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039A -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039A
KR20180127039A KR1020170062337A KR20170062337A KR20180127039A KR 20180127039 A KR20180127039 A KR 20180127039A KR 1020170062337 A KR1020170062337 A KR 1020170062337A KR 20170062337 A KR20170062337 A KR 20170062337A KR 20180127039 A KR20180127039 A KR 2018012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present
window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627B1 (ko
Inventor
김경군
Original Assignee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6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짝 프레임을 안내하려고 창호틀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에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끼우고 그 위에 창호짝이나 방충망이 걸쳐져서 올라타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본체를 가이드에 끼워서 창호나 방충망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이미 시공한 창호나 새로 시공하는 창호에도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에 이탈 방지 부분을 형성하므로, 창호나 방충망이 가이드에서 이탈하더라도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BRACKET FOR PREVENTING WINDOWS OR FROM WINDOWS FRAME}
본 발명은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나 방충망을 장착하는 창호틀 프레임에 미리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상하에 장착하고, 창호나 방충망을 닫음에 따라 이 창호나 방충망이 이탈 방지용 브래킷 사이에 걸쳐지게 하여 창호짝이나 방충망과 창호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줄여 창호나 방충망이 이탈하지 않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방식의 창호는 창짝 프레임을 창호틀 프레임에 설치하려면 창짝 프레임을 창호틀 프레임 상부에 끼운 다음, 이 창짝 프레임의 하부를 창호틀 프레임 하부에 끼워 넣어서 시공한다. 이에, 창짝 프레임과 창호틀 프레임 사이에는 이처럼 시공에 필요한 틈새가 생기고, 이 틈새가 넓으면 창호틀 프레임에서 창짝 프레임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창호틀 프레임과 함께 창호에 장착하는 방충망의 경우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이런 틈새를 없애려고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이탈 방지 구조를 갖춘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985753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호의 안쪽과 바깥쪽 양방향에 대하여 창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건축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창짝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창틀에 마련된 하부 가이드레일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부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연장부의 끝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창짝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부로 구성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562619호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구조물의 바깥쪽을 향하는 창틀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어 창짝 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와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접촉 포인트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대와의 접촉 포인트 및 창틀 프레임과의 체결에 의한 고정력을 기반으로 상기 창짝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575077호
창문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창문과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사이의 상하 유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식 유격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수단은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의 레일을 수용할 수 있는 레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레일 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유격조절수단의 상부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창문 이탈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하지만, 기존 이탈 방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제조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2) 창호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일체로 제작하거나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창호를 시공할 때나 조립할 때 이탈 방지 구조를 함께 시공해야 한다.
(3) 이처럼 일체로 이루어진 이탈 방지 구조는 이미 시공한 창호에는 적용하여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85753호 (등록일 : 2010.09.30) 한국등록특허 제1562619호 (등록일 : 2015.10.16) 한국등록특허 제1575077호 (등록일 : 2015.12.0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창호짝 프레임을 안내하려고 창호틀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에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끼우고 그 위에 창호짝이나 방충망이 걸쳐져서 올라타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본체를 가이드에 끼워서 창호나 방충망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이미 시공한 창호나 새로 시공하는 창호에도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에 이탈 방지 부분을 형성하므로, 창호나 방충망이 가이드에서 이탈하더라도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은, 미리 정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폭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 부분(110), 그리고 상기 삽입 부분(110)의 한쪽에서 일체로 꺾이게 형성하여 상기 삽입 부분(110)과 나란하게 형성한 이탈 방지 부분(120)을 포함하는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부분(110)은 서로 마주하는 면을 지지하는 중간 부분에 바깥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기(111)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삽입 부분(110)은, 마주하는 면이 바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여 강제로 벌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 돌기(111)를 돌출 성형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112)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삽입 돌기(111)는, 하나가 형성된 경우 양쪽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고,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 경우 양끝에 있는 삽입 돌기(111)의 바깥쪽이 좁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창호틀 프레임에 창호짝 프레임을 안내하려고 형성한 가이드에 끼워서 사용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설치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방충망은, 방충망을 열림 위치에 놓고 가이드에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을 끼워서 설치한 다음, 다시 방충망을 닫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누구든지 쉽게 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또한, 창호는 창호를 열었을 때는 창호짝 프레임이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에서 이탈하게 하여 쉽게 창호를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창호를 닫았을 때만 창호짝 프레임이 이탈 방지용 브래킷 위에 걸쳐지게 하여 틈새를 줄여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그리고, 이탈 방지용 브래킷에는 이탈 방지 부분을 구성하므로, 방충망 등이 가이드에서 이탈하더라도 실외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5) 한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은 가이드에 체결 방식으로 고정하므로 창호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또한, 실질적으로 창호짝 프레임이나 방충망 프레임 안에 끼워지는 삽입 돌기는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창호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간격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적용하여 방충망을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창호를 실외에서 본 정면도를, (b)는 방충망을 상하로 자른 단면도를 각각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을 적용하여 방충망을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창호를 실외에서 본 정면도를, (b)는 방충망을 상하로 자른 단면도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삽입 부분(110)과 이탈 방지 부분(120)을 포함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삽입 부분(110)은 창호짝 프레임이나 방충망(A)을 안내하려고 창호틀 프레임(F)에 형성한 가이드(G)에 끼워서 시공하고, 이 삽입 부분(110) 위에 창호짝 프레임이나 방충망(A)이 걸쳐져서 끼워지게 하므로 창호틀 프레임(F)과 방충망(A) 사이의 틈새를 줄여 창호짝 프레임이나 방충망(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 부분(110)은 체결 방식으로 가이드(G)에 고정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 부분(120)은 삽입 부분(110)과 나란하게 구성하여 방충망(A) 등이 이탈하더라도 실외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창호틀 프레임을, "A"는 상기 창호틀 프레임에 장착하는 방충망을, "G"는 창호틀 프레임에 창호짝 프레임이나 방충망 등을 안내하려고 형성한 가이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은 창호나 방충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편의를 위해 방충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삽입 부분(110)과 이탈 방지 부분(120)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 부분(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폭 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게 형성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도 4]와 같이 창호틀 프레임(F)에 창호짝 프레임이나 방충망(A) 등을 끼워서 슬라이딩 안내하는 가이드(G)에 끼울 수 있게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부분(110)은, "ㄷ"자 형상의 양단이 안쪽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좁은 입구 부분을 바깥으로 벌려서 삽입 부분(110)을 가이드(G)에 강제로 끼울 수 있게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 부분(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ㄷ"의 마주하는 양쪽 면을 지지하는 면의 중간 부분에 바깥쪽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기(111)를 돌출 성형한다. 삽입 돌기(111)는,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에 방충망(A)이 걸쳐졌을 때 방충망(A)의 안쪽과 삽입 돌기(111) 사이의 틈새(H,H')를 줄여 방충망(A)이 창호틀 프레임(F)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돌기(111)는, [도 1]과 같이 하나를 형성한 경우 양쪽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고,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 때는 양끝에 있는 삽입 돌기(111)가 바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충망(A)을 닫으면 방충망 프레임이 이 삽입 돌기(111) 위로 지나가게 되므로 간섭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 부분(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을 지지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11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체결 구멍(112)은 삽입 부분(110)을 가이드(G)에 스크루나 비스 등으로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체결 방식으로 고정할 때는, 상기 삽입 부분(110)은 "ㄷ"자 형상의 양쪽 면이 바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구성하여, 삽입 부분(110)이 가이드(G)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받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 부분(12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삽입 부분(110)의 한쪽 끝에서 일체로 꺾이게 형성하되, 이 삽입 부분(110)과 나란하게 형성한다. 이는, 상술한 삽입 부분(110)에 장착한 방충망(A)이 가이드(G)에서 빠지더라도 빠진 방충망(A)을 지지하여 실외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방충망(A)을 시공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브래킷의 시공을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과 같이, 방충망(A)을 닫았을 때 방충망(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본체(100)를 창호틀 프레임(F)에 장착한다. 이때, 본체(100)는 이탈 방지 부분(120)이 바깥을 향하게 하고 가이드(G)에 끼워서 스크루나 비스 등으로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어, [도 4]와 같이, 열린 위치에 있던 방충망(A)을 가이드(G)를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방충망(A)이 본체(100) 위로 올라타게 된다. 이에, 방충망(A)이 열린 상태에서 방충망 프레임과 창호틀 프레임(F) 사이의 틈새(h, h')는 [도 3(b)]처럼 넓었으나, 방충망(A)을 닫은 상태에서 방충망 프레임과 창호틀 프레임(F) 사이의 틈새(H, H')는 [도 4(b)]처럼 좁아져서 이탈 방지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
110 : 삽입 부분
111 : 삽입 돌기
112 : 체결 구멍
120 : 이탈 방지 부분

Claims (4)

  1. 미리 정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폭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 부분(110), 그리고 상기 삽입 부분(110)의 한쪽에서 일체로 꺾이게 형성하여 상기 삽입 부분(110)과 나란하게 형성한 이탈 방지 부분(120)을 포함하는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부분(110)은 서로 마주하는 면을 지지하는 중간 부분에 바깥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기(111)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2. 제1 항에서,
    상기 삽입 부분(110)은,
    마주하는 면이 바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여 강제로 벌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3. 제1 항에서,
    상기 삽입 돌기(111)를 돌출 성형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112)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삽입 돌기(111)는,
    하나가 형성된 경우 양쪽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고,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 경우 양끝에 있는 삽입 돌기(111)의 바깥쪽이 좁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20170062337A 2017-05-19 2017-05-19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199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37A KR101995627B1 (ko) 2017-05-19 2017-05-19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37A KR101995627B1 (ko) 2017-05-19 2017-05-19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39A true KR20180127039A (ko) 2018-11-28
KR101995627B1 KR101995627B1 (ko) 2019-07-02

Family

ID=6456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337A KR101995627B1 (ko) 2017-05-19 2017-05-19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81A (ko) 2022-04-22 2023-10-3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이중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방충창 이탈방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53B1 (ko) 2010-06-04 2010-10-06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1226087B1 (ko) * 2012-04-03 2013-01-24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창문이탈방지구
KR101306000B1 (ko) * 2012-04-27 2013-09-12 (주)볼트코리아 창호에 설치되는 방충망용 고정구
KR101562619B1 (ko) 2015-05-06 2015-10-22 (주) 동양하우징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
KR101575077B1 (ko) 2015-08-13 2015-12-07 효성건업 주식회사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53B1 (ko) 2010-06-04 2010-10-06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1226087B1 (ko) * 2012-04-03 2013-01-24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창문이탈방지구
KR101306000B1 (ko) * 2012-04-27 2013-09-12 (주)볼트코리아 창호에 설치되는 방충망용 고정구
KR101562619B1 (ko) 2015-05-06 2015-10-22 (주) 동양하우징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
KR101575077B1 (ko) 2015-08-13 2015-12-07 효성건업 주식회사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81A (ko) 2022-04-22 2023-10-3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이중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방충창 이탈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627B1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200472490Y1 (ko) 창틀
KR101236524B1 (ko) 접이문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1756115B1 (ko) 창문 이탈방지용 판스프링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EP3330476B1 (en) Tension cord mounting
KR101306000B1 (ko) 창호에 설치되는 방충망용 고정구
KR101877329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180077815A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1960735B1 (ko) 오버헤드 도어의 안전장치
KR101562619B1 (ko)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JP6781500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6994322B2 (ja) 引戸の窓構造
KR101886121B1 (ko) 스크린 가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AU2019100746A4 (en) Combination Curtain Track for Wave and Blind Curtains
JP7046757B2 (ja) シャッター枠部の防火構造
KR102224241B1 (ko)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 브래킷 장착구조
JP3629249B2 (ja) マンション用の幅調整自在門柱
JPH038787Y2 (ko)
KR200490700Y1 (ko) 창호
JP2001020640A (ja) 網戸用外れ止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