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2058A1 -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2058A1
WO2019132058A1 PCT/KR2017/015539 KR2017015539W WO2019132058A1 WO 2019132058 A1 WO2019132058 A1 WO 2019132058A1 KR 2017015539 W KR2017015539 W KR 2017015539W WO 2019132058 A1 WO2019132058 A1 WO 20191320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vertical frame
support plate
window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55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디엘
Priority to PCT/KR2017/0155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32058A1/ko
Publication of WO20191320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20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laundry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frame hang laundry hang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a guide rail of a window frame of an interior.
  • Conventional clothes drying hoods are mainly used as a stand type laundry hanger or a ceiling hanger type laundry hanger.
  •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window frame of a type capable of sliding along a guide rail of a window fram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7930 (July 31, 2016) and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17625 And has developed a stand-type laundry clothes rac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frame hanging clothes drying rack capable of maintaining stability and convenience at the time of slide movement by using a single vertical frame and extending a bracket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and the guide rails of the window fram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other purpose is to do.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laundry hanger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movement at the time of use because the fixing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of the bracket is provided.
  • a window frame laundry hanger comprising: a vertical frame extending vertically between an upper guide rail and a lower guide rail of a window frame; An upper bracke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groove engaging with an upp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A lower bracket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groove engaging with a low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Wherein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are engaged with the upper guide rail and the lower guide rail to allow the vertical frame to slide along the guide rail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extends longer than a sectional size of the vertical fram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may include: a fitting hole for inserting a vertical frame into a vertical frame;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bout the insertion opening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sectional siz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wherein one of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includes a rolle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extended portion and rolling along the guide rail .
  • At least one of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may include a lever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so as to penetrate into the bracket; And a lever coupled to the guide rail through the lever groove to fix the bracket.
  • a cross section of the lever has a U-shaped space formed therein, a lower end portion of which is formed with a rail coupling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itted to the projection of the guide rail when the lever is pushed
  • the vertical frame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guide rail.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holder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a vertical frame is inserted and rotatable about a vertical frame; A rack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holder and supporting a rack for hanging laundry; And a rack supported by the rack support and for receiving the laundry.
  • the rack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holder; A second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support rod extending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rod extending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 the holder is formed with a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holder at a side where the holder is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ing plate.
  •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installation of the product is si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ndow frame laundry hanger.
  • the bracket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and the guide rails of the window frame is extend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while using only one vertical frame, thereby maintaining stability and convenience during slide movement.
  • the fixing means capable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of the bracket since the fixing means capable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of the bracket is provided, the movement at the time of us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frame washing clothes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window frame washing clothes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window frame washing clothes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dow frame washing clothes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indow fram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racket 30. Fig.
  •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bracket 30. Fig.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preventing lever 36.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40. Fig.
  •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lder 41. Fig.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41 and the rack support portion 42. Fig.
  •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40 is rotated about the vertical frame 10 and rotated in a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uide rai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frame washing clothes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a window frame clothes washing clothes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a window frame clothes washing clothes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ow frame fixture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indow frame.
  • a window frame washing clothes rack 100 includes a vertical frame 10, an upper bracket 20, a lower bracket 30, and a mounting portion 40.
  • the vertical frame 10 extends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guide rail and the low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200 and is supported by the upper bracket 20 and the lower bracket 30, And is slidably movable along the rails and the lower guide rails.
  • the window frame 200 means a conventionally known chassis structure installed in a room or a veranda such as a living room or the like. 4, the window rails 200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window frame 200, respectively. As the door slides along the guide rails 200,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can do.
  • the vertical frame 10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 11 and a lower frame 12, which are joined by a frame engaging portion 13.
  • the upper frame 11 and the lower frame 12 are formed to be fitt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and the upper frame 11 and the lower frame 12 are fitt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200, .
  • the frame engaging portion 13 firmly fixes the upper frame 11 and the lower frame 12 by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11 and the lower frame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frame 11, the lower frame 12, and the frame engaging portion 13 is not a direc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known from the prior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bracket 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and has a groove 33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200.
  • the lower bracket 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and has a groove 33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200.
  • the grooves 33 formed in the upper bracket 20 and the lower bracket 30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guide rail and the low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200 to allow the vertical frame 10 to slide along the guide rails
  • the window frame 100 can be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rails of the window frame 200.
  • At least one of the upper bracket 20 and the lower bracket 30 is formed so as to extend longer than the cross sectional size of the vertical frame 10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of the window frame 200.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racket 30,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bracket 30.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racket 30,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bracket 30.
  • the lower bracket 30 includes a fitting hole 31 for receiving the vertical frame 10 and fixedly coupling with the vertical frame 10.
  • the lower bracket 30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portion 32 which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round the fitting hole 31. As shown in Fig.
  • the extended portion 32 is extended from the vertical frame 10 by about 2 to 2.5 times longer than the sectional size of the vertical frame 10 in the lateral direction, have.
  • the force applied to the guide rail is dispersed by the extended portion 32, so that more stable and flexible slide movement is possible.
  • a groove 33 for accommodating the guide rail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200.
  • Rollers 34 capable of rolling motion along the guide rails are inserted and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extension portion 32.
  • the roller 34 may be formed of a caster or the like including a known wheel and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 vertical frame 10 to smoothly move along the guide rail by contact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guide rail with the surface of the wheel .
  • rollers 34 are disposed close to both end portions of the extending portion 32.
  • a lever groove 35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inside of the lower bracket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32 of the lower bracket 30 and a lever groove 35 penetrating the lower bracket 30 through the lever groove 35, And a lever (36) for fixing the lever (30).
  • FIG.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revention lever 36.
  • Fig. 7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racket 30,
  • Fig. 8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prevention lever 36 FIG.
  • the lever groove 35 penetrat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32 to the inside of the lower bracket 30, and the lever 36 passes through the lever groove 35,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of the rail.
  • the lever 36 i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frame 10, that is, the movement of the window frame fixture laundry hanger 100 in the guide rail direction.
  • the lever 36 has a cross- And a rail coupling portion 37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thereof.
  • the rail engaging portion 37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36.
  • the upper bracket 20 is the same as the lower bracket 20 and is different from the upper bracket 30 only in that the upper bracket 20 is coupled to the upper guide rail of the window frame 200.
  • the extended portion 32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the upper bracket 20 and the lower bracket 30, but it may be formed only on one of them.
  • roller 34 may be formed only on the lower bracket 30, but may also be formed on the upper bracket 30.
  • the lever groove 35 and the lever 36 may be formed on both the lower bracket 30 and the upper bracket 20 but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m.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40
  •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lder 41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41 and the rack supporting portion 42.
  • the mounting portion 40 includes a holder 41, a rack supporting portion 42, and a rack 43 as means for mounting the laundry.
  • the holder 4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11 through which the vertical frame 10 is inserted and is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frame 10.
  • the through hole 411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frame 10 but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through hole 411 are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fram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ll circular.
  • the holder 4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10 through the through hole 411 and then the holder 41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0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40 is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 a ring (not show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n the holder 4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10 before the holder 4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10, 41 can be supported by the ring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direction.
  • the rack support portion 42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rack 43 for interlocking with the holder 41 and for supporting the laundry 43.
  • the rack 43 is supported by the rack support portion 42, to be.
  • the rack support portion 42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421 coupled to the holder 41, a second support plate 422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late 422, And a support rod 423 extending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42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22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42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22.
  • first support plate 42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22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0.
  • support bars 423 are shown at the top and one at the bottom, this is an exampl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upport bars 423 can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as necessary.
  • the rack support portion 42 extends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4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42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42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22, (423). Accordingly, the auxiliary support rod 423 has a shap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econd support plate 422 when viewed from the ground.
  •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ack 43 may be sagged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laundry when the laundry is put on the rack 43.
  • the auxiliary support rod 423 is for preventing such a phenomenon.
  • the rack 43 is supported by a rack support 42 as a means for mounting the laundry.
  • the rack 43 is formed as a whole in a "C" shape so that the ends of the " C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421 and 422, do.
  • a plurality of rods 431 capable of receiving laundry ar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c"
  • a rack fixing portion 43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late 421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422 in a substantially "C"
  • the rack fixing portion 432 is also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connecting point so that the rack fixing portion 432 is rotated and lifted and then engag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ds 431 to unfold the rack 43 do.
  • Such a rack 43 itself is not a direc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widely known in the art,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 Figs.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mounting portion 40. Fig.
  • FIG. 12 shows the folded state of the rack 43 of the mounting portion 40 being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This is achieved by separating the rod 431 engaged with the rack fixing portion 432 of the rack 43 and rotating the rack fixing portion 432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as described above.
  •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40 is rotated about the vertical frame 10 and rotated in a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uide rail.
  • the state as shown in Fig. 13 is made possible by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holder 41, as described above.
  • the mounting portion 40 can be rotated in a state as shown in Fig. 13 to be parallel to the guide rails of the window frame 100,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40 can be prevented from occupying the interior space when not in use.
  • the holder 41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stopping jaw 412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41.
  • the rotation stopping jaw 412 is protruded at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holder 41 on the side of the rack supporting portion 42 where the holder 41 is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ing plate 421.
  • the rotation preventing jaw 412 i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holder 41 toward the rotation preventing jaw 412. This is because the holder 41 is rotated as shown in Figure 13 to set the mounting portion 40 in an unused stat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40 is not positio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formed in the window frame 200 is opened.
  • the mounting portion 4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window frame 200 when the mounting portion 40 is not used, As shown in Fig.
  • the extending portion 32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bracket 20 and the lower bracket 3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tting hole 31 ,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tting hole 31.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itting hole 31, which engages with the vertical frame 1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bra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의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창틀의 상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창틀의 하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빨래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의 홈이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프레임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본 발명은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창틀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또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는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와 빨래를 많이 널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7930호(2016.11.07)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17625호(2017.03.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의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들은 가이드 레일에 대해 수직 방향인 2개의 수직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들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높아지고 조립이 다소 복잡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7930호(2016.11.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17625호(2017.03.1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로서,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조립 및 제품 설치가 간편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수직 프레임만을 사용하면서도 수직 프레임과 창틀의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시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롤러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이 제공되므로 사용시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로서, 창틀의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창틀의 상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창틀의 하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빨래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의 홈이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프레임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은,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끼움구; 상기 끼움구를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프레임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돌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및 창틀의 가이드 레일의 형상에 상응하여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브라켓 내부로 관통되어 형성된 레버 홈; 및 상기 레버 홈을 통해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브라켓을 고정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단면은 "∩"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탄성재로 된 레일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레버가 눌려진 경우 가이드 레일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수직 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에 고정 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하며, 빨래를 거치하는 랙을 지지하는 랙 지지부; 및 상기 랙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빨래를 거치하기 위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지지부는, 홀더와 결합하는 제1 지지판; 제1 지지판과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제2 지지판; 및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에 연장되어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과 결합된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은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의 하부와 제2 지지판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과 결합되는 보조 지지봉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홀더가 랙 지지부의 제1 지지판과 결합하는 쪽의 양단부 중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된 회전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수직 프레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제품 설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수직 프레임만을 사용하면서도 수직 프레임과 창틀의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시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의 롤러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이 제공되므로 사용시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부 브라켓(3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 브라켓(30)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하부 브라켓(30)의 길이 방향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이동 방지 레버(3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거치부(4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홀더(41)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홀더(41)와 랙 지지부(4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거치부(40)의 랙(43)이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거치부(40)가 수직 프레임(10)을 축으로 회전되어 가이드 레일에 거의 평행한 상태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는, 수직 프레임(10), 상부 브라켓(20), 하부 브라켓(30) 및 거치부(40)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0)은, 창틀(200)의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상부 브라켓(20) 및 하부 브라켓(30)에 의해 창틀(200)의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창틀(200)은, 예컨대 거실 등과 같은 실내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종래 알려져 있는 샤시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창틀(200)은 도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창틀(200)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프레임 결합부(13)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은 서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창틀(200)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끼운 후 프레임 결합부(13)에 의해 고정된다. 프레임 결합부(13)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예컨대 나사 등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단단히 고정 결합시킨다.
상부 프레임(11), 하부 프레임(12) 및 프레임 결합부(13)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직접적인 구성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브라켓(20)은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창틀(200)의 상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30)은 수직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창틀(200)의 하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브라켓(20) 및 하부 브라켓(30)에 형성된 홈(33)은 창틀(200)의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과 각각 결합하여 수직 프레임(10)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결국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를 창틀(20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브라켓(20) 및 하부 브라켓(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창틀(200)의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프레임(10)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부 브라켓(20) 및 하부 브라켓(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하부 브라켓(3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하부 브라켓(30)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브라켓(30)은 수직 프레임(10)이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1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끼움구(31)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브라켓(30)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구(31)를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32)가 형성된다.
연장부(32)는 끼움구(31)를 중심으로 수직 프레임(10)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바람직하게는 좌우 방향으로 각각 수직 프레임(10)의 단면 크기보다 대략 2~2.5배 정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32)에 의해 수직 프레임(10)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유연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부 브라켓(30)의 저면에는 창틀(200)의 가이드 레일의 형상에 상응하여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32)의 양단부쪽으로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는 롤러(34)가 삽입 고정된다. 롤러(34)는 종래 알려져 있는 바퀴를 포함하는 캐스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의 돌출면과 바퀴의 표면이 접촉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 프레임(1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롤러(34)는 연장부(32)의 양단부쪽에 가깝게 2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브라켓(30)의 연장부(32)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부 브라켓(30) 내부로 관통되어 있는 레버 홈(35)과, 상기 레버 홈(35)을 통해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하부 브라켓(30)을 고정하는 레버(36)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은 이동 방지 레버(3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하부 브라켓(30)의 길이 방향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이동 방지 레버(3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레버 홈(35)은 연장부(32)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브라켓(30)의 내부로 관통되어 있고, 레버(36)는 레버 홈(35)을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의 돌출부에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레버(36)는 수직 프레임(10) 즉,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가이드 레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레버(36)는 그 단면이 "∩"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탄성재로 된 레일 결합부(37)가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37)는 레버(36)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수직 프레임(10)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레버(36)를 누르면 레버(36)는 레버 홈(35)을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수직 프레임(10) 즉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하부 브라켓(30)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부 브라켓(20)도 하부 브라켓(20)과 마찬가지이며 창틀(200)의 상부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한편, 연장부(32)는 상부 브라켓(20) 및 하부 브라켓(30)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롤러(34)는 하부 브라켓(30)에만 형성되어도 좋지만, 상부 브라켓(30)에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레버 홈(35) 및 레버(36)도 하부 브라켓(30)이나 상부 브라켓(20) 모두에 형성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에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100)의 거치부(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거치부(4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홀더(41)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홀더(41)와 랙 지지부(4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거치부(40)는 빨래를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홀더(41), 랙 지지부(42) 및 랙(43)을 포함한다.
홀더(41)는 수직 프레임(10)이 삽입되는 관통공(411)이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을 중심으로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관통공(411)은 수직 프레임(10)의 단면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지만, 홀더(41)가 수직 프레임(10)을 축으로 회전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10)과 관통공(411)은 모두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41)는 관통공(411)을 통해 수직 프레임(10)에 끼운 후 거치부(40)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홀더(41)를 수직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홀더(41)를 수직 프레임(10)에 끼우기 전에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로 된 링(미도시)을 먼저 수직 프레임(10)에 끼운 후, 홀더(41)를 수직 프레임(10)에 끼우면 홀더(41)는 링에 의해 지면 방향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랙 지지부(42)는, 홀더(41)와 결합하여 빨래를 거치하기 위한 랙(43)을 지지하는 수단이고, 랙(43)은 랙 지지부(42)에 의해 지지되며 빨래를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이다.
랙 지지부(42)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41)와 결합하는 제1 지지판(421)과, 제1 지지판(422)과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제2 지지판(422)과, 상기 제1 지지판(421)과 제2 지지판(422) 사이에 연장되어 제1 지지판(421)과 제2 지지판(422) 사이에 결합된 지지봉(42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지지판(421)과 제2 지지판(422)은 수직 프레임(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지지봉(423)은 상부에 2개, 하부에 1개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갯수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랙 지지부(42)는, 제1 지지판(421)의 하부와 제2 지지판(422)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지지판(421)과 제2 지지판(422) 사이에 결합되는 보조 지지봉(4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지지봉(423)은 지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제2 지지판(422)쪽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랙(43)에 빨래를 거치했을 때 빨래의 무게로 인하여 랙(43)의 전단부가 아래쪽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보조 지지봉(423)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랙(43)은 빨래를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랙 지지부(42)에 의해 지지된다. 랙(43)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판(421) 및 제2 지지판(422)의 상단부에 "ㄷ"자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결합된 위치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ㄷ"자 사이의 공간에는 빨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봉(43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판(421) 및 제2 지지판(422) 사이에서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된 랙 고정부(432)가 형성된다. 랙 고정부(432) 또한 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랙 고정부(432)를 회전시켜 들어 올린 후 복수개의 봉(431)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도록 하여 랙(43)을 펼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랙(43) 자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고,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은 거치부(4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거치부(40)의 랙(43)이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랙(43)의 랙 고정부(432)가 맞물려 있는 봉(431)을 분리시켜 랙 고정부(432)를 지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3은 거치부(40)가 수직 프레임(10)을 축으로 회전되어 가이드 레일에 거의 평행한 상태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과 같은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41)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13과 같은 상태로 거치부(40)를 회전시켜서 창틀(100)의 가이드 레일에 평행한 상태로 둘 수 있으므로, 미사용시에 거치부(40)가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홀더(4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41)의 외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 방지턱(41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턱(412)은 홀더(41)가 랙 지지부(42)의 제1 지지판(421)과 결합하는 쪽의 양단부 중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된다.
회전 방지턱(412)은 홀더(41)가 회전 방지턱(412)이 형성된 쪽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41)를 회전시켜서 거치부(40)를 미사용 상태로 회전시키는 경우 창틀(200)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에 거치부(40)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의 홀더(41)를 기준으로 보면, 회전 방지턱(412)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회전 방지턱(412)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창틀(200)에 형성된 창문에 회전 방지턱(412)이 닿게 되므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10의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홀더(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턱(412)에 의하여, 홀더(41)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창틀(200)에 설치시에 도어의 개방에 방해를 주지 않고 거치부(40)를 미사용시에 창틀(200)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연장부(32)는 상부 브라켓(20) 및 하부 브라켓(30)의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끼움구(31)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끼움구(31)를 기준으로 반드시 대칭 형태가 될 필요는 없다. 즉, 수직 프레임(10)과 결합하는 끼움구(31)의 위치가 브라켓의 중심이 아닌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로서,
    창틀의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창틀의 상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창틀의 하부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빨래를 거치하는 거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의 홈이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프레임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은,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끼움구;
    상기 끼움구를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프레임의 단면 크기보다 길게 돌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및
    창틀의 가이드 레일의 형상에 상응하여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홈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브라켓 내부로 관통되어 형성된 레버 홈; 및
    상기 레버 홈을 통해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브라켓을 고정하는 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단면은 "∩"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탄성재로 된 레일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레버가 눌려진 경우 가이드 레일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수직 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에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하며, 빨래를 거치하는 랙을 지지하는 랙 지지부; 및
    상기 랙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빨래를 거치하기 위한 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랙 지지부는,
    홀더와 결합하는 제1 지지판;
    제1 지지판과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제2 지지판; 및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에 연장되어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과 결합된 지지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은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8. 제6항에 있어서,
    제1 지지판의 하부와 제2 지지판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과 결합되는 보조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홀더가 랙 지지부의 제1 지지판과 결합하는 쪽의 양단부 중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된 회전 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PCT/KR2017/015539 2017-12-27 2017-12-27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WO20191320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5539 WO2019132058A1 (ko) 2017-12-27 2017-12-27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5539 WO2019132058A1 (ko) 2017-12-27 2017-12-27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058A1 true WO2019132058A1 (ko) 2019-07-04

Family

ID=6706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5539 WO2019132058A1 (ko) 2017-12-27 2017-12-27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3205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623Y1 (ko) * 2002-12-30 2003-03-17 한태열 빨래 건조대
KR20130058370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대연 창틀 건조대
KR101440265B1 (ko) * 2014-06-05 2014-09-17 진향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KR101656215B1 (ko) * 2015-06-10 2016-09-09 함태석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2016012793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건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623Y1 (ko) * 2002-12-30 2003-03-17 한태열 빨래 건조대
KR20130058370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대연 창틀 건조대
KR101440265B1 (ko) * 2014-06-05 2014-09-17 진향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KR2016012793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엘디엘 창틀 거치 건조대
KR101656215B1 (ko) * 2015-06-10 2016-09-09 함태석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77632A1 (ko) 창틀 건조대
WO2018139718A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3100309A1 (en)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WO2014193142A2 (ko) 끼임방지용 여닫이문
WO201416338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8194373A1 (ko)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
WO2010101351A2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WO201700322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5005528A1 (ko)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WO2017034284A1 (ko) 절첩식 옷걸이
WO2011021810A2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WO201700316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111694A1 (ko) 마감시트 고정장치
WO2016153154A1 (ko) 세탁장치
WO2016126067A1 (ko) 슬라이딩 및 스윙식 기능성 방 도어
WO2018008821A1 (ko) 의류 수납기구
WO2014017728A1 (ko) 이젤
WO2019132058A1 (ko)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WO2017116030A1 (ko) 차량용 거치대
WO2014181974A1 (ko) 천정 빨래 건조대
WO2020059921A1 (ko) 고정수단
WO2014196734A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철식 에어컨실외기 설치대
WO2020166783A1 (ko) 우산제수장치
WO2017086564A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행거
WO2019182218A1 (en) Hanger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cloths with adjustable hanging pressure and hang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cloths which uses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362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62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