건조대가 지면에 대략 평행하게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거치 건조대(이하, '창틀 거치 건조대'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며, 예시적으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용도의 건조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창틀 거치 건조대는 프레임(1)과 거치대(2)와 개폐문(3)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먼저, 프레임(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2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01)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프레임(1)의 상단(111) 및 하단(121)에는 창틀(210)의 가이드레일(201)이 끼워져 지지되는 상단가이드홈(112)과 하단가이드홈(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러한 상,하단가이드홈(112,122)은 프레임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단가이드홈(112,122)이 형성된 브라켓(115,125)이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1)의 상단(111) 및 하단(121)에 상단가이드홈(112)과 하단가이드홈(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이 2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가이드홈(122)에는 가이드레일(201)의 측벽에 접촉하여 프레임(1)의 하단(121)이 가이드레일(2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이탈방지가이드(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이탈방지가이드(123)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가이드홈(122)에는 가이드레일(201)의 상면에 접촉하여 롤링되는 롤러(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롤러(124)의 회전축(C1)은 지면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창틀 거치 건조대가 창틀(210)의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슬라이딩 할 때, 구름운동을 통하여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롤러(124)의 단면 형상은 평바퀴형, 홈바퀴형, U형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단가이드홈(112)에도 창틀(210)의 가이드레일(201)의 측벽에 접촉하여 프레임(1)의 상단(111)이 가이드레일(2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이탈방지가이드(11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가이드홈(112)의 후방에는 가이드레일(201)의 측벽에 접촉하여 롤링되고, 그 회전축(c2)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롤러(114)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가이드홈(112)을 형성하는 전방돌기(1121) 및 후방돌기(1122) 중, 후방돌기(1122)의 상면(11221)에는 가이드레일의 후방 측벽(2011)에 접촉하여 롤링되고, 그 회전축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롤러(114)가 구비된다. 또한, 롤러(114)는 후방돌기(1122)의 내측(1122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거치대를 펼치고 빨래 같은 것을 거치하는 경우, 그 무게로 인하여 회전모멘트가 작용하여 이때 본 창틀 거치 건조대가 앞쪽으로 쏠리면서 본 창틀 거치 건조대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찰력이 증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창틀 거치 건조대를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슬라이딩 시에 사용자가 더 많이 힘을 소모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단가이드홈(112) 후방에 배치된 롤러(114)을 통하여 이러한 불편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프레임(1)은 상측프레임(11)과 하측프레임(12)을 구비하며, 여기서 예컨대 상측프레임(11)은 하측프레임(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측 프레임(11)을 하측프레임(1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는 하측프레임(12)에 나사결합되어 관통되어 있고, 그 단부가 상측프레임(11)의 외측에 밀착 가능하다. 즉, 상,하측프레임(11,12)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경우에는 고정부재(13)를 일 방향으로 돌려 그 단부가 상측프레임(11)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상,하측프레임(11,12)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프레임(1)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부재(13)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그 단부가 상측프레임(11)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추가로, 상측프레임(11)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115)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하측프레임(12)은 돌출부(126)를 구비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창틀 높이에 맞게 본 창틀 거치 건조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2)는 프레임(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에 대략 수직하거나 지면에 대략 수평하게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거치대(2)는 거치대본체(21)와 그 아래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거치대지지대(22)를 구비한다. 이들은 각각 프레임(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거치대본체(21)를 지면에 대략 수평되게 펼칠 때는 거치대본체(21)를 펼친 다음, 거치대지지대(22)를 받쳐주면 된다. 그리고 거치대본체(21)를 지면에 대략 수직되게 접을 때는 거치대지지대(22)를 반대로 회동시켜 접은 다음, 거치대본체(21)도 마찬가지로 회동시켜 접으면 된다.
개폐문(3)은 도 1, 도 10,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전면을 개폐가능하게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개폐문(3)은 걸림부재(31)와, 걸림부재(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개폐문(32)과, 걸림부재(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개폐문(33)을 구비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문이 좌,우측개폐문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프레임(1)을 모두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하나의 개폐문을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부재(31)는 그 배면에 갈고리부(31)를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갈고리부(31)가 프레임(1)의 가로바(14)에 걸림으로써 개폐문(3)이 프레임(1)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문 수리 등이 필요할 때 개폐문(3)만 분리하여 교체, 수리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에 2개의 가로바(14)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개폐문(3)도 2개의 걸림부재(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걸림부재(31)는 갈고리부(31)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우측개폐문(32,33)은 채광을 위해 다양한 패턴으로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심미감 향상 및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이러한 개폐문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담기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거치 건조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개폐문(32,33)을 닫아 놓고 트렐리스(treillis)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빨래 건조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개폐문(32,33)을 좌,우로 각각 회동시켜 프레임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본체(21)를 위로 회동시킨 다음, 마찬가지로 거치대지지대(22)도 위로 회동시켜 거치대지지대(22)가 거치대본체(21)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빨래 등과 같은 물품을 거치대본체(21)에 올려두고 건조대로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빨래 등의 무게로 인하여 본 창틀 거치 건조대에 회전모멘트가 작용하여 앞 쪽으로 쏠리면서 본 창틀 거치 건조대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찰력이 증대하여, 본 창틀 거치 건조대를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슬라이딩 시에 사용자가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상단가이드홈(112) 후방에 롤러(114)를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불편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1)을 통하여 베란다의 창틀(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프레임(1)에 다수의 거치대(2)를 설치하여 빨래 등의 거치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고, 베란다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고, 또한 개폐문(3)을 통한 장식효과도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10. 창틀
201. 가이드레일
1. 프레임
11. 상측프레임
111. 프레임의 상단 112. 상단가이드홈
113. 레일이탈방지가이드 114. 롤러
115. 브라켓(115,125) 116. 홈부
12. 하측프레임
121. 프레임의 하단 122. 하단가이드홈
123. 레일이탈방지가이드 124. 롤러
125. 브라켓 126. 돌출부
13. 고정부재
14. 프레임의 가로바
2. 거치대
3. 개폐문
31. 걸림부재 311. 갈고리부
32. 좌측개폐문 33. 우측개폐문

Claims (12)

  1. 창틀 거치 건조대로서,
    창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끼워져 지지되는 상단가이드홈과 하단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단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전방돌기 및 후방돌기 중, 상기 후방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 측벽에 접촉하여 롤링되고, 그 회전축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에 적치될 수 있는 물체의 무게로 인한 상기 창틀 거치 건조대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기 창틀 거치 건조대의 슬라이딩 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상기 후방돌기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창틀 거치 건조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하단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벽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이탈방지가이드가 구비된 창틀 거치 건조대.
  4. 제3항에서,
    상기 하단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하여 롤링되는 롤러가 구비된 창틀 거치 건조대.
  5. 제1항에서,
    상기 상단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벽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이탈방지가이드가 구비된 창틀 거치 건조대.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프레임은 상기 하측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기 하측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창틀 거치 건조대.
  8. 제7항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측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관통되어 있고, 그 단부가 상기 상측프레임의 외측에 밀착 가능한 창틀 거치 건조대.
  9. 제8항에서,
    상기 상측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창틀 거치 건조대.
  10. 제1항에서,
    상기 거치대는 지면에 수직하거나 지면에 수평하게 선택적으로 배치가능한 창틀 거치 건조대.
  11. 제1항에서,
    상기 개폐문은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개폐문과, 상기 걸림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개폐문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갈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프레임의 가로바에 걸려 상기 개폐문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창틀 거치 건조대.
  12. 제11항에서,
    상기 좌,우측개폐문은 채광을 위해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 창틀 거치 건조대.
KR1020150059437A 2015-04-28 2015-04-28 창틀 거치 건조대 KR101703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37A KR101703243B1 (ko) 2015-04-28 2015-04-28 창틀 거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37A KR101703243B1 (ko) 2015-04-28 2015-04-28 창틀 거치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30A KR20160127930A (ko) 2016-11-07
KR101703243B1 true KR101703243B1 (ko) 2017-02-06

Family

ID=5752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37A KR101703243B1 (ko) 2015-04-28 2015-04-28 창틀 거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54B1 (ko) * 2017-06-16 2018-07-13 주식회사 하츠 창문형 환기장치용 거치기구
KR101986365B1 (ko) 2017-12-27 2019-06-05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WO2019132058A1 (ko) * 2017-12-27 2019-07-04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CN113062092B (zh) * 2021-03-15 2023-12-22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集自动开合窗与遮雨功能于一体的智能阳台晾衣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53B1 (ko) * 2010-06-04 2010-10-06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CN203256504U (zh) * 2013-03-27 2013-10-30 冷潇潇 拉闸式护栏衣物晾晒构架
JP2014171781A (ja) * 2013-03-12 2014-09-22 Panasonic Corp 引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349A (ko) * 2008-12-11 2010-06-21 이기섭 창문 설치용 빨래건조대
KR20130136894A (ko) 2012-06-05 2013-12-13 김지성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53B1 (ko) * 2010-06-04 2010-10-06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JP2014171781A (ja) * 2013-03-12 2014-09-22 Panasonic Corp 引掛装置
CN203256504U (zh) * 2013-03-27 2013-10-30 冷潇潇 拉闸式护栏衣物晾晒构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30A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243B1 (ko) 창틀 거치 건조대
JP2014008220A (ja) 物干し装置
AU2014339741B2 (en) Drying assembly
KR20150137604A (ko) 접이식 선반 받침구
JP5690869B2 (ja) 洗濯機上物干し装置
KR101656215B1 (ko)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100966023B1 (ko)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101090023B1 (ko)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150031654A (ko) 베란다용 세탁물건조대
KR101154282B1 (ko) 선반내장형 창틀
ITUB20159268A1 (it) Letto contenitore.
KR20140001103U (ko) 접이식 선반
KR101717625B1 (ko) 창틀 거치 건조대
JP5783350B2 (ja) 物干し器
JP2001096094A (ja) 掛止杆の収納構造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KR101241297B1 (ko) 코너용 물품 수납장
KR101687148B1 (ko)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101822379B1 (ko)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KR101441417B1 (ko) 가구의 좁은 공간에 수납되는 건조대
JP2009247398A (ja) クローゼット
KR101986365B1 (ko)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KR20160015985A (ko) 창틀 선반
CN213487809U (zh) 一种柜式可收纳的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