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7728A1 - 이젤 - Google Patents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7728A1
WO2014017728A1 PCT/KR2013/003146 KR2013003146W WO2014017728A1 WO 2014017728 A1 WO2014017728 A1 WO 2014017728A1 KR 2013003146 W KR2013003146 W KR 2013003146W WO 2014017728 A1 WO2014017728 A1 WO 20140177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ing
contact
pie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1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Lee Jong-M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Jong-Moon filed Critical Lee Jong-Moon
Priority to JP201551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72453B2/ja
Priority to CN201380029290.6A priority patent/CN104349699B/zh
Priority to US14/398,457 priority patent/US9351573B2/en
Priority to EP13823358.0A priority patent/EP2878228B1/en
Publication of WO20140177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77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sel that can be adjusted to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to ensur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adjusted inclination angle can be reliably maintained.
  • Easel is usually used for drawing boards, pictures, pictures, menu boards or signs for various people to see.
  • Such easel is usually provided with three support frames provided at both sides and the center, a drawing board support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frames, and a rear support coupled to the rear of the center support frame among the three support frames. It consists of a frame.
  • the drawing board support inserts the coupling bolt into the two support frames and the drawing board support on both sides, and then tightens the coupling nut to the coupling bolt.
  • the drawing board support is used after tightening by adjusting the lifting frame in the center to fit the height of the user.
  • the rear support frame does not endure the load of the crater, and the two support frames on both sides unfolded, causing the problem that the easel fell.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easel that can be adjusted to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the maintenance of the adjusted inclination angle can be surely maintained.
  • the main bracket A front support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bracket, and an elastic front support; A rear support rotatably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main bracket, and stretchable; Pedestal both side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A lift table mounted on the front center of the main bracket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by a pedestal; And a tilting unit that is rotatably and elastically coupled between the rear support and the pedestal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support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
  • the til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ed to the rear support,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ed to the pedestal, and a first pivot piec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bracket; A pivot pivoting on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piece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ieces to rotate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ieces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nd a (pivot) assembly.
  • the pivot assembly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a second rotating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iece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iece screwed through the first, second rotating body, the handle is formed at the end.
  • the pivot assembly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a second rotating body contacting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and rotat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iece, Hemispherical contact grooves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Hemispherical shap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rotrusion,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allowing rotation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and having a mutually expandable cylinder, and both end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in the direction that the cylinder is contracted.
  • the pivot assembly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a second rotating body contacting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and rotat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iece,
  • the first and second rotor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protrude from the teeth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protrude from the first and second roto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that allows rotation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and the mutually stretchable cylinder,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to elastically suppo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linder is contracted.
  • the pivot assembly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a second rotating body contacting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and rotat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iece, A hemispherical contact hole penetrat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contacting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contacting the first rotating body, A hemispherical contact protrusion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hole, and a screw threaded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in which the contact protrusion contacts the contact hole, and a handle provided at one end thereof.
  • a central shaft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a cylindrical bearing casing through which the central axis penetrates and is screwed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 the axis An anti-loosening nut which is screw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haft which is penetrated from the center of the casing, and is embedded in the bearing casing and penetrates the center shaft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in the direction away.
  • the bearing casing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asing main body and the casing main body open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towar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and the central axi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bearing having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thread formed therein to be screwed therethrough, wherein the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body.
  • the tilting unit may include: a third pivotal piec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pport, a fourth pivotal piece rotatably coupled to the pedestal, and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hird pivotal piece is received and coupled to be accessible.
  • a first cylinder forming an inner portion
  • a second cylinder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fourth pivoting member is received and coupled to be accessible, and an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 a pivot assembly for rotating the ends of the two cylinders.
  • the tilting unit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itioning pin along one side edge of the third and fourth pivoting pieces and the positioning pins respectively penetrated to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And a positioning groove.
  • the tilting unit may be screwed through a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extending from both front sides of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and contacting an upper edge of the pedestal, and a fixing hole penetrated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is attached to the tilt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bolt fixed to.
  • the rear support and the pedestal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support relative to the front suppo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uch as contact grooves and contact projections or tooth structure. And by the tilting unit to maintain the tilt adjustment state can be achieved a stable structure.
  • FIG.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of the ea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view as viewed from the point A of FIG.
  • 4 to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in order the process of fixing the pedestal,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easel to the front suppo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point D of FIG.
  • FIG. 8 to 1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of the tilting uni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ease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of the ea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supporters 200 and 200 and the rear supporter 30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racket 100, and the pedestal 400 is coupled to the front supporters 200 and 200, and the lift table. 500 is elevated between the front support (200, 200) through the main bracket 100, the tilting unit 600 is coupled between the rear support 300 and the base 400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I can see that.
  • reference numeral 700 denotes a support clamp for stretching and fixing the front and rear supports 200, 200, and 300, and 710 denotes a fixture.
  • the reference numeral 800 denoted by the dotted lines on the main bracket 100 in Figs. 1 and 2 indicates an upper clamp for fixing after adjust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platform 500.
  • Main bracket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iprocating space of the lifting space 500 and the pivoting space of the front, rear support (200, 200, 300).
  • the front supports 200 and 200 are rotatably moun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bracket 100 and are stretchable to support the load of a crater such as a canvas from the front.
  • the rear support 300 is pivotal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main bracket 100 and is stretchable,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crater such as canvas with the front supports 200 and 200 from the rear.
  • Pedestal 400 is that both side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200, 200), having a cross-section of the 'b', 'b' or 'c' shape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canvas is mounted so that the crater, such as canvas It is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worker to work by mounting.
  • the lifting table 500 is mount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main bracket 100 to be elevated,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lifting by the pedestal 400.
  • a fixture provided to face the pedestal 400 is provided. It is disposed so as to properly lift the platform 5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ater such as canvas to serve to fix the crater between the fixture and the pedestal (400).
  • the tilting unit 600 is rotatably and elastically coupled between the rear support 300 and the pedestal 400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support 300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s 200 and 200, and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adjustment is completed is to play a role of fixing the inclined angle maintaining state of the rear support (300).
  • the tilting unit 600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support 300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 200 and 200, and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rackets 611 and 612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ieces (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the 621, 622 and pivot assembly.
  • the first auxiliary bracket 611 is coupled to the rear support 300 and connected to the first pivoting piece 621, and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612 is coupled to the pedestal 4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ivoting piece 622. Connected.
  • the first auxiliary bracket 6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bracket fixing screw 611 'as shown in the enlarged portion of FIG. 2, the end of the bracket fixing screw 611' is screwe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racket 611 By contact fixing to the rear support 300, the first auxiliary bracket 611 may be prevented from tumbling or flowing with respect to the rear support 300.
  •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pivoting piece 6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uxiliary bracket 611, and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pivoting piece 6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612.
  • the pivot assembly pivot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ieces 621 and 622 to interconnec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ieces 621 and 622 so that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 the pivot assembly pivot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ieces 621 and 622 to interconnec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ieces 621 and 622 so that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612 further includes an escape preventing bracket 613 having a wedge shape of 'b' or 'b' fixing the upper edge of the pedestal 400 and the enlarged part of FIG. 2 and FIG. 3. To be equipped.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613 is fixed to the fixing bolt 615 through the fixing hole 614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400 as shown in FIGS.
  • a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401 are penetrated at equal intervals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fixed to the pair of the front support 200 and the bolt 701 at appropriate positions, respectively,
  • the fixing bolt 615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xing holes 614 to be fixed.
  • the adjustment hole 401 i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of the bolt 701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lower width wider than the upper side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701 from the narrow upper side.
  • the fixing hole 614 has a wider upper side than the lower side and passes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xing bolt 615 from a narrow lower side so that the head of the fixing bolt 615 is fixed in contact with a relatively wide upper edge. to be.
  • the structural shape of the adjustment hole 401 and the fixing hole 614 is the inverse of that shown, that is, the adjustment hole 401 formed in the upper width wider than the lower side and the fixed hole 614 formed in the lower width wider than the upper sid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design applications and variants that form.
  • the structural shape of the adjustment hole 401 and the fixing hole 614 is inverted up and down, and the bolt 701 is pushed dow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fix the fixing bolt 615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echnical means for maintaini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pedestal 400 is firmly fixed as shown in FIG. 7 by the fixing bolt 615 and the bolt 701 together with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613 by pushing up and fixing it. This can be called.
  • the user adjusts the proper angle of the front support 200, and then insert the bolt 701 into the adjustment hole 401 of the appropriate position, pushed up as shown in Figure 6 (at this time, the rear of the pedestal 400 Fixture for the support (700 (see also FIG. 7) is also adjusted together))
  • the pedestal 400 is the upper release prevention bracket 613 and the lower bolt 701 and the rear Will be in a tightly fixed state by the support for the fixing clamp 700.
  • the pivot assembly 630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631 and a first rotating body 631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621 as shown in FIGS. 1, 2, and 8.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crew, and is screwed through the second rotating body 63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iece 622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31 and 632, and the handle is attached to the e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rmed fixing piece 633 is included.
  • the user grips the fixing piece 633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crewed direction to release the coupl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31 and 632 can freely rotate with each other. 1 and 2, after forming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rear support 300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 (200, 200) desired by the user, by rotating the locking piece 633 to be able to maintain the inclination angle. will be.
  • pivot assembly 640 may be inclined by the mutual contact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ct grooves 643 and the contact protrusions 64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41 and 642, as shown in FIGS. 9 and 10. Can be.
  • the pivot assembly 640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641 and the first rotating body 641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621, and the second rotating piece 622.
  •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herein the hemispherical contact grooves 643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641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It is formed, the hemispherical contact protrusion 644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642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member 641 at equal intervals.
  • the pivot assembly 640 protrudes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6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and allows rotation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31 and 632, and mutually stretched. Possible cylinders 645.
  • the cylinder 645 includes a cylinder body 646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body 641 and a rod 647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as shown. 647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main body 646 and the entire length is stretched.
  • the cylinder 645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body 646 protruding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641, as shown in the ro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body 646 and is accessible ( 647, but the cylinder body 646 and the rod 647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flanges 646 ′, 647 ′,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rotors 641, 642, respectively. .
  • the flange 646 ′ of the cylinder body 646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stepped portion 641 ′ provided inside the first rotating body 641,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and the flange 647 ′ of the rod 647.
  • the edge may be applied to the stepped portion 642 ′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to prevent separation.
  • the cylinder body 646 and the rod 647 have the inverse of the illustrated structure, that is, the cylinder body 646 is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and the rod 647 is provided in the first rotating body 641.
  • the cylinder body 646 is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ng body 642
  • the rod 647 is provided in the first rotating body 641.
  • the pivot assembly 64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645, that is, the end of the cylinder body 646 and the end of the rod 647, each end is fixed to the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linder 645 contracted ( 648).
  • the first and second rotary bodies 641 and 642 are mutually rota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9.
  • the angle of inclination can be adjusted little by little.
  • the pivot assembly 650 rotates in one direction by adopting a ratchet structure in which the teeth 653 and 653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51 and 65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1 and 12.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embodiment to temporarily maintain a strong fastening state after adjusting the angle of inclination in a manner that allows but restricts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 the teeth 653 and 653 '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surface wher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51 and 652 contact each other, and are inclined in one direction.
  • the cylinder 654 protrudes from the first and second rotors 651 and 652, permits rotation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s 651 and 652, and is mutually flexible. will be.
  • the cylinder 654 includes a cylinder body 655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body 651 and a rod 656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body 652 as shown, 656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body 655 and the entire length is stretched as it enters and exits.
  • the cylinder 654 protrudes from the second rotating body 652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body 655 protruding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651 as shown, an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body 655 to allow entry and exit ( 656,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ylinder body 655 and the rod 656 have flanges 655 'and 656', respectively, so as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rotors 651 and 652, respectively. .
  • the flange 655 'of the cylinder body 655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stepped portion 651' provided inside the first rotating body 651 to prevent the separation, and the flange 656 'of the rod 656.
  • the edge may be applied to the stepped portion 652 ′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652 to prevent separation.
  • the cylinder body 655 and the rod 656 have the inverse of the illustrated structure, that is, the cylinder body 655 is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ng body 652, and the rod 656 is provided in the first rotating body 651.
  • the design to be provided in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apply the design to be provided in.
  • the pivot assembly 65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654, that is, the end of the cylinder body 655 and the end of the rod 656, respectively, the springs for elastic suppo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linder 654 contracts ( 657).
  •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51 and 652 ar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Rotating to adjust the angle of inclination step by step while sliding along the inclined slope inclined in one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teeth (653, 653 ').
  • the pivot assembly 670 has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having a contact hole 673 and a contact protrusion 674 between the central axis 675 and the bearing casing 676 as shown in FIGS. 13 and 14. 672 may be applied.
  • reference numeral 679 denotes a washer
  • the first rotating body 671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iece 621, the second rotating body 672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671, and the second rotating piece 622 is rotated. It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 the contact hole 673 penetrates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671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tating body 672 at equal intervals, and the contact protrusion 674 is made of the first contacting body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671. It is a hemispherical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two rotating bodies 672 at equal intervals, and is arrange
  • the central shaft 675 is screwed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and 672 in which the contact protrusion 674 contacts the contact hole 673, and has a handle 675 ′ provided 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s 671 and 672.
  • the bearing casing 676 is a tubular member through which the central shaft 675 is penetrated and screwed,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and 672.
  • the anti-loosening nut 677 is screwed with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haft 675 expos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aring casing 676.
  • the spring 678 is embedded in the bearing casing 676, the central shaft 675 penetrates in the center thereof,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bearing casing 67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and 672.
  • the bearing casing 676 is first and second times from the center of the casing main body 676 'and the casing main body 676' open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and 672 side.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a bearing 676 ′′ of both ends penetrating protruding toward the entire 671 and 672 side, and having a screw thread through which the central axis 675 penetrates and is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pring 678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676 ")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ing body (676 ').
  • the handle 675 ′ is centered o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and 672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haft 675 rotates in the unwin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nti-screw nut 677 to release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671 and 672 to allow some play.
  • the contact protrusions 674 inserted into the contact holes 673 may be stepwise with the other contact holes 673 spaced at regular intervals.
  • the angle of inclination can be adjusted little by little while being fitted.
  • the tilting unit 600 finely til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support 300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 200, 200 even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adjusted by the pivot assemblies 630, 640, 650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Need to be adjusted.
  • the tilting unit 600 applies the pivot assemblies 630, 640, and 650 of FIG. 15, and the pivot assembly 630 of FIG. 8 in FIG. 15, and also applies to the pivot assemblies 640 and 650 of FIG. 15. It is possible to apply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access of the third and fourth pivot pieces 603 and 604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661 and 662 extending on both sides. .
  • the tilting unit 600 includes a third rotating piece 603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pport 300 and a fourth rotating piece 604 rotatably coupled to the pedestal 400.
  • the tilting unit 600 is coupled to the first cylinder 661 and the fourth rotating piece 604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third rotating piece 603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is coupled to be accessible. And a second cylinder 662 forming an inner space.
  • the pivot assembly 630 rotates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661 and 662 to interconnec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661 and 662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 the tilting unit 600 is positioned along one side edges of the positioning pins 663 and 664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661 and 662, respectively, and the third and fourth rotating pieces 603 and 604. It further includes positioning grooves 605 and 606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cision pins 663 and 664.
  • the tilting unit 600 allows the third and fourth pivoting pieces 603 and 604 to enter and exit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661 and 66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being rearward to the front supports 200 and 200. It will be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300).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technical idea that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and the easel can be reliably maint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전방 지지대;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후방 지지대; 양측이 상기 전방 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받침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전방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의하여 승강 지지되는 승강대; 및 상기 후방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 지지대에 대한 상기 후방 지지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 유닛;을 포함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경사각의 유지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젤
본 발명은 이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희망하는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경사각의 유지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이젤은 통상 화판을 거치하거나 사진, 그림, 메뉴용 칠판이나 안내판 등을 거치하여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젤은 대개 양측과 중앙에 구비되는 세 개의 지지프레임들과, 이 지지프레임들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화판받침대와, 세 개의 지지프레임 중 중앙의 지지프레임의 후면부에 절첩구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화판받침대는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과 화판받침대에 결합볼트를 인입한 후, 결합너트를 결합볼트에 체결한다.
따라서, 화판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도록 중앙의 지지프레임을 승강 조절하여 체결한 후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젤은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후면지지프레임이 화판받침대에 거치된 캔버스 등을 포함한 화구의 하중을 전부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후면지지프레임이 화구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벌어지면서 이젤이 쓰러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희망하는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경사각의 유지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전방 지지대;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후방 지지대; 양측이 상기 전방 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받침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전방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의하여 승강 지지되는 승강대; 및 상기 후방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 지지대에 대한 상기 후방 지지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대에 결합된 제1 보조 브라켓과, 상기 받침대에 결합된 제2 보조 브라켓과,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편과,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편과, 상기 제1, 2 회동편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2 회동편의 타단부를 회동시키는 피벗(pivot)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2 회전체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반구 형상의 접촉홈과,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반구 형상의 접촉 돌기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2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며,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2 회전체가 상호 접촉하는 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니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2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며,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관통된 반구 형상의 접촉홀과,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반구 형상의 접촉 돌기와, 상기 접촉홀에 상기 접촉 돌기가 접촉된 상기 제1, 2 회전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 구비된 손잡이가 상기 제1, 2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접촉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2 회전체 중 나머지 하나의 외측에 접촉되는 통 형상의 축받이 케이싱과, 상기 축받이 케이싱의 중심부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중심축의 타단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풀림 방지 너트와, 상기 축받이 케이싱에 내장되고 중심부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며 상기 축받이 케이싱을 상기 제1, 2 회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축받이 케이싱은, 상기 제1, 2 회전체측을 향하여 개방된 통 형상의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2 회전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내주면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축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축받이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싱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회동편과, 상기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4 회동편과, 상기 제3 회동편이 수용되어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통체와, 상기 제4 회동편이 수용되어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통체와, 상기 제1, 2 통체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2 통체의 단부를 회동시키는 피벗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제1, 2 통체에 각각 관통 결합된 위치결정 핀과, 상기 제3, 4 회동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위치결정 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결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이탈방지 브라켓과,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관통된 고정홀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지지대와 받침대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 지지대에 대한 후방 지지대의 경사각을 접촉홈과 접촉 돌기 또는 톱니 구조 등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조절하고 경사 조절 상태를 유지하는 틸팅 유닛에 의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구조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2의 D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받침대를 전방 지지대에 고정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개념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구조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브라켓(100)에 전방 지지대(200, 200) 및 후방 지지대(3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받침대(400)가 전방 지지대(200, 200)에 결합되며, 승강대(500)가 메인 브라켓(100)을 통하여 전방 지지대(200, 200) 사이에서 승강하며, 후방 지지대(300)와 받침대(400) 사이에 틸팅 유닛(600)이 결합되어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 부호로 700은 전, 후방 지지대(200, 200, 300)를 신축하고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용 고정쇠를, 710은 고정구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메인 브라켓(100)에 점선으로 표시된 미설명 부호로 800은 승강대(50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한 상부 고정쇠를 나타낸다.
메인 브라켓(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 후방 지지대(200, 200, 300)의 회동 공간과 승강대(500)의 왕복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지지대(200, 200)는 메인 브라켓(100)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것으로, 전방에서 캔버스 등 화구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후방 지지대(300)는 메인 브라켓(10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것으로, 후방에서 전방 지지대(200, 200)와 함께 캔버스 등 화구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된다.
받침대(400)는 양측이 전방 지지대(200, 200)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ㄱ', 'ㄴ' 또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지니고 캔버스의 하부측 가장자리가 거치되도록 하여 캔버스 등 화구를 거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승강대(500)는 메인 브라켓(100)의 전방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는 받침대(400)에 의하여 승강 지지되는 것으로, 상단부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받침대(400)와 대향되게 마련된 고정구가 배치되어 캔버스 등 화구의 크기에 따라 승강대(500)를 적절히 승강시켜 고정구와 받침대(400) 사이에 화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틸팅 유닛(600)은 후방 지지대(300)와 받침대(400)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한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경사각의 조절이 완료되면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 유지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틸팅 유닛(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한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1, 2 보조 브라켓(611, 612)과 제1, 2 회동편(621, 622) 및 피벗(pivot)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611)은 후방 지지대(300)에 결합되어 제1 회동편(621)과 연결되고, 제2 보조 브라켓(612)은 받침대(400)에 결합되어 제2 회동편(622)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보조 브라켓(611)에는 도 2의 확대부와 같이 브라켓 고정나사(611')를 더 구비하여, 브라켓 고정나사(611')의 단부가 제1 보조 브라켓(611)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후방 지지대(300)에 접촉 고정됨으로써 제1 보조 브라켓(611)이 후방 지지대(300)에 대하여 헛돌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동편(621)은 제1 보조 브라켓(611)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제2 회동편(622)은 제2 보조 브라켓(612)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벗 어셈블리는 이러한 제1, 2 회동편(621, 622)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제1, 2 회동편(621, 622)의 타단부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후술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제2 보조 브라켓(612)에는 도 2의 확대부 및 도 3과 같이 받침대(40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ㄱ' 또는 'ㄴ'자의 쐐기 형상을 지닌 이탈방지 브라켓(613)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이탈방지 브라켓(613)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받침대(400)의 상측에 고정홀(614)을 통하여 고정볼트(615)로써 고정된다.
받침대(40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방 지지대(200) 한 쌍과 각각 적절한 위치에 볼트(701)로 고정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의 조절홀(401)이 등간격으로 관통되고, 중앙부에는 고정볼트(615)가 고정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홀(614)을 구비한다.
여기서, 조절홀(401)은 상측에 비하여 하측의 폭이 넓어 좁은 상측으로부터 볼트(701)의 나사부가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하측 가장자리에 볼트(701)의 머리가 접촉 고정되게 된 구조이다.
이에 비하여 고정홀(614)은 하측에 비하여 상측의 폭이 넓어 좁은 하측으로부터 고정볼트(615)의 나사부가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상측 가장자리에 고정볼트(615)의 머리가 접촉 고정되게 된 구조이다.
조절홀(401)과 고정홀(614)의 구조적 형상은 도시된 것의 역으로, 즉 하측에 비하여 상측의 폭이 넓게 형성된 조절홀(401)과 상측에 비하여 하측의 폭이 넓게 형성된 고정홀(614)을 형성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조절홀(401)과 고정홀(614)의 구조적 형상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 하로 역전되게 형성한 것은 볼트(701)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밀어내려 고정하고, 고정볼트(615)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밀어올려 고정함으로써 이탈방지 브라켓(613)과 함께 고정볼트(615) 및 볼트(701)에 의하여 받침대(400)의 상, 하측 가장자리가도 7과 같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받침대(400)를 체결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기술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고정볼트(615)를 고정홀(614)의 폭이 넓은 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이탈방지 브라켓(613)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도 5와 같이 고정볼트(615)와 함께 밀려내려가 이탈방지 브라켓(613)은 받침대(4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촉한 상태가 된 후, 고정볼트(615)를 안착시키고 이탈방지 브라켓(613)을 받침대(400)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전방 지지대(200)의 적절한 각도를 조절한 다음, 적절한 위치의 조절홀(401)에 볼트(701)를 삽입해 두고, 도 6과 같이 밀어 올려(이때, 받침대(400) 후방의 지지대용 고정쇠(700, 도 7 참고) 또한 함께 위치 조정됨) 볼트(701)를 안착시키면, 도 7과 같이 받침대(400)는 상측의 이탈방지 브라켓(613)과 하측의 볼트(701) 및 후방의 지지대용 고정쇠(700)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피벗 어셈블리(630)는 도 1과 도 2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편(62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631)와, 제1 회전체(631)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제2 회동편(62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632)와, 제1, 2 회전체(631, 632)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고정편(633)을 포함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는 고정편(633)을 파지하여 나사 결합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을 해제하여 제1, 2 회전체(631, 632)가 상호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도 1과 도 2의 상태 등 사용자가 희망하는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가 이루는 경사 각도를 조성한 후, 고정편(633)을 회전시켜 잠그면 경사 각도의 유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피벗 어셈블리(64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 2 회전체(641, 642) 사이의 접촉홈(643) 및 접촉 돌기(644)의 상호 접촉 결합 구조에 의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피벗 어셈블리(64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회동편(62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641)와, 제1 회전체(641)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제2 회동편(62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642)를 포함하되, 반구 형상의 접촉홈(643)이 제2 회전체(642)와 접촉하는 제1 회전체(641)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접촉 돌기(644)가 제1 회전체(641)와 접촉하는 제2 회전체(642)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피벗 어셈블리(640)는 제1 회전체(641)와 제2 회전체(642)로부터 돌출되고, 제1, 2 회전체(631, 632)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며,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645)를 포함한다.
실린더(645)가 제1, 2 회전체(641, 642)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 후술할 스프링(648)이 꼬여서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린더(6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641)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실린더 본체(646)와, 제2 회전체(642)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로드(647)를 포함하며, 로드(647)는 실린더 본체(646)에 삽입되어 출입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신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6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641)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 본체(646)에 대하여 제2 회전체(642)로부터 돌출되어 실린더 본체(646)에 삽입되어 출입 가능한 로드(647)를 포함하되, 실린더 본체(646)와 로드(647)에는 각각 제1, 2 회전체(641, 64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플랜지(646', 64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린더 본체(646)의 플랜지(646')는 제1 회전체(641)의 내측에 마련된 단턱부(641')에 가장자리가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고, 로드(647)의 플랜지(647')는 제2 회전체(642)의 내측에 마련된 단턱부(642')에 가장자리가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본체(646)와 로드(647)는 도시된 구조의 역, 즉 실린더 본체(646)를 제2 회전체(642)에 구비토록 하고, 로드(647)를 제1 회전체(641)에 구비토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피벗 어셈블리(640)는 실린더(645)의 외주면, 즉 실린더 본체(646)의 단부와 로드(647)의 단부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실린더(645)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48)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조금씩 조절하고자 할 때는 도 9와 같이 제1, 2 회전체(641, 642)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시켜 단계적으로 조금씩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크게 조절하거나 완전히 절첩시켜 수납하고자 할 때는 도 5와 같이 제1 회전체(641)로부터 제2 회전체(642)를 이격시켜 크게 회전시킨 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피벗 어셈블리(65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제1, 2 회전체(651, 652) 사이의 톱니(653, 653')가 상호 맞물리도록 한 래칫 구조를 채택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경사각 조절을 한 후 강력한 체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즉, 톱니(653, 653')는 제1, 2 회전체(651, 652)가 상호 접촉하는 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실린더(654)는 제1 회전체(651)와 제2 회전체(652)로부터 돌출되고, 제1, 2 회전체(651, 652)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며, 상호 신축 가능한 것이다.
실린더(654)가 제1, 2 회전체(651, 652)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 후술할 스프링(657)이 꼬여서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린더(6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651)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실린더 본체(655)와, 제2 회전체(652)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로드(656)를 포함하며, 로드(656)는 실린더 본체(655)에 삽입되어 출입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신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6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651)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 본체(655)에 대하여 제2 회전체(652)로부터 돌출되어 실린더 본체(655)에 삽입되어 출입 가능한 로드(656)를 포함하되, 실린더 본체(655)와 로드(656)에는 각각 제1, 2 회전체(651, 65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플랜지(655', 65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린더 본체(655)의 플랜지(655')는 제1 회전체(651)의 내측에 마련된 단턱부(651')에 가장자리가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고, 로드(656)의 플랜지(656')는 제2 회전체(652)의 내측에 마련된 단턱부(652')에 가장자리가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본체(655)와 로드(656)는 도시된 구조의 역, 즉 실린더 본체(655)를 제2 회전체(652)에 구비토록 하고, 로드(656)를 제1 회전체(651)에 구비토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피벗 어셈블리(650)는 실린더(654)의 외주면, 즉 실린더 본체(655)의 단부와 로드(656)의 단부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실린더(654)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57)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조금씩 조절하고자 할 때는 도 11과 같이 제1, 2 회전체(651, 652)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맞물린 톱니(653, 653') 각각의 일방향으로 치우치게 경사진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단계적으로 조금씩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크게 조절하거나 완전히 절첩시켜 수납하고자 할 때는 도 12와 같이 제1 회전체(651)로부터 제2 회전체(652)를 이격시켜 크게 회전시킨 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피벗 어셈블리(670)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중심축(675)과 축받이 케이싱(676) 사이에서 접촉홀(673)과 접촉 돌기(674)를 구비한 제1, 2 회전체(671, 672)의 상호 회전 접촉을 허용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로 679는 와셔를 나타낸다.
제1 회전체(671)는 제1 회동편(62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회전체(672)는 제1 회전체(671)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제2 회동편(62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접촉홀(673)은 제2 회전체(672)와 접촉하는 제1 회전체(671)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관통된 것이며, 접촉 돌기(674)는 제1 회전체(671)와 접촉하는 제2 회전체(672)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접촉홀(673)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반구 형상의 부재이다.
중심축(675)은 접촉홀(673)에 접촉 돌기(674)가 접촉된 제1, 2 회전체(671, 67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 구비된 손잡이(675')가 제1, 2 회전체(671, 672)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접촉되는 것이다.
축받이 케이싱(676)은 중심축(675)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1, 2 회전체(671, 672) 중 나머지 하나의 외측에 접촉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나사풀림 방지 너트(677)는 축받이 케이싱(676)의 중심부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중심축(675)의 타단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스프링(678)은 축받이 케이싱(676)에 내장되고 중심부에 중심축(675)이 관통하며 축받이 케이싱(676)을 제1, 2 회전체(671, 67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축받이 케이싱(676)은, 제1, 2 회전체(671, 672)측을 향하여 개방된 통 형상의 케이싱 본체(676')와, 케이싱 본체(676')의 중심으로부터 제1, 2 회전체(671, 672)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내주면에 중심축(675)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축받이(676")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678)은 축받이(676")의 외주면과 케이싱 본체(676')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조금씩 조절하고자 할 때는 제1, 2 회전체(671, 672)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손잡이(675')를 중심축(675)이 나사풀림 방지 너트(677)에 대하여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2 회전체(671, 672)의 밀착 상태를 해제하여 약간의 유격을 허용한다.
이때, 제1, 2 회전체(671, 672)가 상호 유격을 허용한 상태라 하더라도 스프링(678)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제1, 2 회전체(671, 672)가 상호 밀착된 상태는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제1, 2 회전체(671, 672)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홀(673)에 끼워진 접촉 돌기(674)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또다른 접촉홀(673)과 단계적으로 끼워지면서 조금씩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틸팅 유닛(600)은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벗 어셈블리(630, 640, 650)에 의하여 경사각이 조절된 상태에서도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하여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미세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틸팅 유닛(600)은 도 15와 같이 피벗 어셈블리(630, 640, 650, 도 15에서는 도 8의 피벗 어셈블리(630)를 적용하였으며, 나머지 실시예에 따른 피벗 어셈블리(640, 650)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임)를 기준으로 양측에 연장된 제1, 2 통체(661, 662)에 대하여 제3, 4 회동편(603, 604)의 출입을 허용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틸팅 유닛(600)은 후방 지지대(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회동편(603)과, 받침대(4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4 회동편(604)을 포함한다.
그리고, 틸팅 유닛(600)은 제3 회동편(603)이 수용되어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통체(661)와, 제4 회동편(604)이 수용되어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통체(662)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벗 어셈블리(630)는 제1, 2 통체(661, 662)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제1, 2 통체(661, 662)의 단부를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틸팅 유닛(600)은 제1, 2 통체(661, 662)에 각각 관통 결합된 위치결정 핀(663, 664)과, 제3, 4 회동편(603, 604)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결정 핀(663, 664)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결정 홈(605, 606)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틸팅 유닛(600)은 제1, 2 통체(661, 6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4 회동편(603, 604) 각각의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전방 지지대(200, 200)에 대한 후방 지지대(300)의 경사각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희망하는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경사각의 유지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젤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메인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전방 지지대;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신축 가능한 후방 지지대;
    양측이 상기 전방 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받침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전방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의하여 승강 지지되는 승강대; 및
    상기 후방 지지대와 결합된 제1 보조 브라켓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편과, 상기 받침대와 결합된 제2 보조 브라켓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동편과, 상기 제1, 2 회동편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2 회동편의 타단부를 회동시키는 피벗(pivot)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지지대에 대한 상기 후방 지지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2 회전체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반구 형상의 접촉홈과,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반구 형상의 접촉 돌기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2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며,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2 회전체가 상호 접촉하는 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니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2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며,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벗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관통된 반구 형상의 접촉홀과,
    상기 제1 회전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회전체의 접촉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반구 형상의 접촉 돌기와,
    상기 접촉홀에 상기 접촉 돌기가 접촉된 상기 제1, 2 회전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 구비된 손잡이가 상기 제1, 2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접촉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2 회전체 중 나머지 하나의 외측에 접촉되는 통 형상의 축받이 케이싱과,
    상기 축받이 케이싱의 중심부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중심축의 타단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풀림 방지 너트와,
    상기 축받이 케이싱에 내장되고 중심부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며 상기 축받이 케이싱을 상기 제1, 2 회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케이싱은,
    상기 제1, 2 회전체측을 향하여 개방된 통 형상의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2 회전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내주면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축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축받이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싱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회동편과,
    상기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4 회동편과,
    상기 제3 회동편이 수용되어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통체와,
    상기 제4 회동편이 수용되어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통체와,
    상기 제1, 2 통체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2 통체의 단부를 회동시키는 피벗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제1, 2 통체에 각각 관통 결합된 위치결정 핀과,
    상기 제3, 4 회동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위치결정 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결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유닛은,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이탈방지 브라켓과,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관통된 고정홀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PCT/KR2013/003146 2012-07-05 2013-04-15 이젤 WO20140177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11344A JP5972453B2 (ja) 2012-07-25 2013-04-15 イーゼル
CN201380029290.6A CN104349699B (zh) 2012-07-25 2013-04-15 画架
US14/398,457 US9351573B2 (en) 2012-07-05 2013-04-15 Easel
EP13823358.0A EP2878228B1 (en) 2012-07-25 2013-04-15 Ea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49 2012-07-25
KR20120081049A KR101231959B1 (ko) 2012-07-25 2012-07-25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7728A1 true WO2014017728A1 (ko) 2014-01-30

Family

ID=4789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146 WO2014017728A1 (ko) 2012-07-05 2013-04-15 이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1573B2 (ko)
EP (1) EP2878228B1 (ko)
JP (1) JP5972453B2 (ko)
KR (1) KR101231959B1 (ko)
CN (1) CN104349699B (ko)
WO (1) WO2014017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9514B8 (en) * 2013-01-04 2017-06-07 Vitec Group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xtendible legs for tripods
KR101517737B1 (ko) * 2014-11-14 2015-05-04 이종문 이젤
KR101682851B1 (ko) 2016-03-25 2016-12-05 김용철 이젤의 화판(畵板)기울기 조절장치
KR101805897B1 (ko) * 2016-04-21 2017-12-07 박민재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USD923344S1 (en) * 2018-06-01 2021-06-29 Shao-Jie Ni Easel
US11751514B1 (en) * 2022-11-02 2023-09-12 Regina Sellers Tripod easel for wreath ma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874A (ja) * 1995-02-23 1996-09-10 Doi Gazai Center:Kk 絵画用イーゼル
KR200187274Y1 (ko) * 2000-01-18 2000-07-01 최형규 이젤
KR200244472Y1 (ko) * 2001-05-21 2001-10-29 김학무 회화용 이젤
KR200315002Y1 (ko) * 2003-02-25 2003-06-02 김학무 조립식 회화용 이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7825A (en) * 1923-06-21 1924-12-02 Bruneau Eugene Tripod
US2191755A (en) * 1938-04-06 1940-02-27 Stephen L Dearing Easel
US3304045A (en) * 1965-02-23 1967-02-14 Bethoney John Joseph Easel
US3759482A (en) * 1971-12-06 1973-09-18 E Wright Adjustable easel construction
JPS5350396Y2 (ko) * 1974-12-15 1978-12-02
JPS5760376Y2 (ko) * 1980-10-17 1982-12-23
US4522361A (en) * 1982-11-18 1985-06-11 Mooney Paul C Locking spreader leg for tripod
SU1340741A1 (ru) * 1984-05-07 1987-09-30 В. П. Родии, II. С. Жданов и Ю. И. Прохоров Мольберт складной
JPH02123300U (ko) * 1989-03-22 1990-10-09
US6206183B1 (en) * 1999-03-30 2001-03-27 Daniel C. Helsel Painter's box
US6601805B1 (en) * 2001-09-18 2003-08-05 Martin Universal Design Collapsible art easel
JP4146710B2 (ja) * 2002-11-14 2008-09-10 株式会社ユピテル 車載受信機用支持具
US7293753B1 (en) * 2004-08-04 2007-11-13 Kapp Dennis R Four-legged artist easel
US20060192071A1 (en) * 2005-02-28 2006-08-31 Choi Hyoung K Angle adjustable easel
US8146871B1 (en) * 2006-11-03 2012-04-03 Kulp Jack H Portable sign stand
US7722007B2 (en) * 2008-05-20 2010-05-25 Swank Audio Visuals, Llc Flip chart easel with improved pivotal strut mechanism
CN201870128U (zh) * 2010-10-08 2011-06-22 张波阳 画架
CN201911645U (zh) * 2010-12-22 2011-08-03 浙江省磐安县绿海工艺厂 倾斜式画架
US9220343B2 (en) * 2013-03-04 2015-12-29 Robert Allen Selwa 360 degree rotational eas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874A (ja) * 1995-02-23 1996-09-10 Doi Gazai Center:Kk 絵画用イーゼル
KR200187274Y1 (ko) * 2000-01-18 2000-07-01 최형규 이젤
KR200244472Y1 (ko) * 2001-05-21 2001-10-29 김학무 회화용 이젤
KR200315002Y1 (ko) * 2003-02-25 2003-06-02 김학무 조립식 회화용 이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9699B (zh) 2016-04-13
EP2878228A4 (en) 2016-04-13
JP2015519123A (ja) 2015-07-09
EP2878228A1 (en) 2015-06-03
KR101231959B1 (ko) 2013-02-08
US20150108315A1 (en) 2015-04-23
US9351573B2 (en) 2016-05-31
JP5972453B2 (ja) 2016-08-17
EP2878228B1 (en) 2017-07-12
CN104349699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7728A1 (ko) 이젤
US8469323B1 (en) Modular monitor support assembly
WO2018139717A1 (ko)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KR100794340B1 (ko)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WO2018139716A1 (ko)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8139718A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US7510156B1 (en) Electronic equipment attachment frame
WO2016076535A1 (ko) 이젤
WO2019221517A1 (ko) 전동식 이젤
BRPI0919233B1 (pt) conjunto de iluminação portátil
WO2012055117A1 (zh) 一种电视机座
CN211958650U (zh) 一种加强型组合式电缆桥架
WO2017116030A1 (ko) 차량용 거치대
KR101817971B1 (ko)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장치
WO2010058922A2 (ko) 높낮이 조절장치
CN217382690U (zh) 一种固定式灯具安装结构
CN216210143U (zh) 光学中心仪自定心旋转卡盘
WO2015035599A1 (zh) 电子设备底座与壁挂共用安装装置
CN216929520U (zh) 一种新型线缆安装固定夹具
WO2014196734A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철식 에어컨실외기 설치대
KR100959936B1 (ko) 3축 위치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거치대 구조
WO2019151723A1 (ko) 사계절 및 주야 사용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구비한 회전 파라솔
WO2021153994A1 (ko)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WO2020141842A1 (ko) 폴더블폰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3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23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23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98457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1134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